KR101750019B1 -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019B1
KR101750019B1 KR1020150098654A KR20150098654A KR101750019B1 KR 101750019 B1 KR101750019 B1 KR 101750019B1 KR 1020150098654 A KR1020150098654 A KR 1020150098654A KR 20150098654 A KR20150098654 A KR 20150098654A KR 101750019 B1 KR101750019 B1 KR 10175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nection pipe
exhaust
moxibus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039A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102015009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0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7Fume suction nozzles arranged on a closed or semi-closed surface, e.g. on a circular, ring-shaped or rectangular surface adjacent the area where fumes are produc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한방치료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쑥과 같은 재료를 이용한 뜸은 시술 시 연기와 냄새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흡수 및 차단하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환기후드 혹은 창을 통한 실외 배출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에서 뜸을 이용한 한방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실내에서 한방치료로 시술되는 뜸치료 시, 발생하는 연기와 매캐한 냄새를 흡수 및 차단하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환기후드 혹은 창을 통한 실외 배출 수 있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에서 뜸치료를 받을 수 있어, 한방치료로 많이 시술되는 뜸치료 시술 환경을 개선하는데 이바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Omitted}
본 발명은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한방치료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쑥과 같은 재료를 이용한 뜸은 시술 시 연기와 냄새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흡수 및 차단하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환기후드 혹은 창을 통한 실외 배출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에서 뜸을 이용한 한방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방치료로 널리 알려진 뜸치료는 쑥과 같은 재료를 인체의 경혈에 위치시켜 불을 붙여, 인체의 경혈에 피부 온열 자극을 주어 양기를 회복시키고 인위적인 약물치료가 아닌 본래 몸이 가지고 있는 자연 치유력을 높여 치료하는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적합하고 부작용 없이 광범위한 증상에 치유 및 예방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뜸치료 시술은 실내에서 대부분 이루어지며, 뜸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쑥을 태움으로 많은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연기가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호흡기로 들어가게 되면 기침과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연기가 상당히 맵고 냄새가 역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시술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공기청정기나 환풍기는 연기를 즉각적으로 배출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매캐한 냄새를 쉽게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실내에서 시술하는 뜸치료 중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흡수 및 차단하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환기후드 혹은 창을 통한 실외 배출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에서 뜸을 이용한 한방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45654호 (2014.04.17)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한방치료로 시술되는 뜸치료 시, 발생하는 연기와 매캐한 냄새를 흡수 및 차단하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환기후드 혹은 창을 통한 실외 배출 수 있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실내에서 뜸 시술 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집연장치로써, 뜸시술 받는 피시술자의 신체부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시술자의 두부(頭部)가 노출될 수 있는 통로인 챔버내외연통부(110)가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어 있는 챔버(100);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챔버(100)내부의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팬(200);
상기 배기팬(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배기팬(2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를 외기로 배출하는 배기연결관(300);
상기 배기연결관(300) 단부와 결합하여, 배기연결관(300)을 외기연결부재(10)에 고정하는 배기연결관고정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실내에서 한방치료로 시술되는 뜸치료 시, 발생하는 연기와 매캐한 냄새를 흡수 및 차단하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환기후드 혹은 창을 통한 실외 배출 수 있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에서 뜸치료를 받을 수 있어, 한방치료로 많이 시술되는 뜸치료 시술 환경을 개선하는데 이바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다른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배기연결관(300)을 외기연결부재(10)에 거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사용 후 보관할 때 보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을 먼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실내에서 뜸 시술 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집연장치로써, 뜸시술 받는 피시술자의 신체부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시술자의 두부(頭部)가 노출될 수 있는 통로인 챔버내외연통부(110)가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어 있는 챔버(100);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챔버(100)내부의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팬(200); 상기 배기팬(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배기팬(2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를 외기로 배출하는 배기연결관(300); 상기 배기연결관(300) 단부와 결합하여, 배기연결관(300)을 외기연결부재(10)에 고정하는 배기연결관고정수단(350)을 포함하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방치료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뜸 시술을 쾌적한 실내환경에서 시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로써, 챔버(100)에 내부공간에서 뜸 시술을 하며, 뜸 시술 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챔버(100)에서 밀폐함과 동시에 챔버(100) 상부에 형성된 배기팬(200)이 작동하여 연기와 냄새를 배기연결관(300)을 통하여 가정용 후드나 창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먼저, 챔버내외연통부(110)는 챔버내외부가 통해지도록 할 수 있거나, 챔버내부로 통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섬유 금속 목재 등으로 형성되는 구멍 및 도어 등과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챔버내외연통부(110)를 바람직한 예로, 도어로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00)는 뜸 시술을 받는 피시술자의 신체부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시술자의 두부(頭部)가 노출될 수 있는 통로인 챔버내외연통부(110)가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챔버(100) 내부에 위치하는 피시술자의 시술부위에 뜸 시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나, 뜸 시술 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는 챔버(100)의 내부에 형성된 밀폐수단(120)에 의해 챔버(100)내부의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챔버(100)는 챔버(100)하부에 바퀴(150)가 형성되어 있어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챔버(100) 상부에 위치한 배기팬(200)은 연기와 냄새를 흡수하여 배기연결관(300)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기연결관(300)은 배기팬(200) 상측에 위치하며, 일측단부가 배기팬(200)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외기연결부재(10)와 연결된다.
또한, 배기연결관(300)은 유연성을 가지며, 길이 조절이 쉬운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름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배기연결관보관부(310)는 챔버(100)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팬(200)과 배기연결관(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챔버(100)에 형성된 챔버내외연통부(110)의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도어형태로 구성하였다.
또한, 챔버내외연통부(110)는 R1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뜸 시술을 받는 피시술자의 신체부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시술자의 두부(頭部)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나, 상기 뜸 시술 시 챔버(100) 내부에 밀폐수단(120)이 형성되어 있어, 챔버(100)와 상기 챔버내외연통부(110)에 틈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팬(200)는 챔버(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챔버(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챔버(100) 내부에 뜸 시술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배출하며, 배기팬(200)과 연결된 배기연결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연결관(300)은 일측단부가 배기팬(200)과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외부 및 가정용후드 등과 같은 외기연결부재(10)를 연결하여 연기 및 냄새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다른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00) 상부에 형성된 배기팬(200)이 챔버(100)의 내부 공기를 배출 할 수 있도록 챔버(100) 상부와 결합하여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00) 내부에는 밀폐수단(12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챔버(100) 내부에 형성되어, 챔버내외연통부(110)와 챔버(100)의 이격된 부분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챔버(100) 내부에 공기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냄새를 차단하여, 챔버(100) 내부에 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또한, 밀폐수단(120)은 열에 강한 방염천이나 내화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수단(120)으로 열에 강한 방염천이나 내화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챔버(100) 내부에 구비되는 밀폐수단(120)은 뜸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뜸 시술 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차단하는 역할로 뜸 시술 시 발생하는 열에 강하도록 방염천이나 내화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배기연결관(300)을 가정용후드에 거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용후드 등과 같은 외기연결부재(10)에 배기연결관(300)의 타측단부를 거치하기 위해 형성된 배기연결관고정수단(350)은 배기연결관(300)의 타측단부를 가정용후드에 거치하여 배기팬(200)에서 공급되는 뜸 시술 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연결관(300)과 가정용후드를 거치한다.
상기 배기연결관고정수단(350)은 배기연결관(300)을 가정용후드에 거치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창문을 통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 시 창문과 같은 곳에도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기연결관(30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조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사용 후 보관할 때 보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를 사용 후 보관 시에 배기연결관(300)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배기연결관보관부(310)가 형성되어 있어, 배기연결관(300)을 보관할 수 있으며, 챔버(100) 하단부에 형성된 바퀴(150)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 집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정용 가구 예를 들어, 테이블과 같은 용도로 활용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실제 사진이다.
도 7과 같이,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의 챔버(100)와 배기연결관보관부(310)에 개폐 가능한 다수의 도어를 추가 형성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배기연결관보관부(310)에 측면수납도어(311), 상부수납도어(500)를 추가 형성할 수 있으며, 배기연결관(350)을 쉽게 내외부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챔버(100)의 측면에 다수의 챔버내외연통부(110)를 형성할 경우, 쑥뜸의 교체 및 시술상태확인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조에 따라서 챔버내외연통부(110) 바람직한 예로 도어를 추가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도어를 추가하여 형성할 경우 기능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가정용 가구로 사용 가능하여 인테리어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책상, 식탁, 선반 등으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뜸 시술 후 이동 가능한 다용도 테이블로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는 뜸 치료 시 발생하는 연기와 매캐한 냄새로 인하여 시술이 어려울 정도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가정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정용후드 또는 창문으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할 수 있는 집연장치를 제공하여 쾌적한 뜸 시술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외기연결부재(10)
100 : 챔버
110 : 챔버내외연통부
120 : 밀폐수단
150 : 바퀴
200 : 배기팬
300 : 배기연결관
311 : 측면수납도어
310 : 배기연결관보관부
350 : 배기연결관고정수단
500 : 상부수납도어

Claims (3)

  1. 실내에서 뜸 시술 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집연장치로써, 뜸시술 받는 피시술자의 신체부위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시술자의 두부(頭部)가 노출될 수 있는 통로인 챔버내외연통부(1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챔버(100);
    상기 챔버(100) 상측에 위치하여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배기팬(200);
    상기 배기팬(200) 상측에 위치하며, 일측단부가 배기팬(200)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외기연결부재(10)와 연결되고, 배기팬(2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를 외기로 배출하는 배기연결관(300);
    상기 배기연결관(300)의 타측단부를 외기연결부재(10) 일측에 고정하는 형성된 배기연결관고정수단(350);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내외연통부(110)는 개폐가능한 도어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챔버(100)는,
    챔버(100) 내부에 형성되어, 챔버내외연통부(110)와 챔버(100)의 사이 틈새부분에 형성되고, 방염천으로 형성된 밀폐수단(120)과, 상기 챔버(100) 하부에 바퀴(150)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팬(200)과 배기연결관(300)을 수용하는 배기연결관보관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연결관보관부(310)는
    측면수납도어(311)와 상부수납도어(500)가 형성되어 배기연결관(350)이 내외부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배기연결관(3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유연성이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98654A 2015-07-10 2015-07-10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KR10175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54A KR101750019B1 (ko) 2015-07-10 2015-07-10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54A KR101750019B1 (ko) 2015-07-10 2015-07-10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39A KR20170007039A (ko) 2017-01-18
KR101750019B1 true KR101750019B1 (ko) 2017-06-22

Family

ID=5799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654A KR101750019B1 (ko) 2015-07-10 2015-07-10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2002A (zh) * 2020-07-10 2020-11-03 五邑大学 一种悬灸器净烟机箱、装置及其净烟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75Y1 (ko) 2008-06-10 2009-01-07 박승진 이동식 뜸 집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683B1 (ko) 2012-10-09 2014-09-15 정순국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75Y1 (ko) 2008-06-10 2009-01-07 박승진 이동식 뜸 집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39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517B1 (ko) 쑥뜸기
KR100436700B1 (ko) 진공 쑥 뜸 기
CN110123625A (zh) 一种中医内科理疗用无烟无火背部艾灸装置
KR101750019B1 (ko) 실내 이동형 집연장치
CN104000725B (zh) 防烫伤温针灸架及其多穴位温针灸盒
CN108175564A (zh) 患者烧伤患处恒温护理仪
KR100873797B1 (ko) 뜸 온열기
CN206482845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砭石艾灸器
CN204033769U (zh) 一种吊式自动艾灸机
CN112618350A (zh) 一种经络热灸器及其使用方法
CN219290152U (zh) 一种艾灸加热仓
CN107334634A (zh) 一种集中供热艾灸椅
CN204636973U (zh) 一种多功能艾灸床
KR200477900Y1 (ko) 훈증장치
KR101440683B1 (ko)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215135996U (zh) 微波理疗穴灸器
CN109157409A (zh) 带有超声波按摩装置的艾灸理疗机
CN213788812U (zh) 一种艾灸排烟装置
CN209004658U (zh) 远红外磁疗足膝理疗桶
CN208893154U (zh) 艾灸器
KR200384533Y1 (ko) 황토판넬을 이용한 반신욕기기
CN207693911U (zh) 一种腰椎康复艾灸装置
CN209172916U (zh) 葫芦灸排烟装置
CN209301705U (zh) 一种无烟艾灸仪器
KR100675762B1 (ko) 쑥뜸 좌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