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296B1 - 다기능 낚시 도구함 - Google Patents

다기능 낚시 도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296B1
KR101749296B1 KR1020170009999A KR20170009999A KR101749296B1 KR 101749296 B1 KR101749296 B1 KR 101749296B1 KR 1020170009999 A KR1020170009999 A KR 1020170009999A KR 20170009999 A KR20170009999 A KR 20170009999A KR 101749296 B1 KR101749296 B1 KR 10174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ir
main
leg portions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현
Original Assignee
신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현 filed Critical 신용현
Priority to KR102017000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채비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서랍이 마련된 본체; 일면이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경첩으로 각각 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한 쌍의 메인 다리부; 및 상기 각 메인 다리부의 타면에 대칭 결합되어 접철 가능하며,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다리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평탄한 지형은 물론 평탄치 않은 지형에서도 안전하게 설치되어 좌식으로 낚시 준비 작업을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낚시 도구함 {MULTI FUNCTION FISHING CASE}
본 발명은, 채비에 대한 보관용도 외에 다양한 기능이 결합된 다기능 낚시 도구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취미 생활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취미 생활의 하나로 낚시가 있다.
통상 낚시에는, 낚싯대 받침틀, 낚싯대를 비롯한 주요 장비와 더불어, 낚싯바늘, 미끼, 찌, 릴 등의 다양한 채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채비들은, 분실을 방지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방이나 전용함(이하, '낚시 도구함'이라 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낚시 도구함은, 수납용도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그 예로, 낚시 준비 작업시 땅바닥에 쪼그리고 앉아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경우에 따라 조명장치나 좌대용 탁자 등의 비품을 별도로 준비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846호, 다기능 낚시 가방 (공고일자: 2006년 02월 17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평탄치 않은 지형에서도 안전하게 설치되어 낚시 준비 작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은, 채비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서랍이 마련된 본체; 일면이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경첩으로 각각 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한 쌍의 메인 다리부; 및 상기 각 메인 다리부의 타면에 대칭 결합되어 접철 가능하며,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다리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에 의하면, 평탄한 지형은 물론 평탄치 않은 지형에서도 안전하게 설치되어 좌식으로 낚시 준비 작업을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싯대 분실 방지, 조명제공, 다수의 수납함이 마련되는 등 낚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이 일체로 결합되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후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도 7은 도 6의 메인 다리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에 낚싯대 받침틀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의 메인 다리부를 사용할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9의 다른 측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의 보조 다리부를 사용할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 및
도 12는 도 11의 다른 측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후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좌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및 도 7은 도 6의 메인 다리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은, 채비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서랍(11)이 수용될 수 있는 본체(10); 일면이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경첩(21)으로 각각 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한 쌍의 메인 다리부(20);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의 타면에 대칭 결합되어 접철 가능하며,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다리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그 후방은 물론 상·하부 및 좌·우측이 폐쇄되고, 전방으로만 개방되어 상기 수납용 서랍(11)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 수납용 서랍(11)의 전방에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의 일면과 대응되어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메인 다리부 고정수단(1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인 다리부 고정수단(12)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프레임(부호 생략)에 탄성 지지되어 맞물린 한 쌍의 롤러(12-1)와, 상기 메인 다리부(20)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12-1) 사이에 끼움될 수 있는 삽입돌기(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12-2)는, 선단이 뽀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12-1) 사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중간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에 걸림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낚싯대 받침틀(W, 도 8 참조)을 고정시키기 위한 낚싯대 받침틀 고정수단(13)이 더 설치된다. 상기 낚싯대 받침틀 고정수단(13)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대칭된 한 쌍의 제1고정부(13-1)와, 상기 각 고정부(13-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고정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고정부(13-1)의 선단에는, 낚싯대 받침틀(W)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13-2)는 낚싯대 받침틀(W)을 걸림 구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한 쌍의 낚싯대 받침틀 고정수단(13)의 사이에 설치되어 보안스위치(SW1)가 작동될 시 낚싯대 또는 낚싯대 받침틀(W)의 분리 그리고 외부인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용 서랍(11)에는, 상기 센서(14)와 연결되며, 경보기(T1, 도 9 참조)와 경광등(T2, 도 7 참조)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15, 도 9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납용 서랍(11)의 일측에는, 후술할 제어부(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슬라이드 방식의 건전지 수납용 서랍(16)이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15)의 인쇄회로기판(부호 생략)에 배선으로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담배, 핸드폰 등을 보관하기 위한 다용도 서랍(17)이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좌측에는, 다용도 걸이(18)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계측자(19)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의 측면에는, 그 하단에 바닥 고정용 홀이 형성되어 인공 낚시터의 나무재질 바닥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 레그(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다기능 낚시 도구함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다리부(30)는, 상기 메인 다리부(20)의 타면에 고정된 고정블럭(31)과, 상기 고정블럭(31)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는 각도조절편(32)과, 일단이 상기 각도조절편(32)에 삽입되는 연장바(33)와, 상기 각도조절편(32)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바(33)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연장바(33)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 회전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노브볼트(34)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의 일면에 수평각도로 세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다용도 선반(5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 메인 다리부(20)의 타면에는, 바람막이 천(52-1, 도 10 참조)이 수납될 수 있는 천수납부(52)가 마련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인 '41'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비추기 위한 제1조명이고, '42'는 상기 제어부(15)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1조명(41)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이며, '43'은 상기 본체(10)의 전방을 비추기 위한 제2조명이며, '44'는 상기 제어부(15)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2조명(43)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이며, '45'는 모기향 꽂이이며, '46'는 수건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다기능 낚시 도구함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의 메인 다리부를 사용할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다른 측을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 도구함의 보조 다리부를 사용할 때의 상태를 보인 도면 및 도 12는 도 11의 다른 측을 보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낚시 도구함을 바닥이 평면진 곳에 설치할 경우를 보인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메인 다리부(20)를 펼친 후, 각 메인 다리부(20)의 측면에 마련된 고정 레그(22) 하단의 바닥 고정용 홀에 인공 낚시터의 나무재질 바닥과 나사 결합시켜서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설치된 바람막이 천(52-1)은, 상기 본체(10) 하부에 간이 히터를 설치하여 보온 공간을 확보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만일, 본 발명의 다기능 낚시 도구함이 평지가 아닌 곳에 설치될 경우, 상기 메인 다리부(20)는 불안하여 사용이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메인 다리부(20)는 접힌 상태로 상기 보조 다리부(30)를 각각 조절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안스위치(SW1)를 작동시키면, 상기 센서(14)가 낚싯대 받침틀(W)의 분리 또는 외부인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5)가 상기 센서(14)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경보기(T1)와 경광등(T2)을 작동시킴으로써 주변에 도난경보를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낚시 도구함에 의하면, 평탄한 지형은 물론 평탄치 않은 지형에서도 안전하게 설치되어 좌식으로 낚시 준비 작업을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싯대 분실 방지, 조명제공, 다수의 수납함이 마련되는 등 낚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이 일체로 결합되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수납용 서랍
12: 메인 다리부 고정수단 13: 낚싯대 받침틀 고정수단
14: 센서 15: 제어부
16: 건전지 수납용 서랍 17: 다용도 서랍
18: 다용도 걸이 19: 계측자
20: 메인 다리부 21: 경첩
22: 고정 레그 30: 보조 다리부
31: 고정블럭 32: 각도조절편
33: 연장바 34: 노브볼트
41: 제1조명 42: 제1전원스위치
43: 제2조명 44: 제2전원스위치
45: 모기향 꽂이 46: 수건걸이
51: 다용도 선반 52: 천수납부
52-1: 바람막이 천 SW1: 보안스위치
W: 낚싯대 받침틀 T1: 경보기
T2: 경광등

Claims (8)

  1. 채비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서랍(11)이 마련된 본체(10);
    일면이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경첩(21)으로 각각 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한 쌍의 메인 다리부(20);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다리부(20)의 각각의 타면과 접철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한 쌍의 보조 다리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다리부(30)는,
    상기 메인 다리부(20)의 타면에 고정된 고정블럭(31);
    상기 고정블럭(31)에 힌지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는 각도조절편(32);
    일단이 상기 각도조절편(32)에 삽입되는 연장바(33); 및
    상기 각도조절편(32)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바(33)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연장바(33)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 회전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노브볼트(34);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다리부(20)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다리부(30)는 서로 배타적으로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의 측면에는,
    그 하단에 바닥 고정용 홀이 형성되어 바닥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 레그(2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의 일면과 대응되어 상기 각 메인 다리부(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메인 다리부 고정수단(1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낚싯대 받침틀(W)을 고정시키기 위한 낚싯대 받침틀 고정수단(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한 쌍의 낚싯대 받침틀 고정수단(13)의 사이에 설치되어 보안스위치(SW1)가 작동될 시 낚싯대 또는 낚싯대 받침틀(W)의 분리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서랍(11)에는,
    상기 센서(14)와 연결되며, 경보기(T1)와 경광등(T2)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1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어부(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 수납용 서랍(1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 도구함.
  8. 삭제
KR1020170009999A 2017-01-20 2017-01-20 다기능 낚시 도구함 KR10174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99A KR101749296B1 (ko) 2017-01-20 2017-01-20 다기능 낚시 도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99A KR101749296B1 (ko) 2017-01-20 2017-01-20 다기능 낚시 도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296B1 true KR101749296B1 (ko) 2017-06-20

Family

ID=5928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999A KR101749296B1 (ko) 2017-01-20 2017-01-20 다기능 낚시 도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32U (ko) * 2021-01-18 2022-07-26 임선식 낚시채비용 정렬장치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564Y1 (ko) * 2003-02-26 2003-05-17 이상덕 낚시대 이탈방지 감지장치를 구비한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564Y1 (ko) * 2003-02-26 2003-05-17 이상덕 낚시대 이탈방지 감지장치를 구비한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32U (ko) * 2021-01-18 2022-07-26 임선식 낚시채비용 정렬장치
KR200497148Y1 (ko) * 2021-01-18 2023-08-10 임선식 낚시채비용 정렬장치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KR102656675B1 (ko) * 2021-12-21 2024-04-12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5609A (en) Wall-hung cabinet arrangement
US6161486A (en) Foldable and extendable bench
US5649734A (en) Tail gate box, table, and sink
US3145966A (en) Portable easel
US5575521A (en) Tail gate box, table, and sink
KR100951282B1 (ko) 휴대용 낚시 좌대
US2586524A (en) Painter's kit
KR101749296B1 (ko) 다기능 낚시 도구함
US4595086A (en) Portable desk-work bench with carrying case
GB2512089A (en) A portable storage and activity device
US9365970B2 (en) Ironing board with expandable legs
US20140361583A1 (en) Stackable chair with cupholder and folding table
US9216507B2 (en) Wall mounted work bench
EP3492340A1 (en) Trolley
US4253715A (en) Sewing machine console having a lowering device
ITUB20159268A1 (it) Letto contenitore.
CN104002610A (zh) 坐立两用便携式写生画架
KR101434510B1 (ko) 스탠드형 수납장치
US2989756A (en) Cosmetic kit
US9549610B1 (en) Picnic table storage system
US6138840A (en) Storage closet and rack apparatus
US5590927A (en) Fold-away high chair
KR200260403Y1 (ko) 다용도 낚시 받침대
KR20040013406A (ko) 낚싯대 받침틀이 구비된 의자 겸용 보관박스
GB2271360A (en) A collapsible ironing boar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