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548B1 - IoT네트웍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네트웍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8548B1 KR101748548B1 KR1020170004553A KR20170004553A KR101748548B1 KR 101748548 B1 KR101748548 B1 KR 101748548B1 KR 1020170004553 A KR1020170004553 A KR 1020170004553A KR 20170004553 A KR20170004553 A KR 20170004553A KR 101748548 B1 KR101748548 B1 KR 101748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object
- objects
- layer
- service
- iot net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 H04L29/1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에 의해, 본 발명은, IoT 네트웍 어플리케이션들을 생성하고 전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서비스 객체들의 표현에 기초한 비지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노테이션(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s, BPMN)을 제공할 수 있는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IoT 네트웍 구성을 위해 유저에게 쉽게 시각화하고 생성된 가상 객체들(VOs)과 상호 작용 및 조작을 허여함으로써, 유저가 쉽게 IoT 네트웍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 중 가상 객체 매니저(VOM)의 동작도
도 3은 도 2의 가상 객체 매니저의 작동 흐름도
도 4는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 중 서비스 콤포지션 매니저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 중 서비스 콤포지션 매니저에 의한 서비스 플로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지니스 프로세스 레이어 프로세스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지니스 프로세스 레이어시퀀스도
도 8은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에 있어서, IoT 네트웍 어플리케이션 구성 도
도 9는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을 기반으로 가상 객체 매니저(VOM)도
도 10은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을 기반으로 서비스 콤포지션 매니저도
도 11은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도
도 12는 도 1의 IoT 네트웍 시스템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관리 디플로이먼트 엔진도
120 : 가상 객체 레이어(Virtual Object Layer, VOL)
120a : 가상 객체 매니저(Virtual Object Manager, VOM)
130 : 서비스 콤포지션 레이어(Service Composition Layer, SCL)
130a : 서비스 콤포지션 매니저(Service Composition Manager, SCM)
140 : 비지니스 프로세스 레이어(Business Process Layer, BPL)
140a : 비지니스 프로세스 디자인 매니저(Business Process Design Manager, BPDM)
Claims (4)
-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와 관련된 다이어그램 언어 솔루션을 기반으로 프로그램 언어에 대한 기초 지식이 없어도 쉽게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oT 네트웍 시스템에 있어서,
IoT 네트웍과 관련된 사물을 구성하기 위한 계층인 피지컬 레이어(110);
상기 피지컬 레이어(110)에서의 사물을 가상객체(VO)로 표현하며, 가상 객체(VO)를 관리하기 위한 계층인 가상 객체 레이어(VOL)(120);
상기 사물은 IoT 네트웍 환경 및 주위에서 발생하는 미리 설정된 현상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탐지하며,
상기 가상 객체 레이어(VOL)(120)에서의 가상 객체(VO)에 대해서 두 개 이상의 가상 객체(VO)의 조합에 의해 서비스 객체(SO)를 생성하는 서비스 콤포지션 레이어(SCL)(130); 및
상기 각 서비스 객체(SO)가 생성되면, 하나의 단위의 서비스 객체에 대해서 하나의 시나리오를 위한 유저가 원하는 프로세스의 플로우를 형성하며, 서비스 객체(SO)들의 조인 기반의 모델을 수행하기 위해 비지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노테이션(BPMN)을 활용하는 비지니스 프로세스 레이어(BPL)(14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의 플로우는 비지니스 프로세스 레이어(BPL)(140)에서 개별적인 서비스 객체(SO)에 의해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며, 실제 상호 작용으로 개별적인 가상 객체(VO) 간에 암호화된 행위에 기초한 피지컬 객체(PO)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네트웍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VO)는 피지컬 레이어(110)의 사물과 관련된 정보를 요약 또는 압축적으로 제시하며, 유저에게 IoT 네트웍 시스템 환경 내부의 가상 객체(VO)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가상 객체(VO)로 표현되는 피지컬 레이어(110)에서의 사물의 환경으로의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네트웍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비스 객체(SO)는 입력 가상 객체(VO)로 온도 센서 가상 객체(VO), 그리고 출력 가상 객체(VO)로 LED 가상 객체(VO)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네트웍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상 객체 레이어(VOL)(120)는 유저들이 가상 객체(VO)들을 등록하기 원하는 피지컬 레이어의 사물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로컬 또는 원격 인터페이스 클래스들의 구성요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객체 매니저(VOM)(12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네트웍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4553A KR101748548B1 (ko) | 2017-01-11 | 2017-01-11 | IoT네트웍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4553A KR101748548B1 (ko) | 2017-01-11 | 2017-01-11 | IoT네트웍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8548B1 true KR101748548B1 (ko) | 2017-06-27 |
Family
ID=5951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4553A Active KR101748548B1 (ko) | 2017-01-11 | 2017-01-11 | IoT네트웍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854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88146A (zh) * | 2018-02-01 | 2018-08-10 | 东南大学 | 一种基于信息物理融合的三维装配工艺设计系统及运行方法 |
KR20190043872A (ko) * | 2017-10-19 | 2019-04-2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사물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장치 |
WO2020040396A1 (ko) * | 2018-08-23 | 2020-02-27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기반의 IoT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및 네트워킹 방법 |
WO2020251331A1 (ko) * | 2019-06-13 | 2020-12-17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물인터넷의 자원과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KR102739026B1 (ko) * | 2023-12-05 | 2024-12-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가상화 서버를 이용하여 보안이 강화된 스마트홈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4624B1 (ko) | 2008-05-07 | 2009-02-23 | 주식회사 리앙시스템즈 | 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시스템 |
KR101493166B1 (ko) | 2013-08-22 | 2015-02-16 | 한국과학기술원 | IoT 환경에서 가상화된 객체의 인스턴스를 관리하기 위한 웹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
2017
- 2017-01-11 KR KR1020170004553A patent/KR10174854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4624B1 (ko) | 2008-05-07 | 2009-02-23 | 주식회사 리앙시스템즈 | 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시스템 |
KR101493166B1 (ko) | 2013-08-22 | 2015-02-16 | 한국과학기술원 | IoT 환경에서 가상화된 객체의 인스턴스를 관리하기 위한 웹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3872A (ko) * | 2017-10-19 | 2019-04-2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사물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장치 |
KR102000199B1 (ko) | 2017-10-19 | 2019-07-1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사물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장치 |
CN108388146A (zh) * | 2018-02-01 | 2018-08-10 | 东南大学 | 一种基于信息物理融合的三维装配工艺设计系统及运行方法 |
WO2020040396A1 (ko) * | 2018-08-23 | 2020-02-27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기반의 IoT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및 네트워킹 방법 |
KR20200022698A (ko) * | 2018-08-23 | 2020-03-04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기반의 IoT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및 네트워킹 방법 |
KR102120548B1 (ko) * | 2018-08-23 | 2020-06-16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기반의 IoT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및 네트워킹 방법 |
US11805023B2 (en) | 2018-08-23 | 2023-10-31 |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Cloud-based IoT network virtualization system and networking method |
WO2020251331A1 (ko) * | 2019-06-13 | 2020-12-17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물인터넷의 자원과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
KR102739026B1 (ko) * | 2023-12-05 | 2024-12-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가상화 서버를 이용하여 보안이 강화된 스마트홈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10164B2 (en) | Workflow project desig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 |
KR101748548B1 (ko) | IoT네트웍 시스템 | |
KR101888472B1 (ko) | BPM 기반의 IoT DIY 시스템 및 이의 구현방법 | |
US10949074B2 (en) |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efining complex data objects | |
KR101330559B1 (ko) | 자바스크립트기반 웹-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장치와 상기 프레임워크 장치를 이용한 웹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
KR20190130220A (ko) | 아이오티 네트웍 시스템 | |
sohail Khan et al. | An Intuitive Architecture for DIY IoT Application Composition as Business Process Model | |
JP7375931B2 (ja) |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 |
sohail Khan et al. | Enhanced IoT Composition Architecture based on DIY Business Process Modeling: CoAP based Prototype | |
Fontes et al. | Simulation of openflow scenarios based on nsdl and ns-3 | |
KR20140114984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장치 | |
Kim et al. | Generating web services for statistical survey packages from domain-specific visual languages | |
Sundaram et al. | On Building a Web Services-based Prototype for RFID Applications | |
Burgess et al. | EMANICS Specification of the static & dynamic content for dissemination | |
KR20140114976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방법 | |
KR20140114985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방법 | |
KR20140114961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KR20140114995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방법 | |
KR20140114964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KR20140114971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KR20140114981A (ko) | 애플리케이션 환경 제공 시스템 | |
KR20140114969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KR20140114988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장치 | |
KR20140114996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장치 | |
KR20140115005A (ko) |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