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320B1 -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320B1
KR101748320B1 KR1020100089506A KR20100089506A KR101748320B1 KR 101748320 B1 KR101748320 B1 KR 101748320B1 KR 1020100089506 A KR1020100089506 A KR 1020100089506A KR 20100089506 A KR20100089506 A KR 20100089506A KR 101748320 B1 KR101748320 B1 KR 10174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data
service type
packet data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743A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8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3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6Creating or negotiating SLA contracts, guarantees or penal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방식을 협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협의된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USING DATA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따라 차별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요청하여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가입자들에게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다 차츰 정보통신 기술과 함께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음성통화 서비스 이외에 다른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개발하여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기 시작하였는데, 문자메시지 서비스와 이메일 서비스와 같이 비교적 용량이 적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근래에는 사진, 동영상, 또는 모바일 뱅킹과 같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아날로그 방식의 1세대(1G)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많은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이동통신이 해당되는 2세대(2G)로 발전하였으며, 2세대와 3세대의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2.5세대(2.5G)는 IS-95C, CDMA 2000-1x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통신이 해당된다.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으로 불리우는 3세대(3G)는 주파수 대역폭이 5MHz로 2세대보다 4배 이상 넓고 데이터 처리 속도 역시 최대 2Mbps에 달해 동영상 등 고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글로벌 로밍 서비스가 가능해 세계 어디서나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로 음성통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이 해당된다.
그리고, 3세대와 4세대의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3.9세대(3.9G)는 패킷 기반 시스템으로 순수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이 해당되며, 마지막으로 4세대(4G)는 고속 이동 중에 최대 100Mbps에서 1Gbps까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유무선 통합에 의한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 IMT Advanced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많은 가입자가 한정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동일하게 나누어 사용함에 따라 최적의 데이터 서비스를 가입자 모두에게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가입자별로 원하는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한정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모든 가입자에게 동일하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가입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가입자별로 상이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적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별로 관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최적으로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패킷 데이터의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방식을 협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협의된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방식은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채널 코딩 방식, 변조 방식 및 상기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업로드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단위 초당 상기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호화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암호화가 필요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에 IP 대역 주소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IP 대역 주소에 대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와 상기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유형은 암호화 서비스 유형, 저속 서비스 유형, 고속 서비스 유형, 동영상 서비스 유형, 정량제 서비스 유형 및 정액제 서비스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상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패킷 데이터의 암호화 필요 여부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와 상기 대역폭 요청 유형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방식을 협의하여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암호화가 필요하면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방식은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채널코딩 방식, 변조 방식 및 상기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IP 대역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는 상기 IP 대역 주소에 대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와 상기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업로드 시,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단위 초당 상기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유형은 암호화 서비스 유형, 저속 서비스 유형, 고속 서비스 유형, 동영상 서비스 유형, 정량제 서비스 유형 및 정액제 서비스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이 가입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인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이동통신 시스템과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채널코딩 방식, 변조 방식 및 대역폭을 포함한 통신방식을 협의하여 자신이 선택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맞는 최적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가입한 데이터 서비스에 적합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데이터 업로드 시에는 협의된 통신방식(대역폭)에 맞게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 또는 전송률을 제어하여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고, 암호화 필요 유무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EV-DO(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volution Data Only),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일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EV-DO(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volution Data Only),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이동통신 시스템이라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진화된 기지국(110)과, 이동성 관리 엔티티(120)와, 서빙 게이트웨이(130)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140)와, 정책 제어 및 과금 관리 서버(150), 가입자 정보 DB(160) 및 인터넷 서비스망(170)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5)와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진화된 기지국(110)을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 서비스망(170)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140) 또는 정책 제어 및 과금 관리 서버(150)를 통해 연결된다. 이 외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진화된 기지국(evolved Node B:eNB, 이하, 기지국이라 함)(110)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능을 포함하고, 서빙 게이트웨이(130)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지국(110)은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되는 초소형 기지국에 해당되는 HeNB(Home evolved Node B)일 수도 있다.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5)로부터 데이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서빙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110)은 서빙 게이트웨이(130)로부터 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인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통신방식을 협의한다. 상기 통신방식은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대역폭, 채널 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110)은 서빙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를 참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요청이 정당한지를 판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5)와 통신방식을 협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5)와 협의된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데, 가입자가 가입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적합한 대역폭을 할당하고 할당된 대역폭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5)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암호화가 필요하면,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전송한다. 즉,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5)가 선택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따라 무선(air) 자원이 차별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인증 및 등록을 담당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5)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이동 시 이동성을 보장하며, 페이징(paging), 세션 및 베어러(bearer)를 관리한다.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S-GW)(130)는 기지국(110)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140)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110)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140) 간의 시그널링(signaling)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버퍼링(buffering), 라우팅(routing) 및 포워딩(forwarding) 기능을 수행하며, QoS(Quality of Service) 관련 마킹(marking) 기능과 과금을 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or Public Data Network Gateway:PDN-GW 또는 P-GW)(140)는 인터넷 서비스망(170)으로 패킷 데이터를 보내는 관문 게이트 역할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5)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기능 및 서비스 레벨 산정(Service Level Charging) 기능을 수행한다.
정책 제어 및 과금 관리(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 Function:PCRF) 서버(150)는 QoS(Quality of Service) 정책 및 과금 정책을 결정하는 정책(policy) 서버로서 가입자 정보 DB(16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인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5)가 수신할 수 있도록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14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 정보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140)와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기지국(110)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전송된다.
가입자 정책 DB(160)는 가입자가 가입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인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별로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통신부(210)와, 가입자 정보 저장부(220)와,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와, 제어부(240)와, 패킷 데이터 생성부(250) 및 데이터 변환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기지국(11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되면 데이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기지국(110)으로 전송하고, 기지국(110)으로부터 정책 제어 및 과금 관리 서버(150)가 검색한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로, 정책 제어 및 과금 관리 서버(150)가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기지국(1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가입자가 최초로 데이터 서비스를 가입하거나 변경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105)가 가입자 정보를 수신 또는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정보는 특정 IP 주소 대역 정보를 더 포함하여 특정 IP 주소 대역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만 송수신할 패킷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220)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판단하는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 요청 유형과 패킷 데이터의 암호화 필요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대역폭 요청 유형의 판단은 데이터 호 연결에 따라 송수신될 패킷 데이터의 대역폭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최대, 중간 또는 최소 대역폭 요청 유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는 가입자 정보를 통해 데이터 사용량 수집 및 사용량 인증이 필요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해당되는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인증이 필요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은 정량제 또는 정액제 서비스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는 가입자 정보에 특정 IP 주소 대역 정보가 포함된 경우, 포함된 IP 주소 대역에 대한 암호화 필요 유무와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각 부를 제어하고,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의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100)과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방식을 협의(negotiation)하는데, 통신방식은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채널 코딩 방식, 변조 방식,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가입자 정보에 특정 IP 주소 대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그 특정 IP 주소 대역에 대한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인 경우,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의 특정 IP 주소 대역에 대한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100)과 통신방식을 협의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어부(240)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에서 암호화 필요로 판단하면,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을 이동통신 시스템(100)과 협의하고,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에서 판단한 대역폭 요청 유형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송수신에 필요한 대역폭을 요청하여 대역폭을 할당받는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230)에서 판단한 대역폭 요청 유형과 이동통신 단말기(105)가 처리할 수 있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대역폭을 요청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이동통신 시스템(100)과 협의된 통신방식에 따라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한다.
패킷 데이터 생성부(250)는 데이터 호 연결 중에 데이터 업로드가 필요하면, 할당받은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패킷 데이터를 단위 초당 생성한다. 즉, 패킷 데이터 생성부(250)는 할당받은 대역폭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데이터 변환부(260)는 통신부(210)를 통해 암호화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협의된 복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패킷 데이터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패킷 데이터에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함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되면(s301), 입력된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을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303).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데이터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가 정당한 가입자인지를 인증하여 정당한 가입자이면(s305),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을 수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5)와 데이터 호를 연결하며(s307),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인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전송한다(s309).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s311),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통해 패킷 데이터의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판단하며(s313), 판단된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따라 통신방식을 협의하기 위한 통신방식 협의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s315)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0)과 통신방식을 협의한다(s317). 상기 통신방식은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대역폭, 채널 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대역폭 요청 유형에 따라 대역폭을 요청할 시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5)가 처리할 수 있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요청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s313단계 및 s315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s313단계의 암호화 필요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으면, s313단계의 대역폭 요청 유형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대역폭을 요청하여 대역폭을 할당받으며, 채널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과 그 외의 통신에 필요한 방식(규칙)을 더 협의할 수 있다.
한편, s313단계의 암호화 필요 유무에 대한 판단결과, 암호화가 필요하면,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을 협의하고, 대역폭 요청 유형에 대한 판단결과에 따라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대역폭을 요청하여 대역폭을 할당받으며, 채널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과 그 외의 통신에 필요한 방식(규칙)을 더 협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와 이동통신 시스템(100) 간에 패킷 데이터 송수신은 협의된 통신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s319).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데이터 업로드가 필요하면, 기 협의된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패킷 데이터를 단위 초당 생성하고, 암호화 필요 여부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암호화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5)로부터 수신하면, 기 협의된 복호화 방식에 따라 복호화한다.
한편, 상기 s307 단계의 데이터 호 연결은 s313 단계와 s315 단계 사이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데이터를 해킹하거나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도록 하는 대신 최소의 대역폭을 갖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암호화 서비스 유형이라 하고,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최소의 대역폭으로 저렴하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저속 서비스 유형이라 하며,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최대의 대역폭으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고속 서비스 유형이라 하고,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동영상에 한해서 최대의 대역폭으로 동영상을 고속으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동영상 서비스 유형이라 하며,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중간 대역폭으로 일정시간 동안 또는 일정기간 동안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정량제 또는 정액제 서비스 유형이라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이에 따라, 암호화 서비스 유형이면,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암호화 서비스 유형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여 암호화가 필요하고, 최소 대역폭 요청 유형으로 판단하며,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채널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 포함 가능)에 대한 협의 요청을 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을 협의하고, 최소 대역폭을 요청하여 할당받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암호화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협의된 복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패킷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데이터 업로드 시에는 할당받은 최소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패킷 데이터를 단위 초당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저속 서비스 유형이면,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저속 서비스 유형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여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고, 최소 대역폭 요청 유형으로 판단하며,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통신방식(채널코딩 방식, 변조 방식) 협의 요청을 하여 통신방식을 협의하면서 최소 대역폭을 요청하여 할당받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최소 대역폭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업로드 시에는 할당받은 최소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패킷 데이터를 단위 초당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한편, 고속 서비스 유형이면,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고가 서비스 유형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여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고, 최대 대역폭 요청 유형으로 판단하며,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통신방식 협의요청을 하여 통신방식을 협의하면서 최대 대역폭을 요청하여 할당받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최대 대역폭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업로드 시에는 할당받은 최대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패킷 데이터를 단위 초당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다른 한편, 만약 동영상 서비스 유형이면,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동영상 서비스 유형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여 동영상 서비스에 대하여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고, 최대 대역폭 요청 유형으로 판단하며,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통신방식 협의요청을 하여 통신방식을 협의하면서 최대 대역폭을 요청하여 할당받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최대 대역폭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업로드 시에는 할당받은 최대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패킷 데이터를 단위 초당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다른 한편, 만약, 정량제 또는 정액제 서비스 유형이면,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정량제 또는 정액제 서비스 유형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고, 중간 대역폭 요청 유형에 해당하고 데이터 사용량 수집 및 사용량 인증이 필요한 데이터 서비스 유형으로 판단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통신방식 협의 요청을 하여 통신방식을 협의하면서 중간 대역폭을 요청하여 할당받고, 데이터 사용량 수집 및 사용량 인증 요청을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중간 대역폭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업로드 시에는 할당받은 중간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패킷 데이터를 단위 초당 생성하여 생성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인증하면서 사용량을 수집하여 기 설정된 정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5)가 데이터 정량제 또는 정액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기 설정된 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여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과금이 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에서 설명한 암호화 서비스 유형, 저속 서비스 유형, 고속 서비스 유형, 동영상 서비스 유형, 정량제 또는 정액제 서비스 유형은 특정 IP주소 대역에 대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유형들 이외의 데이터 서비스 유형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동통신 시스템 105: 이동통신 단말기
110: 기지국(eNB) 120: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130: 서빙 게이트웨이(S-GW)
140: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150: 정책 제어 및 과금 관리 서버(PCRF)
160: 가입자 정보 DB 170: 인터넷 서비스망
210: 통신부 220: 가입자 정보 저장부
230: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
240: 제어부 250: 패킷 데이터 생성부
260: 데이터 변환부

Claims (12)

  1.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패킷 데이터의 암호화 필요 유무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방식을 협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협의된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에 IP 대역 주소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IP 대역 주소에 대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와 상기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호 연결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식은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채널 코딩 방식, 변조 방식 및 상기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데이터 업로드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대역폭을 통해 업로드할 단위 초당 상기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암호화가 필요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유형은
    암호화 서비스 유형, 저속 서비스 유형, 고속 서비스 유형, 동영상 서비스 유형, 정량제 서비스 유형 및 정액제 서비스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8. 데이터 서비스 유형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상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패킷 데이터의 암호화 필요 여부와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와 상기 대역폭 요청 유형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방식을 협의하여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암호화가 필요하면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는
    IP 대역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유형 판단부는
    상기 IP 대역 주소에 대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상기 암호화 필요 여부와 상기 대역폭 요청 유형을 판단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식은
    상기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 채널코딩 방식, 변조 방식 및 상기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데이터 업로드 시, 상기 통신방식에 따라 단위 초당 상기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유형은
    암호화 서비스 유형, 저속 서비스 유형, 고속 서비스 유형, 동영상 서비스 유형, 정량제 서비스 유형 및 정액제 서비스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00089506A 2010-09-13 2010-09-13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4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06A KR101748320B1 (ko) 2010-09-13 2010-09-13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06A KR101748320B1 (ko) 2010-09-13 2010-09-13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43A KR20120027743A (ko) 2012-03-22
KR101748320B1 true KR101748320B1 (ko) 2017-06-16

Family

ID=4613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506A KR101748320B1 (ko) 2010-09-13 2010-09-13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3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43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4570B2 (ja) フェムトセルをパケット・ケーブル・マルチメディア・アーキテクチャに統合する方法
US9065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d-to-end quality of service (QoS)
EP2597906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CN102160338B (zh) 用于多个接入上的服务质量控制的系统和方法
US20040223602A1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lement for authorizing a data transmission
US20060268838A1 (en) Authentication of an application layer media flow request for radio resources
EP3833150A1 (en) User plane security policy implement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086642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책 제어 강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7930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한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데이터 한도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CN109417729B (zh)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及设备
EP2785105B1 (en) Bearer mode selection method, packet gateway and policy and charging control function entity
WO20030218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bit rate adaptation
EP3072332A1 (e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20100309859A1 (en) Session control method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4181536A1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101748320B1 (ko)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856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한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데이터 한도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
US20070165645A1 (en) Method, system, content server, GGSN, and SGSN for switching traffic during real time stream transmission
CN101729383B (zh) 跨接入网关切换时建立业务流映射的控制方法、目标接入网关
EP1594337A2 (en) A terminal-based service identification mechanism
KR101889079B1 (ko)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호 처리 방법
KR20200081353A (ko) 서비스 품질 정보 갱신 방법
KR102130656B1 (ko) 서비스 품질 정보 갱신 방법
Sivagurunathan et al. Multimedia over Wireless Mobile Data Networks
KR20100061001A (ko)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