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001A -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001A
KR20100061001A KR1020080119854A KR20080119854A KR20100061001A KR 20100061001 A KR20100061001 A KR 20100061001A KR 1020080119854 A KR1020080119854 A KR 1020080119854A KR 20080119854 A KR20080119854 A KR 20080119854A KR 20100061001 A KR20100061001 A KR 2010006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scriber station
packet transmission
service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1001A/ko
Publication of KR2010006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18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B2201/70722HSDPA/HSU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18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B2201/70726Asynchronous C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입자 단말로부터 HSDPA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HSDPA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입자 단말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가입자 단말의 수용 불가가 확인되면, 전용 채널을 통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 뒤, 가입자 단말과의 사이에 설정되는 전용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HSDPA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및 전용 채널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며, HSDPA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가입자 단말에 대한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에서의 데이터 처리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HSDPA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119854
HSDPA, DCH, WCDMA, 데이터 서비스, 베어러, Bearer

Description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ata Service in WCDMA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HSDPA 서비스가 제공되는 WCDMA 시스템에서, HSDPA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수의 가입자를 모두 수용한 경우, 또는 일정한 가입자가 이미 HSDPA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고 상위 시스템에서의 호 설정 과정에서 인지된 상황에서, HSDPA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가입자 단말로, WCDMA 시스템의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도중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제1 세대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s) 방식, 제2 세대 셀룰러(Cellular) / 개인 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방식 및 제3 세대 고속 데이터 통신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거쳐 발전되어 왔다. 특히, IMT-2000은 다른 무선 접속 규격을 사용하는 국가들의 시스템을 통합하여 국가간의 이동성 보장 및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개발되었는데, 동기 방식인 CDMA 2000과 비동기 방식인 WCDMA로 분리되어 발전되었다.
여기서, 비동기 방식인 WCDMA 시스템은 IMT-2000에서 권고하는 무선 프로토콜로서 우리나라, 유럽, 일본, 미국,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많은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거나 제공을 준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WCDMA 시스템은 음성 코딩을 위해서 32Kbps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을 채택하였으며, 사용자가 시속 100Km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통화가 가능할 정도의 높은 이동성을 지원하고, 대역 확산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현재는 WCDMA 시스템에서는 2Mbps의 다운링크 패킷 용량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 정보 및 동영상 정보, 뉴스, 실시간 방송 및 온라인 오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제공되는 정보의 양의 증가와 서비스 업체의 증가, 고화질의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 내에 전송하기 위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가 개발되었다.
HSDPA는 기존의 Release 99 및 Release 4와 동일한 주파수 5MHz 대역에서 고속의 하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HS-DSCH(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는 전송 채널과 이를 지원해 주기 위해 HS-SCCH(High Downlink Shared Channel), HS-DPCCH(High Speed-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와 같은 제어 채널들을 정의하여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Release 5의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및 TDD(Time Division Duplexing)에서 동작하도록 한 기술이다. HSDPA에 대한 내용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현재 WCDMA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단말과 WCDMA 망 사이에 HSDPA 서비스를 위하여 5Mbps의 패킷 용량을 지원하는 HSDPA 전용 주파수(FA: Frequency Assignment, 이하 'FA'라 칭함)를 운용하고 있다.
그리고, WCDMA 시스템에서는 HSDPA가 설정 가능한 가입자 단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가입자 단말을 HSDPA 전용 FA에 수용시킨 후,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갖는 HSDPA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HSDPA 전용 FA에는 수용 가능한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HSDPA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입자 수도 한정된다. 현재, HSDPA 전용 FA를 통해 수용 가능한 가입자 단말이 한계에 이른 상황에서, 특정 가입자 단말로부터 HSDPA 서비스 제공이 추가적으로 요청되는 경우, WCDMA 시스템에서는 HSDPA 서비스 제공에 대한 거절 응답을 전송한다.
WCDMA 시스템으로부터 HSDPA 서비스 거절 응답을 수신한 가입자 단말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연결이 수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가입자 단말은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HSDPA 서비스가 제공되는 WCDMA 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의 HSDPA 서비스를 위한 수용 가입자 단말이 모두 또는 일정 가입자가 수용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HSDPA 서비스를 요청하는 가입자 단말을, WCDMA 망에서 저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용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켜, 데이터호가 폭주되는 지역에서의 가입자에게 저속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 단말로부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b)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입자 단말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가입자 단말의 수용 불가가 확인되면, 제2 패킷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가입자 단말과의 사이에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고,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 패킷 전송 방식 및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가입자 단말에 대한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HSDPA 서비스를 위하여 할당된 무선 자원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 HSDPA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WCDMA 망의 전용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로 전환 유도함으로써, 셀에서의 데이터 호 설정을 위한 유휴 자원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 불가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망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110), 무선 접속망(120), 홈 위치 등록기(130), SGSN(140), GGSN(150), 라우터(160), 홈 에이전트(170) 및 인증 서버(180)를 포함한다.
가입자 단말(UE: User Equipment)(110)은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서 WCDMA 망과 연결되어 다른 가입자 단말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브라우저를 통하여 WCDMA 망과의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이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가입자 단말(110)은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CDMA 망과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이 이루어진다.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 칭함)(120)은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하며, 'Node-B'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는 기지국 전송기(122)와 무선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24)을 포함한다.
RAN(120)은 가입자 단말(110)로부터의 통신 요청 신호, 데이터 요청 신호, 데이터 수신 완료 통보 신호 및 업로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SGSN(140)으로 전송하고, SGSN(14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입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RAN(120)과 가입자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할당된 전용 주파수(FA)의 용량에 의해 좌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AN(120)에서는 2Mbps의 패킷 용량을 지원하는 WCDMA 망 FA와 5Mbps의 패킷 용량을 지원하는 HSDPA 전용 FA를 동시에 운용한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110)로부터의 HSDPA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HSDPA 전용 FA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수용 불가능이 확인되면, WCDMA 망의 FA를 이용하도록 전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WCDMA 망의 FA은 DCH(Dedicated Channel)으로 불리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DCH'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HSDPA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110)을 DCH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ode-B(122)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가입자 단말(110)과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가입자 단말(110)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Node-B(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RNC(124)는 유무선 채널 관리, 가입자 단말(110)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핵심망(Core Network)과의 프로토콜 정합,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GPRS는 384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메일을 제공하며, 패킷 단위의 데이터 전송으로 전송 회선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비동기 방식의 통신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NC(124)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HSDPA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입력되면, HSDPA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을 HSDPA 전용 FA 또는 DCH를 통해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RNC(124)와 Node-B(122)는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Iub 인터페이스는 내부 인터페이스로서, Node-B(232) 내에서 기지국 무선 베어러(Bearer)를 세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RNC(124)에서 HSDPA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Node-B(122)를 통해 HSDPA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현재 접속된 HSDPA 호의 숫자와 사전에 설정된 최대 수용 가능 HSDPA 호의 숫자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함)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등 3가지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0)는 가입자 단말(110)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가입자 단말(110)의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LR(130)은 후술할 GGSN(150)으로부터 착신자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입자 단말(110)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담당하는 SGSN(140)의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GGSN(150)으로 제공한다. 즉, HLR(130)이 위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GGSN(150)로 전송하는 응답 신호에는 SGSN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0)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가입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150)은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WCDMA 망과 인터넷 망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한다. 또한, GGSN(150)은 가입자 단말(110)이 다른 SGSN(140)으로 이동할 때, 해당 SGSN(140)의 영역에 들어가는 가입자 단말(110)의 관리 및 현재 위치를 홈 에이전트(170)에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우터(160)는 단지 GGSN(150), 홈 에이전트(170), 인증 서버(180) 및 인터넷(19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홈 에이전트(HA: Home Agent, 이하 'HA'라 칭함)(170)는 SGSN(140) 및 GGSN(150)과 더불어 가입자 단말(110)의 위치 추적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가입자 단말(110)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WCDMA 망에 접속하면 HA(170)에서 가입자 단말(110)에 고유의 식별 IP 주소를 할당한다. 이 주소는 시스템 전체에서 가입자 단말(110)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주소이므로 고정적으로 사용되어, 시스템으로부터 가입자 단말(110)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로 이용된다. 가입자 단말(110)이 다른 셀로 이동하면 SGSN(140)에서 임시 IP 주소를 부여받는다. 이 임시 IP 주소는 가입자 단말(110)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를 나타내게 된다.
SGSN(140)과 HA(170)는 가입자 단말(110)의 고정 IP 주소와 임시 IP 주소를 주고 받음으로써, 가입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하고 관리하므로, 가입자 단말(110)은 이동 중에도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인증 서버(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이하 'AAA'라 칭함)(180)는 가입자 단말(110)의 대역폭, 서비스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인증하는 기능,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해 암호화 키(Key)를 이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 암호화 레벨(Level)의 관리 기능 및 가입자 단말(110)의 과금 및 정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WCDMA 망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는 RNC(124)를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110)에 대한 수용 여부를 확인하고, 수용이 불가능함을 확인하면 가입자 단말(110)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킨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 판단 방법은 Node-B(122)를 통해 HSDPA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잔여 대역폭이 존재하는 여부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현재 접속된 HSDPA 호의 숫자와 사전에 설정된 최대 수용 가능 HSDPA 호의 숫자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QoS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HSDPA 서비스를 위한 잔여 대역폭의 존재 확인을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가입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WCDMA 망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즉, 가입자 단말(11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를 이용하여, RNC(124)로 RRC 접속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quest)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HSDPA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 가입자 단말(110)은 HSDPA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내용을 RRC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출한다(S210).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RNC(124)는 가입자 단말(110)이 시그널링(Signaling)하고 있는 FA가 HSDPA 전용 FA임을 확인하고, Node-B(122)로 HSDPA 서비스를 위한 잔여 대역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 요청한다(S220).
이 때, RNC(124)에서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를 이용 하여 SGSN(140)으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SGSN(140)에서 HLR(130)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 뒤, 가입자 인증 결과를 RNC(124)로 전송하는 과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RRC 및 RANAP는 가입자 단말(110), Node-B(122), RNC(124), SGSN(140) 및 GGSN(150) 등 WCDMA 시스템에 탑재되는 인터페이스 카드 프로세서 중 일부이다.
RNC(124)로부터 HSDPA 서비스를 위한 잔여 대역폭의 존재 여부의 확인을 요청받은 Node-B(122)는 무선 베어러 세팅을 위한 잔여 대역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HSDPA 서비스를 위한 잔여 대역폭 확인 결과를 RNC(124)로 전달한다(S230).
RNC(124)는 Node-B(122)로부터 수신한 잔여 대역폭 확인 결과를 분석하여, HSDPA 전용 FA에서 가입자 단말(110)을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40), 수용 가능이 확인되면, 가입자 단말(110)과의 사이에 HSDPA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한다(S242).
그리고, RNC(124)는 SGSN(140)과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Iu 데이터 전송 베어러(Bearer)를 설정한다. 여기서, Iu는 무선 접속망(120)과 HLR(130), SGSN(140) 또는 GGSN(150) 등의 핵심망(CN: Core Network)이 연결될 때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설정된 Iu 데이터 전송 베어러를 통해 SGSN(140)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HSDPA 전용 FA를 통해 가입자 단말(110)로 전송한다(S244).
그러나, S240 단계에서 RNC(124)가 Node-B(122)로부터 수신한 잔여 대역폭 확인 결과를 분석하여, HSDPA 전용 FA 또는 음성 및 데이터 혼용 FA에서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이 불가능함을 확인하면, RNC(124)는 가입자 단말(110)로 RRC 접속 거부 메시지(RRC Connection Rejection Order)를 전송한다. 이 때, RRC 접속 거부 메시지에는 가입자 단말(110)의 HSDPA 접속 요청에 대한 거부 이유가 포함된다(S250).
그리고, RNC(124)는 RRC 접속 거부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RRC 연결 셋업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를 가입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 때, RNC(124)가 전송하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는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110)을 DCH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시그널링(Signaling) 정보 및 트랜스포트(Transport)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는 DCH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패킷 용량의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WCDMA 망에서 DCH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384Kbps, 128Kbps, 64Kbps, 32Kbps 또는 16Kbps 중 하나의 다운링크 패킷 용량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NC(124)는 가입자 단말(110)과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사용할 데이터 패킷 용량을 설정한 뒤,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 동봉하여 가입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DCH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패킷 용량은 무선 접속망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S260).
여기서, S250 단계 및 S260 단계에서, RNC(124)가 전송하는 RRC 접속 거부 메시지 및 RRC 연결 셋업 메시지는 각각의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으나, 하나의 메시지로 통합되어 생성 및 전송될 수도 있다.
가입자 단말(110)은 수신된 RRC 접속 거부 메시지를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위한 접속이 불가능함을 확인하고, RRC 연결 셋업 메시지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 트랜스포트 정보 및 다운링크 패킷 용량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DCH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한다(S270).
그리고, 가입자 단말(110)은 DCH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요청이 포함된 RRC 접속 요청 정보를 생성한 후, RNC(124)로 송출한다(S280).
DCH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은 RNC(124)는 SGSN(140)과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Iu 데이터 전송 베어러(Bearer)를 설정한다. SGSN(140)과 Iu 전송 Bearer가 설정된 RNC(124)는 인터페이스 카드 프로세서 구조 중 NBAP(Node-B Application Part)를 이용하여 Node-B(122)로 Radio Link 재구성을 위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Radio Link 재구성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Node-B(122)는 RNC(124)와의 사이에 Iub 데이터 전송 Bearer를 설정한다.
Iub 데이터 전송 Bearer의 설정이 완료되면, RNC(124) 및 Node-B(122)는 가입자 단말(110)로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RAB(Radio Access Bearer) 설정을 요청한다.
가입자 단말(110)과 RNC(124) 사이에 RAB가 설정되면, RNC(124)는 인터넷의 서비스 제공 업체 서버(미도시)로 데이터 전송의 시작을 요청하고, SGSN(140)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110)로 전달한다. 이 때, Node-B(122)와 이동 통신 단말기(11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DCH를 통하여 전송된다(S290).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현재 접속된 HSDPA 호와 사전에 설정된 최대 수용 가능 HSDPA 호의 비교를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 전환 방법에 따르면, RNC(124)에는 HSDPA 서비스를 위한 최대로 수용 가능한 HSDPA 호의 수가 사전에 설정된다.
RNC(124)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HSDPA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된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210), 사전에 설정된 최대 HSDPA 호의 수 및 현재 접속되어 있는 HSDPA 호의 수를 확인한 뒤(S310), 현재 접속되어 있는 HSDPA 호의 수와 사전에 설정된 최대 HSDPA 호의 수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현재 접속되어 있는 HSDPA 호의 수가 사전에 설정된 최대 HSDPA 호의 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HSDPA로의 접속을 요청한 가입자 단말(110)에 대하여 수용 가능으로 판단하고, 가입자 단말(110)과의 사이에 HSDPA 방식의 세션을 설정하는 S242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 현재 접속되어 있는 HSDPA 호의 수와 사전에 설정된 최대 HSDPA 호의 수가 동일함이 확인되면, 현재 RNC(124)에서는 더 이상의 HSDPA 호를 수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RRC 접속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S250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S320).
여기서, S320 이후의 과정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S242 이후의 과정 및 S250 이후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QoS의 확인을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 전환 방법에 따르면, RNC(124)에는 HSDPA 서비스를 제공 요청한 가입자 단말(110)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QoS 값이 사전에 설정된다.
RNC(124)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HSDPA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된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210), 가입자 단말(110)로 QoS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 뒤(S410),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송출된 QoS 정보를 확인한다(S420). 여기서, 가입자 단말(110)로부터의 QoS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S210 단계에서 송출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와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가입자 단말(110)로 QoS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S41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QoS 정보를 수신되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의 전환 기준 QoS와 비교한다.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QoS가 사전에 설정된 전환 기준 QoS 이상이면, 해당 가입자 단말(110)이 정상적으로 HSDPA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HSDPA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단말(110)의 수용을 결정하고, 가입자 단말(110)과의 사이에 HSDPA 방식의 세션을 설정하는 S242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QoS가 사전에 설정된 전환 기준 QoS 이하이면, 해당 가입자 단말(110)이 정상적으로 HSDPA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을 결정하고, RRC 접속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S250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S430).
여기서, S430 이후의 과정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S242 이후의 과정 및 S250 이후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망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HSDPA 서비스를 위한 잔여 대역폭의 존재 확인을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현재 접속된 HSDPA 호와 사전에 설정된 최대 수용 가능 HSDPA 호의 비교를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QoS의 확인을 통하여, HSDPA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DCH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14)

  1.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가입자 단말로부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입자 단말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 단말의 수용 불가가 확인되면, 제2 패킷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가입자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은 HSDPA 방식으로서,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보다 고속의 전송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잔여 대역폭의 존재 여부를 확인을 통하여,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호 전송을 위한 상기 가입자 단말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사전에 설정된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최대 수용 가능 호의 숫자와,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현재 접속되어 있는 호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호 전송을 위한 상기 가입자 단말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품질 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품질 기준값―여기서, 서비스 품질 기준값은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서비스 품질 값임―의 비교 결과를 통하여,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호 전송을 위한 상기 가입자 단말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입자 단말의 수용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접속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 요청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d2) 상기 가입자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및
    (d3) 상기 설정된 베어러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패킷 전송 방식 및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며,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가입자 단말에 대한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은 HSDPA 방식으로서,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보다 고속의 전송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잔여 대역폭의 존재 여부 확인을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수용 여부를 확인하는 기지국 전송기; 및
    상기 가입자 단말과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며,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시키는 무선 제어국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사전에 설정된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최대 수용 가능 호의 숫자와,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현재 접속되어 있는 호의 수를 비교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수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수용이 불가능이 확인되면,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시키는 무선 제어국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품질 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서비스 품질 기준값―여기서, 서비스 품질 기준값은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서비스 품질 값임―을 비교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품질 정보가 상기 서비스 품질 기준값 이하임이 확인되면,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가입자 단말을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시키는 무선 제어국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국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제1 패킷 전송 방식 또는 제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요청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입자 단말의 수용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접속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가입자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제2 패킷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Iu 데이터 전송 베어러를 설정한 뒤, 상기 Iu 데이터 전송 베어러를 통해 상기 인터넷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SGSN
    을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080119854A 2008-11-28 2008-11-28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1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54A KR20100061001A (ko) 2008-11-28 2008-11-28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54A KR20100061001A (ko) 2008-11-28 2008-11-28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001A true KR20100061001A (ko) 2010-06-07

Family

ID=4236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854A KR20100061001A (ko) 2008-11-28 2008-11-28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10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5777C (en) A technique for setting up calls in internet protocol mobile network
TWI386101B (zh) 處理封包交換資料傳輸之方法及其系統
US8125937B2 (en) Data over signaling (DoS) optimization over wireless access networks
US20060111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MS messag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LAN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87930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한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데이터 한도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WO2011005995A1 (en) Radio access network (ran) capacity / resource determination
US7522565B2 (en) Signaling transport over a bearer network for low latency services
KR1017856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한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데이터 한도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
KR100621345B1 (ko) Wcdma망에서 hsdpa 전용 fa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22964A (ko) Epc망에서 csfb 음성 서비스를 위한 페이징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05023799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KR20100061001A (ko) Wcdma 망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873454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050022718A (ko) Ev-do 시스템으로의 데이터 서비스를 1x 시스템으로천이시키는 방법
KR101115432B1 (ko) 휴대 인터넷에서 페이징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06210B1 (ko) 무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ppp 자원의해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12516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 통신망 사이의 번호이동성 서비스에따른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1539023B1 (ko) 국제로밍에 따른 서비스 호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8884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정보 관리 방법
KR100862679B1 (ko) 비정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579808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를 위한 무선자원정보 처리방법
KR100848637B1 (ko) 위치 측위를 위한 psmm 수집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37046B1 (ko)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KR100871157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 단말에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237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전환하여 수신하는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