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308B1 -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 Google Patents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308B1
KR101748308B1 KR1020150074850A KR20150074850A KR101748308B1 KR 101748308 B1 KR101748308 B1 KR 101748308B1 KR 1020150074850 A KR1020150074850 A KR 1020150074850A KR 20150074850 A KR20150074850 A KR 20150074850A KR 101748308 B1 KR101748308 B1 KR 10174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iller
driving
tilling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630A (ko
Inventor
민영준
Original Assignee
민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영준 filed Critical 민영준
Priority to KR102015007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3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매기, 배토, 북주기, 이랑작업등을 두루 수행할 수 있는 종합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구행하는 종합관리기는 후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와 중심부의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는 몸체, 몸체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동축 및 몸체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축에 종속되어 회전하는 경운휠이 양측에 구비된 휠박스를 포함하고, 경운휠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구동되며 농지를 경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Cultivator with replaceable rotary}
본 발명은 농지를 경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매기, 배토, 북주기, 이랑작업등을 두루 수행할 수 있는 종합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을 위한 자동화 기기들은 대체로 대형화되어 넓은 토지를 경작하는 시간 및 인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그 기술이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는, 자동화된 기기를 통하여 농산품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나, 근래에는 고부가가치를 지닌 농산품의 생산이 각광받고 있고 면적이 좁고 농업인구가 감소세에 있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더더욱 그 농업의 변화 추세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넓은 농지에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하였던 농업의 패러다임이 좁은 면적일지라도 고부가가치를 지닌 농업위주로 변화하고 있음과 더불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농을 하거나 주말농장, 농촌체험등의 프로그램등 다양한 농업관련 여가생활이 보편화 되면서 소형경작지에서 농산물의 재배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고가의 대형농기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농기계시장의 특성상 소형 텃밭, 중소형 경작지를 편하게 가꾸기에 적절한 비용 및 크기의 자동화 기기는 부족하였다.
또한, 경작의 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관리가 필요한 경작지에 흙갈이, 김매기, 북돋우기등의 작업때마다 적절한 기계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비용적인 면에서 손해가 컸고, 보관장소 및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어왔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2882호 '예초기 엔진을 이용한 로타리기'에서는 예초기 엔진을 이용한 로타리기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로타리 작업을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된 기술로 소형 경작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로타리 작업에 국한되고 하부에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경작환경에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농지를 회전하는 날로 갈고 엎는 과정에서 휠의 원심력으로 인하여 진흙과 같은 토사가 작업자 또는 구동부로 튀어 조작을 함에 있어 불편하고 구동부의 오작동이 발생 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형 경작지에서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관리기를 제공하고, 밭갈이, 김매기, 북주기등의 여러 작업에 두루 사용할 수 있는 종합관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구행하는 종합관리기는 후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와 중심부의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는 몸체, 몸체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동축 및 몸체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축에 종속되어 회전하는 경운휠이 양측에 구비된 휠박스를 포함하고, 경운휠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구동되며 농지를 경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는 바퀴의 수직한 상부에 위치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휠박스의 후방에 구비되고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됨으로 토사를 막아주는 가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휠박스는 일단에 판상으로 형성되어 가드의 전면에 면접되어 착탈되는 착탈플레이트 및 착탈플레이트가 가드와 함께 몸체에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다수개의 볼트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하단부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여 흙바닥을 팔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습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휠박스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경운휠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웜기어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경운휠은 로터리경운휠, 김매기경운휠 또는 북주기경운휠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텃밭, 특용작물재배등과 같이 소규모 경작이 필요한 농지에 사용될 수 있도록 최적화된 크기와 생산원가를 지닌 종합관리기를 통하여 노령이거나 여성도 손쉽게 농지를 개간하고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땅을 갈고 고랑이나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잡초를 제거하는 김매기 작업등을 전방의 휠박스를 교체해주는 것만으로 두루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단순화된 착탈방식을 사용하여 고장의 확률을 줄이고 정비가 편리하도록 한다.
중량이 무거운 구동모터가 바퀴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후방에서 큰힘을 들이지 않고 손잡이의 조향만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경운휠의 회전으로 인해 토사가 튀는 현상도 가드를 구비함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휠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로터리경운휠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김매기경운휠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북주기경운휠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는 몸체(100)에 후상방으로 연장되어 손잡이(110)가 형성되고 중심부의 하단에는 바퀴(120)가 구비된다.
몸체(10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200)가 구비되며 구동모터(200)에 의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축(210)과 몸체(100)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운휠(330)이 양측으로 구비되는 휠박스(300)로 크게 그 구성을 나누어 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몸체(100)는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구동모터(200), 휠박스(300)등의 하중 및 작동시에 걸리는 비틀림등에 높은 내구성으로 변형이 없도록 하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하여 경량화 한다.
손잡이(110)는 몸체(100)의 후방 또는 후상방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작업자가 파지하게 되는 부분에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연성재질을 덧씌운다. 손잡이(110)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좌우 일정한 너비로 벌어져 2개가 형성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일측 손잡이(110)에는 후술될 구동모터(20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스로틀(111)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스로틀(111)을 조절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110) 타측에는 브레이크레버(미도시)가 구비되고 바퀴(120) 또는 경운휠(330)에 구성되는 브레이크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바퀴(120) 또는 경운휠(3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바퀴(120)는 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몸체의 하중을 지면에 지지하며 후술될 경운휠(300)이 구동되어 전진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보습(130)은 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 모양의 연장으로 바퀴(120)의 전방에 구비되고 경작을 위한 농지의 흙을 파서 엎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동모터(200)는 상기 되었던 바퀴(120)의 수직한 상부에 위치하여 몸체(100)에 결합되고 이는 중량이 무거운 구동모터(200)가 하중을 지지하는 바퀴(120)에 그 무게를 싣게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를 작업자가 조작하기에 큰 힘이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구동모터(20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장치로 전기모터, 가솔린엔진등으로 구현될수 있고, 따로이 전기배선이 연결되거나 무거운 중량의 밧데리를 필요로 하는 전기모터 보다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출력이 큰 가솔린엔진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동력발생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동모터(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솔린엔진으로 몸체(100)의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가솔린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통(201)이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휠박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동축(210)은 일단이 구동모터(200)의 전방에서 결합되어 구동모터(20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 원통형관으로 형성된다.
구동축(210)의 타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달부(211)가 형성되는데 구동전달부(211)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동축(210)의 회전력을 후술될 웜기어장치(320)로 전달하기 위하여 외주연에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휠박스(300)는 구동축(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경운휠(330)이 양측에 결합되고, 구동축(210)의 회전력을 경운휠(330)로 전달하는 웜기어장치(320)를 내측공간에 수용한다.
이는 토사로부터 구동축(210) 및 웜기어장치(320)로 연결되는 구동계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며 휠박스(300)는 강성이 높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착탈플레이트(310)는 휠박스(3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정한 평면을 지닌 판상으로 다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된다.
웜기어장치(320)는 휠박스(300)의 내측에 수용되고 구동축(210)의 구동전달부(211)와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내주연에 구동전달부(211)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걸림턱이 형성된 구동결합부(322)가 일단에 형성된 웜(321)과 웜(321)과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웜휠(323)로 구성된다.
웜(321)과 웜휠(323)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어가 맞물려 구성되고 구동축(210)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웜(321)에 의하여 웜휠(323)이 회전구동하게 되며, 웜휠(323)의 중심축이 휠박스(300)의 양측방으로 노출되어 경운휠(330)과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로터리경운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김매기경운휠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북주기경운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경운휠(330)은 로터리경운휠(331), 김매기경운휠(332) 및 북주기경운휠(333)로 구성된다.
경운휠(3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웜휠(32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휠박스(300)의 양측방으로 노출되는 부분과 결합되는 농지경작 날(blade)로 농지의 흙을 갈고 엎는 작용과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로터리경운휠(331)은 굳어서 덩이진 경작지의 흙을 부스러뜨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날이 외측을 향하여 엇갈려 만곡되게 형성된다.
김매기경운휠(332)은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쓸데없는 풀을 없애고 작물 사이의 흙을 부드럽게 해주는 작업인 김매기를 수행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의 외측에서 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려서 굽어져 형성된다.
북주기경운휠(333)은 흙으로 작물의 뿌리나 밑줄기를 두둑하게 덮어주고 고랑이나 두둑을 높이는 작업을 수행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휠이 외곽에서 중심을 향하여 사선으로 일부 절개되고 그 절개된 부분이 일측으로 접혀서 형성된다.
회전하는 휠의 외측에 일정 각도로 접혀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날은 휠의 하단부에서 접하게 되는 흙을 전진하는 방향의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각도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결정한다.
가드(400)는 상술하였던 휠박스(300)와 몸체(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에서 함께 결합되는 판상의 흙막이이다.
전방에서 경운휠(330)이 회전하며 정지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자가 위치하는 후방 및 구동모터(200)로 토사가 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을 머금은 흙이 가드(400)에 적층되어 경운휠(330)의 회전에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가드(400)의 상단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굽어진 머드가이드(410)가 형성되어 가드(400)에 적층되는 흙이 밀려서 전방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게 된다.
몸체(100), 가드(400) 및 휠박스(300)의 착탈플레이트(310)는 각각이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되고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볼트유닛(420)으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는 농지의 로터리작업, 김매기, 북주기등의 작업에 두루 활용할 수 있다.
수행하려는 작업에 따라 로터리경운휠(331), 김매기경운휠(332) 및 북주기경운휠(333) 중 어느 하나의 경운휠(330)을 선택하여 몸체(100) 및 가드(400)와 함께 볼트유닛(420)을 체결하여 결합한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로의 이동은 손잡이(110)에 구비된 스로틀(111) 또는 브레이크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경운휠(330)의 회전력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며 손잡이(110)를 조향함으로 방향의 전환을 하게 된다.
로터리작업, 김매기 또는 북주기작업을 수행할 농지상에서 작업자는 손잡이(110)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스로틀(111) 또는 브레이크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구동모터(200)의 작동 및 방향을 제어한다.
이때, 경운휠(330) 및 보습(130)은 농지의 흙을 갈거나 엎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구동모터(200)로부터 구동축(210), 웜기어장치(320)를 거쳐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경운휠(330)이 경운작업과 함께 전, 후진 운행을 수행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몸체 110 : 손잡이
111 : 스로틀 120 : 바퀴
130 : 보습 200 : 구동모터
201 : 연료통 210 : 구동축
211 : 구동전달부 300 : 휠박스
310 : 착탈플레이트 320 : 웜기어장치
321 : 웜 322 : 구동결합부
323 : 웜휠 330 : 경운휠
331 : 로터리경운휠 332 : 김매기경운휠
333 : 북주기경운휠 400 : 가드
410 : 머드가이드 420 : 볼트유닛

Claims (7)

  1. 후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와 중심부의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바퀴의 수직한 상부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에는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구동전달부를 포함하는 구동축;
    상기 몸체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에 종속되어 회전하는 경운휠이 양측에 구비된 휠박스; 및
    상기 휠박스의 후방에 구비되고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토사를 막아주는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운휠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구동되며 농지를 경작하며,
    상기 휠박스는 일단에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드의 전면에 면접되어 착탈되는 착탈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전달부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의 걸림턱이 형성된 구동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된 웜과 상기 웜과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웜휠로 구성되는 웜기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박스는
    상기 착탈플레이트가 상기 가드와 함께 상기 몸체에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다수개의 볼트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여 흙바닥을 팔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6. 삭제
  7.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휠은
    로터리경운휠, 김매기경운휠 또는 북주기경운휠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KR1020150074850A 2015-05-28 2015-05-28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KR10174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50A KR101748308B1 (ko) 2015-05-28 2015-05-28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50A KR101748308B1 (ko) 2015-05-28 2015-05-28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30A KR20160139630A (ko) 2016-12-07
KR101748308B1 true KR101748308B1 (ko) 2017-06-19

Family

ID=5757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850A KR101748308B1 (ko) 2015-05-28 2015-05-28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55U (ko) 2018-03-14 2019-09-24 민영준 농기계용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45Y1 (ko) * 2005-09-06 2005-12-09 모영환 농업용 고랑제초기
JP2012070660A (ja) * 2010-09-28 2012-04-12 Hitachi Koki Co Ltd 歩行型耕耘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45Y1 (ko) * 2005-09-06 2005-12-09 모영환 농업용 고랑제초기
JP2012070660A (ja) * 2010-09-28 2012-04-12 Hitachi Koki Co Ltd 歩行型耕耘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55U (ko) 2018-03-14 2019-09-24 민영준 농기계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30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3504A (en) Rotary, hand-held apparatus for performing various soil working operations
US4133389A (en) Hand-held power driven cultivator
CN105917773A (zh) 一种果园松土除草施肥机
US2574237A (en) Hand-guided rotary earth-working implement
US20160007520A1 (en) Garden implement
KR200403145Y1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JP5213054B2 (ja) 中耕除草機
KR101748308B1 (ko) 교체형 경운휠이 구비되어 구동 및 경운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관리기
CN104303625A (zh) 小型垄行锄草机
KR20170017429A (ko)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JP2022059623A (ja) 耕耘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農業機械
KR102319528B1 (ko) 손수레식 동력 제초기
RU2375859C1 (ru) Культиватор землякова для рыхления почвы и корневой подрезки сорняков с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м приводом, носимым с помощью рук и плечевого ремня
CN201207800Y (zh) 多功能农田作业装置
GB2296174A (en) Powered gardening implement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KR20150097335A (ko) 회전 러그식 주행형 제초겸용 배토기
KR101932215B1 (ko) 고상재배용 로타리장치
KR102319527B1 (ko) 손수레식 동력 제초기
KR100900651B1 (ko) 트랙터용 로터리기계에 탈부착 사용하는 제초기
KR20190009644A (ko) 제초기
CN213960801U (zh) 一种用于除草机的松土装置
CN217591495U (zh) 一种微耕机及基于远程控制的农业作业系统
KR200368669Y1 (ko) 다목적 제초장치
CN216313814U (zh) 一种遥控自走式芦笋中耕培土联合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