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543B1 -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543B1
KR101747543B1 KR1020150154124A KR20150154124A KR101747543B1 KR 101747543 B1 KR101747543 B1 KR 101747543B1 KR 1020150154124 A KR1020150154124 A KR 1020150154124A KR 20150154124 A KR20150154124 A KR 20150154124A KR 101747543 B1 KR101747543 B1 KR 10174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mera
particle
imag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109A (ko
Inventor
권기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543B1/ko
Priority to US15/773,506 priority patent/US10634693B2/en
Priority to PCT/KR2016/012528 priority patent/WO2017078401A1/ko
Publication of KR2017005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8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P5/2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particles entrained by a fluid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92Multi-camera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동장의 유속을 측정하는 입자영상유속계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3개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각의 광원이 유동장 내의 추적입자를 일정 시간차를 두고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추적입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추적입자의 영상으로부터 각 색상의 영상을 분리하여 상기 추적입자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각각의 광원의 광이 조사된 시간차와 상기 추적입자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유동장의 유속을 계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유동장의 유속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PARTICLE IMAGE VELOCIMETRY AND CONTROL METHOD THEIROF}
본 발명은 미세한 추적입자를 유동장에 투입하여 그 입자의 이동경로를 카메라 및 조명광원으로 가시화한 후 가시화된 이미지를 해석함으로써 유동장의 유속을 측정하는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에 사용되는 대기자료시스템은 피토정압관 혹은 동체 표면의 압력공과 이들로부터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 및 압력자료로부터 대기자료를 계산하기 위한 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국내에서도 한국형 헬기사업 및 무인기 개발사업 등의 진행에 따라 대기자료 프로우브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압력측정형 대기자료시스템은 고고도 저온조건에서의 냉각(icing) 문제를 초래하거나 전투기의 경우 표면돌출에 따른 스텔스 기능 저하(RCS, Radar Cross Section 증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광학적인 기법을 이용한 프로우브 개발이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개발 중에 있는 광학대기자료시스템(OADS)은 대부분이 레이저 도플러를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003년 NATO의 RTO(The Research and Technology Organization)에서 OADS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011년에 NLR에서는 Thales사가 Daniels 프로젝트로 개발한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반의 OADS를 Cessan Citation Ⅱ 비상구에 장착하고 두 차례 시험비행을 수행하였다. NASA에서는 SBIR(Small Business Inonvation Research)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콜로라도 소재 Ophir사를 통해 Lidar를 개발하였다. EADS의 경우는 OADS사에서 개발한 Lidar를 이용하여 2014년 시험비행을 수행한 경험이 있다. Ophir사와 일본의 JAXA에서는 각각 2005년과 2013년에 LiDAR를 기반으로 하는 대기자료시스템에 대해 미국 특허등록도 완료하였다. 그 외에 Honeywell사, Michigna Aerospace사 등에서 자체적으로 레이저 도플러 원리를 이용한 OADS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입자영상유속계(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는 비접촉 유속 측정장치로서, 유체계측분야에서 LDV를 대신하여 속도장을 측정하는 첨단의 계측기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LDV는 설치가 복잡하고 점측정(Point Measurement)의 단점이 있는 반면 PIV는 장측정(Field Measurement) 방식으로 한 번에 유동의 공간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동장을 교란시키지 않고 유동장 전체에 걸쳐서 속도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과 카메라의 발전에 힘입어 급격히 보급되고 있다.
LiDAR와 마찬가지로 레이저를 이용한다는 점에는 동일하나, 연속 레이저광이 아닌 펄스광을 이용하며, 입자로부터 산란된 광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 대신 입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하므로 광원에 대한 제약을 적게 받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입자를 촬영하여 영상처리 기법으로 입자의 이동을 분석하기 때문에 속도측정을 균일한 시간간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 또한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입자영상유속계는 평면으로 만들어진 레이저 광에 수직한 방향으로 카메라를 설치하고, 레이저 평면광을 지나는 입자(Measurement volume)를 수 마이크로초 안에 두 장을 측정한 후 이를 영상 처리하여 유동장의 유속을 측정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입자영상유속계는 특수 카메라와 레이저를 필요로 하므로 장비가 고가이고, 장비 셋업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상의 제약이 많았다. 더욱이 세팅용으로 사용될 뿐 휴대용(portable)으로는 적용이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2999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입자영상유속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목적은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콤팩트한 사이즈로 구현가능한 입자영상유속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는 유동장의 유속을 측정하는 입자영상유속계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3개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각의 광원이 유동장 내의 추적입자를 일정 시간차를 두고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추적입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추적입자의 영상으로부터 각 색상의 영상을 분리하여 상기 추적입자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각각의 광원의 광이 조사된 시간차와 상기 추적입자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유동장의 유속을 계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유동장의 유속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서, 상기 카메라의 한 프레임 내에 3개의 광원이 시간차를 두고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셔터 오픈 신호 및 상기 광원 각각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서, 상기 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빨강(R), 녹색(G), 파랑(B)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R, G, B 레이저 다이오드가 상기 카메라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R, G, B, R, ..., G, B의 순서로 배치되어 상기 추적입자에 일정 시간차를 두고 상기 레이저를 상호 겹치도록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서, 상기 광원은 빨강(R), 녹색(G), 파랑(B) 레이저 다이오드와 2대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R, G, B 레이저 다이오드는 일렬 종대로 배치되고, 상기 R, G, B 레이저 다이오드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각각 1대의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서, 상기 R, G, B 레이저 다이오드는 Mie 산란된 광의 강도가 최대가 되는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서, 상기 R, G, B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상대 각도는 15° 또는 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서, 상기 카메라는 초당 수십 내지 수백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으며, 글로벌 셔터(global shutter) 기능이 구비된 산업용 컬러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되 상기 카메라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R, G, B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일정 시간차를 두고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카메라 셔터 오픈 신호 및 R, G, B 레이저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에 의하면,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저가의 컬러 카메라와 3가지 색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입자영상유속계를 구현함으로써 장비의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일체로 구성되어 별도의 장비 셋업 과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더욱이, 콤펙트한 사이즈로 구현 가능하여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입자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레이저의 구동시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저가 컬러 카메라(글로벌셔터 적용 카메라)와 R, G, B 3가지 색의 광원을 이용하여 각 광원을 시간차를 두고 조사하여 한 장의 영상에서 R, G, B 픽셀 각각의 입자 영상으로 분리한 후 영상 처리 기법(cross correlation; R-G, G-B, R-B)을 적용하여 세 개의 유체 유속을 계산한 후 평균함으로써 유동장의 유속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는 광원부(100)와, 카메라부(200)와, 동기화부(300)와, 표시부(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100)는 빨강(R), 녹색(G), 파랑(B) 3가지 색상의 레이저 다이오드(LD) 또는 LED로 이루어지며, 카메라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빨강(R), 녹색(G), 파랑(B) 색상의 레이저 광이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조사된다.
상기 광원부(100)는 PIV에서 요구하는 레이저 평면 광 대신 수 ㎽ 수준의 직선형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에너지 집적도를 높인 상태로 입자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레이저 다이오드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수십 ㎝ 이내로 짧게 하여 낮은 에너지 강도로도 입자 촬영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200)는 레이저 광이 조사된 입자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카메라(200)는 초당 수십에서 수백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산업용 컬러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 장의 연속된 입자 영상 촬영을 위해서는 이중 화상 이중 노출(Frame Straddling)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를 필요로 한다. 풍속 및 촬영 영역의 넓이에 따라 두 레이저 광원 사이의 시간 간격이 결정되나 아음속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수~수백 ㎲의 시간 간격을 요하며, 일반 디지털 카메라로는 촬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컬러카메라를 이용한 입자 영상 측정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컬러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한 프레임은 최소 100㎳의 노출시간을 가지게 되며, 이 시간 안에 R, G, B 레이저 광원이 조사된 입자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 시간을 나타낸 타이밍도로, R, G, B 색상에 따른 레이저 광의 조사가 카메라의 한 프레임 내에서 시간차를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일한 입자에 대해서 촬영된 영상의 위치는 서로 차이를 두게 된다.
이와 같이 빨강(R), 녹색(G), 파랑(B) 3가지 색상의 레이저 다이오드(LD) 또는 LED를 광원으로 하면 카메라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상호 시간간격을 두고 조사된 R, G, B 광을 받아 산란된 입자 영상이 각각의 픽셀에 저장된다. 즉, 하나의 컬러 영상에서 세 장의 입자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컬러카메라는 글로벌 셔터(global shutter) 기능을 가진 것을 필요로 한다. 글로벌 셔터는 전체를 동시에 노광시킨 후 한꺼번에 닫아버리는 구조로서 한 프레임의 촬영시점이 동일하기 때문에 시차에 의한 왜곡이 없다.
기존의 PIV와 같이 레이저 평면 광을 사용하고 평면 광에 수직인 단면을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의 초점은 촬영 영역에서 모두 초점이 맞도록 구성이 된다. 하지만, 레이저 평면 광 대신 카메라 주위에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에 산란된 입자의 위치를 특정 짓기 위해서는 카메라와 렌즈가 가지고 있는 초점 심도 기능을 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렌즈의 구경을 크게(25㎜ 이상) 하고, 조리개를 최대로 개방하여 초점 심도를 수~수십 ㎜ 이내로 한다면 영상이 측정되는 입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기화부(synchronizer)(300)는 나노초 수준의 정밀도를 가지고 광원부(100)의 R, G, B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와 카메라(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의 셔터 오픈 신호를 보내고, 카메라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R, G, B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일정 시간차를 두고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500)는 입자영상유속계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며, 특히 동기화부(300)에 영상 획득을 위한 신호를 내보내어 광원부(100)와 카메라(200)를 구동시키고, 카메라(200)로부터 입자 영상을 수신하여 R, G, B 영상을 분리하고 각 영상을 상호상관기법(cross correlation)을 적용하여 입자들의 이동 거리를 계산한 다음 레이저 광의 시간 간격과 입자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유속성분을 계산한 다음 표시부(40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입자 영상에서 입자가 완전한 구형으로 촬영이 되지 않더라도 PIV 영상 처리 기법은 두 영상을 상호상관기법으로 처리를 하므로 입자들의 평균적인 위치 변위를 계산으로 알 수 있다. 상호상관을 위한 입자 영상은 R-G, G-B, R-B 세 쌍의 영상에 대해 수행이 가능하며, 세 쌍의 영상들로부터 추출된 유속 벡터를 평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동작에 다른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에서 USB, RS232 등의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을 통해 동기화부로 영상 획득을 위한 신호를 내보내면(S110), 동기화부의 동기화신호(트리거신호)가 온 되고(S120) 이에 따라 광원부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카메라가 구동된다(S130, S140). 여기서, 제어부는 카메라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R, G, B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일정 시간차를 두고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카메라 셔터 오픈 신호(S130) 및 R, G, B 레이저 구동신호를 보낸다(S140).
PIV의 경우는 레이저 광이 7 내지 8㎱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조사가 되어 입자 영상을 순간적으로 포착하는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부피와 무게를 줄이기 위해 낮은 강도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대신 레이저 광의 조사시간을 상대적으로 긴 수십 ㎲ 수준으로 하여 입자의 움직인 궤적이 나타나도록 측정을 한다. 다만, 색상에 따른 각 레이저 광의 조사가 시간차를 두고 있어 동일한 입자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의 위치는 서로 차이를 두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카메라(카메라 #1, 카메라 #2)로부터 입자 영상을 수신하여 R, G, B 영상을 분리하고 각 영상을 상호상관기법(cross correlation; R-G, G-B, R-B)을 적용하여 입자들의 이동 거리를 계산한 다음 레이저 광의 시간 간격과 입자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유속성분을 계산한 다음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S16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글로벌셔터가 적용된 저가 컬러 카메라와 R, G, B 3가지 색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각 레이저 다이오드를 시간차를 두고 조사하여 한 장의 영상에서 R, G, B 픽셀 각각의 입자 영상으로 분리한 후 상호상관기법을 적용하여 세 개의 유체 유속을 계산한 후 평균함으로써 유동장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 가능한 입자영상유속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자영상유속계는 하나의 몸체(하우징)에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자영상유속계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의 전면(F) 중앙부에 카메라 렌즈(201)가 위치하고, 카메라 렌즈(201) 주위에 복수의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201) 주위에 배치되는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는 카메라 렌즈(201)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R, G, B, R, ..., G, B의 순서로 배치되어 상기 추적입자에 일정 시간차를 두고 상기 레이저를 상호 겹치도록 조사한다.
또한,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는 미리 정해진 특정 각도, 예를 들어 15° 또는 25°각도로 고정되어 모든 레이저 광이 한 곳으로 집중되도록 배치된다. 공기 중의 에어로졸 입자는 평균 1.0㎛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어 조사된 레이저 광은 Mie 산란을 하게 된다. Mie 산란된 광의 강도는 입자의 직경에 따라 편차는 있으나 레이저 광의 진행방향을 180°로 할 경우 역방향으로 산란된 광의 강도는 대략 15°와 25° 방향에서 높은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와 카메라 사이의 상대각을 이 산란광의 강도가 비교적 높아 입자 촬영이 가능해지는 각도(15°와 25°)로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IV에서 요구하는 레이저 평면 광 대신 수 ㎽ 수준의 직선형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에너지 집적도를 높인 상태로 입자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레이저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수십 ㎝ 이내로 짧게 하여 낮은 에너지 강도로도 입자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참고로, 실험실 단위에서 사용되는 PIV용 레이저는 약 7 내지 8㎱ 동안 빛이 방출되는 Nd:YAG 펄스 레이저를 주로 사용하며, LDV를 위해서는 수 와트(Watt) 정도의 연속 광 레이저를 주로 이용하며, 두 경우 모두 레이저 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위해 수냉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레이저 헤드의 부피 및 무게가 커지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레이저 광의 직경은 입자영상에서 PIV 영상처리를 위한 조사구간(Interrogation)의 크기보다 좀 더 크게(예를 들어 32 X 32 픽셀) 구성한다. 이렇게 측정 지점이 정해지고 카메라의 초점 심도 구간을 이 지점과 일치하도록 하여 이 지점을 벗어난 주위의 영상은 카메라에 촬영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입자영상유속계 하우징의 배면(R)에는 표시부(400)가 위치하고, 하우징의 몸체(B) 내부에는 제어부, 동기화부 등의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2개의 유속 성분을 측정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카메라를 두 대를 사용하면 스테레오 기법으로 하여 3개의 유속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자영상유속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 (d)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입자영상유속계의 전면(F)이 2대의 카메라(201a, 201b)와 한 세트의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도 6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할 뿐, 나머지 배면 및 몸체의 구성은 도 6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면(F)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중앙부에 한 세트의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가 일렬 종대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들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각각 카메라가 한대씩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R, G, B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 130)는 미리 정해진 특정 각도(예를 들어 15° 또는 25°)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대의 카메라(카메라 #1, 카메라 #2)를 사용하면 스테레오 기법으로 3개의 유속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을 갖는 입자영상유속계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하우징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입체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발광다이오드 즉, LED(Light Emitting Diode)로도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발광소자의 사이즈나 위치 등을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원부 110, 120, 130 : 레이저 다이오드
200 : 카메라 300 : 동기화부
400 : 표시부 500 : 제어부

Claims (9)

  1. 유동장의 유속을 측정하는 입자영상유속계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3개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각의 광원이 유동장 내의 추적입자를 일정 시간차를 두고 조사하는 광원부;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상호 시간간격을 두고 조사된 R, G, B 광을 받아 산란된 입자 영상을 하나의 컬러 영상에서 세 장의 입자 영상으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픽셀에 저장하고 초당 수십 내지 수백 프레임을 촬영하며, 글로벌 셔터 기능을 구현하는 컬러 카메라;
    상기 컬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추적입자의 영상으로부터 각 색상의 영상을 분리하여 상기 추적입자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각각의 광원의 광이 조사된 시간차와 상기 추적입자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유동장의 유속을 계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유동장의 유속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컬러 카메라의 한 프레임 내에 3개의 광원이 시간차를 두고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컬러 카메라의 셔터 오픈 신호 및 상기 광원 각각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복수의 빨강(R), 녹색(G), 파랑(B)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R, G, B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컬러 카메라 사이의 상대 각도는 Mie 산란된 광의 강도가 최대가 되는 15° 또는 25°의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R, G, B 레이저 다이오드가 상기 컬러 카메라로부터 수십 cm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컬러 카메라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R, G, B, R, ..., G, B의 순서로 배치되어 상기 추적입자에 일정 시간차를 두고 상기 레이저를 상호 겹치도록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영상유속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54124A 2015-11-03 2015-11-03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KR10174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24A KR101747543B1 (ko) 2015-11-03 2015-11-03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US15/773,506 US10634693B2 (en) 2015-11-03 2016-11-02 Particle image velocimetr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12528 WO2017078401A1 (ko) 2015-11-03 2016-11-02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24A KR101747543B1 (ko) 2015-11-03 2015-11-03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109A KR20170052109A (ko) 2017-05-12
KR101747543B1 true KR101747543B1 (ko) 2017-06-14

Family

ID=5866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124A KR101747543B1 (ko) 2015-11-03 2015-11-03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34693B2 (ko)
KR (1) KR101747543B1 (ko)
WO (1) WO2017078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2304B (zh) * 2017-01-26 2018-11-21 晶睿通訊股份有限公司 光源控制方法及其攝影裝置
KR101876137B1 (ko) * 2017-10-16 2018-07-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색 5선 레이저를 이용한 3차원 레이저 속도계측 시스템
KR101876138B1 (ko) * 2017-10-19 2018-07-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차원 레이저 속도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대형캐비테이션 터널 내 유속 계측 방법
CN109297671B (zh) * 2018-07-27 2023-03-17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用于飞机客舱空气流场流动显示的粒子图像测速试验装置
DE102018217530B4 (de) * 2018-10-12 2021-0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inrichtung zur Ermittlung von Positionen oder Trajektorien eines oder mehrerer Partikel
CN110879023B (zh) * 2019-11-27 2021-05-11 浙江大学 一种易碎型穿甲弹动态靶实验破片多参数测量系统和方法
CN111024980B (zh) * 2019-12-18 2021-04-02 北京大学 自由界面附近层析粒子图像测速方法
CN112710864A (zh) * 2020-12-15 2021-04-27 上海理工大学 结合混合模糊和双目成像的粒子轨迹测速装置及测速方法
KR102556365B1 (ko) * 2021-08-24 2023-07-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돗물 정수처리장에서의 이물질 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993A (ja) * 1999-03-29 2000-10-13 Hitachi Ltd 流速測定方法並びに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80A (ja) * 1993-07-14 1995-01-31 Nissan Motor Co Ltd 流速計測装置
JPH08122354A (ja) * 1994-10-19 1996-05-17 Hitachi Ltd 流速測定方法並びにその装置
DE19963393C1 (de) * 1999-12-28 2001-07-2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alyse von Strömungen
TW466346B (en) * 2001-03-05 2001-12-01 Nat Science Council A low-cost continuous-wave-laser (CW laser) digital particle image velocimetry
KR100576297B1 (ko) * 2003-05-07 2006-05-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입자영상유속계
JP2008026033A (ja) * 2006-07-18 2008-02-0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パルスコントローラ、およびこのパルスコントローラを用いた粒子画像流速測定装置。
US7864305B2 (en) * 2007-02-09 2011-01-0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elf-contained underwater velocimetr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993A (ja) * 1999-03-29 2000-10-13 Hitachi Ltd 流速測定方法並びに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1273A1 (en) 2018-11-08
KR20170052109A (ko) 2017-05-12
US10634693B2 (en) 2020-04-28
WO2017078401A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543B1 (ko) 입자영상유속계 및 그 제어방법
US11725937B2 (en) Remote measurement of shallow depths in semitransparent media
US11231502B2 (en) Remote measurement of shallow depths in semi-transparent media
RU2405172C2 (ru) Способ и лида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змерения турбулентностей атмосферы, осуществляемого на борту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а также в аэропортах и на ветровых электростанциях
EP2824418A1 (en) Surround sensing system
Wang et al. Programmable triangulation light curtains
CN107810403B (zh) 多光束和会聚光照射交叉光束成像
US100962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ircraft taxi strike alerting
US20140009611A1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Observing Objects at Great Distances, in Particular for Monitoring Target Objects at Night, in Mist, Dust or Rain
US20180172834A1 (en) Method for Capturing a 3D Scene By Means of A LIDAR System And a LIDAR System for this Purpose
KR20160113794A (ko) 전방향 라이다 장치
CN103308715A (zh) 基于双色激光扫描技术的低功耗粒子图像测速系统
US11933899B2 (en) Remote measurement of shallow depths in semi-transparent media
JP2008180630A (ja) 流体計測システム、流体計測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705001B2 (en) Particle field imaging and characterization using VCSEL lasers for convergent multi-beam illumination
JPWO2008156022A1 (ja) 物体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Prasad et al. Three-beam aerosol backscatter correlation lidar for wind profiling
KR20170084966A (ko) 국소위치인식시스템
Sackos et al. Emerging versatility of a scannerless range imager
CN108195291B (zh) 一种基于差分光斑的运动车辆三维检测方法及检测装置
Bogue et al. Optical air flow measurements in flight
Savelyev et al. Stereo thermal marking velocimetry
KR101432544B1 (ko)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유동 가시화 장치 및 방법
RU139683U1 (ru) Оптико-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боевого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RU2798694C1 (ru) Способ и лида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ператив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турбулентности в ясном небе с борта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