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260B1 -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 Google Patents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260B1
KR101747260B1 KR1020170013531A KR20170013531A KR101747260B1 KR 101747260 B1 KR101747260 B1 KR 101747260B1 KR 1020170013531 A KR1020170013531 A KR 1020170013531A KR 20170013531 A KR20170013531 A KR 20170013531A KR 101747260 B1 KR101747260 B1 KR 10174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lock
bicycle block
build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1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2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 보행자들도 이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자전거를 동반한 이용자들도 자전거를 이동시키는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의 사이에 디딤판들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용자들이 디딤판을 밟고 상하로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계단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들의 일측에 시공된 벽체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형성된 출구를 향해 확장 또는 수축되는 로드가 구비된 인출용실린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일측면이 상기 인출용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인출용실린더의 로드가 확장시 수용홈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딤판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자전거블록, 하측이 상기 자전거블록의 상측 끝단 상면에 안착되고 그 양측이 상기 자전거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출용실린더의 로드가 확장시 상기 자전거블록과 함께 수용홈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딤판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보조 이동로를 형성하되, 인출시에는 그 상측이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의 수평면과 마주하는 회동용자전거블록, 상기 자전거블록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인출된 회동용자전거블록의 하측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의 경사각이 완만 해지도록 하는 회동용실린더, 상기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자전거블록에 위치된 자전거를 당겨 건축물의 상층으로 인양하는 인양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case for a building having a bicycle block, and is intended to make it possible for users with a bicycle to conveniently use the bicycle even when the general pedestrians are not inconvenienc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ircase in which treads are installed between upper and lower floors of a building and used by users to move up and down by stepping on a tread,
A drawing cylinder provided in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in a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plates and having a rod extending or retracted toward an out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side wall of the drawing cylinder is connected to a rod end of the drawing cylinder and a rod of the drawing cylinder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when the rod is extended, The lower side of the bicycle block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icycle block and both sides of the bicycle block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icycle block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tilt-type auxiliary movement path which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bicycle as it is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and seated on the rim of the treads, A lower portion of a turning bicycle block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cycle block and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lifting cylinder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and pulls the bicycle placed on the bicycle block to lift the bicycle block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

Description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본 발명은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건축물의 하층에서 상층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case for a building having a bicycle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ircase for a building having a bicycle block capable of easily moving the bicycle from the lower layer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근래 환경문제와 개인의 건강문제가 큰 관심을 가지면서 친환경 교통수단이고 장거리 이동 시 운동도 겸해서 할 수 있는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personal health has been increasing, and interest in bicycles that can be used for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ation and long-distance movement is increasing.

따라서 정부에서는 자전거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전거 전용도로 확충과 공용자전거의 보급 등과 같은 사업을 통해 자전거의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다.Therefore, for the convenience of bicycle users, the government is making a lot of efforts to revitalize the use of bicycles through projects such as the expansion of bicycle routes and the spread of public bicycles.

그러나 대부분의 건축물은 자전거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 되었기에 이들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자전거를 휴대한 경우에 여러 불편함이 있게 마련이며, 이중 계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그 불편함이 더욱 가중된다.However, most of the buildings are designed without consideration of bicycles, so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when people using these facilities carry their bicycles.

이는 기존 건축물들의 계단들이 자전거의 이용을 감안하지 않은데 따른 것으로, 자전거를 가지고 계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전거를 들고 이동하던지, 아니면 자전거를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계단을 이동해야만 했다.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tairs of the existing buildings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use of bicycles. When using the stairs with bicycles, they had to move the bicycles or move the bicycles slowly while moving the stairs.

따라서 근래 자전거의 생활화가 급속히 증가되면서 건축물의 계단에는 자전거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블록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존의 계단에는 블록을 형성시킬 수 있는 블록을 시공하여 자전거의 통행이 자유로워지게 하는 경우도 많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s the life cycle of bicycles is rapidly increasing, there are many blocks that are necessary for moving bicycles in the stairs of the buildings. Al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existing stairs are constructed with blocks that can form blocks so that the passage of the bicycles becomes free.

그러나 기존 건축물의 경우에는 양측으로 두 명의 사람이 교차해서 지나갈 정도의 폭으로 제작된 경우가 많고, 이처럼 좁은 계단에 자전거블록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계단의 폭이 좁아져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buildings, two persons are crossed by both sides, and the width of the bicycle block is narrowed. In such a narrow staircase, when the bicycle block is installed, the width of the staircase is narrowed,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 등록된 특허 제10-1238808호, 명칭 :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이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taircase for a building having a bicycle block, which is pre-registered in Korean Patent No. 10-1238808, has been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자전거블록을 각각의 디딤판 수직 단벽에 입출 가능하게 매립하여 통행자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자전거의 통행도 자유로워지게 한 것이다.The prior art embeds the bicycle block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d taken out from each vertical step wall of the tread plate, so that the passage of the bicycle is freed without obstructing the passer.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이용자가 온전히 자신의 힘만으로 자전거블록에서 자전거를 끌고 올라가는 방식이므로,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is hardly able to use the bicycle because he or she is dragging the bicycle from the bicycle block with his / her own strength.

등록특허공보 제10-1238808호(2013.02.2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38808 (Feb.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 보행자들도 이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자전거를 동반한 이용자들도 자전거를 이동시키는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cycle block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moving a bicycle even when ordinary pedestrians are not inconvenienc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ircase for a building.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계단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의 노후화된 건물에서도 일반이용자들과 자전거를 소지한 이용자들이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ircase for a building having a bicycle block which can be installed in a stairway which is installed in advance, so that general users and bicycle users can conveniently use the stairway.

또한, 건축물의 하층에 위치된 자전거를 상층까지 자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ircase for a building having a bicycle block that can be easily used by not only a general adult but also a relatively weak person or child by allowing a bicycle positioned at the lower level of the building to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upper floor .

본 발명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의 사이에 디딤판들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사용자들이 디딤판을 밟고 상하로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계단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ircase in which treads are installed at an angle between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a building and used by users to move up and down by stepping on the tread,

상기 디딤판들의 일측에 시공된 벽체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형성된 출구를 향해 확장 또는 수축되는 로드가 구비된 인출용실린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일측면이 상기 인출용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인출용실린더의 로드가 확장시 수용홈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딤판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자전거블록, 하측이 상기 자전거블록의 상측 끝단 상면에 안착되고 그 양측이 상기 자전거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출용실린더의 로드가 확장시 상기 자전거블록과 함께 수용홈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딤판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보조 이동로를 형성하되, 인출시에는 그 상측이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의 수평면과 마주하는 회동용자전거블록, 상기 자전거블록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인출된 회동용자전거블록의 하측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의 경사각이 완만 해지도록 하는 회동용실린더, 상기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자전거블록에 위치된 자전거를 당겨 건축물의 상층으로 인양하는 인양부를 포함한다.A drawing cylinder provided in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in a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plates and having a rod extending or retracted toward an out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side wall of the drawing cylinder is connected to a rod end of the drawing cylinder and a rod of the drawing cylinder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when the rod is extended, The lower side of the bicycle block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icycle block and both sides of the bicycle block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icycle block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tilt-type auxiliary movement path which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bicycle as it is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and seated on the rim of the treads, A lower portion of a turning bicycle block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cycle block and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lifting cylinder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and pulls the bicycle placed on the bicycle block to lift the bicycle block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

그리고, 상기 자전거블록의 상측에는 회동안내홀 및 상기 회동안내홀의 양측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홀이 형성되고,In add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bicycle block, a rotation preventing guide hole and an escape prevention hol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guide hole are formed,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의 양측에는 상기 회동용실린더의 로드가 확장 또는 수축시 상기 회동안내홀을 따라 승강되어 회동용자전거블록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이 형성되며,The pivoting bicycle block is provided with pivoting shafts on both sides thereof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ivoting bike block along the pivoting guide hole when the rod of the pivoting cylinder expands or contracts,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는 장착관과, 상기 장착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홀에서 승강되는 이탈방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용실린더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A mounting tub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and an escape prevention tube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tube and lifted and lowered in the escape preventing hole, wherein the rotating bicycle block is lifted by the rotating cylinder, Downward to be pivoted.

또한, 상기 인양부는,In addition,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결합되며 일측에 연결축이 구비되는 구름부,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고 자전거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가 드럼에 권취될 경우 자전거가 자전거블록과 회동용자전거블록을 따라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상기 디딤판들의 일측에 시공된 벽체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 및 밴드를 건축물의 하층으로 구름이동시키는 하강레일, 상기 하강레일의 하측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밴드와 접촉시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한다.A drum rotatable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by the motor, a wire wound or unwound on the drum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drum, a rolling part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wire and a connecting shaft provided on one side, A band mounted on the bicycle and adapted to allow the bicycle to be lifted along the bicycle block and the bicycle block when the wire is wound on the drum, the bicycle being installed in an inclined form on the wall mounted on one side of the treads, And a limit switch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rai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n the band is contacted with the band.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은, 일반 보행자들도 이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자전거를 동반한 이용자들도 자전거를 이동시키는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taircase for a building provided with the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convenient for using ordinary pedestrians but also has an effect that users with bicycle can conveniently use the bicycle to move the bicycle.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계단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의 노후화된 건물에서도 일반이용자들과 자전거를 소지한 이용자들이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in the existing stairway,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general users and users with bicycles in the old aged buildings.

또한, 건축물의 하층에 위치된 자전거를 상층까지 자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도 용이하게 사용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icycle located at the lower level of the building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upper floor, it is possible to use not only ordinary adults but also elderly people and children who are relatively weak.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에 적용된 자전거블록과 회동용자전거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에 적용된 자전거블록과 회동용자전거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icycle block and a turning bicycle block applied to a construction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b) is a sid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icycle block and a turning bicycle block applied to a construction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에 적용된 자전거블록과 회동용자전거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에 적용된 자전거블록과 회동용자전거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용 계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block and a bicycle block FIG. 2B is a sid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icycle block and a turning bicycle block applied to a construction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building staircase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uilding stairs provided with a blood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1 : 이하 계단이라 함)은, 자전거(80)가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이격된 높이의 평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인출용실린더(10), 자전거블록(20), 회동용자전거블록(30), 회동용실린더(40), 인양부(50)를 포함한다.A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ep) 1 for a building provided with a bicy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onnecting the bicycle 80 so that the bicycle 80 can move on a level grou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A bicycle block 20, a bicycle block 30 for rotation, a cylinder 40 for rotation, and a lifting portion 50. The cylinder 10, the bicycle block 20,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상층과 하층을 이동 가능케 연결하는 다수개의 디딤판(2)들이 단차지게 설치되고, 디딤판(2)들의 일측에 시공된 벽체(3)에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3a)이 형성된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treads 2, which connect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so as to be movable, are provided step by step inside the building, and the wall 3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plates 2 is provided with receiving grooves 3a Is formed.

상기 인출용실린더(10)는 브라켓(B)과 볼트를 통해 수용홈(3a)의 수직 단벽에 수평설치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수축되는 로드(1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인출용실린더(10)는 상기 로드(11)가 수용홈(3a)의 출구(3b)를 향해 입출되도록 설치된다.The drawing cylinder 10 has a rod 11 horizontally installed on a vertical end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3a through a bracket B and a bolt and extend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r contrac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t this time, the drawing cylinder 10 is installed so that the rod 11 can be moved in and out of the outlet 3b of the receiving groove 3a.

이러한 인출용실린더(1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출용실린더(1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탱크(미도시)는 상기 수용홈(3a)에 설치될 수 있다.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can be applied to the drawing cylinder 10, and a supply tank (not shown) for supplying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to the drawing cylinder 10, (3a).

상기 자전거블록(20)은 자전거(80)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a)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는 제1경사판(21), 상기 제1경사판(21)의 양단에서 각각 상측을 향해 수직절곡되는 제1측판(22)으로 구성된다.The bicycle block 20 provides an inclined traveling path through which the bicycle 80 can move up and down. The bicycle block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thickness, And a first side plate 22 which is vertically bent upward at both ends of the first swash plate 21. The first swash plate 21 is a first swash plate 21,

그리고,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제1측판(22) 좌측면에는 상기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11) 끝단이 결합된다.4, the end of the rod 11 of the drawing cylinder 10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22.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자전거블록(20)은 상기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11)가 확장시 수용홈(3a)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경사판(21)이 디딤판(2)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80)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이동로를 형성한다.The rod 11 of the drawing cylinder 1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a when expanding and the first swash plate 21 is seated on the rim of the tread 2 Thereby forming an inclined traveling path in which the bicycle 80 can ascend and descend.

이때, 상기 인출용실린더(10)는 자전거(80)의 핸들이 벽체(3)에 접촉되어 자전거(80)를 비스듬히 기울여서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자전거블록(20)을 벽체(3)와 충분히 이격된 거리만큼 인출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drawing cylinder 10 moves the bicycle block 20 to the wall 3 so as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handle of the bicycle 8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ll 3 and the bicycle 80 is tilted at an angle, So that the distance is sufficiently long.

그리고, 상기 자전거블록(20)은 상기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11)가 수축될 경우 상기 수용홈(3a)의 내부로 인입되되, 평상시 계단(1)을 오르 내리는 사람들에게 방해를 주지 않도록 수용홈(3a)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구조를 갖는다.When the rod 11 of the drawing cylinder 10 is retracted, the bicycle block 20 is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3a, bu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erson who normally goes up and down the stairs 1 So that it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3a.

부가적으로, 각각의 제1측판(22) 상측에는 두개의 이탈방지홀(20b)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홀(20b)의 사이에는 하나의 회동안내홀(20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wo release-preventing holes 20b are formed on each of the first side plates 22, and one rotation-guiding hole 20a is formed between the release-preventing holes 20b.

상기 이탈방지홀(20b)은 후술되는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 자전거블록(20)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회동안내홀(20a)은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회동가능케 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홀(20b) 및 회동안내홀(20a)은 추후 연결부(60)의 설명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release preventing hole 20b prevents the bicycle block 30 from moving out of the bicycle block 20 when the bicycle block 30 rotates upward and downward,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20b and the rotation guide hole 20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an the descrip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60. [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은 상기 자전거블록(20)과 함께 자전거(80)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a)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다.The turning bicycle block 30 provides an inclined traveling path in which the bicycle 80 can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bicycle block 20. The bicycle block 3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3a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그리고,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은 하측이 상기 자전거블록(20)을 구성하는 제1경사판(21)의 상측 끝단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부(60)를 통해 상기 제1측판(22)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lower sid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22 via the connecting portion 60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wash plate 21 constituting the bicycle block 20, And can be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이때, 상기 제1경사판(21)의 상측 끝단 상면에 안착되는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하측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경사판(21)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바닥면은 단차 없이 접촉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wash plate 21 is bent in a "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has a step-free contact structure.

더불어,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절곡된 부분 하측에는 자전거(80)가 제1측판(22)에서 회동용자전거블록(30)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311)이 제1측판(2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311 for allowing the bicycle 80 to easily move from the first side plate 22 to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s provided below the bent portion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ide plate (22).

계속해서,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절곡된 부분 양측에는 상기 회동안내홀(20a) 내에서 승강되어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형 막대 형상의 회동축(312)이 수평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Subsequently, on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a circular bar shape (not shown) is provided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n the turning guide hole 20a so that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can be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the pivot shaft 312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연결부(60)는 총 2개로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축(312)의 외주연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동축(312)과 함께 회동안내홀(20a) 내에서 승강되는 장착관(61)과, 상기 장착관(61)이 회동축(312)에 장착됨으로 인해 이탈방지홀(20b) 내에서 승강되는 이탈방지관(62)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portions 60 are installed i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pivot shafts 312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with the pivot shafts 312 in the pivoting guide holes 20a And an escape prevention tube 62 which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escape prevention hole 20b when the mounting tube 61 is mounted on the rotary shaft 312. [

즉, 상기 자전거블록(20)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은 연결부(60)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은 상기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11)가 확장시 상기 자전거블록(20)과 함께 수용홈(3a)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딤판(2)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80)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보조 이동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bicycle block 20 and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portion 60.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s connected to the rod 11 of the drawing cylinder 10 When the bicycle block 20 is extended, the bicycle block 2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a and is mounted on the rim of the treads 2, thereby forming an inclined auxiliary traveling path in which the bicycle 80 can be moved up and down .

아울러,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은 수용홈(3a)의 외부로 인출시 그 상측이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2)의 수평면(2a)과 마주하는 형태가 되어, 건축물의 하층에 위치된 자전거(80)가 자전거블록(20)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을 순차적 거쳐 상층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bicycle block 3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a, the upper side of the bicycle block 30 faces the horizontal plane 2a of the tread 2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he bicycle 80 can be easily moved to the upper layer sequentially through the bicycle block 20 and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

부가적으로, 상기 회동안내홀(20a)은 상면이 개구된 형태이고, 상기 이탈방지홀(20b)은 상,하,좌,우면이 막혀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60)가 후술되는 회동용실린더(40)에 의해 상승되어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하측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이탈방지관(62)이 이탈방지홀(20b)의 상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회동축(312)이 회동안내홀(20a)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guide hole 20a is formed in an upper opening shape, and the release prevention hole 20b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closed. 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portion 60 is raised by the rotating cylinder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sid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s rotated upward, the separation preventing pipe 62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20b So that the pivot shaft 312 is not separated from the pivot guide hole 20a.

상기 회동용실린더(40)는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경사각이 완만해지도록 변환시켜 자전거(80)가 상층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측판(22)의 양측면에 설치된 지지판(23)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수축되는 로드(41)를 구비한다.The pivoting cylinder 40 convert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so as to be gentle so that the bicycle 80 can be easily moved to the upper layer. And a rod 41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3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side or contrac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이때, 회동용실린더(4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탱크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받도록 설계된다.At this time, the rotating cylinder 40 may be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and is designed to receive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from the supply tank.

그리고, 상기 회동용실린더(40)는 평상시 계단(1)을 오르 내리는 사람들에게 방해를 주지 않도록, 수용홈(3a)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다.Then, the rotating cylinder 4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3a so as not to disturb the people who normally move up and down the stairs 1.

이러한 회동용실린더(40)의 로드(41)는 상기 연결부(6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수용홈(3a)의 외부로 인출될 경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하측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상측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2)의 수평면(2a)과 가까워 짐에 따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경사각이 완만해진다.The rod 41 of the rotating cylinder 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60. When the rotating bicycle block 3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a, Thereby rotating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0 upward. In this case, as the upper sid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s rotated downward and becomes closer to the horizontal surface 2a of the tread 2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becomes gentle .

따라서, 회동용자전거블록(30)에 위치된 자전거(80)를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2)으로 이동시킬 경우, 자전거(80) 바퀴에 큰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하면서 용이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icycle 80 positioned in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s moved to the tread 2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bicycle 80 while preventing a great impact on the wheel of the bicycle 80 have.

상기 인양부(50)는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자전거블록(20)에 위치된 자전거(80)를 당겨 건축물의 상층으로 인양하는 것으로, 모터(51), 드럼(52), 와이어(53), 구름부(54), 밴드(55), 하강레일(56), 리미트스위치(57)를 포함한다.The lifting portion 50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and pulls the bicycle 80 positioned in the bicycle block 20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The motor 51, the drum 52, A wire 53, a rolling portion 54, a band 55, a descending rail 56, and a limit switch 57.

상기 모터(51)는 건축물의 최하부 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 각각 설치되어 자전거(80)를 인양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의 AC모터(51) 또는 DC모터(51)가 적용된다.The motor 51 is installed in all the layers except for the lowermost layer of the building to provide power for lifting the bicycle 80, and a known AC motor 51 or DC motor 51 is applied.

이때, 상기 모터(51)는 회전방향에 따라 후술되는 드럼(52)의 회전이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터(51)축이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axis of the motor 51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drum 51 can be selectively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이러한 모터(51)는 후술되는 와이어(53)가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디딤판(2)에 접촉되지 않도록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90)의 상면에 설치된다.The motor 5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90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so that a wire 53 described later will not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or the tread 2.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터(51)는 받침부(90) 대신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벽체(3)에 설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tor 51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3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surface through a separate bracket (not shown) instead of the receiving unit 90.

상기 드럼(52)은 상기 모터(51)와 마주보는 외측면이 모터(51)축에 결합되어 모터(51)축과 함께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52 facing the motor 51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51 and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axis of the motor 51.

상기 와이어(53)는 모터(51)의 동력을 자전거(80)에 전달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드럼(52)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53)는 상기 모터(51)의 모터축이 상층 방향(이하 '정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될 경우 드럼(52)에 감기게 되고, 하층 방향(이하 '역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될 경우 드럼(52)에서 풀리게 된다.The wire 53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51 to the bicycle 80, and one side thereof is fixed to the drum 52. The wire 53 is wound on the drum 52 whe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5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orward direction") and is wound in the lower layer direction The drum 52 is rotated.

이때, 상기 와이어(53)는 자전거(80)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wire 53 is used with sufficient rigidity and durability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bicycle 80.

상기 구름부(54)는 후술되는 밴드(55)를 건축물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회전축(541), 상기 회전축(541), 상기 회전축(541)의 양측에 제자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543), 상기 회전축(541)의 중앙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축(542)을 포함한다.The rolling part 54 moves the band 55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541, the rotating shaft 541, a roller (not shown)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541 543, and a connecting shaft 54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541.

상기 밴드(55)는 자전거(80)의 핸들프레임(81)에 장착되는 것으로, 중앙부분에 상기 연결축(542)이 관통결합되어 상기 구름부(54)와 함께 이동가능하다.The band 55 is mounted on the handle frame 81 of the bicycle 80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542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rolling unit 54.

상기 밴드(55)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일측의 내측면과 타측의 외측면에는 서로 부착될 수 있는 밸크로드(55a,55b)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밴드(55)는 핸들프레임(81)의 직경에 상관 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band 55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nd 55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ther side are formed with the valve rods 55a and 55b, respectively. Therefore, the band 55 can be easily mounted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handle frame 81. [

그리고, 건축물의 하층에서 자전거블록(20)에 위치된 자전거(80)의 핸들프레임(81)에 밴드(55)를 장착한 다음 모터축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51)를 작동시키면, 상기 와이어(53)가 드럼(52)에 권취되면서 자전거(80)를 당기게 되어, 자전거(80)가 자전거블록(20)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을 따라 건축물의 상층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band 55 is mounted on the handle frame 81 of the bicycle 80 located in the bicycle block 20 in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and then the motor 51 is operated so that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wire 53 is wound around the drum 52 to pull the bicycle 80 to move the bicycle 80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along the bicycle block 20 and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

상기 하강레일(56)은 건축물의 상층으로 이동한 밴드(55)를 다시 하층으로 이동시켜 다음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측벽(W)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디딤판(2)들의 상측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경사판(561), 상기 제2경사판(561)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어느 하나가 측벽에 고정되는 제2측판(562)으로 구성된다.The lower rail 56 is used to move the band 55 which has moved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to the lower layer so that it can be used by the next user. The lower rail 56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side wall W, A second swash plate 56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wash plate 561 and a second side plate 562 bent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swash plate 561 and fixed to the side wall.

즉, 건축물의 상층에서 제2경사판(561)의 상면에 롤러(543) 및 이에 결합된 밴드(55)를 올려 놓은 다음 모터축이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51)를 작동시켜 와이어(53)가 드럼(52)에서 풀리도록 하면 상기 롤러(543)가 제2경사판(561)을 따라 구름이동되어 상기 밴드(55)가 건축물의 하층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제2측판(562)은 롤러(543) 및 밴드(55)가 이동 과정에서 디딤판(2)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rollers 543 and the band 55 coupled thereto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wash plate 561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and then the motor 51 is operated so that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oller 543 is moved along the second swash plate 561 so that the band 55 is moved to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and the second side plate 562 is rotated by the roller 543 and the band 55 do not fall into the tread 2 during the movement.

부가적으로, 상기 하강레일(56)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밴드(55)와 접촉시 상기 모터(51)의 작동을 정지시켜 와이어(5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57)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mit switch 57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51 and preventing the wire 53 from being released when the band 55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lower rail 56 is further installed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블록(20)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 staircase for a building provided with the bicycle bloc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건축물의 하층 측벽(W)에는 인출용실린더(10)를 작동시켜 로드(11)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스위치(S1) 및 모터(5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2)가 마련되고, 상층에도 인출용실린더(10)를 작동시켜 로드(11)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스위치(S3) 및 모터(51)를 작동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4)가 마련된다.A switch S1 for operating the drawing cylinder 10 to extend or contract the rod 11 and a switch S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51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wall W of the building And a switch S3 for operating the drawing cylinder 10 to expand or contract the rod 11 and a switch S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51 are provided in the upper layer.

자전거 이용자가 자전거(80)와 함께 계단(1)을 오르고자 할 경우에는 스위치(S1)를 눌러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11)가 확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자전거블록(20) 및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수용홈(3a)에서 인출되어 디딤판(2)들의 상면에 안착됨에 따라, 계단(1) 상에는 자전거(80)가 이동할 수 있는 경사로 및 보조 경사로가 형성된다.When the bicycle user wishes to climb the stairs 1 together with the bicycle 80, the user pushes the switch S1 so that the rod 11 of the drawing cylinder 10 is expanded. In this case, the bicycle block 20 and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are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grooves 3a and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treads 2, so that a ramp, on which the bicycle 80 can move, And an auxiliary ramp are formed.

이후, 이용자는 하층에 위치된 밴드(55)를 자전거(80)의 핸들프레임(81)에 장착한 다음, 자전거블록(20)의 제1경사판(21) 상면에 자전거(80)를 올려 놓은 후 스위치(S2)를 누른다.The user then mounts the band 55 positioned on the lower layer on the handle frame 81 of the bicycle 80 and then places the bicycle 8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plate 21 of the bicycle block 20 Press switch S2.

상기 스위치(S2)를 누르게 되면 모터축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53)가 드럼(52)에 감기게 됨에 따라 건축물의 하층에 위치한 자전거(80)가 자전거블록(20)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을 자동으로 올라가게 되어,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도 건축물의 하층에서 상층으로 자전거(80)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When the switch S2 is pressed,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wire 53 is wound on the drum 52, so that the bicycle 80 located in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is rotated by the bicycle block 20, The bicycle 80 can be easily moved from the lower layer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ordinary adult as well as the elderly person or child who is relatively weak.

그리고,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에는 센서(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70)는 상면이 노출되어 자전거(80)의 앞바퀴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70)는 자전거(80)의 앞바퀴가 접촉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7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회동용실린더(40)의 로드(41)가 확장되도록 한다.A sensor 7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bicycle block 30. The sensor 70 may be expos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icycle block 30 so as to contact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80. [ Therefore, when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80 touches the sensor 70, the sensor 70 senses the front wheel and transmits a signal to a controlle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The controller 7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70 So that the rod 41 of the rotating cylinder 40 is expanded.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하측은 상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측은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2)의 수평면(2a)과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용자전거블록(30)에서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2)으로 자전거(80)를 옮기는 과정에서 자전거(80) 바퀴에 큰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lower sid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s rotated upward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rotated downward to be close to the horizontal surface 2a of the tread 2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reat impact on the wheel of the bicycle 8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bicycle 80 to the tread 2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bicycle 80.

이때, 상기 센서(70)는 자전거(80)의 앞바퀴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여 회동용실린더(40)의 로드(41)가 수축되도록 하므로서,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When the sensor 70 does not sense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80, the sensor 70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rod 41 of the rotating cylinder 40 is contracted so that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이와 같이 자전거(80)를 건축물의 상층으로 옮긴 이후에는 핸들프레임(81)에서 밴드(55)를 분리한 후 하강레일(56)의 제2측판(562)에 올려 놓은 다음, 스위치(S4)를 눌러 모터축이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51)를 작동시키므로써, 밴드(55)와 구름부(54)를 다시 하층으로 이동시키면 된다.After the bicycle 80 is moved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the band 55 is removed from the handle frame 81 and placed on the second side plate 562 of the lower rail 56, The band 55 and the rolling portion 54 may be moved to the lower layer again by operating the motor 51 so that the motor shaf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아울러, 건축물의 하층에 다음 자전거(80) 이용자가 없을 경우에는 스위치(S3)를 눌러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11)가 수축되도록 하여 자전거블록(20)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수용홈(3a)에 인입되도록 하므로서, 계단(1)을 이용하는 일반 사람들에게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When the user of the next bicycle 80 is not present in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the switch S3 is pressed to shrink the rod 11 of the drawing cylinder 10 so that the bicycle block 20 and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are retracted.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eneral people using the stairs (1).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 계단 2 : 디딤판
2a : 수평면 3 : 벽체
3a : 수용홈 3b : 출구
10 : 인출용실린더 11, 41 : 로드
20 : 자전거블록 20a : 회동안내홀
20b : 이탈방지홀 21 : 제1경사판
22 : 제1측판 23 : 지지판
30 : 회동용자전거블록 311 : 경사면
312 : 회동축 40 : 회동용실린더
50 : 인양부 51 : 모터
52 : 드럼 53 : 와이어
54 : 구름부 541 : 회전축
542 : 연결축 543 : 롤러
55 : 밴드 55a,55b : 밸크로드
56 : 하강레일 561 : 제2경사판
562 : 제2측판 57 : 리미트스위치
60 : 연결부 61 : 장착관
62 : 이탈방지관 70 : 센서
80 : 자전거 90 : 받침부
S1,S2,S3,S4 : 스위치 B : 브라켓
1: stair 2: tread
2a: horizontal plane 3: wall
3a: receiving groove 3b: outlet
10: drawing cylinder 11, 41: rod
20: bicycle block 20a: rotation guide hole
20b: Departure preventing hole 21: First swash plate
22: first side plate 23:
30: Bicycle block for rotation 311: Slope
312: Pivot shaft 40: Pivoting cylinder
50: lifting portion 51: motor
52: drum 53: wire
54: rolling part 541:
542: connecting shaft 543: roller
55: bands 55a, 55b:
56: descending rail 561: second swash plate
562: second side plate 57: limit switch
60: connection part 61: mounting tube
62: departure prevention tube 70: sensor
80: bicycle 90:
S1, S2, S3, S4: Switch B: Bracket

Claims (3)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의 사이에 디딤판(2)들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용자들이 디딤판(2)을 밟고 상하로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계단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2)들의 일측에 시공된 벽체(3)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3a)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3a)의 일측에 형성된 출구(3b)를 향해 확장 또는 수축되는 로드가 구비된 인출용실린더(10),
상기 수용홈(3a)에 수용되고, 일측면이 상기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가 확장시 수용홈(3a)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딤판(2)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80)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자전거블록(20),
하측이 상기 자전거블록(20)의 상측 끝단 상면에 안착되고 그 양측이 상기 자전거블록(20)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출용실린더(10)의 로드가 확장시 상기 자전거블록(20)과 함께 수용홈(3a)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딤판(2)들의 테두리에 안착됨에 따라 자전거(80)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보조 이동로를 형성하되, 인출시에는 그 상측이 최상부에 위치된 디딤판(2)의 수평면(2a)과 마주하는 회동용자전거블록(30),
상기 자전거블록(2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3a)의 외부로 인출된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하측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경사각이 완만 해지도록 하는 회동용실린더(40),
상기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자전거블록(20)에 위치된 자전거(80)를 당겨 건축물의 상층으로 인양하는 인양부(50)를 포함하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In the steps used for tilting the treads 2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and for users to step up and down the tread 2,
A rod 3 which is provided in a receiving groove 3a formed in an inclined shape in a wall 3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plates 2 and which is extended or retracted toward an outlet 3b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a, A take-out cylinder 10,
And the rod of the drawing cylinder 1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a when the rod of the drawing cylinder 10 is extended, A bicycle block 20 which forms a slanting path through which the bicycle 80 can ascend and descend as it is seated on the rim of the treads 2,
The lower side of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icycle block 20 and both sides thereof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icycle block 20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he bicycle 80 is pulle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3a together with the block 20 so as to be seated on the rim of the treads 2 to form an inclined auxiliary traveling path in which the bicycle 80 can be moved up and down, A turning bicycle block 30 facing the horizontal surface 2a of the tread 2 whose upper side is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cycle block 20 and drawn out of the receiving groove 3a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A rotating cylinder 40 for gentle rotation,
A staircase for a building having a bicycle block which is installed in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 lifting portion 50 for lifting the bicycle 80 located in the bicycle block 20 to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블록(20)의 상측에는 회동안내홀(20a) 및 상기 회동안내홀(20a)의 양측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홀(20b)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의 양측에는 상기 회동용실린더(40)의 로드가 확장 또는 수축시 상기 회동안내홀(20a)을 따라 승강되어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312)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312)에 장착되는 장착관(61)과, 상기 장착관(6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홀(20b)에서 승강되는 이탈방지관(62)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용실린더(40)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회동용자전거블록(3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60)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cycle block 20 has a rotation guide hole 20a and an escape hole 20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guide hole 20a.
The bicycle block 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icycle block 30 so that the bicycle block 30 can be pivoted when the rod of the pivoting cylinder 40 is extended or contracted along the pivoting guide hole 20a A coaxial 312 is formed,
A mounting tube 61 mounted on the pivot shaft 312 and an escape prevention tube 62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tube 61 and lifted and lowered in the escape hole 20b, And a connecting portion (60) which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rotating cylinder (40) so that the rotating bicycle block (30) is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50)는,
모터(51),
상기 모터(51)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52),
상기 드럼(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드럼(52)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53),
상기 와이어(53)의 끝단이 결합되며 일측에 연결축(542)이 구비되는 구름부(54),
상기 연결축(542)에 결합되고 자전거(80)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53)가 드럼(52)에 권취될 경우 자전거(80)가 자전거블록(20)과 회동용자전거블록(30)을 따라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 밴드(55),
상기 디딤판(2)들의 일측에 시공된 벽체(3)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54) 및 밴드(55)를 건축물의 하층으로 구름이동시키는 하강레일(56),
상기 하강레일(56)의 하측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밴드(55)와 접촉시 상기 모터(51)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57)를 포함하는 자전거 블록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portion (50)
The motor 51,
A drum 52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motor 51,
A wire 53 wound and unwound on the drum 5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um 52,
A rolling portion 54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53 and having a connection shaft 542 at one side thereof,
The bicycle 80 is connected to the bicycle block 20 and the turning bicycle block 30 when the wire 53 is wound on the drum 52. [ A band 55 that can be lifted along,
A descending rail 56 installed in an inclined form on the wall 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eads 2 and rolling the rolling parts 54 and the band 55 to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And a limit switch (57)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down rail (56)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51) when the band (55) is contacted.
KR1020170013531A 2017-01-31 2017-01-31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KR101747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31A KR101747260B1 (en) 2017-01-31 2017-01-31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31A KR101747260B1 (en) 2017-01-31 2017-01-31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260B1 true KR101747260B1 (en) 2017-06-14

Family

ID=5921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531A KR101747260B1 (en) 2017-01-31 2017-01-31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2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544B1 (en) 2018-08-27 2018-10-08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tairs block for buil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911B1 (en) 2009-06-16 2012-02-24 임미숙 A Transfer apparatus for a Bicycle on the Slope Way
KR101238816B1 (en) 2012-08-30 2013-03-0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Stairs with bicycle rail for building
KR101238808B1 (en) 2012-08-30 2013-03-0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911B1 (en) 2009-06-16 2012-02-24 임미숙 A Transfer apparatus for a Bicycle on the Slope Way
KR101238816B1 (en) 2012-08-30 2013-03-0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Stairs with bicycle rail for building
KR101238808B1 (en) 2012-08-30 2013-03-0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89485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544B1 (en) 2018-08-27 2018-10-08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tairs block for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146B2 (en) Mobility aid device to overcome height differences
KR102070575B1 (en) The driving method of driving device to climb stairs
KR100689065B1 (en) Stairs structure for handicapped person and infant of building
JP2020023306A (en)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 for boarding wheelchair passenger on aircraft
KR101747260B1 (en) Stairs with bicycle block for building
CN111494109A (en) Wheelchair capable of climbing stairs
KR102068931B1 (en) Lifting equipment for the disabled with movable stairs
KR102548162B1 (en) Vertical lifting type lift device combined with moving stairs
JP6868511B2 (en) Evacuation device
KR20210055412A (en) 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stairs
KR101940648B1 (en) Safety step apparatus for platform screen door of subway
KR102053083B1 (en) Device for emergency escape
KR102381643B1 (en) Lift apparatus for wheel chair
KR102066528B1 (en) multi-function lift
KR200384963Y1 (en) Elevator access stair moving together with ladder angle
KR101389997B1 (en) Staircase for obstacle and children
KR101871371B1 (en) Stairs apparatus for building
KR102499849B1 (en) Variable expression stairs device for stage lift
JP2004026404A (en) Stair lifting apparatus
KR102563245B1 (en) Lift apparatus combined with stairs using wireless signal
KR101136987B1 (en) Staircase for obstacle person and children
CN217245246U (en) Climbing mechanism of stair climbing wheelchair
KR102060087B1 (en) Variable type stairway equipped with elevator
JP2001350404A (en) Inclination gradient experiencing device for housing staircase
JP2984237B2 (en) Stair 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