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219B1 -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219B1
KR101747219B1 KR1020120108268A KR20120108268A KR101747219B1 KR 101747219 B1 KR101747219 B1 KR 101747219B1 KR 1020120108268 A KR1020120108268 A KR 1020120108268A KR 20120108268 A KR20120108268 A KR 20120108268A KR 101747219 B1 KR101747219 B1 KR 10174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cy mask
image
mask
squares
priv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206A (ko
Inventor
권봉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219B1/ko
Priority to US13/914,766 priority patent/US20140085463A1/en
Publication of KR2014004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획득하는 사각형 획득부;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CAMERA AND CAMERA CONTROLLING METHOD FOR GENERATING PRIVACY MASK}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정밀하게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방범, 보안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물 내부나 외부, 길거리 등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서버에서는 연결된 복수의 감시 카메라를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감시 카메라 또는 메인 서버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사건이 발생한 경우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 등으로 확인하여 사건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위하여 특정 영역을 모니터 등에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감시 카메라는 영상 처리를 통하여 촬상 영상 상에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하나의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획득하는 사각형 획득부;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획득부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획득할 때, 복수개의 사각형을 구성하는 네개의 꼭지점의 좌표의 집합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상에 모두 중첩하는 경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이 모두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부는, 상기 촬상 영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하나 이상의 사각형을 합친 영역을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촬상 영상에 중첩하여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부는, 상기 하나의 스캔 라인이 상기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일 때, 상기 스캔 라인이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내부에 해당하는 스캔 라인의 영역만큼을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이며 획득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한 결과를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은, 상기 스캔 라인이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만나는 점에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어느 하나와도 만나지 않는 점까지의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에서 상기 스캔 라인이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들 중 하나 이상과 겹쳐질 때, 상기 사각형과 상기 스캔 라인이 겹쳐지는 스캔 라인의 일부 선분 영역을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내부에 있으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한 후에는 상기 촬상 영상의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은 외부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획득하는 사각형 획득 단계;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하는 영상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획득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획득할 때, 복수개의 사각형을 구성하는 네개의 꼭지점의 좌표의 집합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상에 모두 중첩하는 경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이 모두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 단계는, 상기 촬상 영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하나 이상의 사각형을 합친 영역을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촬상 영상에 중첩하여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 단계는, 상기 하나의 스캔 라인이 상기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일 때, 상기 스캔 라인이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내부에 해당하는 스캔 라인의 영역만큼을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이며 획득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한 결과를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은, 상기 스캔 라인이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만나는 점에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어느 하나와도 만나지 않는 점까지의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에서 상기 스캔 라인이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들 중 하나 이상과 겹쳐질 때, 상기 사각형과 상기 스캔 라인이 겹쳐지는 스캔 라인의 일부 선분 영역을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단계는 상기 카메라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한 후에는 상기 촬상 영상의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은 외부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상 영상을 전송받는 메인 서버; 상기 감시 카메라와 상기 메인 서버의 통신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사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잡한 연산이 없어도 사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하나의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존의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스킹부(17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일 실시예에 따라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을 스캔하여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감시 카메라(100)가 메인 서버(3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신하는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으며, 감시 카메라(100) 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는 처리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들(1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메인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감시 카메라들(100)은 통신 채널(DCOM)을 통하여 메인 서버(300)와 통신하면서, 영상 데이터 채널(DIMA)을 통하여 라이브 뷰 동영상 데이터를 메인 서버(300)에 전달한다. 물론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가 아닌 한 개의 감시 카메라만 메인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고, 한 개의 감시 카메라 또는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들이 복수 개의 메인 서버들과 통신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통신 채널(DCOM) 및 영상 데이터 채널(DIMA)을 형성하는 네트워크(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나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00)는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으로 감시 카메라(100)와 메인 서버(300)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무선 랜 등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감시 카메라(100)와 메인 서버(3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메인 서버(300)가 컴퓨터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100)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인 서버(300)와만 통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메인 서버(300)로 개인용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 서버(300)는 필요에 따라 감시 카메라(100)로부터의 라이브 뷰 동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촬상소자(111), 촬상소자 제어부(112), 드라이버(113), 모터(114), 사전 처리부(120), 영상 신호 처리부(121), 압축 신장부(122), CPU(130), ROM(131), RAM(132), 메모리 콘트롤러(133), 카메라 메모리(134), 카메라 조작부(140), 카메라 디스플레이부(150), 카메라 통신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0)는 외부의 광 정보를 촬상소자(111)에 결상시키는 광학계 시스템으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111)까지 투과시킨다. 렌즈부(110)는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렌즈,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 등의 렌즈군과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등으로 이루어진다.
렌즈부(110)에 포함되는 줌 렌즈, 조리개, 포커스 렌즈 등은 드라이버(113)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은 모터(114)에 의해 구동된다.
촬상소자(111)는 광전변환소자의 일례로서, 렌즈부(110)를 투과하여 입사된 영상광을 촬상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소자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입사된 빛에 따른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촬상소자(11)는 촬상소자 제어부(112)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프레임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한다. 촬상소자(11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촬상소자(111)는 광전변환 및 Analog/Digital 변환에 의하여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사전 처리부(120)로 출력한다.
촬상소자 제어부(112)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촬상소자(111)가 촬상하도록 제어한다.
사전 처리부(120)는 촬상소자(11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처리를 하여 영상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사전 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부(121)로 출력한다. 또한, 사전 처리부(120)는 RAM(132)으로의 영상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제어한다.
상기 렌즈부(110), 촬상소자(111), 촬상소자 제어부(112), 사전 처리부(12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의 일례일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121)는 사전 처리부(120)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WB 제어값, γ값, 윤곽 강조 제어값 등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압축 신장부(122)에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RAM(132)을 거쳐서 카메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121)와 통신하는 마스킹부(17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감시 카메라(100)로 촬영하는 감시 영역 중에서 감시가 불필요한 영역의 표시를 차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킹부(170)는 영상 신호 처리부(121)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킹부(170)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 기능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압축 신장부(122)는 압축 처리 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예를 들면 MPEG, ACI, MOV, ASD 등의 압축 형식으로 영상신호를 압축 처리한다. 감시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카메라 메모리(134)를 구비하는 경우, 압축 신장부(122)는 압축 처리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메모리 콘트롤러(133)로 전송하여 카메라 메모리(134)에 저장한다. 또는 압축 신장부(122)는 영상 파일을 카메라 통신부(160)에 입력하고, 카메라 통신부(160)를 통하여 감시 카메라(100)를 제어하는 메인 서버(300)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압축 신장부(122)는 카메라 디스플레이부(150)를 구비하는 경우, 카메라 메모리(134)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추출한 후 신장 처리를 수행하여 카메라 디스플레이부(150)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CPU(13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감시 카메라(100) 내에 설치된 각 구성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CPU(130)는,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드라이버(113)로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114)를 구동시킨다. 또한, CPU(130)는 카메라 조작부(1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감시 카메라(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CPU(130)가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이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의 CPU에서 행하는 등 복수의 CPU로 구성되어도 된다.
ROM(read only memory, 131)은 촬영 조건 등과 관련된 사용자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ROM(131)은 CPU(130)에서 감시 카메라(1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ROM(131)으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 132)은 사전 처리부(12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 영상 신호 처리부(121)에서 신호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부분이다. RAM(132)으로 DRAM(dynamic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33)는 카메라 메모리(134)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상기 카메라 메모리(134)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카메라 메모리(134)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매체 등으로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압축 신장부(122)에서 생성된 영상 파일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33), 카메라 메모리(134)는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그러나 메모리 콘트롤러(133) 및 카메라 메모리(134)는 감시 카메라(100)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감시 카메라(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메인 서버(300)에 연결된 감시 카메라 등일 경우에는 감시 카메라(100)를 제어하는 메인 서버(300) 측에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서버 메모리(35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영상 데이터 등은 카메라 통신부(160)에 의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감시 카메라(100)로부터 메인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조작부(140)는, 예를 들면 감시 카메라(100)에 설치된 각종 버튼이나 레버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신호를 CPU(130) 등에 전송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조작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을 설정하는 조작신호를 후술할 마스크 설정부(400)로 인가한다. 그러나 카메라 조작부(140)는 감시 카메라(100)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감시 카메라(1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감시 카메라 등일 경우에는 감시 카메라(100)를 제어하는 메인 서버(300) 측에 서버 조작부(330)를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를 통하여 감시 카메라(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메라 디스플레이부(150)는 촬영된 영상이나 촬영되어 카메라 메모리(134)에 저장된 영상, 또는 압축 신장부(122)에서 신장 처리된 영상 등을 표시한다. 또한 카메라 디스플레이부(150)는 감시 카메라(100)의 제어를 위한 각종 설정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0)는 촬영된 영상, 상기 영상에 설정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디스플레이부(150)는 감시 카메라(100)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감시 카메라(1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감시 카메라 등일 경우에는 감시 카메라(100)를 제어하는 메인 서버(300) 측에 서버 디스플레이부(360)를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이나 각종 설정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통신부(160)는 감시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라이브 뷰 영상이나 촬영되어 카메라 메모리(134)에 저장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외부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카메라 통신부(16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메인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도 3은 기존의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 기능이란 영상에서 특정 구역을 마스크를 씌워 촬상 영상에서 마스킹된 부분을 사용자가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이다. 프라이버시 마스크 기능은 주로 감시 카메라(100)의 촬상에서 특정 영역에 대하여 영상에 촬상된 인물 혹은 사물을 보호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과속을 감지하는 도로상의 CCTV에서 과속 차량을 감지한 CCTV가 과속 차량의 영상을 저장하는 경우, 과속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차종, 차색상, 차번호 등은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차량 내에 탑승하고 있는 인물에 관한 정보는 불필요한 정보이며 공개될 경우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차량 내에 탑승하고 있는 인물을 식별할 수 없도록 해당 부분에 마스크를 씌우게 되는데, 이때 프라이버시 마스크 기능이 사용된다.
프라이버시 마스크 기능은 일반적으로 도 3과 같이 화면의 특정 영역을 마스킹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즉, 도 3 상단의 그림과 같이 자동차 내부에 탑승자를 마스크 처리하고 싶은 경우, 차량 앞유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사각형으로 마스크 처리를 할 수 있다. 기존이 프라이버시 마스크 기능은 이러한 사각형 형태의 마스킹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각형으로 영상을 마스킹하는 방법은 간단한 알고리즘 만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3 하단과 같이 프라이버시 마스크 처리할 부분이 다각형 모양인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3 하단의 건물 부분을 프라이버시 마스크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사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사용하면 건물 뿐 아니라 불필요한 부분까지도 마스크 처리를 하게 되어 유의한 정보가 유실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구현하는 것은 사각형일때보다 알고리즘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카메라 안의 하드웨어에서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AND, OR, Fllip-Flop, Buffer 등)을 다수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조합을 사용하여 다각형 모양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구현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적절하게 영상에 삽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스킹부(17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마스킹부(170)는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이용해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촬상 영상에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부(170)는 사각형 획득부(171), 마스크 생성부(172), 영역 처리부(175) 및 구현부(176)로 구성되며, 마스크 생성부(172)는 중첩부(173) 및 스캔부(174)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사각형 획득부(171)는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입력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경우에도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다각형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 자원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먼저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된 마스크 영역의 정보를 획득한다.
사각형 획득부(171)가 획득하는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은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촬상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즉,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수개의 사각형 중 하나에 포함된다.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영상 처리 결과 또는 미리 설정된 카메라의 설정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촬상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촬상 영상에서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부분은 출입문을 제외한 건물 영역으로,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모양의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하다.
도 5b는 사각형 획득부(171)가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입력받은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형 획득부(171)는 영상 처리부가 처리한 영상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사각형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복수개의 사각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복수개의 사각형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각형의 네 꼭지점을 설정함으로써 복수개의 사각형을 설정할 수 있다.
사각형 획득부(171)에서 입력받는 복수개의 사각형은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촬상 영상의 모든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사각형은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의 일부만을 마스킹하더라도,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사각형에 의해 덮이게 된다.
중첩부(173)는 복수개의 사각형을 순차적으로 촬상 영상에 중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한다.
도 5c는 복수개의 사각형을 차례로 중첩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중첩부(173)는 복수개의 사각형을 한 프로세서 단위당 하나씩 중첩하여 최종적으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한다. 이때, 하나씩 중첩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각형에 의해 선택되는 영역은 OR 원리에 의해 하나로 처리된다.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복수개의 사각형을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하나의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캔부(174)가 스캔 라인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촬상 영상을 스캔하고, 복수개의 사각형에 해당하는 영역을 OR 처리함으로써 하나의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일 실시예에 따라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을 스캔하여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일 예이다.
도 6은 도 5a, 5b와 마찬가지로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고자 하는 촬상 영상에서 복수개의 사각형 정보를 사각형 획득부(171)가 입력받은 상태에서 스캔 라인을 사용하여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한다.
도 6은 스캔 라인이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면서 촬상 영상에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캔부(174)가 스캔 라인을 움직이는 방향은 위에서 아래일 수 있고, 아래에서 위일 수 있으며, 혹은 스캔 라인이 수직의 선분일 경우 좌우로 움직일 수도 있다.
도 6과 같이 스캔 라인이 특정 위치에 있는 경우, 각 사각형과 겹쳐지는 스캔 라인의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구간 설정부는 이러한 각 사각형과 겹쳐지는 스캔 라인의 영역만큼을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스캔부(174)는 A 사각형과 스캔 라인이 겹치는 부분과 B 사각형과 스캔 라인이 겹치는 부분, C 사각형과 스캔 라인이 겹치는 부분을 OR 처리하여 생성된 스캔 라인의 영역을 특정 위치에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이라고 설정한다. 달리 표현하면,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은 스캔 라인이 복수개의 사각형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영역과 만나는 점에서 스캔 라인이 복수개 중 어느 하나와도 만나지 않는 점까지의 선분을 조합한 것이다.
스캔부(174)는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 전체를 이동하며 얻은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로 설정한다.
스캔 라인이 이동하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스캔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복수개의 사각형을 순차적으로 중첩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비하여 하나의 프로세스만으로 완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역 처리부(175)는 마스크 생성부(172)가 설정한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촬상 영상에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킹부(170)는 카메라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역 처리부(175)가 촬상 영상에 생성된 프라이버시를 처리한 후에는 촬상 영상은 외부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없다. 외부의 장치에서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생성된 후에 마스킹 영역을 변경하거나 마스킹 전의 정보를 열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구현부(176)는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처리한 촬상 영상을 영상 신호 처리부에 전송하거나, 카메라 메모리 상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구현부(176)는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획득한다(S11).
다음으로, 복수개의 사각형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촬상 영상에 중첩한다(S12).
다음으로, 복수개의 사각형을 중첩한 촬상 영상 위의 이미지 영역을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설정한다(S13).
마지막으로,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촬상 영상에 처리한다(S14).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획득한다(S21).
다음으로, 스캔 라인이 특정 위치에 있을 때 복수개의 사각형 내부에 해당하는 스캔 라인의 영역만큼을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한다(S22).
다음으로,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이며 획득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한 결과를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로 설정한다(S23).
마지막으로,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촬상 영상에 처리한다(S24).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감시 카메라 110 렌즈부
120 사전 처리부 130 CPU
150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160 카메라 통신부
170 마스킹부 171 사각형 획득부
172 마스크 생성부 173 중첩부
174 스캔부 175 영역 처리부
176 구현부 200 네트워크
300 메인 서버

Claims (19)

  1.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획득하는 사각형 획득부;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내부에 있으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한 후에는 상기 촬상 영상의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은 외부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획득부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획득할 때, 복수개의 사각형을 구성하는 네개의 꼭지점의 좌표의 집합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상에 모두 중첩하는 경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이 모두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부는,
    상기 촬상 영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하나 이상의 사각형을 합친 영역을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촬상 영상에 중첩하여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부는,
    하나의 스캔 라인이 상기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일 때,
    상기 스캔 라인이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내부에 해당하는 스캔 라인의 영역만큼을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이며 획득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한 결과를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상 영상 중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을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으로 획득하는 사각형 획득 단계;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하는 영상 처리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 단계는 상기 카메라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한 후에는 상기 촬상 영상의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은 외부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획득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획득할 때, 복수개의 사각형을 구성하는 네개의 꼭지점의 좌표의 집합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상에 모두 중첩하는 경우,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필요한 영역이 모두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 단계는,
    상기 촬상 영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중 하나 이상의 사각형을 합친 영역을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촬상 영상에 중첩하여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 단계는,
    하나의 스캔 라인이 상기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일 때,
    상기 스캔 라인이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내부에 해당하는 스캔 라인의 영역만큼을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스캔 라인이 촬상 영상 전체를 움직이며 획득한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한 결과를 상기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다각형 프라이버시 마스크(privacy mask)를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상 영상을 전송받는 메인 서버;
    상기 감시 카메라와 상기 메인 서버의 통신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복수개의 사각형의 조합을 사용하여 하나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하고, 상기 촬상 영상에 처리한 후에는 상기 촬상 영상의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는 외부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KR1020120108268A 2012-09-27 2012-09-27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74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68A KR101747219B1 (ko) 2012-09-27 2012-09-27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US13/914,766 US20140085463A1 (en) 2012-09-27 2013-06-11 Monitoring camera for generating privacy mas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68A KR101747219B1 (ko) 2012-09-27 2012-09-27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06A KR20140041206A (ko) 2014-04-04
KR101747219B1 true KR101747219B1 (ko) 2017-06-15

Family

ID=5033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268A KR101747219B1 (ko) 2012-09-27 2012-09-27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85463A1 (ko)
KR (1) KR101747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3477B2 (en) 2019-02-19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0231B2 (en) * 2015-03-05 2016-12-2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generating masking image using general polygonal mask
CN105163081B (zh) * 2015-09-02 2018-06-15 广东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异步渲染的实物展示方法及系统
US10623703B2 (en) * 2018-02-28 2020-04-14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CCTV system
EP3564900B1 (en) * 2018-05-03 2020-04-01 Axis AB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 degree of blurring to be applied to image data in a privacy area of an image
KR102314941B1 (ko) 2019-10-08 2021-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생활 보호를 위한 카메라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생활 보호 방법
WO2021071020A1 (ko) * 2019-10-11 2021-04-15 (주)원우이엔지 세로형 ptz 카메라장치 및 osd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7805A (en) * 1988-05-17 1990-01-30 Prim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lygon fills in graphical applications
SE525875C2 (sv) * 2002-11-13 2005-05-17 Sandvik Ab Skär för skärverktyg med upphöjd övergångsyta
US7118108B2 (en) * 2003-05-05 2006-10-10 Mattel, Inc. Racing board game
JP3938127B2 (ja) * 2003-09-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8345918B2 (en) * 2004-04-14 2013-01-01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Active subject privacy imaging
US9210312B2 (en) * 2004-06-02 2015-12-08 Bosch Security Systems, Inc. Virtual mask for use in autotracking video camera images
JP5088161B2 (ja) * 2008-02-15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カメラ装置、通信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69033B2 (ja) * 2009-12-18 2013-08-21 韓國電子通信研究院 映像のプライバシーマスキング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3477B2 (en) 2019-02-19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5463A1 (en) 2014-03-27
KR20140041206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219B1 (ko)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CN109691079B (zh) 成像装置和电子设备
KR101945194B1 (ko)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KR101680684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KR101695251B1 (ko) 원격으로 카메라 fpga 배열을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및 카메라 제어 방법
US9538085B2 (en) Method of providing panoramic image and imaging device thereof
US20070211161A1 (en) Electronic camera
JP200632483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6318364A (ja) 画像処理装置
KR101630281B1 (ko) 영상 처리 장치
JP2009005083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0270980B2 (en) Image capture control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e apparatus
WO202201902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0995982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摄像装置、以及记录介质
JP2016111568A (ja) 像ぶれ補正制御装置、撮像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237975B1 (ko) 영상 처리 장치
KR101204093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7267177A (ja) 撮像装置
JP6467455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054492B2 (ja) 情報加工モジュール、情報加工方法、情報加工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015439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5080048A (ja) カメラ装置、監視システム、こ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及び撮像方法
JP7324866B2 (ja) 撮像装置
KR20120011241A (ko) 영상 처리 장치
JP2006325135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