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050B1 -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 Google Patents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050B1
KR101747050B1 KR1020160169547A KR20160169547A KR101747050B1 KR 101747050 B1 KR101747050 B1 KR 101747050B1 KR 1020160169547 A KR1020160169547 A KR 1020160169547A KR 20160169547 A KR20160169547 A KR 20160169547A KR 101747050 B1 KR101747050 B1 KR 101747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hape
grip portion
prism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원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0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6Wrist mirrors; Mirrors with means for attaching to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 측면이 굴곡지거나 각진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구부림 가능한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거울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와 연결됨으로써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위치조절부의 일부와 파지부가 턱을 형성하여 손에 용이하게 걸쳐질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조절부의 일부와 파지부는 손가락 사이 및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 거울의 위치가 편리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mirror having a grasping portion, comprising: a grasping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have at least one side bent or angled; A bendable position adjuster connected to the gripper; And a mirror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The grip unit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to form a j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part and the grip part can be formed easily on the hand by forming the jaws and a part of each position adjusting part and the grip part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ngers and between the fingers and the palm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irror can be conveniently fixed.

Description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본 발명은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및/또는 손바닥 안에 용이하게 파지되어 사용될 수 있는 소형 거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mirror equipped with a grasp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iature mirror provided with a grasping portion, which can be easily grasped and used between the fingers of a user and / or the palm of a user.

일반적으로,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끼우기 위해서 많은 사람은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거울을 사용한다.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끼울 때 화장대와 같이 거울을 세워놓고 화장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화장대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휴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거울이 사용되었고, 이는 다양한 크기, 형태, 및 색깔로 제조되어 왔다. In general, many people use mirrors to look at their own faces in order to make up or put contact lenses. When making a makeup or putting on a contact lens, there is a case where a mirror is set up and a makeup is made like a dressing table. However, the dressing table is bulky and heavy and can not be carried. Portable portable mirrors have been used, which have been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sizes, shapes, and colors.

현재, 화장할 경우에 사용되는 휴대용 거울 종류로는 크게 힌지결합된 콤팩트형 손거울 또는 손잡이가 구비된 거울로 분류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를 끼우거나 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거울로서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 내부 상측에 구비된 거울이 있다.Currently, portable mirror types used for make-up can be largely classified as hinged compact type hand mirrors or mirrors with handles. As a mirror normally used for inserting a contact lens or checking the state of the eye, there is a mirro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ontact lens case.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용 거울 종류들에 의하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용 거울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만이 자유로움으로,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낄 때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예를 들면, 화장을 할 때 눈 점막을 채우듯이 아이라인을 그리려면 보통 한 손으로 눈꺼풀을 살짝 누르고 다른 한 손으로 아이라인을 그려야 하는데, 이와 같은 화장은 실질적으로 한 손만으로는 하기 매우 어렵다.However, according to these kinds of portable mirrors, the user is inconvenienced when he / she is holding the portable mirror with one hand and only the other hand is free to put on the makeup or contact lens. For example, in order to draw an eye line as if filling the mucous membrane of the eye when making up, it is usually necessary to depress the eyelid with one hand and draw the eye line with the other hand, and such makeup is practically hard to do with just one hand.

또한, 콘택트 렌즈를 낄 때도 한 손으로 눈 꺼풀을 위로 올리고 눈 밑을 아래로 당기면서 다른 한 손으로 콘택트 렌즈를 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동작도 한 손만으로는 하기 매우 어렵다. Also, when putting on the contact lens, one should raise the eye lid with one hand and pull the contact lens down with the other hand, which is very difficult to do with only one hand.

따라서,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끼는 동시에 거울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거울이 필요하였으며, 일본공개실용신안 제3161150호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종래기술의 한 예시이다.Therefore, a portable mirror capable of easily using a mirror at the same time as putting on a makeup or a contact lens was required, and Japanese Utility Model Utility 3161150 i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developed for this purpose.

일본공개실용신안 제3161150호는 양손이 자유롭게 되는 거울에 관한 것으로, 거울로부터 연장형성된 신축관이 구비되어, 의자에 착석하고 있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파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울이 제공된다.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161150 relates to a mirror in which both hands are made free, and a telescopic tube extending from a mirror is provided, and a mirror configured to be held between the legs of a user seated on the chair is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된 거울은 양손이 자유롭게 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으나, 사용자는 이를 사용하기 위해 착석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즉, 앉을 곳이 없을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거울을 사용하기 위해 신축관의 길이를 연장 또는 줄이면서 조절해야 하는데, 매번 사용하기 위해 길이를 늘이고 다시 휴대가 편하도록 길이를 줄이는 작업은 번거로우며 시간이 낭비된다. The mirror thus constructed has the advantage of freeing both hands, but the user must be seated to use it. In other words, there is a limit to inconvenience when there is no place to sit. Also, in order to use the mirror, the length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ube must be adjusted by extending or decreasing the length. To increase the length for each use and to shorten the length for easy carrying again is troublesome and time consuming.

따라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면서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용이하게 낄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거울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a handy mirror is needed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ywhere, and is designed to make a makeup or a contact lens easily while using it.

JPJP 31611503161150 UU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되,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낄 수 있도록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iature mirror that can be grasped by one hand and includes a grasping portion for making or using a contact lens by using both hand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은 적어도 일 측면이 굴곡지거나 각진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구부림 가능한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거울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와 연결됨으로써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act mirror including a grasping portion having a grasping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such that at least one side thereof is bent or angled; A bendable position adjuster connected to the gripper; And a mirror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wherein the gripping unit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to form a jaw.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소정 두께의 막대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sition adjuster is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또한, 상기 파지부는 클로버형, 구형, 굴곡진 측 및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사각형 프리즘, 굴곡진 삼각형 프리즘, 굴곡진 사각형 프리즘,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삼각형 프리즘, 육각형 프리즘, 눈사람 형상, 땅콩형상, 강낭콩형상, 표면 일부에 소정의 형상이 파여진 구형, 반구형, 타원형상, 다른 재질의 테두리가 구비된 굴곡진 측 및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사각형 프리즘, 타원형 프리즘, 원형 프리즘, 및 실린더형상 중 어느 하나로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may include a rectangular prism having a clover shape, a spherical shape, a curved side and a concave side, a curved triangular prism, a curved square prism, a triangular prism having a concave side, a hexagonal prism, a snowman shape, An elliptical prism, a circular prism, and a cylinder shape having a curved side and a concave side provided with a rim of spherical shape, hemispherical shape, elliptical shape, or oth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n a part of the surface .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조절부가 고정되는 파지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연결부에 의해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는 탈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rip portion includes a grip portion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is fixed, and the grip portion and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are detachable by the grip portion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파지부는 단단한 재질의 클립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a clip shape of a hard material.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provided to fully expla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은 파지부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위치조절부의 일부와 파지부가 손가락 사이에 또는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 파지가 용이하며 거울의 위치가 편리하게 고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iniature mirror equipped with the grasp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ngers or between the fingers and the palm of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grasping portion, The position can be conveniently fixed.

또한, 한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면서 그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자유롭게 사용가능하여 결국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낄 수 있다.
Also, at least one finger of the hand is freely usable with ease with one hand,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for makeup or contact lens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을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거울보호부 및 거울연결부를 더 양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o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다양한 파지부들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ll mirror having a grip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ll mirror with grips shown in FIG. 1 at different angles.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irror protecting portion and the mirror connecting portion of the miniature mirror with the holding portion shown in FIG. 2 more preferably.
4A to 4O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apes of various grip portions of a miniature mirror having a grip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small mirror having a grip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erms and words u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unconditionally limit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best wa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cepts of various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 these terms and words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a defined term.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may include singular do.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re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another elem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comprises " does not exclude any other element, It can mean that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 when it is stated that an element is "inside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 contact with the other element,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when the componen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mponen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third component or means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I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eaning of the element is not limited by such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indicate relative positions in the drawing, Unless an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for these position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se position-related terms refer to absolute positions.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part", "unit", "module", "device" and the like mean a unit capable of handl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drawings to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ymbol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like of each constituent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exaggerated or omitted or omitted for the sake of clarity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the proportion or scale may not be rigorous.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Fur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that is considered to be unnecessarily blur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pact mirror with a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을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거울몸체 및 거울연결부를 더 양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overall structure of a small mirror equipped with a grip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miniature mirror having a gras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niature mirror having the grasper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irror body and the mirror connection portion of the miniature mirror with the grip portion shown in Fig. 2 bet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은 적어도 일 측면이 굴곡지거나 각진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파지부(100), 파지부(100)에 연결된 위치조절부(200), 및 위치조절부(200)에 연결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거울부(300)를 포함한다.A small mirror having a gras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asping portion 100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have at least one side bent or angled,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0 connected to the grasping portion 100, And a mirror unit 30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00.

파지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적어도 일 측면이 굴곡지거나 각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0)는 굴곡진 측(110) 및 이에 의해 규정된 굴곡진 홈(120)을 포함한다. The grip portion 100 is formed to be easily grasped by a user with a hand, and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at least one side thereof is curved or has an 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2, the grip portion 100 includes a curved side 110 and a curved groove 120 defined thereby.

파지부(100)에 굴곡진 측(110) 및 굴곡진 홈(120)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손 안에 더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00)는 위치조절부(200)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고, 위치조절부(200)와 구별된 부피를 가짐으로써 위치조절부(200)의 일부가 사용자 손가락 사이에 더 용이하게 끼워져, 자연스럽게 파지부(100)가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파지부(100)는 위치조절부(200)와 연결됨으로써 턱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부분은 이와 같은 턱에 용이하게 걸쳐질 수 있다.The grip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the curved side 110 and the curved groove 120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more easily in the user's hand. The grip portion 100 provides a surface to which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200 can be easily connected and has a volume different from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200 so that a part of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user's fingers So that the grip portion 100 can naturally be positioned and fixed between the finger and the palm. That is, the grip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0 to form a jaw, and a portion between the fingers of the user can easily be spread on the jaw.

또한, 파지부(100)는 파지부연결부(130)를 더 포함하여 위치조절부(200)가 파지부(100) 상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200)는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철사가 내장된 와이어 또는 자바라로 제작된 소정 두께의 막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connection portion 130 so that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200 can be easily fixed on the grip portion 100. The position adjuster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bent, for example, a wire having a built-in wire or a bar made of a bellows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위치조절부(200)는 파지부연결부(130)에 고정될 때 파지부연결부(130)에 끼움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위치조절부(200)가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200) 및 파지부연결부(130)의 표면 일부 각각에는 암나사 및 수나사의 나사산이 구비되어 위치조절부(200)와 파지부연결부(130)가 서로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200 may have a fitting groove (not shown) in the gripping part connecting part 130 when the gripping part connecting part 130 is fixed to the gripping part connecting part 130 so that the position adjusting part 200 can be fitted.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emale thread and the male thread is provided on each of the surface portions of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0 and the grip portion connecting portion 130 so that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0 and the grip portion connecting portion 130 are rota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위치조절부(200)가 파지부(1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파지부(100)가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적합한 크기의 파지부(100)가 선택되어 교체되거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형상 및 색깔의 디자인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grip unit 100, the grip unit 100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ccordingly, the grip portion 100 of a suitable size can be selected and replaced in the user's hand, or a design of a user's preferred shape and color can be selected and applied.

거울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에 의하여 상이 비춰지는 소정 크기의 거울(310), 거울(310)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거울보호부(320), 및 거울보호부(320)의 일측에 구비된 거울연결부(3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irror unit 300 includes a mirror 3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mirrored by reflection, a mirror protecting unit 320 that covers and protects at least a part of the outside of the mirror 310, And a mirror connection part 3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rror protection part 320. [

거울(310)의 크기는 직경이 2cm 내지 6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3c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직경의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제작된다. 거울보호부(320)는 거울(310)을 감싸는 테두리를 포함하며, 거울(3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거울(310)이 외부물질로 오염되거나 긁히지 않도록 거울커버(미도시)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mirror 310 is preferably 2 cm to 6 cm in diameter, more preferably circular, square or the like with a diameter of about 3 cm. The mirror protecting portion 320 includes a frame surrounding the mirror 310 and further includes a mirror cover 310 to prevent the mirror 310 from being contaminated or scratched by foreign materials when the mirror 310 is not used Lt; / RTI >

다른 일 실시예에서 거울부(300)는 거울(310)을 두 개 포함할 수 있어, 거울보호부(320)를 기준으로 양측에 거울(310)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거울(320)은 서로 다른 비율의 상을 비추는 것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 정밀하게 화장을 하고자 할 때, 또는 얼굴의 더 많은 면적을 보고 싶을 때 이에 적합한 거울(3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irror 300 may include two mirrors 310 so that the mirrors 31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irror guard 320. Each mirror 3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lluminate different ratios of the image so that when the user wishes to make more precise or when he or she wants to see more of the area of the face, It can be used selectively.

또한, 거울(310)이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경우에, 파지부(100)가 파지된 상태에서 거울(31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거울부(300)는 위치조절부(200)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rror unit 300 is rotated 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00 to selectively use the mirror 310 in a state where the grip unit 100 is gripped when the mirror 310 is provided in two or more positions, .

즉, 거울연결부(330)의 내측과 거울부(300) 측의 위치조절부(200)의 외측에는 각각 슬라이딩 홈(미도시) 및 이에 삽입되는 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거울부(300)와 위치조절부(200)는 볼 캐스터와 스프링과 같은 구성으로 거울연결부(330)에서 연결된 수 있다. In other words, a sliding groove (not shown) and a protrusio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mirror connection part 330 and the outside of the position adjustment part 200 on the side of the mirror part 300, respectively, may be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the mirror 300 and the position adjuster 200 may be connected at the mirror connection 330 in a configuration such as a ball caster and a spring.

도 4a 내지 도 4o를 참조하여 파지부(10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3 및 5에 도시된 파지부(100)는 클로버형이지만, 본원 발명에 따르는 파지부(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내지 도 4o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다양한 파지부들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Various shapes of the gripp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O. The grip portion 100 shown in Figs. 1 to 3 and 5 is a clover type, but the grip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4A to 4O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shapes of various grip parts of a miniature mirror having a grip par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o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0)는 구형(a), 굴곡진 측 및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사각형 프리즘(b), 굴곡진 삼각형 프리즘(c), 굴곡진 사각형 프리즘(d),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삼각형 프리즘(e), 육각형 프리즘(f), 눈사람 또는 땅콩형(g), 강낭콩형(h), 표면 일부에 소정의 형상이 파여진 구형(i), 반구형(j), 타원형(k), 다른 재질의 테두리가 구비된 굴곡진 측 및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사각형 프리즘(l), 타원형 프리즘(m), 납작한 원형 프리즘(n), 및 실린더형(o) 중 어느 하나로도 형성될 수 있다. 4A to 4O, the grip portion 100 includes a rectangular prism b having a sphere a, a curved side and a concave side, a curved triangular prism c, a curved square prism a triangular prism e having a concave side, a hexagon prism f, a snowman or a peanut g, a kidney bean h, a spherical shape i, (o), an elliptical prism (m), a flat circular prism (n), and a cylinder (o), an elliptical shape (k), a curved prism 1 having a curved side and a concave side with different material rims, But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m.

파지부(100)의 형상으로는 이외에도 특정 인기 캐릭터 모양, 손으로 파지되는 것 외에도 손가락 또는 다른 표면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압착컵, 또는 단단한 재질의 클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shape of the grip portion 100, the grip portion 100 may be formed of a specific popular character shape, a squeeze cup made of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that can be pressed and fixed to a finger or other surface in addition to gripping by hand, or a hard material clip .

다른 일 실시예에서 파지부(100)는 도 4f에 도시된 육각형 프리즘과 같이 굴곡진 측(110) 대신 각진 측(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굴곡진 홈(120)이 없더라도 파지부(100)는 위치조절부(200)와 구별된 소정의 부피를 갖는 것으로, 위치조절부(200)의 일부가 사용자 손가락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지고 파지부(100)가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grip portion 100 may include an angled side (not shown) instead of the curved side 110, such as the hexagonal prism shown in FIG. 4F, and even if there is no curved groove 120, 100 have a predetermined volum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adjusting part 200 so that a part of the position adjusting part 200 is easily fitted between the user's fingers and the grip part 100 is positioned and fixed between the fingers and the palm .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이 사용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Referring to FIG. 5, a method by which a small mirror with a grip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a user will be described.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small mirror having a grip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파지부(100)를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위치시키고 위치조절부(200)의 일부는 손가락 사이에 걸쳐지면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습니다. 위치조절부(200)의 위치 및 구부러진 정도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얼굴 일부, 예를 들면 눈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낄 때 눈을 볼 수 있도록 사용자가 다른 한 손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ser can place the grip portion 100 between the fingers and the palm, and a portion of the position adjuster 200 can be fixed between the fingers. The position and degree of bending of the position adjuster 200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user with the other hand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part of the user's face, for example, when making eye makeup or wearing the contact lens.

파지부(100)는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지를 위해서 전체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나머지 손가락으로 필요에 따라 눈 밑을 당기거나 눈 꺼풀을 올리거나, 콘택트 렌즈를 손 가락으로부터 안구로 옮길 수 있다. The grip portion 100 is configured to be easily gripped by a hand so that it does not need to be held by the entire hand in order to grasp it. Therefore, the other fingers may pull the under eye, raise the eye lid if necessary, To the ey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파지부(100)가 구비된 소형 거울은, 손으로 용이하게 감쌀 수 있는 형태 및 크기의 파지부(100)와 파지부(100)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위치조절부(200)를 포함함으로써 위치조절부(200)의 일부와 파지부(100)가 손가락 사이에 또는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파지가 용이하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자유롭게 사용가능하여 결국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화장을 하거나 콘택트 렌즈를 낄 수 있다.
Therefore, the miniature mirror equipped with the grasping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rasping portion 100 of a shape and size that can be easily wrapped by the hand, and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200 A part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00 and the grip unit 100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ngers or between the fingers and the palm so as to be easy to grip and at least one of the fingers can be freely used, You can wear makeup or contact lenses.

100: 파지부
110: 굴곡진 측
120: 굴곡진 홈
130: 파지부연결부
200: 위치조절부
300: 거울부
310: 거울
320: 거울보호부
330: 거울연결부
100:
110: curved side
120: curved groove
130:
200:
300: mirror part
310: Mirror
320: Mirror protection part
330: Mirror connection

Claims (5)

적어도 일 측면이 굴곡지거나 각진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구부림 가능한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에 연결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거울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와 연결됨으로써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
A grip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such that at least one side thereof has a curved shape or an angular shape;
A bendable position adjuster connected to the gripper; And
And a mirror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Wherein the grip portion is formed with a jaw by being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Small mirror with gri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소정 두께의 막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is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Small mirror with gri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클로버형, 구형, 굴곡진 측 및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사각형 프리즘, 굴곡진 삼각형 프리즘, 굴곡진 사각형 프리즘,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삼각형 프리즘, 육각형 프리즘, 눈사람 형상, 땅콩형상, 강낭콩형상, 표면 일부에 소정의 형상이 파여진 구형, 반구형, 타원형상, 다른 재질의 테두리가 구비된 굴곡진 측 및 오목한 측이 구비된 사각형 프리즘, 타원형 프리즘, 원형 프리즘, 및 실린더형상 중 어느 하나로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portion may include a rectangular prism having a clover shape, a spherical shape, a curved side and a concave side, a curved triangular prism, a curved square prism, a triangular prism having a concave side, a hexagonal prism, a snowman shape, A rectangular prism, a circular prism, and a cylinder shape having a curved side and a concave side provided with a rim of a predetermined shape, a hemispherical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nother material with a rim ≪ / RTI >
Small mirror with gri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조절부가 고정되는 파지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연결부에 의해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는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includes a grip portion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position adjustment portion is fixed,
Wherein the grip portion and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are detachable by the grip portion connecting portion.
Small mirror with gri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단단한 재질의 클립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부가 구비된 소형 거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a clip shape of a hard material.
Small mirror with grips.
KR1020160169547A 2016-12-13 2016-12-13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KR101747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47A KR101747050B1 (en) 2016-12-13 2016-12-13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47A KR101747050B1 (en) 2016-12-13 2016-12-13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050B1 true KR101747050B1 (en) 2017-06-14

Family

ID=5921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547A KR101747050B1 (en) 2016-12-13 2016-12-13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05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744B2 (en) 1992-09-11 2000-12-04 永大産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consolidated wood
JP3153530B2 (en) 1999-06-14 2001-04-09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Direct spread rece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744B2 (en) 1992-09-11 2000-12-04 永大産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consolidated wood
JP3153530B2 (en) 1999-06-14 2001-04-09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Direct spread recei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5343B1 (en) Ergonomic housing for electroacoustic transducers and ultrasound probe with said housing
US975761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ropharyngeal isometrics and dynamics
US20210037127A1 (en) Portable device holder
US3744883A (en) Magnifying attachment for tweezers
US9301872B2 (en) Contact lens wearing and removing clip
KR101747050B1 (en) A small-sized mirror having a gripper part
US8460488B2 (en) Eyeglasses holder clip
JP2012515366A (en) Glasses holding device and combination of glasses frame and glasses holding device
US20200146476A1 (en) Neck Pillow Device Stand
US20020092170A1 (en) Long handle toenail clipper
US20120152055A1 (en) Steering wheel for vehicles with ergonomic handles
CN205137024U (en) It is folding from rapping bar
US10034544B2 (en) Jewelry detangling system
US9301601B2 (en) Hands-free reading holder
WO2019218692A1 (en) Mobile telephone stand
JP4240334B2 (en) Fishing rod support
CN105828549A (en) Mobile terminal housing
KR101935914B1 (en) Folding type magnifying glass for potable with handle
KR20160064430A (en) Artificial eyelashes auxiliary equipment
US20150226955A1 (en) Bangle with magnifying lens and illumination device
JP2004229710A (en) Mascara stick
JP3137758U (en) Beauty face
KR20170004394U (en) A cosmetic device
JP4510585B2 (en) Camera shoulder pad
JP2011104236A (en) Mass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