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766B1 - 멀티-가입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멀티-가입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766B1
KR101746766B1 KR1020167023247A KR20167023247A KR101746766B1 KR 101746766 B1 KR101746766 B1 KR 101746766B1 KR 1020167023247 A KR1020167023247 A KR 1020167023247A KR 20167023247 A KR20167023247 A KR 20167023247A KR 101746766 B1 KR101746766 B1 KR 10174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ption
access terminal
absolute grant
ignoring
uplin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237A (ko
Inventor
시타라만자네유루 카나말라푸디
체탄 고팔라크리쉬난 차크라바르티
아빈드한 쿠마르
아라빈드흐 수리야무르티
파반쿠마르 갑비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0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액세스 단말들은 멀티-가입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응된다. 하나의 예에 따라, 액세스 단말은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할 수 있다. 일정 기간의 시간 이후, 액세스 단말은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으로 튜닝할 수 있다.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액세스 단말은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수신되는 임의의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제 2 가입으로부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이 또한 포함된다.

Description

멀티-가입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PTIMIZED TUNE-AWAY OPERATIONS IN MULTI-SUBSCRIPTION COMMUNICATION DEVICES}
[0001] 본 특허 출원은 2014년 1월 30일자로 출원된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After a Tune Away in a Multi-SIM Communication Device"라는 명칭의 가출원 번호 제61/933,444호 및 2014년 8월 27일자로 출원된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ptimized Tune-Away Operations in Multi-Subscription Communication Devices"라는 명칭의 정규 출원 번호 제14/470,85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특허 출원은 상기 출원들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그에 의해 본원에 인용에 의해 명백하게 포함된다.
[0002] 아래에서 논의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멀티-가입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tune-away)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널리 전개된다. 통상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그 중에서도,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및 LTE(Long Term Evolution)뿐만 아니라,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의해 정의되는 cdma2000 1x 및 1xEV-DO에 기초하는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0004]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전력)을 공유하는 무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응되는 다양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활용하도록 적응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들로 지칭될 수 있다.
[0005] 서비스 제공자(또는 네트워크 운영자)는 별도로 유능한(differently capable) 액세스 단말들의 사용자들이 서비스 제공자의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전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LTE(eUTRA) 네트워크, 에볼루션-데이터 최적화 cdma2000(1xEV-DO) 네트워크(3GPP2 표준체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음), cdma2000 1x 네트워크(또한 3GPP2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음),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에어 인터페이스 또는 W-CDMA(wideband 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UMTS 네트워크, GSM와 같은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와 같은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전개할 수 있다.
[0006]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단말들은 2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상에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들은 종종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 또는 하이브리드 액세스 단말들로 지칭된다. 하나의 공통 하이브리드 액세스 단말은 1xEV-DO 네트워크들 및 cdma2000 1x 네트워크들 둘 다 상에서 통신할 수 있는 1x/DO 하이브리드 액세스 단말로 지칭될 수 있는 단일-SIM 디바이스이다. 하이브리드 액세스 단말의 또 다른 예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각각의 사용자 가입들에 대응하는 임의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네트워크들 상에서 통신할 수 있는 듀얼- 또는 멀티-SIM 디바이스이다. 즉, 특정 무선 네트워크들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의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식별한다.
[0007] 일부 무선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동시에 인스톨된 SIM들을 지원하며, 단일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트랜시버를 활용하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SIM들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액세스 단말들은 DSDS(dual-SIM dual-standby) 기능을 지원하며, 여기서, 페이지 메시지들을 수신 및 이들에 응답하는 것과 같은 유휴 모드 프로시저들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대기 기능들은 단일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상이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에 대한 2개의 가입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DSDS 기술들은 튠-어웨이 동작들이 단일 통신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다른 RAT에 대한 유휴 모드 프로시저들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하나의 RAT에 대한 활성 통신 채널들을 빈번하게 지원할 수 있다. 2개의 동시 가입들은 CS(circuit-switched) 및 PS(packet-switched) 트래픽의 일부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08] 다음의 설명은 논의되는 기술의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양상들을 요약한다. 이 요약은 본 개시 내용의 모든 참작되는 특징들의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본 개시 내용의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본 개시 내용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서술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이러한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요약 형태로 본 개시 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0009]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예들 및 구현들은 다수의 가입들을 이용하는 액세스 단말들에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라, 액세스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가입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입 모듈들은 제 1 가입과 연관된 제 1 가입 모듈 및 제 2 가입과 연관된 제 2 가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가입 모듈들은 프로세싱 회로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으로 튜닝(tune)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고,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가입과 연관된 송신을 수신할 수 있고, 송신은 절대적 그랜트(grant)를 포함한다. 후속적으로, 프로세싱 회로는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10] 본 개시 내용의 추가 양상들은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들 및/또는 이러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라, 이러한 방법들은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제 1 가입과 연관된 송신이 수신될 수 있고, 여기서, 송신은 절대적 그랜트를 포함한다. 그 다음, 업링크 데이터 송신들은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전송될 수 있다.
[0011] 본 개시 내용의 더 추가의 양상들은,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하게 하고,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게 하도록 적응되는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은,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게 하고, 그리고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0012] 본 개시 내용과 연관된 다른 양상들, 특징들 및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리뷰할 시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0013]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양상들에 따른 전기통신 시스템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4]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양상들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15] 도 3은 사용자 및 제어 플레인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16]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양상들에 따른,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17] 도 5는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의 포맷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8]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의 선택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9]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20]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또 다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21]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기술되는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개념들 및 특징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개념들이 이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설명되는 개념들 및 특징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공지된 회로들, 구조들, 기법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22] 본 개시 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아주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논의들의 특정 양상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및 시스템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지만, 당업자들은 본 개시 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이 이용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및 시스템들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0023]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이 애플리케이션을 발견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102)과 액세스 단말들(104)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응된다. 기지국들(102) 및 액세스 단말들(104)은 무선 신호들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무선 상호작용은 다수의 캐리어들(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멀티-캐리어 송신기들은 다수의 캐리어들 상에서 변조된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CDMA 신호, TDMA 신호, OFDMA 신호,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 등일 수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캐리어 상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정보(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전달할 수 있다.
[0024] 기지국들(102)은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액세스 단말들(104)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은 각각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으로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단말들(104)에 대한) 무선 연결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응되는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102)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BSS(basic service set), ESS(extended service set), Node B, 펨토 셀, 피코 셀 및/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0025] 기지국들(102)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 하에 액세스 단말들(104)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도 2 참조). 기지국(102) 사이트들 각각은 각각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의 각각의 기지국(102)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106)은 셀들(106-a, 106-b 또는 106-c)로서 식별된다. 기지국(102)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106)은 섹터들(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리지 영역의 단지 일부를 구성함)로 분할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시스템(100)은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102)을 포함할 수 있다.
[002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단말들(104)은 커버리지 영역들(110) 전역에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10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102)과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04)은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104)은 또한,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04)은 모바일 단말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고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04)의 예들은 모바일 폰, 페이저(pager), 무선 모뎀,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r),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팜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텔레비전, 어플라이언스, e-리더, DVR(digital video recorder),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 미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센서, 감지 디바이스,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라우터 및/또는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신하는 다른 통신/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0027]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선택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가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라 도시된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들(102)은 RAN(radio access network)(202)의 적어도 일부로서 포함된다. RAN(radio access network)(202)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단말들(104)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테면, 코어 네트워크(204)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의 트래픽 및 시그널링을 관리하도록 적응된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202)는, 다양한 구현들에 따라, BSS(base station subsystem), 액세스 네트워크,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으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0028]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102)과 더불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202)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 당업자들에 의해 또한 지칭될 수 있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20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206)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제어기(206)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102)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커버리지 영역들 내에서의 무선 연결들의 설정, 릴리즈 및 유지를 담당한다. 기지국 제어기(206)는 코어 네트워크(204)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드들 또는 엔티티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0029] 코어 네트워크(204)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202)를 통해 연결되는 액세스 단말들(104)에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일부분이다. 코어 네트워크(204)는 CS(circuit-switched) 도메인 및 PS(packet-switched)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회선-교환 엔티티들의 일부 예들은 MSC/VLR(208)뿐만 아니라 GMSC(Gateway MSC)(210)로서 식별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을 포함한다. 패킷-교환 엘리먼트들의 일부 예들은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212)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214)을 포함한다. EIR, HLR, VLR 및/또는 AuC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포함될 수 있고, 이들 전부 또는 그 일부는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 도메인들 둘 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04)은 회선-교환 도메인을 통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216)으로의 그리고 패킷-교환 도메인을 통해 IP 네트워크(218)로의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다.
[0030] 액세스 단말(104)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기지국(102))과 액세스 단말(104) 사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를 이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은 일반적으로, 계층들이 이들의 식별 번호의 순서로 표현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대한 계층화된 아키텍처의 개념적 모델을 포함하고, 여기서, 전달된 데이터는 그들의 표현 순서로, 각각의 계층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로세싱된다. 그래픽적으로, "스택"은 전형적으로 기저에 최저 식별 번호를 가지는 계층으로 수직으로 도시된다. 도 3은 액세스 단말(1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일부 예들에서, 시그널링 프로토콜 스택은 NAS(Non-Access Stratum) 및 AS(Access Stratum)로 분할된다. NAS는 액세스 단말(104)과 코어 네트워크(204) 사이에서의 시그널링을 위해서 상위 계층들을 제공하며(도 2 참조), 회로 스위칭 및 패킷 스위칭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는 RAN(202)과 액세스 단말(104) 사이에서의 시그널링을 위해서 하위 계층들을 제공하며, 사용자 플레인 및 제어 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플레인 또는 데이터 플레인은 사용자 트래픽을 전달하는 반면, 제어 플레인은 제어 정보(즉, 시그널링)를 전달한다.
[003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104)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는, 일반적으로 3개의 계층들: 계층 1(L1), 계층 2(L2) 및 계층 3 (L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계층 1(302)은 최저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302)은 또한, 본원에서 물리 계층(302)으로 지칭된다. 이 물리 계층(302)은 액세스 단말(104)과 기지국(102) 사이의 라디오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제공한다.
[0032] 계층 2(또는 "L2 계층")(304)라 칭해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302) 위에 있으며, 계층 3에 의해 생성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전달을 담당한다. L2 계층(304)은 물리 계층(30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L2 계층(304)은 다수의 서브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2 계층(304)은 MAC(Medium Access Control) 서브계층(306) 및 RLC(Radio Link Control) 서브계층(308)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플레인에서, L2 계층(304)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서브계층(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33] MAC 서브계층(306)은 L2 계층(304)의 하위 서브계층이다. MAC 서브계층(306)은 매체 액세스 프로토콜을 구현하며, 물리 계층(30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들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전송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306)은 상위 계층들로부터 공유된 에어 인터페이스로의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0034] RLC 서브계층(308)은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기인한 비순차적(out-of-order) 수신을 보상하기 위해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세그멘테이션 및 리어셈블리,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송신 및 데이터 패킷들의 재순서화를 제공한다.
[0035] PDCP 서브계층(310)은 상이한 라디오 베어러들과 논리 채널들 사이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310)은 또한, 라디오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의 암호화에 의한 보안 및 기지국들(102) 사이의 액세스 단말들(104)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0036] 상위 계층 또는 L3 계층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계층 3(312)은 기지국(102)과 액세스 단말(104)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의 타이밍 및 의미(semantics)에 따라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발신 및 종료한다. L3 계층(312)은 L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정보(데이터 및 음성 둘 다) 메시지는 또한, L3 계층(312)을 통과한다.
[0037] L3 계층(312)은 액세스 단말(104)과 기지국(102) 사이의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을 핸들링하도록 적응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서브계층(314)을 포함한다. RRC 서브계층(314)은 더 높은 계층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고, 브로드캐스팅 및 페이징 기능들을 핸들링하고, 라디오 베어러들을 설정 및 구성하는 등을 위한 다수의 기능적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0038]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단말(104)은 단일 트랜시버를 통한 다수의 가입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4)은 DSDS(dual-SIM, dual standby) 동작들 및/또는 DSDA(dual-SIM, dual-active) 동작들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듀얼 SIM들은 단지 하나의 경우이고, 본 개시 내용의 양상들은 임의의 수의 SIM들을 가지는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서, 본 개시 내용은 튠-어웨이 동작들을 이용하는 임의의 이러한 멀티-가입(멀티-SIM)을 광범위하게 지칭하기 위해서 DSDx 기능을 언급할 것이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104)은, 예를 들어, 2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가입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통신 활동들(상이한 네트워크들,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상이한 가입들,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의 다수의 셀들, 또는 심지어, 일부 경우들에서,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동일한 셀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동시에 또는 동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SDx 액세스 단말(104)은 또 다른 가입에 대한 다른 통신 활동들, 이를테면, 페이징 메시지들의 수신, SMS 메시징의 수행, 또는 상이한 셀로부터 또는 상이한 가입에 대한 다른 정보의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하나의 가입에 대한 진행 중인(ongoing) 통신 활동들에 계속 관여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0039] 도 4를 참조하면, 단일 RF 체인(예를 들어, 트랜시버) 및 DSDx 능력들을 가지는 액세스 단말(104)은 제 1 가입(402)에 대해 활성적일 수 있다. 제 1 가입(402)에 대해 활성적인 상태에서, 액세스 단말(104)은 RF 체인을 제 2 가입(404)으로 튜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회들에서, 액세스 단말(104)은 제 2 가입에 대한 MT(Mobile Terminated) 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PCH(paging channel)에 대한 PI(Paging Indicator)들을 판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가입(404)은 사실상 단지 예시일뿐이며, 액세스 단말(104)은 임의의 수의 가입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가입"이라는 용어는 제 1 가입(402) 외의 임의의 가입을 지칭할 수 있다. 제 2 가입(404)에 대한 페이징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현재 제 1 가입(402)으로부터 튜닝하는 이 프로세스는 DSDx 튠-어웨이로 지칭된다. 튠-어웨이 동작 동안, 트랜시버는 제 1 가입(402)으로부터 제 2 가입(404)으로 튜닝된다. 결과적으로, 전형적으로 제 1 가입(402)에 대한 어떠한 통신도 존재하지 않지만, 트랜시버는 제 2 가입(404)으로 튜닝된다. DSDx 기능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 특정적이고, 어떠한 튠-어웨이 동작들에 대한 표준-특정 프로시저들 또는 프로토콜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가입(402)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액세스 단말(104)에 대한 트랜시버 상태에 대해 알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제 1 가입(402)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는 어떠한 액세스 단말(104)로부터의 업링크 송신들, 전력 제어 비트들의 손실 등을 갑작스럽게 경험하지 않을 수 있다.
[0040]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단말(104)에 의한 갑작스러운 사일런스(sudden silence)는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의해 액세스 단말(104)에 할당되는 자원들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들에 의해 이용되는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에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한 그랜트는 액세스 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정보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완전히 관리된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은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송신함으로써 자원들에 대한 그것의 필요성을 표시한다.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는 전형적으로 MAC-e 또는 MAC-i PDU(protocol data unit)의 끝에 로케이팅되며, 액세스 단말(104)에 의해 요구되는 시스템 자원들의 양 및 그것이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자원들의 양을 더 양호하게 고려하여 서빙 기지국(예를 들어, Node B)에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0041] 도 5는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500)의 포맷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는 UPH(UE(User Equipment) power headroom) 필드(502), TEBS(total E-DCH buffer status) 필드(504), HLBS(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buffer status) 필드(506) 및 HLID(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ID) 필드(508)를 포함할 수 있다.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 그것의 컨텐츠들은 E-TFC 선택 프로시저의 적응 이후 버퍼 상태를 통해 각각의 새로운 송신에서 업데이트된다.
[0042] 네트워크가 액세스 단말로부터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송신을 수신하는 경우,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 내의 수신된 정보뿐만 아니라, 임의의 현재 진행 중인 송신들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그랜트를 액세스 단말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이 하이 버퍼들을 표시하고, 어떤 것도 송신하고 있지 않으면, 네트워크는 액세스 단말이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자원이 공통 자원이며, 일부 다른 액세스 단말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때, 네트워크는 액세스 단말로 그랜트되는 자원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43] 액세스 단말에 의한 SI(scheduling information) 송신들의 타이밍 및 기회는 UMTS (예를 들어, 3GPP TS 25.321 v11.5.0 또는 그 이전의 것, 섹션 11.8.1.6.*: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참조)에 대한 표준에 의해 관리된다. 즉,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의 송신은 일반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전송 블록 크기들의 양자화에 기인하여 또는 UMTS에 대한 표준들에서 정의되는 트리거들에 기초하여 개시된다. 액세스 단말로부터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들을 수신하지 않고, 네트워크는 액세스 단말의 현재 상태에 대해 알지 못한다. 따라서, DSDx 액세스 단말(104)이 제 2 가입에 대해 통신하기 위해서 UMTS 네트워크에 대한 제 1 가입으로부터의 튠-어웨이 동작들을 수행하는 경우, 액세스 단말(104)은 제 1 가입을 통한 자신의 통신 활동을 중단시킨다. 네트워크는 통신 활동의 중단이 액세스 단말(104)이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는 라디오 자원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104)에 대한 그랜트를 최소 레벨로 감소시킨다. 그 다음, 네트워크는 AGCH(Absolute Grant Channel) 상에서 절대적 그랜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최소 그랜트로의 또는 제로 그랜트로의 이러한 그랜트의 감소를 시그널링한다.
[0044] 따라서, 액세스 단말(104)이 FTP 전달과 같은 비교적 큰 데이터 송신에 관여되는 경우에도, 액세스 단말(104)로 그랜트되는 업링크 자원들은 튠-어웨이 이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손실될 수 있다. 추가로, 절대적 그랜트들이 단계들에서 증분적으로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튠-어웨이 메커니즘은 업링크 스루풋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킨다.
[0045] 이 문제는 DSDx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들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액세스 단말이 튠-어웨이를 수행한 이후 그랜트를 갑자기 감소시키며, 단지 단계들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한 그랜트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튠-어웨이들이 충분히 빈번하면 또는 그랜트의 증가가 매우 느리면, 액세스 단말은 데이터 전달을 완료하기 위해서 충분히 긴 듀레이션 동안 피크 그랜트를 전혀 홀딩할 수 없다. 하지만, 데이터 전달이 완료되는 경우에도, 액세스 단말은 열등한(inferior) 업링크 스루풋 성능을 겪을 수 있다.
[0046] 본 개시 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라, 빈번한 튠-어웨이 동작들에 관여되는 경우에도, 액세스 단말들은 업링크 스루풋의 저하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응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액세스 단말들은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미리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도록 적응된다. 추가 예들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액세스 단말들은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를 종료한 이후(예를 들어,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즉시(또는 미리 결정된 인터벌 이후) SI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적응된다. 다른 추가 예들에서, 본 개시 내용의 액세스 단말들은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를 종료한 이후 미리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 수신되는 절대적 그랜트들의 무시 및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를 종료한 이후 SI 메시지의 강제적 전송 둘 다를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0047]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600)의 선택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액세스 단말(600)은 통신 인터페이스(604) 및 저장 매체(606)에 커플링되거나, 이들과 전기 통신하도록 배치되는 프로세싱 회로(602)를 포함한다.
[0048] 본 개시 내용의 양상에 따라, 액세스 단말(600)은 다수의 가입들을 이용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액세스 단말(600)은 일반적으로 SIM-A(608) 및 선택적 SIM-B(610)에 의해 표현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가입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 모듈들(608, 610)은 또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으로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지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가입 모듈들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CSIM(CDM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을 포함하는(그러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적합한 가입 모듈들일 수 있다. SIM-A(608) 및 SIM-B(610)는 상이한 서비스 가입, 동일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타입 상에서의 상이한 네트워크 액세스 및/또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사용과 연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SIM-A(608)는 UMTS 네트워크 상에서의 제 1 가입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SIM-B(610)는 또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의 제 2 가입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0049] 프로세싱 회로(602)는 데이터를 획득, 프로세싱 및/또는 전송하고, 데이터 액세스 및 저장을 제어하며, 커맨드들을 발행하고, 다른 원하는 동작들을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프로세싱 회로(602)는 적절한 매체들에 의해 제공되는 원하는 프로그래밍을 구현하도록 적응되는 회로 및/또는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6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제어기들 및/또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다른 구조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602)의 예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signal)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컴포넌트,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뿐만 아니라,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602)는 또한, 컴퓨팅 컴포넌트들의 결합, 이를테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ASIC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변경 구성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602)의 이러한 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의 다른 적합한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0050] 프로세싱 회로(602)는 저장 매체(606) 상에 저장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의 실행을 비롯한 프로세싱을 위해서 적응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래밍"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든, 펌웨어로 지칭되든, 미들웨어로 지칭되든, 마이크로코드로 지칭되든, 하드웨어 기술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그 외의 것들로 지칭되든 간에, 제한 없이,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한 것들(exeutables),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0051] 일부 경우들에서, 프로세싱 회로(602)는 튠-어웨이 제어기(612)를 포함할 수 있다.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회로 및/또는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저장 매체(606) 상에 저장되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튠-어웨이 제어기는 AG(absolute grant) 메시지 제어기(614) 및/또는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 제어기(616)를 포함한다. AG(absolute grant) 메시지 제어기(614)는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를 종료(exit)한 이후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 액세스 단말(600)에 의해 수신되는 절대적 그랜트 메시지들을 무시하도록 적응되는 회로 및/또는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저장 매체(606) 상에 저장되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다.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 제어기(616)는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를 종료한 이후 즉시(또는 미리 결정된 인터벌 이후)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적응되는 회로 및/또는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저장 매체(606) 상에 저장되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다.
[0052] 통신 인터페이스(604)는 액세스 단말(600)의 무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60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해 양방향으로 정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응되는 회로 및/또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0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도시되지 않음)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회로(618)(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수신기 체인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회로(620)(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기 체인들)를 비롯한 무선 트랜시버 회로를 포함한다.
[0053] 저장 매체(606)는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코드 또는 명령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전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다른 디지털 정보와 같은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표현할 수 있다. 저장 매체(606)는 또한, 프로그래밍을 실행시킬 때 프로세싱 회로(602)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저장 매체(606)는, 휴대용 또는 고정식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및 프로그래밍을 저장, 포함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들을 비롯한,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저장 매체(606)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저장 매체(예를 들어,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레지스터, 이동식(removable) 디스크 및/또는 프로그래밍을 저장하기 위한 다른 매체들뿐만 아니라 이들의 임의의 결합과 같은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0054] 저장 매체(606)는 프로세싱 회로(602)가 저장 매체(606)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606)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회로(60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즉, 저장 매체(606)는, 저장 매체(606)가 프로세싱 회로(602)의 구성요소(integral)인 예들 및/또는 저장 매체(606)가 프로세싱 회로(602)로부터 분리되어 있는(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600)에 상주함, 액세스 단말(600)의 외부에 있음,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됨) 예들을 비롯하여, 저장 매체(606)가 프로세싱 회로(602)에 의해 적어도 액세스가능하도록 프로세싱 회로(602)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55] 저장 매체(606)에 의해 저장되는 프로그래밍은, 프로세싱 회로(60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회로(602)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 및/또는 프로세스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들을 수행하게 한다. 적어도 일부 예들에서, 저장 매체(606)는 튠-어웨이 동작(6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튠-어웨이 동작들(622)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602)로 하여금,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 동작들을 수행할 때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 자원들을 유지하게 하도록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튠-어웨이 동작들(622)은 AG(absolute grant) 메시지 동작들(624) 및/또는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 동작들(626)을 포함할 수 있다.
[0056]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에 따라, 프로세싱 회로(602)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액세스 단말들(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4), 액세스 단말(600)) 전부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프로세스들,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루틴들 전부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저장 매체(606)와 함께)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602)에 관하여 "적응되는"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특징들에 따라 특정한 프로세스, 기능, 단계 및/또는 루틴을 수행하도록 (저장 매체(606)와 함께) 프로세싱 회로(602)가 구성되는 것, 이용되는 것, 구현되는 것 및/또는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0057] 도 7은 액세스 단말(600)과 같은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600)은 블록(702)에서,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602)는 SIM A(608)에 대응하는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와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는 UMTS 네트워크이다.
[0058] 이러한 통신들 동안, 액세스 단말(600)은 블록(704)에서,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으로 튜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튠-어웨이 동작들(622)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SIM A(608)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예를 들어, SIM B(610)에 대응하는 가입)으로 튜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제 2 가입(예를 들어, SIM B(610))과 연관된 다양한 요건들(예를 들어, 주파수, 포맷팅, 변조 등)에 따라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기 회로(620) 및/또는 수신기 회로(618)를 구성시킬 수 있다.
[0059] 블록(706)에서, 액세스 단말(600)은 제 2 가입에 대한 통신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602)는 임의의 양의 시간 동안 제 2 가입에 대한 무선 통신들을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602)는 모바일 종료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기 회로(618)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할 수 있다.
[0060] 블록(708)에서, 액세스 단말(600)은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다. 예를 들어, 튠-어웨이 동작들(622)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SIM A(608)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제 1 가입(예를 들어, SIM A(608))과 연관된 다양한 요건들(예를 들어, 주파수, 포맷팅, 변조 등)에 따라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기 회로(620) 및/또는 수신기 회로(618)를 재구성시킬 수 있다.
[0061] 튠-어웨이 듀레이션 동안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와 액세스 단말(600) 사이의 통신 활동의 결여의 결과로서, 액세스 단말(600)이 제 2 가입으로 튜닝되었던 시간 동안,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가 액세스 단말(600)로의 그랜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블록(710)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600)은 감소되는 그랜트를 표시하는 AG(absolute grant)를 포함하는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602)는 제 1 가입에 대한 송신을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신된 송신은 AG(absolute grant)를 포함한다. 이러한 AG(absolute grant)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EUL(enhanced uplink)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수신된 AG(absolute grant)는 튠-어웨이 동작들로부터 발생하는 최소 그랜트 또는 제로 그랜트, 및 액세스 단말(600)로부터의 SI 메시지 송신들에서의 대응하는 포즈(pause)를 표시할 수 있다.
[0062] 블록(712)에서, 액세스 단말(600)은 수신된 AG(absolute grant)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G 메시지 동작들(624)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AG 메시지 제어기(614))는 수신된 AG(absolute grant)를 무시하고, AG(absolute grant)가 전혀 수신되지 않았던 것처럼 제 1 가입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즉, 액세스 단말(600)은 그것이 전혀 수신되지 않았던 것처럼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에 의해 특정되는 파라미터들을 무시하도록 적응된다. UMTS에 대한 기존 표준들에 따라, 액세스 단말은, AG(absolute grant)가 제로 그랜트를 표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송신된 AG(absolute grant)가 유실되었거나 또는 액세스 단말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업링크에 대한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도록 허용된다. 블록(712)에서, 액세스 단말(600)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AG(absolute grant)를 무시하는 것을 제외하고, 액세스 단말(600)은 이 허용을 이용하도록 적응된다.
[0063] 일부 구현들에서, AG 메시지 동작들(624)은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AG 메시지 제어기(614))로 하여금 단지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서 수신되는 AG(absolute grant)를 무시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4] 일부 구현들에서, AG 메시지 동작들(624)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AG 메시지 제어기(614))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튠-어웨이 동작 전에 수신되는 그랜트를 계속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AG 메시지 동작들(624)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AG 메시지 제어기(614))는 임의의 적합한 양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65] 적어도 하나의 예에 따라, AG 메시지 동작들(624)은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AG 메시지 제어기(614))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인터벌 T에 대응하는 유한 시간에 대한 AG(absolute grant) 정보를 무시하게 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AG 메시지 동작들(624)은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AG 메시지 제어기(614))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수의 성공적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 송신들에 대한 AG(absolute grant) 정보를 무시하게 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600)로부터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대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는 액세스 단말(600)이 AG(absolute grant) 정보를 무시하는 시간 동안 액세스 단말(600)에 대한 절대적 그랜트를 증분적으로(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단말(600)은 튠-어웨이를 따를 수 있는 임의의 가능한 감소되는 AG(absolute grant)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업링크 데이터를 계속 송신할 수 있다.
[0066] 도 8은 액세스 단말(600)과 같은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600)은 블록(802)에서,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602)는 SIM A(608)에 대응하는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와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제 1 가입과 연관된 네트워크는 UMTS 네트워크이다.
[0067] 이러한 통신들 동안, 액세스 단말(600)은 블록(804)에서,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으로 튜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튠-어웨이 동작들(622)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SIM A(608)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으로부터 제 2 가입(예를 들어, SIM B(610)에 대응하는 가입)으로 튜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제 2 가입(예를 들어, SIM B(610))과 연관된 다양한 요건들(예를 들어, 주파수, 포맷팅, 변조 등)에 따라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기 회로(620) 및/또는 수신기 회로(618)를 구성시킬 수 있다.
[0068] 블록(806)에서, 액세스 단말(600)은 제 2 가입에 대한 통신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602)는 임의의 양의 시간 동안 제 2 가입에 대한 무선 통신들을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602)는 모바일 종료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기 회로(618)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할 수 있다.
[0069] 블록(808)에서, 액세스 단말(600)은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다. 예를 들어, 튠-어웨이 동작들(622)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SIM A(608)에 대응하는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튠-어웨이 제어기(612))는 제 1 가입(예를 들어, SIM A(608))과 연관된 다양한 요건들(예를 들어, 주파수, 포맷팅, 변조 등)에 따라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기 회로(620) 및/또는 수신기 회로(618)를 재구성시킬 수 있다.
[0070] 블록(810)에서, 액세스 단말(600)은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 메시지 동작들(626)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SI 메시지 제어기(616))는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들을 언제 송신할지 그리고 얼마나 자주 송신할지에 대해 명령들을 액세스 단말(600)에 제공한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의 양상에 따라, SI 메시지 동작들(626)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SI 메시지 제어기(616))는 네트워크-특정 스케줄을 따르는 것(및 그와는 반대일 가능성이 있음) 대신에 튠-어웨이 동작을 따라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는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의 스케줄링된 송신들과 더불어 전송될 수 있다. 추가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액세스 단말(600)은 네트워크가 액세스 단말(600)의 업링크 버퍼의 상태에 관한 더 양호한 더 업데이트된 정보뿐만 아니라 업링크에 대응하는 다른 파라미터들을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71] 일부 예들에서, SI 메시지 동작들(626)은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SI 메시지 제어기(616))로 하여금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를 종료한 이후 즉시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송신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SI 메시지 동작들(626)은 프로세싱 회로(602)(예를 들어, SI 메시지 제어기(616))로 하여금 제 2 가입으로의 튠-어웨이를 종료한 이후 미리 결정된 인터벌 이후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통신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송신하게 할 수 있다.
[0072] 이 2개의 광범위한 양상들(즉, 튠-어웨이 프로시저를 종료한 이후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는 것 및 튠-어웨이 프로시저에 대한 응답으로 SI(schedul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요구에 따라 자체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이 알고리즘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구현함으로써, 네트워크는 액세스 단말에 대한 업링크에서 가장 마지막 버퍼 상태를 통지받을 수 있으며, 액세스 단말로의 그랜트를 더 신속하게 미세 튜닝할 수 있다. 추가로, 액세스 단말로의 절대적 그랜트를 수 회 더 적합한 값으로 증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네트워크 시간이 주어지는 동안,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함으로써, 액세스 단말은 최소 그랜트들 또는 제로 그랜트에도 불구하고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0073] 위에서 논의된 양상들, 배열들 및 실시예들은 구체적 세부사항들과 함께 논의되지만, 특히,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또는 도 8에 예시되는 컴포넌트들, 단계들, 특징들 및/또는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들은, 단일 컴포넌트, 단계, 특징 또는 기능으로 재배열 및/또는 결합되거나, 또는 몇몇 컴포넌트들, 단계들 또는 기능들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은 또한,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부가되거나 활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또는 도 6에 예시되는 장치, 디바이스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도 3, 도 5, 도 7 및/또는 도 8에 설명되는 방법들, 특징들, 파라미터들 및/또는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신규한 알고리즘들은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그리고/또는 하드웨어에 임베딩될 수 있다.
[0074] 본 개시 내용의 특징들은 특정 실시예들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될 수 있지만, 본 개시 내용의 모든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유리한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은 특정한 유리한 특징들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징들은 또한, 본원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 실시예들이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예들로서 본원에서 논의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이 다양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0075] 또한, 적어도 일부 구현들이 순서도(flowchart), 흐름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서 도시되는 프로세스로서 설명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순서도는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동작들을 설명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많은 동작들이 동시에 또는 동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의 순서가 재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그것의 동작들이 완료될 때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방법, 함수, 프로시저,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스가 함수에 대응하는 경우, 그것의 종료는 호출 함수 또는 메인 함수로의 함수의 리턴에 대응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머신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예를 들어,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0076] 당업자들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 상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0077] 본원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되는 예들과 연관되는 다양한 특징들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이한 예들 및 구현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구체적 구성들 및 배열들이 첨부한 도면들에서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설명되는 실시예들로의 다양한 다른 추가들 및 수정들, 그리고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의 삭제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일뿐이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제한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범위는 단지, 다음의 청구항들의 문자 언어(literal language) 및 합법적 등가물들(legal equivalents)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6)

  1. 액세스 단말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제 1 가입과 연관된 제 1 가입 모듈 및 제 2 가입과 연관된 제 2 가입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입 모듈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가입 모듈들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하고;
    상기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고;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가입과 연관된 송신을 수신하고 ― 상기 송신은 절대적 그랜트(grant)를 포함함 ― ; 그리고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액세스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의 시간 동안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액세스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미리 결정된 수의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들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때까지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액세스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적응되는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튜닝하기 전에 수신된 그랜트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적응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적응되는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에 따른 양과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양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적응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적 그랜트는 EUL(enhanced uplink)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8.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상기 제 1 가입과 연관된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송신은 절대적 그랜트를 포함함 ― ; 및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기 전에 수신된 그랜트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에 따른 양과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양으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의 시간 동안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수의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들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될 때까지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상기 제 1 가입과 연관된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송신은 절대적 그랜트를 포함함 ― 는,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상기 제 1 가입과 연관된 상기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은 EUL(enhanced uplink)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절대적 그랜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
  15.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로서,
    상기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상기 제 1 가입과 연관된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송신은 절대적 그랜트를 포함함 ― ; 및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기 전에 수신된 그랜트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에 따른 양과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양으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19. 제 15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의 시간 동안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20. 제 15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수의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들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될 때까지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가입 및 제 2 가입과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
  21. 비-일시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제 1 가입에 대해 통신하게 하고;
    제 2 가입에 대응하는 통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게 하고;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한 이후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programming)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제 1 가입으로 다시 튜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의 시간 동안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4. 제 2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수의 스케줄링 정보 메시지들이 송신될 때까지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계속 무시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5. 제 2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은,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상기 제 1 가입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으로 튜닝하기 전에 수신된 그랜트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6. 제 2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를 무시하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은,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절대적 그랜트에 따른 양과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양으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67023247A 2014-01-30 2015-01-27 멀티-가입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1746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3444P 2014-01-30 2014-01-30
US61/933,444 2014-01-30
US14/470,859 US9380525B2 (en) 2014-01-30 2014-08-27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ptimized tune-away operations in multi-subscription communication devices
US14/470,859 2014-08-27
PCT/US2015/013129 WO2015116599A1 (en) 2014-01-30 2015-01-27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ptimized tune-away operations in multi-subscription communic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237A KR20160113237A (ko) 2016-09-28
KR101746766B1 true KR101746766B1 (ko) 2017-06-13

Family

ID=5368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247A KR101746766B1 (ko) 2014-01-30 2015-01-27 멀티-가입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0525B2 (ko)
EP (1) EP3100577B1 (ko)
JP (1) JP6189548B2 (ko)
KR (1) KR101746766B1 (ko)
CN (1) CN105940758B (ko)
WO (1) WO2015116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2810B2 (en) * 2015-08-26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integrity protection in a dual SIM dual standby device
CN108886829A (zh) * 2016-04-01 2018-11-23 高通股份有限公司 在存在调离的情况下的上行链路传输处理
WO2018141081A1 (en) 2017-02-02 2018-08-0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ssisted multi-subscription physical layer sharing
KR20200048290A (ko) 2018-10-29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sim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432216B2 (en) * 2019-07-26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Smart data service link switching among subscriber identity modu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9720A1 (en) * 2011-05-11 2013-01-3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130303240A1 (en) 2012-05-11 2013-1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timization of multiple subscription device performan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6550A (zh) * 2005-08-04 2011-09-21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体通信系统、基站控制装置和移动终端
CN101489251B (zh) * 2008-01-16 2012-09-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接收方法及装置
CN101499881A (zh) * 2008-02-03 2009-08-0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接收方法及装置
WO2009134055A2 (en) * 2008-04-30 200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ata size adaptation in a ue
US8626163B2 (en) 2009-10-02 2014-0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886239B2 (en) * 2010-09-21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Buffer status report control for creating transmission gaps
ES2395368T3 (es) 2010-12-22 2013-0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écnica para gestionar estados de actividad para múltiples abonos en un dispositivo terminal
US8725145B2 (en) * 2011-01-25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requests of non-communication time period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48870B2 (en) * 2011-04-15 2015-09-29 Intel Deutschland Gmbh Mobile communications radio receiver for multiple network operation
US8526946B2 (en) 2011-12-12 2013-09-03 Broadcom Corporation Periodic registration updates for multiple SIM user equipment
KR101664644B1 (ko) * 2012-03-26 2016-10-10 애플 인크.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수신 정지 이벤트의 네트워크 기반 검출 및 경감
US8761788B2 (en) 2012-05-11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hroughput optimization in DSDS scenarios
CN103517454A (zh) 2012-06-27 2014-01-15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增强信令连接释放指示处理方法
US9014091B2 (en) 2012-09-24 2015-04-21 Intel Corporation Network architecture for dual active personae cellular mobile devices
US9025576B2 (en) 2012-11-01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mploying a tune-away operation to communicate simultaneously with a plurality of channels
US20140120925A1 (en) 2012-11-01 2014-05-01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station with multi-sim and tune away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9720A1 (en) * 2011-05-11 2013-01-3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130303240A1 (en) 2012-05-11 2013-1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timization of multiple subscription device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6030A (ja) 2017-02-23
CN105940758A (zh) 2016-09-14
EP3100577B1 (en) 2018-02-21
CN105940758B (zh) 2019-06-21
WO2015116599A1 (en) 2015-08-06
EP3100577A1 (en) 2016-12-07
JP6189548B2 (ja) 2017-08-30
US9380525B2 (en) 2016-06-28
KR20160113237A (ko) 2016-09-28
US20150215859A1 (en)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7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tune-away operation
TWI556672B (zh) 無線電能力資訊之移轉的改善方法
US11632789B2 (en) Modem assisted contention handling of multiple active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210688B2 (en) Enhanced tune-away mechanism during signaling procedure in multiple subscription communications
CN108886828B (zh) 用于在无线通信设备上通过相同载波频率执行多个用户识别模块(sim)功能的系统和方法
KR101746766B1 (ko) 멀티-가입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최적화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9918271B2 (en) Optimized barred timer handling in high-speed scenario
US930739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out-of-service periods in multi-subscription scenarios
US201503652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packet-switched (ps) servic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sims)
CN111165068B (zh) 用户设备、网络节点以及在其中使用的方法
US20170223589A1 (en) Managing Data Reception Following a Tune-Away
US2015009406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ptimized hand down operations in hybrid access terminals
US2015005552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ower savings by optimized data block decod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