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688B1 -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688B1
KR101746688B1 KR1020150131331A KR20150131331A KR101746688B1 KR 101746688 B1 KR101746688 B1 KR 101746688B1 KR 1020150131331 A KR1020150131331 A KR 1020150131331A KR 20150131331 A KR20150131331 A KR 20150131331A KR 101746688 B1 KR101746688 B1 KR 10174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data
information
object communication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518A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오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오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오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3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6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상정보 등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시스템을 매개로 최적의 농작물 생장환경에 대한 기준값으로 지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특정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출하시기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특정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 및 출하시기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기초정보 제공부 및,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기초한 빅데이터를 매개로 사용자에게 특정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자료 및 출하시기 예측자료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는, 과거로부터 축적된 기상 데이터 및 현재의 기상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제공수단 및, 각종 농작물의 지역별 관련자료 및 농작물 경매가격을 제공하는 농작물정보 제공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상정보 제공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상자료 및, 상기 농작물정보 제공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농작물 관련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수집 저장된 빅데이터를 매개로 각종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정보 및 출하시기 예측정보를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GROWTH ENVIROMENT ANALYSIS AND RIGHT TIME PREDICTION SYSTEM FOR CROP BASED ON BIG DATA LINKED TO WEATHER IoT SERVER linked to an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적의 농작물 생장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출하시기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과 맺은 FTA(Free Trade Agreement)의 확산 추세에 따라 농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고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조선 등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융복합화를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로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네덜란드나 일본, 미국 등과 같은 농업 선진국에서는 농업분야에 ICT를 적극 활용하여 세계최고 수준의 생산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최근들어 우리나라에서도 농업분야에 적극적으로 ICT 융복합을 추진하면서 생산성의 향상 및 노동력을 절감 등을 달성한 사례들이 생겨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생산자의 요구에 따른 생산성 및 소득의 향상을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기상 분야에 있어서의 통신은 현재의 기술 추세에 비해 발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실정이며, 대부분 유선망 기반의 전용선 통신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 방식에 있어서도 일방적으로 자료를 중앙의 서버에 전송하는 형태로만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개별 지역의 기상 단말과 통신은 물론 대화가 가능한 기술은 아직까지 제기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현재, 기상 분야에서의 데이터로거는 측정하고자 하는 기상 센서와 시리얼이나 무선으로 연결하여 해당 지역의 기상자료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역할만 담당하고 있는데, 실제 기상 분야는 IoT(Internet of Things)와 가장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IoT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 실제 현장의 담당자들은 실시간으로 장비와 여러 가지 정보를 주고받고자 하는 수요가 있는 것이 현장의 요구이지만, 현재 스마트폰은 사용자 고객 입장에서의 기상의 자료 제공에만 초점에만 맞추어져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134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상정보 등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시스템을 매개로 최적의 농작물 생장환경에 대한 기준값으로 지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서 해당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농작물 관련자료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시스템을 통해 특정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출하시기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서 해당 농작물 생산자의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통신의 주체로 사람뿐만이 아닌 기계나 장치를 포함시키되 사람이 일반적으로 가장 익숙한 사물통신 메신저를 이용한 기상 사물통신 데이터로거와의 통신을 매개로 신속하고 정확한 실제의 기상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특정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 및 출하시기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기초정보 제공부 및,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기초한 빅데이터를 매개로 사용자에게 특정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자료 및 출하시기 예측자료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는, 과거로부터 축적된 기상 데이터 및 현재의 기상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제공수단 및, 각종 농작물의 지역별 관련자료 및 농작물 경매가격을 제공하는 농작물정보 제공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상정보 제공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상자료 및, 상기 농작물정보 제공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농작물 관련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수집 저장된 빅데이터를 매개로 각종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정보 및 출하시기 예측정보를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의 기상정보 제공수단은, 국지 기후정보의 관측이 가능하도록 각 농가에 설치된 기상센서와, 특정 지역마다 설치되어 일조량, 강우, 지온, 지습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관측 장치 및, 과거의 기상청 자료와 외부기관 자료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개방형 시스템을 통한 기상정보가 제공되는 기상정보 저장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의 농작물정보 제공수단은, 일정 지역 단위마다 구비되어 각 지역별 농작물 관련자료가 제공되는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 및, 인터넷으로부터의 소셜데이터나 뉴스, 경매가격 관련자료가 제공되는 농작물 가격정보 저장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해당 서비스에 사용자 단말기를 매개로 접속하는 다수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와, 기상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싱자료가 저장되는 센싱자료 저장부와, 기상관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기상관측자료가 저장되는 관측자료 저장부와,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상자료가 저장되는 기상자료 저장부와,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로부터 전송된 각종 농작물 관련자료가 저장되는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부 및, 농작물 가격정보 저장서버로부터 전송된 각종 농작물의 가격정보가 저장되는 농작물 가격자료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영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기상자료 및 농작물 자료에 대한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생장환경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생장환경 분석모듈 및, 각각의 농작물을 최적의 가격에 출하시킬 수 있도록 출하시기를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출하시기 예측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영서버에는, 상기 인터넷망을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정보제공 시스템 상호 간 및,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와 정보제공 시스템 상호 간의 프로토콜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영서버의 구동에 따른 각종 서비스 콘텐츠 및 웹페이지들을 제공하는 웹사이트 운용모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의 기상정보 저장서버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과 연계되어 기상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되,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은, 풍향풍속, 풍속, 기온, 기압, 강수유무, 강수량, 양분, 토양수분의 측정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상측정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기상 데이터로거와,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 및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상호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를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장치에 대한 아이디 관리, 입출력 데이터에 대한 변환, 통신제어를 비롯한 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기상 사물통신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정보를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가 인식이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거나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에서 송신하는 명령의 응답을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문자정보로 변환하는 언어변환모듈과,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등록 관리하는 관리모듈과, 각 아이디를 매개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인지 또는 기상 데이터로거인지를 구분하여 명령어 및 제어정보의 변환이 수행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에 구비되는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와 기상 데이터로서 상호 간의 대화는 문자, ASCII Code, binary code 형태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는 IPv4주소 또는 IPv6주소가 포함되고,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의 식별자는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IPv4와 IPv6 주소를 비롯하여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MEID(Mobile Equipment IDentifier) 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각 농가에 설치된 기상센서와, 특정 지역마다 설치되어 일조량, 강우, 지온, 지습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관측 장치 및, 과거의 기상청 자료와 외부기관 자료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개방형 시스템을 통한 기상정보가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제공 시스템 측으로 전송되는 기상데이터 수집단계와; 일정 지역 단위마다 구비되어 각 지역별 농작물 관련자료가 제공되는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 및, 인터넷으로부터의 소셜데이터나 뉴스, 경매가격 관련자료가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제공 시스템 측으로 전송되는 농작물관련 데이터 수집단계와; 상기 기상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농작물관련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정보제공 시스템 측으로 전송된 각종 자료들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빅데이터로서 저장 관리되는 데이터 저장단계와;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영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자료를 기초로 특정 농작물에 대한 생장환경을 분석함과 아울러, 각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출하시기를 예측한 후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는 분석 및 시각화 단계 및;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 측으로 인터넷망을 매개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특정 농작물에 대한 생장환경 및 예측된 출하시기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단계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의 웹사이트 모듈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해당 농장에 대한 시비량, 관수량, 관수의 Ph수치, 병해충 예찰활동 내역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빅데이터에 기초한 지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해당 농장의 농작물에 대한 비교 분석자료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의 기상정보 저장서버가 인터넷망을 매개로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상 데이터로거와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및 기상 사물통신 서버 상호 간의 사물통신 방법은, 인터넷망에 연결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에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신청에 따라 사용자용 아이디 발급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기상 데이터로거에 사물용 아이디를 발급하고 기상 데이터로거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물통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 접속한 후 소정 사물용 아이디에 대한 친구추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소정 친구추가 요청에 대해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권한을 검사한 후 권한이 허용된 아이디인 경우 해당 친구요청을 허용함에 따라, 특정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와 기상 데이터로거 상호 간에 대화 가능상태가 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제어정보가 입력되어 기상 사물통신 서버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입력된 제어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가 인식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기상 데이터로거의 아이디를 조회한 후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에서 명령어를 수신한 후 해당 명령에 대한 응답을 기상 사물통신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로부터 해당 명령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해당 응답을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문자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변환된 문자를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의 과정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기상정보 등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시스템을 매개로 최적의 농작물 생장환경에 대한 기준값으로 지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서, ICT 기술의 농업 접목을 통해 특정 농작물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당 농작물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시스템을 통해 특정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출하시기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서, 해당 농작물의 출하시기 조정을 통해 높은 가격으로 농작물 판매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생산자의 소득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용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되는 정보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초정보 저장부의 기상정보 저장서버에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이 연결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초정보 저장부의 기상정보 저장서버에 연결된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용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되는 정보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기상정보 및 각종 농작물 관련자료 등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시스템 이용하여 최적의 농작물 생장환경에 대한 기준값으로 지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특정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출하시기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은, 빅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기초정보 제공부(20)와,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 관리하면서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정보제공 시스템(30) 및, 원격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가 유.무선 인터넷망(100)을 통해 상호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20)는 인터넷망(100)에 연결되어 특정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 및 출하시기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과거로부터 축적된 기상 데이터 및 현재의 기상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국지 기후정보의 관측을 위해 각 농가에 설치된 기상센서(22)와, 농가 및 시.군의 농업기술센터에 설치되어 일조량, 강우, 지온, 지습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관측 장치(24) 및, 공공기관의 개방형 시스템에서 수집 저장해 놓은 과거의 기상청 자료와 외부기관 자료 등의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저장서버(26) 등을 포함하는 기상정보 제공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종 농작물의 지역별 관련자료 및 농작물 경매가격을 제공할 수 있도록 농진청, 농림축산식품부, 시.군의 농업기술센터로부터 지역별 농작물 관련 자료를 수집 저장하는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28) 및, 인터넷으로부터의 소셜데이터, 누스, 경매가격 관련자료를 수집 저장하는 농작물 가격정보 저장서버(29) 등을 포함하는 농작물정보 제공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40) 및 운영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0)는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20)로부터 전송된 기상자료 및 각종 농작물 관련정보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되, 해당 서비스에 사용자 단말기(10)를 매개로 접속하는 다수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42)와, 기상센서(22)로부터 전송된 센싱자료가 저장되는 센싱자료 저장부(44)와, 기상관측 장치(24)로부터 전송된 기상관측자료가 저장되는 관측자료 저장부(46)와,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상자료가 저장되는 기상자료 저장부(47)와, 상기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28)로부터 전송된 각종 농작물 관련자료가 저장되는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부(48) 및, 농작물 가격정보 저장서버(29)로부터 전송된 각종 농작물의 가격정보가 저장되는 농작물 가격자료 저장부(4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운영서버(5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40)에 저장된 기상자료 및 농작물 자료에 대한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생장환경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생장환경 분석모듈(56)과, 각각의 농작물을 최적의 가격에 출하시킬 수 있도록 출하시기를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출하시기 예측모듈(5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하시기 예측모듈(58)을 통해서는 농작물의 도매가격을 일별, 월별, 년별 단위로 예측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도매가격 예측 모델링을 구축하여 농작물의 단/중기 가격을 예측하고, 출하 시기를 수일 이내에서 조정하여 농민들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 이외에, 상기 운영서버(50)에는 상기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와 정보제공 시스템(30) 상호 간 및,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20)와 정보제공 시스템(30) 상호 간의 프로토콜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52),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 측으로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의 운영서버(50)의 구동에 따른 각종 서비스 콘텐츠 및 웹페이지들을 제공하는 웹사이트 운용모듈(54) 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원격지에서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 측으로 접속하는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는 개인용 컴퓨터(PC)나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서는 탑재된 소정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의 운영서버(50)에 접속한 후,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에서 제공하는 특정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생장환경 분석정보 및 특정 농작물의 최적 출하시기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상기 운영서버(50)로부터 서비스되는 웹사이트나 단말기에 탑재된 소정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자신의 농장 및 농작물에 대한 시비량, 관수량, 관수의 Ph수치, 병해충 예찰활동 내역 등을 입력할 수가 있게 되며, 이에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의 운영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에 저장된 누적자료에 기초하여 해당 농작물에 대한 지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 자료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 측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20)의 기상정보 저장서버(26)는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80)과 연계되어 기상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80)은 기상 데이터로거(70)와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 및 기상 사물통신 서버(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는 풍향풍속(70a), 풍속(70b), 기온(70c), 기압(70d), 강수유무(70e), 강수량(70f), 양분, 토양수분의 측정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상측정장치들로부터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는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는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는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 및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 상호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를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장치에 대한 아이디 관리, 입출력 데이터에 대한 변환, 통신제어 등을 비롯한 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는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의 제어정보를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가 인식이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거나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에서 송신하는 명령의 응답을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가 인식 가능한 문자정보로 변환하는 언어변환모듈,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 및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등록 관리하는 관리모듈, 각 아이디를 매개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인지 또는 기상 데이터로거(70)인지를 구분하여 명령어 및 제어정보의 변환이 수행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모듈 등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사물통신 방법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는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와 문자 정보를 매개로 대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와 기상 데이터로거(70) 상호 간의 대화는 문자, ASCII Code, binary code 형태의 정보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사물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망(100)에 연결이 가능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의 식별자는 IPv4주소 또는 IPv6주소가 포함되고,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의 식별자는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 대응하는 IPv4와 IPv6 주소를 비롯하여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MEID(Mobile Equipment IDentifier) 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80)에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연계된 기초정보 제공부(20)의 기상정보 저장서버(26)는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기상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를 통해 직접 해당 기상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기상정보 저장서버(26) 및 기상 사물통신 서버(60)는 한 개의 서버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20)의 기상정보 저장서버(26)가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80)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80)에 구비되는 기상 데이터로거(70)와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 및 기상 사물통신 서버(60) 상호 간의 사물통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인터넷망(100)에 연결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 기상 사물통신 서버(60)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사용자의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 대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 신청이 이루어짐에 따라(a),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는 해당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 대한 사용자 아이디를 발급하게 된다(b).
또,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에서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에 사물용 아이디를 발급하고(c), 기상 데이터로거(70)에 이를 통보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되게 된다(d).
그 후,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서 사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물통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에 접속한 후 소정 사물용 아이디에 대한 친구추가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에서는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권한을 검사한 후 권한이 허용된 사용자 아이디인 경우 해당 친구요청을 허용함에 따라, 사용자 아이디를 매개로 해당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 및 기상 데이터로거(70) 상호 간은 대화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제어정보가 입력되어 기상 사물통신 서버(60) 측으로 전송되면(e),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는 입력된 명령어를 수신하여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가 인식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f),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의 사물용 아이디를 조회하여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로부터 입력된 명령어를 전송하게 된다(g).
또한,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70)에서는 해당 명령어를 수신한 후 해당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게 되며(h), 이에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60)에서는 해당 응답을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에서 인식가능한 문자 형태로 다시 변환시킨 후(i),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12)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j).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이 운용되는 과정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기상데이터 수집단계(S 1-1)와, 농작물관련 데이터 수집단계(S 1-2)와, 데이터 저장단계(S 2)와, 분석 및 시각화 단계(S 3)와, 정보제공 단계(S 4)를 거치면서 그 진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기상데이터 수집단계(S 1-1)에서는 국지 기후정보의 관측이 가능하도록 각 농가에 설치된 기상센서(22)와, 농가 및 시.군의 농업기술센터에 설치도어 일조량, 강우, 지온, 지습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관측 장치(24) 및, 과거의 기상청 자료와 외부기관 자료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개방형 시스템에 수집 저장된 기상정보가 이동통신 무선 데이터망을 포함하는 유.무선의 인터넷망(100)을 통해 정보제공 시스템(30) 측으로 전송되게 되며, 상기 농작물 관련 데이터 수집단계(S 1-2)에서는 농진청, 농림축산식품부, 시.군의 농업기술센터로부터 지역별 농작물 관련 자료가 수집 저장된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28) 및, 인터넷으로부터의 소셜데이터나 뉴스, 경매가격 관련자료가 유.무선의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제공 시스템(30) 측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 2)에서는 상기 기상데이터 수집단계(S 1-1) 및 농작물 관련 데이터 수집단계(S 1-2)로부터 인터넷망(100)을 통해 정보제공 시스템(30) 측으로 전송된 각종 자료들이 데이터베이스 서버(40)에 빅데이터로서 저장되어 관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상센서(22)와 기상관측 장치(24) 및 각종 공공기관의 개방형 시스템에서 수집된 기상정보들은 각각 데이터베이스 서버(40)의 센싱자료 저장부(44)와 관측자료 저장부(46) 및 기상자료 저장부(47)에 각각 분류 저장되게 되며, 상기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28) 및 인터넷으로부터 수집된 가격 관련자료는 각각 데이터베이스 서버(40)의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부(48) 및 농작물 가격자료 저장부(49)에 분류 저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40)의 사용자 정보 저장부(42)에는 상기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정보제공 시스템(30)에 접속하는 다수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각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게 되는데,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42)에는 사용자가 상기 운영서버(50)의 웹사이트 운용모듈(54)을 통해 운용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보호정책을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후,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의 기본 정보와 함께 해당 농장에 대한 정보 및 농작물에 대한 정보 등을 입력함에 따라 각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그 후, 상기 분석 및 시각화 단계(S 3)에서는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의 운영서버(50)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40)에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자료를 기초로 생장환경 분석모듈(56)에서 특정 농작물에 대한 생장환경 정보가 분석되고, 출하시기 예측모듈(58)에서 각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출하시기 예측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에, 상기 정보제공 단계(S 4)에서는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 측으로 인터넷망(100)을 매개로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 측으로 특정 농작물에 대한 생장환경 및 예측된 출하시기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용방법에서는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의 운영서버(50)에 구비된 웹사이트 모듈(54)로부터 제공된 웹페이지 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 측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농장에 대한 시비량, 관수량, 관수의 Ph수치, 병해충 예찰활동 내역 등을 입력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운영서버(50)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40)에 저장된 빅데이터에 기초한 지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한 해당 농장의 농작물에 대한 비교 분석자료를 사용자 단말기(10) 측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보제공 단계(S 4)를 통해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30) 측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 측으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각 화면의 실시예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a는 특정 농산물에 대한 일평균 도매가격 예측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4b는 농장 생장지수 개발로 생산량과 도매가격을 예측한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4c는 상기 운영서버(50)의 생장환경 분석모듈(56)에서 분석된 다양한 시각화 화면으로서, 각각 시계열 예측분석, 동향분석, 다차원 추이분석, 이산 분포분석, 위치 분석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12: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20: 기초정보 제공부, 22: 기상센서,
24: 기상관측 장치, 26: 기상정보 저장서버,
28: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서버, 29: 농작물 가격정보 저장서버,
30: 정보제공 시스템, 40: 데이터베이스 서버,
42: 사용자 정보 저장부, 44: 센싱자료 저장부,
46: 관측자료 저장부, 47: 기상자료 저장부,
48: 농작물 관련자료 저장부, 49: 농작물 가격자료 저장부,
50: 운영서버, 52: 통신모듈,
54: 웹사이트 운용모듈, 56: 생장환경 분석모듈,
58: 출하시기 예측모듈, 60: 기상 사물통신 서버,
70: 기상 데이터로거, 80: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
100: 인터넷망.

Claims (11)

  1.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특정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 및 출하시기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과거로부터 축적된 기상 데이터 및 현재의 기상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제공수단 및 각종 농작물의 지역별 관련자료와 농작물 경매가격을 제공하는 농작물정보 제공수단으로 구성되는 기초정보 제공부와,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기초한 빅데이터를 매개로 사용자에게 특정 농작물의 생장환경 분석자료 및 출하시기 예측자료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의 기상정보 제공수단은 국지 기후정보의 관측이 가능하도록 각 농가에 설치된 기상센서와, 특정 지역마다 설치되어 일조량, 강우량, 지온, 지습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관측 장치 및, 과거의 기상청 자료와 외부기관 자료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개방형 시스템을 통한 기상정보가 제공되는 기상정보 저장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기초정보 제공부의 기상정보 저장서버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과 연계되어 기상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되,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은 풍향풍속, 풍속, 기온, 기압, 강수유무, 강수량의 측정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상측정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기상 데이터로거와,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 및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상호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를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장치에 대한 아이디 관리, 입출력 데이터에 대한 변환, 통신제어를 비롯한 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기상 사물통신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는,
    인터넷망을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와 기상 데이터로거 상호간의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정보를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가 인식이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거나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에서 송신하는 명령의 응답을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문자정보로 변환하는 언어변환모듈과;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등록 관리하는 관리모듈과;
    각 아이디를 매개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인지 또는 기상 데이터로거인지를 구분하여 명령어 및 문자정보의 변환이 수행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에 구비되는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와 기상 데이터로거 상호 간의 대화는 문자, ASCII Code, binary code 형태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4. 사물통신 메신저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상 데이터로거와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및 기상 사물통신 서버 상호 간에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망에 연결된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에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신청에 따라 사용자용 아이디 발급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에 사물용 아이디를 발급하고 기상 데이터로거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물통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사물용 아이디에 대한 친구추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소정 친구추가 요청에 대해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권한을 검사한 후 권한이 허용된 아이디인 경우 해당 친구요청을 허용함에 따라, 특정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와 기상 데이터로거 상호 간에 대화 가능상태가 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제어정보가 입력되어 기상 사물통신 서버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와 기상 데이터로거 상호 간의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의 언어변환모듈은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가 인식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기상 데이터로거의 사물용 아이디를 조회한 후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에서 명령어를 수신한 후 해당 명령에 대한 응답을 기상 사물통신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데이터로거로부터 해당 명령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해당 응답을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문자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사물통신 서버에서 변환된 문자를 상기 사물통신용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의 운용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31331A 2015-09-17 2015-09-17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4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31A KR101746688B1 (ko) 2015-09-17 2015-09-17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31A KR101746688B1 (ko) 2015-09-17 2015-09-17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18A KR20170033518A (ko) 2017-03-27
KR101746688B1 true KR101746688B1 (ko) 2017-06-15

Family

ID=5849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331A KR101746688B1 (ko) 2015-09-17 2015-09-17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309A (zh) * 2018-09-30 2019-01-15 康美中药材数据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药材生产环境预警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30403A (ko)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케이티 가격과 비용의 신경망 학습을 기반으로 수직 농장의 작물의 출하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85B1 (ko) * 2017-11-08 2019-10-18 대한민국 개별 농장단위로 관측되고 추정된 기상정보를 고려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631990B (zh) * 2018-12-10 2021-08-31 河北平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wsn技术的农业信息采集系统
KR102184813B1 (ko) * 2018-12-13 2020-11-30 대한민국 유사기상을 이용한 벼 작황 예측 방법
KR102293520B1 (ko) * 2019-07-22 2021-08-27 주식회사 에피넷 작물 생육 중심의 병해충 및 기상장해 정밀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22004B1 (ko) * 2019-08-06 2021-03-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채류 물동량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2324142B1 (ko) * 2020-05-21 2021-11-10 주식회사 허브넷컴퍼니 빅데이터 제품수명주기기술 기반 잔존농산물 시장분석 시스템
KR102602679B1 (ko) * 2020-10-21 2023-11-15 권수현 내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자동 제어 가변성을 갖는 비닐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345A (ko) 2009-08-26 2011-03-04 주식회사 로보렉스 실시간 기상정보를 이용한 시설재배지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03A (ko)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케이티 가격과 비용의 신경망 학습을 기반으로 수직 농장의 작물의 출하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215309A (zh) * 2018-09-30 2019-01-15 康美中药材数据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药材生产环境预警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18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688B1 (ko) 기상 사물통신 서버와 연계된 빅데이터 기반의 농작물 생장환경 분석과 출하시기 예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Georgakopoulos et al. Internet of things: from internet scale sensing to smart services
Davchev et al. Blockchain-based distributed cloud/fog platform for IoT supply chain management
WO201821717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ource
Oliver et al. An IoT proposal for monitoring vineyards called SEnviro for agriculture
Lima et al. Agro 4.0: Enabling agriculture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IoT
CN103873573A (zh) 对应物联网标记的信息发布方法、系统及终端设备
Koshy et al. Appli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for smart farming: a case study on groundnut and castor pest and disease forewarning
Nugroho et al. Development of a remot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framework for tropical horticulture and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under unstable network connection in rural area
CN103814393A (zh) 用于监视加工活动的系统和方法
Whitacre et al. How connected are our farms?
Dhabliya Delay-tolerant sensor network (DTN) implementation in cloud computing
CN106060147A (zh) 一种农技服务人员为服务对象提供远程服务的云服务系统
Khan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the Agricultural Sector-A Review.
CN104268784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小环境监测平台
KR20200106764A (ko) 식물의 병해충과 동물 및 인간의 감염성 질병 예측 서비스 시스템
CN111986042A (zh) 一种基于互联网技术构建农业大数据服务体系
CN206114005U (zh) 灌区水文信息遥测系统
CN103150783A (zh) 基于标签的环保数据采集器的实现方法
CN112685115A (zh) 国际提示语生成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18163606A (ja) 生産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生産情報処理方法
Zhou et al. A data-secured intelligent IoT system for agricultural environment monitoring
CN210270172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机具定位系统
US200602769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beach water quality alerts
CN202836612U (zh) 一种基于短信网关的远程农业环境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