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503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503B1
KR101746503B1 KR1020150094801A KR20150094801A KR101746503B1 KR 101746503 B1 KR101746503 B1 KR 101746503B1 KR 1020150094801 A KR1020150094801 A KR 1020150094801A KR 20150094801 A KR20150094801 A KR 20150094801A KR 101746503 B1 KR101746503 B1 KR 10174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mmended
external terminal
control unit
rou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447A (ko
Inventor
조태훈
설지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503B1/ko
Priority to US14/930,306 priority patent/US9829337B2/en
Priority to EP15003455.1A priority patent/EP3112807B1/en
Priority to CN201610091242.5A priority patent/CN106331310A/zh
Publication of KR2017000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정보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구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들이 제안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경로 정보는 지도에 포함된 경로들 중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산출된 경로만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로 정보는 골목길이나 샛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경로 정보에 포함된 각 구간에 대하여, 도로 교통 상황을 전부 반영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경로 정보 상에 포함되지 않은 골목길이나 샛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특정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정보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함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검출하고, 상기 신뢰도에 근거하여 결정된 출력 형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신뢰도 값을 나타내는 막대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막대 형태의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기준 신뢰도 값을 설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중 상기 기준 신뢰도 값 이상을 갖는 추천 구간 정보만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는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추천 구간을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숫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새로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신뢰도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신뢰도에 근거하여 결정된 출력 형태로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다른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 시간 및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 중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주행한 외부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주행한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주행한 경로정보가 복수인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주행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주행 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간 정보, 요일 정보, 도로 상황 정보,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날씨 정보 및 각 경로 정보의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부를 통하여 감지된 현재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부에서 감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추천 경로 정보 또는 추천 구간 정보로써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천 경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추천 경로 정보 또는 추천 구간 정보의 생성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동일한 경로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경로 정보를 추천 경로 정보로써,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단말기 중 상기 추천 경로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표시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 상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박스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 정보를 상기 경로 정보 상에 포함한 새로운 경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각각에 대하여, 신뢰도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정보의 표시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는 상기 신뢰도에 근거하여 결정된 출력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골목길이나 샛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지도상에 검출되지 않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목길이나 샛길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골목길이나 샛길로 주행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가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도 2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신뢰도에 기초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8은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추천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추천 구간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2는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할 외부 단말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천 구간 정보가 있는 경우, 추천 구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가,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를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 CPU)(2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14)를 내장한 메인 보드(2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2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 보드(21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와 그 텔레매틱스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송신하는 위치 정보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2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2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206) 및 위치 정보 모듈(207)은 각 모듈들을 위한 안테나(204, 205)를 통하여 신호를 송신/수신한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206)은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206a);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방식으로 무선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모듈(206b);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reless LAN (Bluetooth, 802.11n 등등 프로토콜)등과 같은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206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222)은 상기 메인 보드(210)에 연결되고, 안테나(2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LCD)(201)와,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227)가 연결된다. 상기 표시부(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2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01)는 도2의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2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2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오디오 보드(2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2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217)와 메인 보드(2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네비게이션 세션(300)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표시부(2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2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2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301)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네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의 도면의 설명에서는 왼쪽 위에 그려진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의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가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도 2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10).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부(11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PS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지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있는 경우, 상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과 연계된 아이콘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이동 단말기의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차량이 감지될 조건 또는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임이 감지될 조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가 80km/h 이상의 속도를 가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거나, 알림 정보의 표시 없이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는 음성 입력, 터치 입력 및 키보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입력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사이의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20).
상기 제어부(180)는 위치정보부(115)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 및 메모리(170)에 저장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는 서로 다른 조건에 따른 경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일 조건,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경로일 조건, 주행 시간이 짧은 경로일 조건, 지인 추천 경로일 조건 및 지인의 지인 추천 경로일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는 골목길 등과 같이, 좁은 도로를 포함하지 않은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경로 정보는 차도를 최우선 순위로 검출된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로 정보는 차도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골목길, 샛길, 지름길 또는 인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에는 골목길, 샛길, 지름길 또는 인도 등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가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30).
상기 제어부(18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경로 정보를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구간에 대한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는 제1방식 또는, 출발지와 목적지가 동일한 경로 정보를 통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는 제2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방식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상기 제어부(180)는 경로 정보를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구간에 대한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는 제1방식으로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경로 정보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분기점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기점은 경로 정보에 포함된 도로가 적어도 두 개의 갈래로 갈라지기 시작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분기점(310a, 310b, 310c, 310d)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분기점 중 어느 두 개의 분기점 사이를 어느 하나의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제1분기점(310a) 및 제2분기점(310b) 사이를 제1구간(320a)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80)는, 제2분기점(310b) 및 제3분기점(320c) 사이를 제2구간(320b)로 설정하고, 제3분기점(310b) 및 제4분기점(320d) 사이를 제3구간(320c)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1분기점(310a) 및 제3분기점(310c) 사이를 제4구간(320d)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분기점을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300)를 복수의 구간(320a, 320b, 320c, 320d)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분기점 중 두 개의 분기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두 개의 분기점 사이를 하나의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분기점과 분기점 사이의 구간의 최소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최대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조건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경로 정보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있다.
상기 복수의 구간은 각 구간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제1구간(320a)은 제4구간(320d)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간과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이 동일하나, 경로가 다른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추천 구간 정보는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이 동일하나 다른 도로를 경유하는 경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추천 구간 정보는 일반적으로, 골목길, 샛길 또는 지름길이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각 구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이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시작 지점은 각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을 의미하고, 상기 종료 지점은, 각 구간이 종료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추천 구간을 나타내는 추천 구간 정보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거나, 기 설정된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외부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정보는,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락처 정보는 전화 번호, 시리얼(serial) 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디(ID : iden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연락처 정보에 포함된 외부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할 외부 단말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서버는 교통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는, 교통 상황 정보, 교통 사고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추천 구간을 나타내는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특정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서버에는 추천 구간을 나타내는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구간 정보는,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가 직접 주행한 주행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천 구간 정보는 외부 단말기가 특정 구간에서 골목길로 주행한 주행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천 구간 정보는 특정 구간에 대하여, 외부 단말기의 사용자만이 아는 골목길, 지름길 또는 샛길을 나타내는 경로 정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외부 서버로부터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를 제2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와 출발지 및 목적지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는, 외부 단말기가 직접 주행한 주행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어부(180)는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구간을 추천 구간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가 직접 주행한 주행 경로를 지름길 또는 샛길로써,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경로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4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하여, 각각의 신뢰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신뢰도는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신뢰도는 숫자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뢰도는 0을 최하 신뢰도 값, 10을 최고 신뢰도 값으로 설정하고, 0부터 1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간의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값,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 주행 시간, 주행 날짜, 주행 요일, 주행 날씨 및 도로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 구간의 신뢰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된 값이다. 상기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는,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식별 정보를 갖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다른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보다 높게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주행 시간은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가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주행한 시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를 주행한 시간이 현재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높게 산출하고, 추천 구간 정보를 주행한 시간이 현재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낮게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행 날짜, 주행 요일, 주행 날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로 상황은 추천 구간 정보의 교통 상황 정보로써,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로 상황은 교통 흐름 정보, 도로 공사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지도 정보 및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00)와 함께, 경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3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정보는, 상기 지도 정보 위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3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경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30)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경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포함된 경로 설정 리스트(34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로 설정 리스트(340) 상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은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를 표시하는 기능,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기능, 지인 추천 경로를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지인 추천 경로를 표시하는 기능이 선택되면,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와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와 다른 출력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형태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적 외관으로서, 그래픽 객체의 출력 색, 출력 굵기, 출력 모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초록색으로,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붉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신뢰도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굵게 표시하거나, 명도가 낮은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제1추천 구간 정보가 제1신뢰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1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를 제1굵기를 갖도록 표시하고, 제2추천 구간 정보가 제2신뢰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b)를 제2굵기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제1추천 구간 정보가 제1신뢰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1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를 제1색을 갖도록 표시하고, 제2추천 구간 정보가 제2신뢰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b)를 제2색을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각 구간과 관련된 정보를 각 구간이 표시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간과 관련된 정보는, 구간의 신뢰도 정보, 구간을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구간의 도로 상태 정보(예를 들어, 도로 공사 여부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지도 정보,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00),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들(350a, 350b, 350c), 각 추천 구간의 신뢰도 정보(360a, 360b, 360c)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00),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들(350a, 350b, 350c) 및 각 추천 구간의 신뢰도 정보(360a, 360b, 360c)는 상기 지도 정보 상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구간의 신뢰도에 근거하여, 각 구간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신뢰도를 갖는 구간만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값 미만의 신뢰도를 갖는 구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된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경로 정보에 대한 예상 주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기존의 경로 정보에 대한 예상 주행 시간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새로운 경로 정보에 대한 예상 주행 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기존의 경로 정보에 대한 예상 주행 시간(370a)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새로운 경로 정보에 대한 예상 주행 시간(370b)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천 구간 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경로 정보에 따른 주행과, 기존이 경로 정보에 따른 주행 시, 예상되는 주행 시간을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된 경우, 경로 정보의 제공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어느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500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시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어느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500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지인 추천 구간이 있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어느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500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경로 정보의 제공 시, 추천 구간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개개인만이 알고 있는 지름길 또는 샛길을 함께 공유함으로써, 일반적인 경로보다 빠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함으로써, 추천 구간 정보를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뢰도에 기초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신뢰도에 기초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정보에 대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하여,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신뢰도의 산출은 앞선 설명으로 대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의 수신 시, 각 구간의 신뢰도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지도 정보 및 경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지도 정보, 현재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50),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00) 및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1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정보 및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경로 정보(400)를, 추천 구간 정보(410)보다 명도가 낮은 색을 갖도록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로 정보와 추천 구간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신뢰도에 근거하여, 각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제1신뢰도를 갖는 제1추천 구간 정보를 제1굵기를 갖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1신뢰도보다 낮은 제2신뢰도를 갖는 제2추천 구간 정보를 제1굵기보다 얇은 제2굵기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숫자에 따라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숫자가 5명인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제1신뢰도로 설정하고,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숫자가 100명인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제1신뢰도보다 높은 제2신뢰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1신뢰도를 갖는 경우보다 제2신뢰도를 갖는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굵기를 더 굵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천 구간 정보는 제1신뢰도를 갖는 경우, 제1굵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천 구간 정보는 제2신뢰도를 갖는 경우, 제2굵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추천 구간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 정보, 예상 주행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위치가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300m이내인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의 "5명의 지인이 주행한 골목길이 검출되었습니다. 이 경로로 주행 시, 3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는 "100명의 지인이 주행한 골목길이 검출되었습니다. 이 경로로 주행 시, 5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의 주행 중 적절한 위치에서,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각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상기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뢰도 정보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하여, 기존에 설정된 신뢰도 값을, 다시 산출된 새로운 신뢰도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00) 및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30)를 디스플레이부(4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30)를 서로 다른 출력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 정보의 예상 주행 시간 및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포함한 경로 정보의 예상 주행 시간을 비교하여, 예상 주행 시간이 짧은 경로 정보를 더 굵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공사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면, 기존의 설정된 신뢰도보다 낮은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갱신된 신뢰도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출력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 및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가 더 낮은 신뢰도로 변경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40)의 명도를 낮춰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갱신된 신뢰도에 기초하여, 추천 구간 정보가 포함된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40)보다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00)를 더 진한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이 현재 공사 중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신도림에서 88대로로 이어지는 골목길이 공사 중입니다. 직진 도로를 주행하세요"라는 알림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신뢰도에 근거하여, 추천 구간 정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저거도 하나의 추천 구간 중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추천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각 구간의 신뢰도와 관련된 조건, 시간과 관련된 조건 및 추천 구간 정보를 제공한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기준 신뢰도 값 이상의 신뢰도를 갖는 추천 구간 정보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신뢰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지도 정보,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00),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b, 350c) 및 기준 신뢰도 값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500, 5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신뢰도 값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는, 신뢰도 값을 나타내는 막대 형태의 그래픽 객체(500) 및 신뢰도 값을 결정하기 위한 커서(5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 신뢰도 값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는, 최저 신뢰도 값부터 최고 신뢰도 값 사이의 신뢰도 값에 대응되는 막대 형태의 그래픽 객체와 사용자의 터치에 근거하여 결정된 신뢰도 값의 정도를 나타내는 커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 신뢰도 값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가 가해진 영역에 해당하는 신뢰도 값을 기준 신뢰도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510)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영역에 해당하는 신뢰도 값을 기준 신뢰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신뢰도 값 이상의 신뢰도를 갖는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b, 350c)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510)에 대하여, 상기 터치가 가해진 영역과 다른 영역에 터치가 가해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다른 영역에 해당하는 신뢰도 값을 기준 신뢰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신뢰도 값 이상의 신뢰도를 갖는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c)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종래 표시 중인 추천 구간 정보 중 기준 신뢰도 값 미만을 갖는 어느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350b)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값 이상의 신뢰도를 갖는 추천 구간 정보만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 신뢰도 값 이상의 신뢰도를 갖는 추천 구간 정보가 포함된 새로운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새로운 경로 정보의 예상 주행 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예상 주행 시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신뢰도 값이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새로운 경로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경로 정보에 대한 예상 주행 시간 정보(370b)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특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500)를 통하여, 적절한 신뢰도 값을 갖는 추천 구간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신뢰도가 높은 추천 구간 정보가 포함된 경로 정보에 대하여, 예상 주행 시간을 확인하여, 적절한 예상 주행 시간을 갖는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시간과 관련된 조건 및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조건에 해당하는 추천 구간 정보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간과 관련된 조건은 외부 단말기가 추천 구간 정보를 주행한 주행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해당하는 시간일 조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행 시간 정보는, 추천 구간 정보를 자주 주행한 평균 시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조건은,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가, 기 설정된 외부 단말기일 조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가,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주행한 주행 시간 정보가 현재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 해당하고,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가 기 설정된 외부 단말기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오전 11시인 경우, 오전 9시부터 오후 12시 이전에 주행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b, 350c)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로써, "오전 10시 회사 동료 세 명이 이용한 경로입니다"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오후3시인 경우,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 이전에 주행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c)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로써, "오후 3시 회사 동료 열 명이 이용한 경로입니다"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하여,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시간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추천 구간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에 대한 주행 추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통 상황 정보에 대하여 별도의 루트를 통하여 수신받지 않아도,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신간 정보를 통하여, 교통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운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조건에 기초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조건은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외부 단말기일 조건,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외부 단말기의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외부 단말기일 조건 등이 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외부 단말기를 지인 단말기라고 명하고, 지인 단말기의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외부 단말기를 지인의 지인 단말기라고 명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인의 지인 단말기는, 연락처 정보에 직접 저장되어 있지는 않으나,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연락처 정보에 포함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c)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할 외부 단말기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정보(7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지인 추천' 및 '지인의 지인 추천' 항목을 선택하면, 지인 단말기 및 지인의 지인 단말기로부터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지인 단말기 및 지인의 지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b, 350c)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추천 구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하여,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800)가 상기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5명의 지인이 추천한 골목길입니다. 실시간 교통분석 결과 지금 골목길로 이동하시면, 직진보다 4분 빠릅니다"라는 알림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천 구간 정보의 존재 여부 및 추천 구간 정보의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천 구간 정보로의 이동 시, 예상되는 주행 시간 정보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천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추천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새로운 경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외부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전체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첫번째 및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3개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b, 350c) 중 2개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c)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350a, 350b, 350c)에는 각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박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선택 박스에 터치를 가함으로써, 상기 3개의 추천 구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2개의 추천 구간 정보가 포함된 새로운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세번째 및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새로운 경로 정보를 선택하는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새로운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전체 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체 경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 단말기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경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외부 서버에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서버는,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와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서버는 상기 검출된 경로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발지와 목적지가 동일한 경로 정보는 외부 단말기가 실제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이동한 경로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는, 위치정보부를 통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이동한 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 중, 출발지와 목적지가 동일한 경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로 정보만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간 정보, 요일 정보, 도로 상황 정보,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날씨 정보 및 각 경로 정보의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 중 주행 시간이 현재 시간과 근접하고, 주행 횟수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시간대 별로 교통 상황이 달라지는 것을 반영하기 위하여, 주행 시간 및 주행 횟수에 근거하여, 가장 적합한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첫번째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11시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 중 10시에 주행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101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2시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 중, 3시에 주행한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10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발지와 목적지가 동일한 경로에 대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체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시간 및 주행 횟수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교통 상황에 가장 효율적인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체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추천 구간 정보를 등록 및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추천 구간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또한, 도 12는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할 외부 단말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13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추천 구간 정보가 있는 경우, 추천 구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위치정보부(115)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경로를 감지하고, 감지된 경로를 경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전체 경로 정보가 아닌 특정 구간을 나타내는 경로를 추천 구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위치정보부(115)를 통하여 감지된 경로를 추천 경로 정보 또는 추천 구간 정보로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의 저장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정보부(115)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즐겨가기 등록 시작"이라는 음성이 수신되면, 추가 구간 정보로 저장하기 위한 이동 경로의 감지를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추천 구간 정보의 저장을 위한 그래픽 객체(1110)에 대한 터치를 가함으로써, 상기 추천 구간 정보의 저장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의 감지가 시작되면, 도 11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위치정보부(115)를 통하여 감지된 이동 경로를 추가 구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추가 구간 정보의 저장을 종료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면, 이동 경로의 감지를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추천 구간 정보의 저장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된 때부터, 추가 구간 정보의 저장을 종료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된 때까지 감지된 이동 경로를 추천 구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김지된 이동 경로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감지된 이동 경로를 메모리(170)에 추천 구간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추천 구간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즐겨가기 등록 끝"이라는 음성이 수신되면, 추가 구간 정보로 저장하기 위한 이동 경로의 감지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의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된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는 추천 구간 정보의 위치, 교통 상태 정보, 주행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보 및 이동 단말기의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중, 음성으로 날씨 정보(빙판길) 및 도로 상태 정보(공사 중)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날씨 정보 및 도로 상태 정보를 상기 추천 구간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위치정보부(115)를 통하여 감지된 경로를 추천 경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동일한 경로가 감지될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는,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동일한 경로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상기 경로를 추천 경로 정보로 생성하고, 메모리(170)에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112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1b의 첫번째 도면과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경로를 경로 정보로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경로를 추천 경로 정보로써 생성하여,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추천 경로가 메모리(170)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추천 경로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11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된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자동으로 외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외부 단말기의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외부 단말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사람에게만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도 있고, 임의의 외부 단말기에게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 SNS 계정이 저장된 외부 단말기, 네비게이션을 공유하는 외부 단말기, 전체 공유 항목이 포함된 공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정보 또는 SNS 계정이 저장된 외부 단말기는, 메모리(170) 상에 연락처 정보 또는 SNS 계정이 저장된 외부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을 공유하는 외부 단말기는 지도 정보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외부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체 공유는 임의의 외부 단말기가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기 설정된 외부 단말기에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에 근거하여, 공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가 선택된 경우,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에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위치가 상기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경로 정보(1310)가 표시된 상태에서, 현재 위치가 추천 구간 정보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지인 추천 경로가 있습니다"라는 알림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경로 정보를 나타낸 제1화면(1310) 및 추천 경로 정보를 나타낸 제2화면(132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감지되면, 터치가 가해지는 영역에 표시된 화면을 경로 정보 제공화면으로 설정하고, 터치가 가해지지 않은 영역에 표시된 화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추천 구간 정보 또는 추천 경로 정보를 등록 및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자신이 잘 아는 경로 정보를 다른 단말기에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가,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가,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를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추천 구간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추천 경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추천 경로 정보에 따라 목적지로 이동 단말기가 이동된 것이 판단되면, 상기 추천 경로 정보에 따른 주행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경로 정보에 따른 주행 시간 정보(1410)과 추천 경로 정보가 아닌 경로 정보에 따른 주행 시간 정보(142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천 경로 정보가 아닌 경로 정보는,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에서 제공된 경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천 경로 정보 및 추천 경로 정보가 아닌 경로 정보의 주행 예상 시간을 비교하여, 어느 경로로 주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교 결과를 표시한 정보 및 상기 추천 경로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팝업창(143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지인 추천 도로를 이용하여 5분의 시간을 절약하였습니다. 추천에 만족하십니까?"라는 알림 정보를 포함한 팝업창(1430)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팝업창(143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추천 경로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경로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신뢰도도 함께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추천 구간을 만족한다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 경로 정보의 신뢰도 및 추천 경로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에 대한 신뢰도를 기존의 신뢰도보다 높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의 세번째 및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해당 도로의 신뢰도가 +1점 상승하였습니다. 해당 도로를 추천한 지인에게 포인트 1점을 보냅니다"라는 알림 정보(144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4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추천 구간을 불만족한다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기존의 신뢰도보다 낮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가 낮게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천 구간 정보과 관련된 추가적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기능은 추천 구간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이거나,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로부터 경로 정보의 전송을 제한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의 두번째 도면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추천 구간을 불만족한다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 구간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해당 도로만 추천 받지 않음" 항목 및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로부터 추천 구간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해당 도로를 공유한 사람의 모든 추천 받지 않음" 항목을 포함한 설정 리스트(1440)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설정 리스트(1440)에 포함된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추천 구간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더 이상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비추천 목록'으로 메모리(17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추천 목록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가 제한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포함한 목록이다.
예를 들어, 도 14b의 세번째 및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비추천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146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추천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다시 비추천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추천 목록에서 삭제된 추천 구간 정보는 다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추천 경로 정보 및 추천 구간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각각에 대하여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복수의 경로 정보가 검출된 경우,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경로 정보는,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통한 경로,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경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하여, 각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510a, 1510b, 1510c)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시간에 따른 각 경로의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지인추천 A 경로는 평일 오후 5~7시까지 교통 체증이 있습니다. 현재 시간에는, 지인추천 B 경로를 이용하시면, 네비게이션 추천 도로보다 3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라는 정보(15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복수의 경로 정보 중 현재 시간에 가장 적합한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경로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정보와 관련된 정보는, 주행 시간 정보, 도로 상태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의 첫번째 및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경로 정보에 "빙판길 주의"라는 정보를 경로 정보와 관련된 정보로 상기 특정 경로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경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의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날씨가 화창한 날씨인 경우, 화창한 날씨 정보를 갖는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경로 정보와 관련된 안내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날씨가 영하의 날씨인 경우, 각 경로의 주행 예상 시간 정보(1520a, 1520b) 및 "빙판길 주의"는 정보를 포함한 경로 정보를 선택하지 않도록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도로 상태 정보가 "공사 중"임이 검출되면, 상기 "공사 중"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경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정보와 관련된 정보로, 각 경로의 주행 예상 시간 정보(1610a, 1610b, 1610c) 및 "지인추천 A 경로는 5월 20일까지 공사중입니다"라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안내 정보를 통하여,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경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골목길이나 샛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지도상에 검출되지 않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목길이나 샛길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골목길이나 샛길로 주행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함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각각에 대한 신뢰도를 검출하고,
    상기 신뢰도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출력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신뢰도의 신뢰도 값을 나타내는 막대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막대 형태의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기준 신뢰도 값을 설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중 상기 기준 신뢰도 값 이상을 갖는 추천 구간 정보만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는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의 숫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새로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신뢰도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신뢰도에 근거하여 결정된 출력 형태로 상기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메모리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추천 구간 정보의 신뢰도, 시간 및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외부 단말기 중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주행한 외부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주행한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주행한 경로정보가 복수인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주행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주행 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간 정보, 요일 정보, 도로 상황 정보,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날씨 정보 및 각 경로 정보의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부를 통하여 감지된 현재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추천 구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부에서 감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추천 경로 정보 또는 추천 구간 정보로써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천 경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추천 경로 정보 또는 추천 구간 정보의 생성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동일한 경로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경로 정보를 추천 경로 정보로써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단말기 중 상기 추천 경로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박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표시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 상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박스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 정보를 상기 경로 정보 상에 포함한 새로운 경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각각에 대하여, 신뢰도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정보의 표시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천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 각각에 대한 신뢰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신뢰도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 및 상기 결정된 출력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구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가 주행한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삭제
KR1020150094801A 2015-07-02 2015-07-0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174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01A KR101746503B1 (ko) 2015-07-02 2015-07-0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930,306 US9829337B2 (en) 2015-07-02 2015-11-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5003455.1A EP3112807B1 (en) 2015-07-02 2015-12-04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610091242.5A CN106331310A (zh) 2015-07-02 2016-02-18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01A KR101746503B1 (ko) 2015-07-02 2015-07-0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47A KR20170004447A (ko) 2017-01-11
KR101746503B1 true KR101746503B1 (ko) 2017-06-27

Family

ID=5502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801A Active KR101746503B1 (ko) 2015-07-02 2015-07-0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29337B2 (ko)
EP (1) EP3112807B1 (ko)
KR (1) KR101746503B1 (ko)
CN (1) CN1063313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1043B2 (en) * 2016-11-18 2019-04-23 Zspace, Inc. 3D user interface—360-degree visualization of 2D webpage content
CN108553123A (zh) * 2018-06-04 2018-09-21 北京坤泰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b超、数据传输方法和数据传输装置
CN109862531B (zh) * 2019-02-18 2021-08-17 深圳市慧嘉智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式监控系统及交互式监控方法
CN111845769B (zh) * 2019-04-25 2022-02-2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驾驶方法及其装置、计算机设备、车辆
CN113101644B (zh) * 2021-04-19 2024-05-3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进程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0230B2 (ja) 2004-12-27 2010-11-1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698061B2 (en) * 2005-09-23 2010-04-13 Scenera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a route to a user
KR20080013475A (ko) 2006-08-09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의 경로공유방법 및 장치
KR20080083401A (ko) 2007-03-12 2008-09-18 (주) 마젠타시스템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그의 제어방법, 그와 연계된 경로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01275856B (zh) * 2007-03-28 2012-04-04 阿尔派电子(中国)有限公司 一种生成导航线路的方法及导航装置
US20080294337A1 (en) * 2007-05-23 2008-11-27 Christopher James Dawson Travel-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801675B2 (en) * 2007-07-13 2010-09-21 Dash Navigation, Inc.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portions of roads
US20090157312A1 (en) * 2007-12-14 2009-06-18 Microsoft Corporation Social network based routes
KR20100001470A (ko) 2008-06-27 2010-01-06 안기철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US7881861B2 (en) * 2008-08-28 2011-02-01 Skypebble Associates Llc Networked navigation system
US8335647B2 (en) 2008-12-04 2012-12-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avigation based on popular user-defined paths
KR101495674B1 (ko) 2010-10-15 2015-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사용자 관계 기반 내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관리 방법
US20120095681A1 (en) * 2010-10-15 2012-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user relationship-based naviga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012239A (ko) 2011-07-19 2013-02-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지능형 정보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JP5942615B2 (ja) * 2011-08-11 2016-06-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進路案内装置、進路案内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55807B2 (en) 2013-03-15 2016-02-09 Garmin Switzerland Gmbh System, apparatus, and procedure for providing route suggestions
US9087234B2 (en) * 2013-03-15 2015-07-21 Nike, Inc. Monitoring fitness using a mobile device
KR20150018950A (ko) 2013-08-12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여행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702716B2 (en) * 2013-08-28 2017-07-11 Verizon Telematics Inc. Traffic score determination
US9733097B2 (en) * 2014-10-31 2017-08-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lassifying routes of tra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47A (ko) 2017-01-11
EP3112807B1 (en) 2021-03-10
US9829337B2 (en) 2017-11-28
CN106331310A (zh) 2017-01-11
US20170003138A1 (en) 2017-01-05
EP3112807A1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0104B (zh) 移动终端以及包括该移动终端的控制系统
US989107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157043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1677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465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199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1424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951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414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9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258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44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502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600163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672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8104B1 (ko) 차로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076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130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94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0642A (ko)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3201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0104A (ko) 차량용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0444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77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041038A (ko) 차량용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