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061B1 -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 Google Patents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061B1
KR101746061B1 KR1020160130492A KR20160130492A KR101746061B1 KR 101746061 B1 KR101746061 B1 KR 101746061B1 KR 1020160130492 A KR1020160130492 A KR 1020160130492A KR 20160130492 A KR20160130492 A KR 20160130492A KR 101746061 B1 KR101746061 B1 KR 10174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wheel
board
connecting rod
rotating bod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리한
Original Assignee
김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리한 filed Critical 김리한
Priority to KR102016013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0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3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mediate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발판부재의 누름에 의해 구동하는 2개의 프리휠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궤적 내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하나의 구동휠을 전진방향으로만 멈춤없이 연속 회전시켜 주행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구동휠의 적은 회전수를 구동바퀴의 많은 회전수로 변환하여 추진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프레임에 보드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시소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드 힌지점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2커넥팅로드 힌지점이 구비된 보드와; 상단부가 상기 보드의 제1커넥팅로드 힌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보드의 일측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커넥팅 로드와; 상단부가 상기 보드의 제2커넥팅로드 힌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보드의 타측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커넥팅 로드와;상기 제1커넥팅 로드의 직선운동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되, 상기 보드의 일측의 누름에 의해 하강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승시 프리 상태를 유지하는 제1프리휠과; 상기 제2커넥팅 로드의 직선운동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되, 상기 보드의 타측의 누름에 의해 하강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승시 프리 상태를 유지하는 제2프리휠과; 상기 제1프리휠과 제2프리휠을 각각 상기 제1,2커넥팅 로드와 연결하는 프리휠 샤프트와; 상기 제1프리휠 및 제2프리휠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프리휠 및 제2프리휠로부터 회전력을 교대로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360° 회전하는 구동 휠과; 상기 구동 휠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단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360°로 구동하는 구동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휠 샤프트는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 또는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board for running, wherein two freewheels driven by pressing of a foot member reciprocate within a locus between a top dead center and a bottom dead center to continuously rotate one driving wheel in a forward direction only in a forward direction, And to reduc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wheel to a larg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wheels to improve the driving force.
The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A handle mounted on the frame; A board installed in the frame for seesaw motion about the board hinge point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 hinge point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ard hinge point; A first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hinge point of the first connecting rod of the boar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A second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rod hinge point of the board to convert the other seesaw drive of the board into a rectilinear motion, and a second connecting rod, which is bi-directionally rotated by rectilinear motion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 first freewheel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while descending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first freewheel and maintains the free state at the time of the rise; A second freewheel rotating in both directions by a linear mo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the second freewheel generating a rotating force while descending due to the pressing of the other side of the board, and maintaining a free state when the second connecting rod rises; A freewheel shaft connecting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respectively; A driving wheel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and rotated 360 ° in a forward direction by alternatel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wheels; And a driving wheel that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contacts the ground surface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is driven at 360 °, and the freewheel shaft is a first or second crank type freewheel shaft or a first or second tie type freewheel shaft .

Description

주행용 구동 퀵보드{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0001]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

본 발명은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관한 것으로, 발판부재(보드, 제1,2페달)의 조작을 통해 구동바퀴가 순간적인 멈춤없이 전진방향으로 연속 회전하는 주행용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board for driv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ickboard for running in which a driving wheel continuously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without momentary stopping by operation of a foot member (board, first and second pedals).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운동기구나 놀이기구 또는 이동 목적의 운송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여러가지 방법중에 크랭크샤프트를 사용할 수 있고 레크와 피니언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전기 모터나 엔진을 이용 할 수도 있다.
Driving-driving quick-boards can be used as sports equipment, rides or transportation vehicles.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rotating the drive shaft, a crankshaft can be used, a lever and a pinion can be used, and an electric motor or an engine can be used.

그 중에 인간의 힘으로 구동축을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바퀴가 작은 특징으로 인하여 큰 구동력을 얻기도 힘들며 또한 빠르게 전진 시키기도 매우 어렵다.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지면에서 높지 않게 설계 되어 있으며 크랭크 샤프트 등의 회전체를 돌리는데 있어서 크랭크샤프트 아암의 길이가 짧아 큰 회전력을 얻지 못하며 또한 구동력을 얻었다 하더라도 퀵보드 바퀴의 지름이 작아서 많은 량의 회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 퀵보드는 앞으로 전진하는 거리가 짧아서 속도가 현저히 떨어져 주행 하는데 문제가 많다.
본 출원인은 퀵보드(특허 출원 제10-2010-0027596호)를 샘플제작하는 과정에서 2가지 이상의 치명적인 결함을 발견하여 특허 등록을 포기한 사실이 있었으며 그 내용을 설명 한다면 프리휠의 옆면에 돌기(도 17의 25)를 형성하여 커넥팅로드를 연결 하려고 하였으나 돌기를 부착하는 방법이 매우 어려웠다.
즉, 돌기를 용접할 때 돌기의 변형이 발생하고, 또한 돌기가 프리휠의 옆면에 부착되어 있다 보니 한쪽에는 빈 공간으로 떠 있으므로 진원을 형성 하기가 어렵고 구동보드에서 가압하는 힘의 응집이 한곳에 몰릴때 지탱하는 힘이 약하여 금속의 피로도가 많이 상승하였다. 또한 상용화 되어있는 프리휠을 사용하지 못하고 특수제작을 해야 하므로 금형비 등 제작 단가가 높아졌고 생산과 판매 이후에 설계 결함으로 인한 리콜 명령의 우려가 매우 높았다.
또 다른 문제점은 속도가 너무 느려서 주행용으로 사용 하기에는 너무도 부적합한 상태였다 속도에 관한 문제점으로 상기 본인이 출원했던 내용중에 라지체인링(도 17의 23)을 보면 전방의 체인링이 많이 크다는 느낌이 든다 그런데도 퀵보드를 운행시키면 속도가 매우 느렸다. 그렇다고 해서 기어비를 높이기 위해 체인링(도 17의 23)을 크게 하면 체인링의 크기가 바퀴의 높이보다 높아져서 땅에 닿게 되어 사용이 불가능 하게 된다. 종래에 출원한 특허의 샘플 실험에서 구동보드를 상하왕복 1번의 구동으로 최종 구동 바퀴는 몇바퀴 돌지도 않았고 바퀴의 지름마저 작아서 추진력이 발생하지 않아 주행용으로 사용 하기에는 부적합 하였다. 또 다른 과제는 킥보드는 높이가 낮으므로 구동하는 회전체가 저속이고 관성이 없기 때문에 회전체는 상사점이나 하사점에서 정지하는 특성이 생긴다.
상기 종래기술의 특허 청구항 중에 이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
청구항 1을 보면
"~ 상기 전방 프리휠과 상기 후방프리휠의 '회전운동을'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주행장치."
라고 기술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출원했던 변경전 청구항)
청구항 5, 청구항 12, 청구항 19, 청구항 23, 청구항 29, 청구항 33 등에서 프리휠의 회전운동을 구동바퀴로 전달 한다고 기술 하였는데 프리휠이 회전운동을 하면 절대적으로 원활한 회전이 어렵다 여기서 말하는 전방프리휠과 후방프리휠은 구동 프리휠이다. 구동 프리휠은 하사점에서 꼭 정지한 후 커넥팅로드가 구동보드에 편심되어 매달린 방향쪽으로 즉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 가려는 성질을 가진다.
In order to rotate the drive shaft by human forc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large driving force due to the small feature of the wheels and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advance quickly.
The driving quickboard for driving is designed not to be high on the ground. In rotating the crankshaft or the like, the crankshaft arm has a short length so that a large turning force can not be obtained. Even if the driving force is obtained, the diameter of the quick- If you do not, the speed of the quick board is too short because the forward distance is short, and there is a lot of problems in running.
The present applicant found that two or more fatal defects were found during the sample production of the quick board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7596) and the patent registration was abandoned. If the contents were described, 25) to connect the connecting rod, it is very difficult to attach the projections.
That is, when the projections are welded, the projections are deformed and the projections are attach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reewheel. As a result, floating on one side is difficult to form a source, and the agglomeration of the pressing force from the drive board The strength to support was weak and the fatigue of the metal increased a lot. In addition, since the freewheel,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can not be used, it has to be manufactured specially.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such as the mold cost has increased, and the concern about the recall order due to the design defect after the production and sale was very high.
Another problem was that the speed was too slow to be used for driving. As a problem with the speed, when I looked at the large chainring (23 in FIG. 17) among the contents I filed, I feel that the front chainring is large Still, the speedboard was very slow when I ran the quickboard. However, if the chain ring (23 in FIG. 17) is enlarged to increase the gear ratio, the size of the chain ring become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heel, and it becomes unusable because it touches the ground. In the sample test of the conventional patent, the final driving wheel was not rotated a few times by driving the driving board up and down one time, and the diameter of the wheel was so small that the driving force was not generated, which made it unsuitable for driving. Another problem is that since the kickboard is low in height, the rotating body that is driven is slow and inertial, so that the rotating body is stopped at the top dead center or bottom dead center.
This error is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ior art
Claim 1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ront freewheel and the rear freewheel to the driving wheels'.
. Continuing (the previously filed claim)
In the fifth, twelfth, nineteenth, twenty-third, thirty-ninth, thirty-ninth and thirty-ninth aspects, the rotation of the freewheel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s. However, when the freewheel is rotated, it is difficult to rotate absolutely smoothly. Driven freewheel. The driving freewheel has a property that after stopping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connecting rod eccentrically moves on the driving board toward the suspended direction, tha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발판부재의 누름에 의해 구동하는 2개의 프리휠이 상사점과 하사점 -3° 부근 사이의 궤적 내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하나의 구동휠을 전진방향으로만 멈춤없이 연속 회전시켜 주행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구동휠의 적은 회전수를 구동바퀴의 많은 회전수로 변환하여 추진력을 향상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wo-wheeled vehicle in which two free wheels driven by pressing of a foot member reciprocate within a locus between a top dead center and a bottom dead cent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riving quick board for driving the vehicle, which ensures continuous running without stopping only in the advancing direction, secures the running property, and also converts a small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wheel into a larg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wheel to improve the propulsive fo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발판부재와; 상단부가 상기 발판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재의 일측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커넥팅 로드와; 상단부가 상기 발판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재의 타측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커넥팅 로드와; 상기 제1커넥팅 로드의 직선운동에 의해 양방향 회전되, 상기 발판부재의 일측의 누름에 의해 하강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승시 프리 상태를 유지하는 제1프리휠과; 상기 제2커넥팅 로드의 직선운동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되, 상기 발판부재의 타측의 누름에 의해 하강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승시 프리 상태를 유지하는 제2프리휠과; 상기 제1,2프리휠의 중심에 연결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로부터 편심되며 상기 제1,2커넥팅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제1,2프리휠을 회전시키는 프리휠 샤프트와; 상기 제1프리휠 및 제2프리휠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프리휠 및 제2프리휠로부터 회전력을 교대로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360° 회전하는 구동 휠과; 상기 구동 휠의 회전을 증가시켜 전달하는 다단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360°로 구동하는 구동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휠 샤프트는 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 또는 티형 프리휠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A handle mounted on the frame; A foot member provided on the frame; A first connecting ro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oot member to convert one side seesaw drive of the foot member into a linear motion; A second connecting ro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oot member to convert the other side seesaw drive of the foot member into a linear motion; A first freewheel rotated in both directions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ro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being lowered by pressing one side of the foot member, and maintaining a free state when the first connecting rod descends; A second freewheel rotating in both directions by a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the second freewheel generating a rotating force while descending due to the pressing of the other side of the foot member, A freewheel shaft eccentric to the shaf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A driving wheel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and rotated 360 ° in a forward direction by alternatel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increasing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And a driving wheel which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contacts the ground, and receives driving force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is driven at 360 °.
Wherein the freewheel shaft is a crank-type freewheel shaft or a T-type freewheel shaft.

본 발명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의하면, 제1,2프리휠이 보드의 시소운동 또는 제1,2페달의 시소운동에 의해 사점을 지나지 않고 일정 각도 이내에서만 회전하면서 구동휠을 전진방향으로 연속 회전시켜 보드와 페달의 조작시 멈춤이 발생되지 않아 원활한 주행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구동 휠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구동 바퀴에 전달함으로써 구동 휠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아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큰 추진력과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와 티형 프리휠 샤프트가 종래 크랭크핀처럼 프리휠의 표면에 용접되는 것과 달리 제1,2프리휠의 축공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작되어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또한, 불량율이 낮아 퀵보드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are rotated in a certain angle within a certain angl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ead point due to seesaw motion of the board or seesaw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edals, The speed of the driving wheel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riving wheel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wheel and transmitting it to the driving wheel. It has the effect of feeling a great propulsion and speed feeling.
Particularly, crank-type freewheel shafts and T-type freewheel shafts are manufactured to be coupled to the shaft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as they are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freewheel like the conventional crankpins, so that mass production is easy and the defect rate is low,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동력전달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의 구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구동휠과 제1,2프리휠의 동력전달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구동휠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7은 종래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프리휠의 운동영역을 비교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동력전달수단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와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의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동력전달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의 구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핸들 고정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의 접이식 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변속기의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에 적용된 현가장치를 보인 도면.
도 17은 종래 기술에 위한 퀵보드의 구동부를 보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driving-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path applied to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 driving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ower transmission between a driving wheel and a first and second freewheels applied to a driving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rotation of a driving wheel applied to a driving-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a moving range of a freewheel applied to a driving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of a power transmitting means applied to a driving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exploded view of first and second crankshaft type freewheel shafts and first and second tie type freewheel shafts applied to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lan view of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path applied to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ixing pin applied to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folding example of the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of a transmission applied to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uspension device applied to a driving drive quick 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driving part of a quick board for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프레임(1), 프레임(1)에 설치되는 핸들(2), 프레임(1)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드(10), 보드(10)의 저부에 연결되는 제1,2커넥팅 로드(20-1,20-2), 제1,2커넥팅 로드(20-1,20-2)에 의해 각각 회전하되 174°이내에서 양방향 회전하고 보드(10)의 누름시에만 회전력을 발생하는 한편 보드(10)의 상승시 회전력을 발생하지 않는 프리 상태를 유지하는 제1,2프리휠(30-1,30-2), 제1,2프리휠(30-1,30-2)의 회전력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360°회전하여 퀵보드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휠(40), 구동 휠(40)의 회전력을 다단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 바퀴(50), 제1프리휠(30-1)과 제2프리휠(30-2)을 각각 제1,2커넥팅 로드(20-1,20-2)와 연결하는 프리휠 샤프트로서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 또는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70-1,70-2)로 구성된다.
핸들(2)에는 조향 바퀴(51)가 설치되며, 프레임(1)과 핸들(2)은 퀵보드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보드(10)는 사용자가 전방과 후방을 밟을 때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이 서로 반대로 승강하는 것으로, 저부의 중앙이 보드 힌지점(11)을 통해 프레임(1)에 시소운동하도록 연결되며, 보드 힌지점(11)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에 각각 제1,2커넥팅로드 힌지점(12,13)이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점(11,12,13)은 힌지 연결되는 부분을 말한다.
프레임(1)의 전후방에는 보드(10)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탄력 지지하는 제1,2리턴 스프링(14,15)이 적용된다. 제1,2리턴 스프링(14,15)은 각각 사용자의 발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보드(10)의 전방과 후방이 하강할 때 보드의 시소운동의 정지 및 운동 방향의 전환을 도와주는 탄성부재이다.
제1커넥팅 로드(20-1)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힌지연결을 위한 링이 구비되며 조립 상태를 기준으로 상단부가 보드(10)의 제1커넥팅로드 힌지점(12)에 연결되어 보드(10)의 일측 시소구동[보드(10)의 전방이 하강하는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고, 하단부가 제1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또는 제1티형 프리휠 샤프트(70-1)]에 연결된다.
제2커넥팅 로드(20-2)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힌지연결을 위한 링이 구비되며 조립 상태를 기준으로 상단부가 보드(10)의 제2커넥팅로드 힌지점(13)에 연결되어 보드(10)의 타측 시소구동[보드(10)의 후방이 하강하는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고, 하단부가 제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2)[또는 제1티형 프리휠 샤프트(70-2)]에 연결된다.
제1프리휠(30-1)은 프레임(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또는 제1티형 프리휠 샤프트(70-1)]에 의해 174°이내에서 양방향 회전하며, 즉, 보드(10)의 전방이 하강할 때 회전력을 발생하고 보드(10)의 전방이 상승할 때 프리 상태를 유지한다.
제2프리휠(30-2)은 프레임(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2)[또는 제2티형 프리휠 샤프트(70-2)]에 의해 174°이내에서 양방향 회전하며, 즉, 보드(10)의 후방이 하강할 때 회전력을 발생하고 보드(10)의 후방이 상승할 때 프리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와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2프리휠(30-1,30-2)의 중심에 수평으로 연결[제1,2프리휠(30-1,30-2)의 중심에 형성된 축공에 관통 고정]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1,2커넥팅 로드(20-1,20-2)가 연결되는 로드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조립 방법에 의한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는 상기 축부가 제1,2프리휠(30-1,30-2)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축공에 관통 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조립과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고 또한 제1,2프리휠(30-1,30-2)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로드 연결부는 상기 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2프리휠의 둘레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2커넥팅 로드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 상기 힌지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수직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 연결부의 위치는 상기 축부 즉 제1,2프리휠(30-1,30-2)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로서, 측면에서 본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사점의 우측을 초기 위치로 하며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하강과 상승이 반복되며, 하강시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승시 프리 상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프레임(1)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70-1,70-2)는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와 동일한 목적 달성이 가능한 구조로서 각각 제1프리휠(30-1)과 제2프리휠(30-2)의 중심(축공)에 연결(축공에 관통 고정)되는 직선형의 축부, 상기 축부의 도중(상기 제1프리휠과 제2프리휠로부터 이격되는 곳)에서 제1프리휠(30-1)과 제2프리휠(30-2)의 둘레부를 향해 편심되도록 직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2커넥팅 로드(20-1,20-2)의 하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로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 연결부의 위치도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의 로드 연결부의 위치와 동일하다.
구동 휠(40)은 제1프리휠(30-1) 및 제2프리휠(30-2)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제1프리휠(30-1) 및 제2프리휠(30-2)로부터 회전력을 교대로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360° 회전한다. 즉, 제1프리휠(30-1)의 하강[제2프리휠(30-2)은 상승하는 프리 상태]시 회전력이 발생되어 구동 휠(40)이 회전하고, 제2프리휠(30-2)의 하강[제1프리휠(30-1)은 상승하는 프리 상태]시 회전력이 발생되어 구동 휠(40)이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구동 휠(40)은 전진방향으로만 360°회전하게 되는 것이다(도 6, 도 7 참고).
구동 휠(40)은 구동축과 구동축에 형성되며 제1,2프리휠(30-1,30-2)과 연결되는 휠(프리휠의 형태에 따라 기어 등 다양한 구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구동 휠(40)은 제1,2프리휠(30-1,30-2)가 직접 연결되는 것은 물론 체인이나 벨트 등의 매개체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 휠(40)과 동축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체(80), 제1회전체(80)보다 작은 크기이며 제1회전체(80)와 직간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도면에는 벨트(81)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함]되는 제2회전체(82), 제2회전체(82)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제2회전체(8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제3회전체(83), 제3회전체(83)보다 작은 크기이며 제3회전체(83)와 직간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도면에는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함]되는 제4회전체(84), 제4회전체(84)와 동축이며 제4회전체(84)보다 큰 크기의 제5회전체(85), 제5회전체(85)보다 작은 크기이며 제5회전체(85)와 직간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도면에는 체인(86)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함]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 바퀴(50)를 회전[구동 바퀴(50)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제6회전체(87)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2회전체(80,82)는 풀리, 제3,4회전체(83,84)는 기어, 제5회전체는 체인휠, 제6회전체(87)는 프리휠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t; Example 1 >
1 to 4, the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 a handle 2 mounted on the frame 1, a board (not shown) 1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0-1 and 20-2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oard 1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0-1 and 20-2, First and second freewheels 30-1 and 30-2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only when the board 10 is pressed while maintaining a free state in which no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when the board 10 is lifted, A driving wheel 40 that rotates 36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free wheels 30-1 and 30-2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running the quick board, The driving wheel 50, the first freewheel 30-1 and the second freewheel 30-2, which ar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0-1 and 20-2, The first and second crankshafts Freewheel shafts 60-1 and 60-2 or first and second T-shaped freewheel shafts 70-1 and 70-2.
Steering wheels 51 are provided on the handle 2, and the frame 1 and the handle 2 are widely used in the quick boar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board 10 is connected to the frame 1 so that the center of the bottom thereof is seesawed to the frame 1 through the board hinge point 11 when the user steps forward and backwar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 hinge points 12 and 13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inge point 11, respectively. Here, the hinge points 11, 12, and 13 refer to the hinge-connected portions.
The first and second return springs 14 and 15 are us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ard 10 in front and rear of the frame 1,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return springs 14 and 15 are elastic members that help stop the seesaw movement of the board and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when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 10 are lowere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s feet, to be.
The first connecting rod 20-1 is provided with a ring for hinge connectio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hinge point 12 of the board 10 on the basis of the assembled state, 10) is shifted to linear mo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crank-type free wheel shaft 60-1 (or the first tie-type freewheel shaft 70-1) .
The second connecting rod 20-2 is provided with a ring for hinge connectio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2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rod hinge point 13 of the board 10,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crest type free wheel shaft 60-2 (or the first tie type freewheel shaft 70-2) is switched to the linear motion, .
The first freewheel 30-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1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crank-type freewheel shaft 60-1 (or the first tie-shaped freewheel shaft 70-1) That is,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when the front of the board 10 descends, and maintains the free state when the front of the board 10 rises.
The second freewheel 30-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1 and is rotated by 174 ° by the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 60-2 (or the second tie-shaped free wheel shaft 70-2) That is, when the rear of the board 10 is lowered,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and maintains the free state when the rear of the board 10 rises.
As shown in FIGS. 4 and 9,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s 60-1 and 60-2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are horizontally arranged at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30-1 and 30-2 (Fixed to the shaft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free wheels 30-1 and 30-2), a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0-1 and 20-2 And a rod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ro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s 60-1 and 60-2 formed by such a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are not fixed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30-1 and 30-2 It is very easy to assemble and maintain, and does not cause a phenomenon of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30-1 and 30-2.
Wherein the ro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freewoels at an end of the shaft portion,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shaft portion at an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A second vertical part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art at an end of the hinge connection part,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ame line with the shaft part at an end of the second vertical part.
The position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is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portion,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free wheels 30-1 and 30-2, and the right side of the top dead center is the initial pos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FIG. Falling and rising are repeated between point and bottom point, and rotating force is generated when falling, and it is free state when rising.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wheel shafts 60-1 and 60-2 thus configured are supported on the frame 1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bearings or the lik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tie type freewheel shafts 70-1 and 70-2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crank type free wheel shafts 60-1 and 60-2, (A shaft hole)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er (shaft hole) of the first free wheel 30-2 and the center (shaft hole) of the second free wheel 30-2, (30-1) and the second freewheel (30-2),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0-1, 2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o. The positions of the rod connecting portions are the same as the positions of the rod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s 60-1 and 60-2.
The drive wheel 4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freewheel 30-1 and the second freewheel 30-2 and is rotated alternately from the first freewheel 30-1 and the second freewheel 30-2 And rotates 36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when the first freewheel 30-1 is lowered (the second free wheel 30-2 is in the rising free state), the driving wheel 40 rotates, and the second free wheel 30-2 (The first free wheel 30-1 is in a rising free state), a driving force is generated to rotate the driving wheel 40, so that the driving wheel 40 rotates 360 degrees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6 and 7).
The drive wheel 40 is formed on the drive shaft and the drive shaf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ree wheels 30-1 and 30-2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gears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reewheel).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30-1 and 30-2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driving wheel 40 through a medium such as a chain or a belt to receive rotational force.

8,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80 formed coaxially with the driving wheel 40, a second rotating body 80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otating body 80, A second rotating body 82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82 by a belt 81 as shown in the figure, a second rotating body 82 connected coaxially with the second rotating body 82, The third rotating body 83 is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third rotating body 83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ng body 83 directly or indirectly (shown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wing) The fifth rotating body 85 is coaxial with the fourth rotating body 84 and is larger than the fourth rotating body 84. The fifth rotating body 85 is smaller in size than the fifth rotating body 85, (To be connected by a chain 86)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riving wheel 85. The driving wheel 50 is rotated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wheel 50 and rotated) And a sixth rotating member 87 for rotating the second rotating member.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rotors 80 and 82 are pulleys, the third and fourth rotors 83 and 84 are gears, the fifth rotator is a chain wheel, and the sixth rotator 87 is a freewheel.

The operation princip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보드(10)는 큰원 상하왕복회전운동(도 6의 Rc)을 하며 하사점 끝까지 오지않으며,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30-1,30-2)의 하사점 -3°부근에서 탄성부재인 제1,2리턴스프링(14,15)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며, 이와 같이 보드(10)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눌릴 때 제1,2프리휠(30-1,30-2)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1,2커넥팅 로드(20-1,20-2)는 상단부는 중간원 상하왕복회전운동(도 6의 Rb)을 하는 한편 하단부는 작은원 상하왕복회전운동(도 6의 Ra)을 하고, 이 때,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70-1,7-2)]는 360°회전이 아닌 174°의 각도 내에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 휠(40)을 항상 전진방향으로 360°회전시킨다.
The board 10 is reciprocally rotated in a large circle (Rc in FIG. 6) and does not extend to the bottom dead center. The board 10 has elasticity at arou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s 30-1, And the first and second return springs 14 and 15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30-1 and 30-2. Whe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ard 10 are pressed, And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0-1 and 20-2 are reciprocally rota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circle (Rb in Fig. 6)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s 60-1 and 60-2 (first and second tie type freewheel shafts 70-1 and 7-2) And the driving wheel 40 is always rotated 36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삭제delete

전술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한 구동 휠(40)의 적은 회전수를 구동 바퀴(50)의 많은 회전수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속도의 효과에 대하여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p1 지점인 구동휠(40)이 1 바퀴 회전하였다고 가정 했을때 종래에 출원했던 발명에서는 p4 지점으로 3:1 의 기어비를 사용하여 회전수를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최종 구동바퀴는 3바퀴를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어비를 2:1을 사용하여 몇 단계를 거쳐 증가 시켰기 때문에 p1 지점은 1회전 - p2 지점에서는 2회전 - p3 지점에서는 4회전 - p4 지점에서는 8회전으로 상승하며 최종 구동바퀴(50)는 8바퀴를 회전하게 된다. 즉 보드(10)의 1회 누름에 의해 최종 구동바퀴(50)가 8회전하는 것이다
기어비가 종래의 3:1 보다 본 발명의 2:1 이 작으므로 부품의 크기는 종래의 부품 보다 작아 졌으며, 구동바퀴의 지름이 10cm 라고 가정 했을때 종래의 퀵보드는 기어비가 3:1이므로 이동거리는 94.2cm 를 이동하였으나 본 발명의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251.2cm 를 이동하였다 즉 구동보드 1번의 큰원 상하왕복회전운동(도 6의 Rc)으로 상기의 거리를 이동 하였으므로 추진력과 속도가 현저히 증가 하였고, 도 7 의 L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의 길이가 길어지고, 종래에는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돌기를 프리휠의 가장자리에 근접되도록 할 수 없지만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는 제1,2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을 더 멀리할 수 있고 즉, 힌지 연결부의 길이를 종래 돌기의 위치보다 멀리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렛대의 길이가 길어져서 토오크가 증가한다.

<실시예 2>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주행용 구동 퀵보드는, 실시예 1의 보드(10) 대신 제1,2페달(10-1,10-2)로 변경된 것이며, 제1커넥팅 로드(20-1)는 상단부가 제1페달(10-1)에 연결되어 제1페달(10-1)의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프리휠(30-1)을 구동하고, 제2커넥팅 로드(20-2)는 상단부가 제2페달(10-2)에 연결되어 제2페달(10-2)의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2프리휠(30-2)을 구동한다.
제1,2페달(10-1,10-2)은 상승과 하강을 서로 반대로 연동하도록 가이드(10-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10-3)는 와이어, 체인 등으로서 롤러 등에 의해 제1,2페달(10-1,10-2)의 상승과 하강이 반대로 연동하도록 설치된다.
제1,2페달(10-1,10-2)도 실시예 1에 적용된 탄성부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동휠(40)은 제1프리휠(30-1)과 제2프리휠(30-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2동력전달휠(41,42)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항상 전진방향으로 구동한다.
도면에는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701-,70-2)로 도시되었으나, 실싱예 1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60-1,60-2)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부가되는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1. 브레이크.
구동바퀴(50)의 회전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브레이크가 갖추어진다.
상기 브레이크는 패드에 의한 압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고, 핸들(2)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레버(3)가 갖추어진다.
2. 프레임과 핸들 조립을 위한 핸들고정핀.
도 1과 도 13 및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프레임(1)과 핸들(2)은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때, 프레임(1)과 핸들(2)은 핸들고정핀(4)에 의해 분리와 결합된다.
프레임(1)에는 핸들고정핀(4)이 조립 및 회전하는 홀이 형성되고, 프레임(1) 안에 삽입되는 핸들(2)의 단부에는 상기 홀과 연통하면서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를 갖는 홀이 형성되고, 핸들고정핀(4)은 프레임(1)의 홀과 핸들(2)의 홀에 끼워져 핸들(2)을 프레임(1)에 고정하는 한편 핸들(2)이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곳의 힌지를 통해 회전하면서 프레임(1)에 접힐 수 있도록 둘레부에 직사각형의 록킹부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부는 폭이 핸들(2)의 홀에 형성된 개방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핸들(2)을 록킹하고, 두께가 핸들(2)의 홀에 형성된 개방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핸들(2)이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도 14에서 보이듯이 프레임(1)과 핸들(2)은 힌지에 의해 절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확장판.
보드(10)는 절첩 또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확장되는 확장판(16)(도 4에 도시됨)이 적용된다. 확장판(16)은 실시예 1,2의 제1,2페달(10-1,10-2)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4. 변속기.
도 15에서 보이는 것처럼, 변속기(90)는 구동휠(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대구경 기어(91), 대구경 기어(91)보다 작은 외경이며 대구경 기어(91)와 동축으로 형성되는 소구경 기어(92), 대구경 기어(91)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소구경 변속기어(93), 소구경 변속기어(93)보다 큰 외경으로 소구경 변속기어(93)와 동축으로 형성되는 대구경 변속기어(94), 소구경 변속기어(93) 및 대구경 변속기어(94)와 동축으로서 회전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95), 소구경 변속기어(93)를 대구경 기어(91)에 연결하거나 대구경 변속기어(94)를 소구경 기어(92)에 연결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속 레버(96)로 구성된다. 소구경 변속기어(93)와 대구경 변속기어(94)는 슬라이딩바를 통해 도면 기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동력전달부재(95)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좌우 이동시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5. 현가장치.
도 16에서 보이듯이, 구동 바퀴(50)와 조향 바퀴(51)로부터 전가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현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현가장치는 완충스프링(17)이다.
6. 안장.
프레임에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안장이 적용된다.
7. 전기모터와 배터리 및 엔진.
구동바퀴(50)를 전동식 또는 엔진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기모터(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 이용) 또는 엔진이 적용된다.
As a method of converting the small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wheel 40 by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n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wheel 50 and explaining a simple example of the effect of the speed,
As shown in FIG. 3, assuming that the driving wheel 40, which is the point p1, rotates by one rotation, in the previously-proposed invention, since the rotational speed is directly transmitted using the gear ratio of 3: 1 to the point p4,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ear ratio is increased by several steps using 2: 1, the p1 point is increased by one rotation, the p2 point is rotated by two rotations, the p3 point is rotated by four rotations, and the p4 point is rotated by eight rotations And the final drive wheel 50 rotates 8 revolutions. That is, the final driving wheel 50 rotates eight times by pressing the board 10 once
Assuming that the size of the par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art because the gear ratio is smaller than 2: 1 of the conventional 3: 1 ratio, and the diameter of the drive wheel is 10 cm, the conventional quick board has a gear ratio of 3: The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oved 251.2 cm. That is, since the above-mentioned distance was shifted by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board 1 in a large up-and-down direction (Rc in FIG. 6), the driving force and speed were remarkably increased 7,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s becomes long, and conventionally, the protrusion to which th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can not be brought close to the edge of the freewheel, , The two-tiered freewheel shaft can further extend the portion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are connected, that is, the length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can be made longer than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projection, So long Garret single length increases the torque.

&Lt; Example 2 >
As shown in Figs. 10 to 12, the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nged to the first and second pedals 10-1 and 10-2 instead of the board 1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od 20-1 is connected to the first pedal 10-1 at its upper end to drive the first freewheel 30-1 by switching the seesaw drive of the first pedal 10-1 to linear motion, 2 connecting rod 2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pedal 10-2 so that the seesaw drive of the second pedal 10-2 is switched to linear motion to drive the second freewheel 30-2 .
The first and second pedals 10-1 and 10-2 may be connected through a guide 10-3 so that the up and down movements are reverse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guide 10-3 is a wire, a chain, or the lik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edals 10-1 and 10-2 can be reversely moved up and down by a roller or the like.
The elastic member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pedals 10-1 and 10-2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e wheel 40 is formed coaxi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s 41 and 42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reewheel 30-1 and the second free wheel 30-2, And is driven in the advancing direction.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tie-type freewheel shafts 701- and 70-2 are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crank-type free wheel shafts 60-1 and 60-2 are similarly applied .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configurations to be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Brake.
A brake for forcibl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50 is provided.
The brakes can be variously employed, such as a compression method using a pad, and the handle 2 is provided with a brake lever 3 for braking.
2. Handle retaining pin for frame and handle assembly.
1 and 13 and 14, the frame 1 and the handle 2 are configured to be foldable. At this time, the frame 1 and the handle 2 are separated by the handle fixing pin 4 Lt; / RTI &gt;
A hole for assembling and rotating the handle fixing pin 4 is formed in the frame 1 and a hole having an open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hole and opening toward one sid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2 inserted into the frame 1 And the handle fixing pin 4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rame 1 and the hole of the handle 2 to fix the handle 2 to the frame 1 while the handle 2 is spaced inward from the end A rectangular 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frame 1 so as to be foldable.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in width than the opening formed in the hole of the handle 2 so as to lock the handle 2 and to be smaller in thickness than the opening formed in the hole of the handle 2, do.
Further, as shown in Fig. 14, the frame 1 and the handle 2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by a hinge.
3. Extensions.
The board 10 is applied with an extension plate 16 (shown in Fig. 4) extending by folding or sliding. The extension plate 16 is also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pedals 10-1 and 10-2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4. Transmission.
As shown in Fig. 15, the transmission 90 includes a large-diameter gear 91 that rotates upon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wheel 40, a small-diameter gear 91 that is coaxial with the large- A small diameter transmission 93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 diameter gear 91 and a large diameter transmission 93 formed coaxially with the small diameter transmission 93 with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mall diameter transmission 93, 94, the small-diameter transmission 93, and the large-diameter gear 94,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95 and the small-diameter transmission 93 that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wheels coaxially with the large-diameter gear 91 And a shift lever 96 for connecting the large-diameter transmission 94 to the small-diameter gear 92 so as to perform shifting. The small-diameter transmission member 93 and the large-diameter transmission member 94 are configured to be slidable left and right through the sliding bar, and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95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without moving left and right when the sliding bar is moved left and right. .
5. Suspension.
As shown in FIG. 16, includes a suspension device for absorbing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wheel 50 and the steering wheel 51. The suspension is a buffer spring (17).
6. Saddle.
A saddle that allows the user to sit on the frame is applied.
7. Electric motor, battery and engine.
An electric motor (using a battery for charging electricity) or an engine is applied to drive the drive wheels 50 electrically or engineical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 프레임, 2 : 핸들
10 : 보드, 10-1,10-2 : 제1,2페달
20-1,20-2 : 제1,2커넥팅 로드,
30-1,30-2 : 제1,2프리휠
40 : 구동휠, 50 : 구동 바퀴
60-1,60-2 : 제1,2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
70-1,70-2 :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
1: frame, 2: handle
10: board, 10-1, 10-2: 1st and 2nd pedals
20-1, 20-2: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30-1, 30-2: 1st and 2nd freewheels
40: driving wheel, 50: driving wheel
60-1, 60-2: first and second crankshaft type freewheel shafts,
70-1, 70-2: first and second tie type freewheel shafts,

Claims (25)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발판부재와;
상단부가 상기 발판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재의 일측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커넥팅 로드와;
상단부가 상기 발판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재의 타측 시소구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커넥팅 로드와;
상기 제1커넥팅 로드의 직선운동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되, 상기 발판부재의 일측의 누름에 의해 하강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승시 프리 상태를 유지하는 제1프리휠과;
상기 제2커넥팅 로드의 직선운동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되, 상기 발판부재의 타측의 누름에 의해 하강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승시 프리 상태를 유지하는 제2프리휠과;
상기 제1,2프리휠의 중심에 연결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로부터 편심 형성되어 상기 제1,2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부재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2프리휠을 각각 회전시키는 프리휠 샤프트와;
상기 제1프리휠 및 제2프리휠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프리휠 및 제2프리휠로부터 회전력을 교대로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360° 회전하는 구동 휠과;
상기 구동 휠의 회전을 증가시켜 전달하는 다단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의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 휠과 동축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체, 상기 제1회전체보다 작은 크기이며 상기 제1회전체와 직간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체, 상기 제2회전체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체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제3회전체, 상기 제3회전체보다 작은 크기이며 상기 제3회전체와 직간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회전체, 상기 제4회전체와 동축이며 상기 제4회전체보다 큰 크기의 제5회전체, 상기 제5회전체보다 작은 크기이며 상기 제5회전체와 직간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 바퀴를 회전시키는 제6회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A frame;
A handle mounted on the frame;
A foot member provided on the frame;
A first connecting ro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oot member to convert one side seesaw drive of the foot member into a linear motion;
A second connecting ro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oot member to convert the other side seesaw drive of the foot member into a linear motion;
A first freewheel rotating in both directions by a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rod, the first freewheel generating a rotating force while being lowered by pressing one side of the foot plate member and maintaining a free state when the first connecting rod descends;
A second freewheel rotating in both directions by a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the second freewheel generating a rotating force while descending due to the pressing of the other side of the foot member,
A shaft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and a hinge connection portion eccentrically formed from the shaf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A freewheel shaft for rotating the respective freewheels;
A driving wheel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and rotated 360 ° in a forward direction by alternatel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increasing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And a driving wheel that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contacts the ground and is driven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Wherein the multi-stage power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formed coaxially with the driving wheel; a second rotating body of a size smaller than the first rotat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A third rotating body connected coaxially with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rotating body, a fourth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ng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third rotating body, A fifth rotating body that is coaxial with the fourth rotating body and has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ourth rotating body, a second rotating body that is smaller than the fifth rotating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fifth rotating body so as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rotatable, And a sixth rotating body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휠 샤프트는,
상기 제1,2프리휠의 중심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2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로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연결부는 상기 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2프리휠의 둘레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2커넥팅 로드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 상기 힌지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수직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크랭크형 프리휠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
The motorcycle according to claim 1,
And a ro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wherein the ro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rod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haft portion A first vertical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eriphery of the first freewheel; a hing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haft portion at an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an extension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aft portion at an end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휠 샤프트는 상기 제1,2프리휠의 중심에 연결되는 축부, 상기 축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2커넥팅 로드의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되는 제1,2티형 프리휠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ee wheel shaft includes a shaft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freewheel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haft portion, and a hinge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hingedly connect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And the first and second tie-type freewheel shafts.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보드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시소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드 힌지점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제1,2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제1,2커넥팅로드 힌지점이 형성된 하나의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ootrest member is installed in the frame so as to perform a seesaw motion about the board hinge poin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 hinge point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 hinge point, respectively, Wherein the board is a single boar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보드의 시소운동의 정지 및 운동 방향의 전환을 도와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The driving quick board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board to stop the seesaw movement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ar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각각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페달이며,
상기 제1,2커넥팅 로드는 각각 상기 제1,2페달에 연결되고, 상기 제1,2프리휠은 각각 상기 제1,2페달에 연결되어 상기 제1,2페달의 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footres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oot member is a first and a second pedal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edal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free whee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edals, respectively, Drive quick-board for driv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제1프리휠과 제2프리휠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2동력전달수단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iving wheel is installed coaxi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reewheel and the second freewhee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2페달의 시소운동의 정지 및 운동 방향의 전환을 도와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pedals to stop the seesaw motion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2페달을 연결하되, 상기 제1,2페달이 상승과 하강을 서로 반대로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of claim 7,
And a guide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edals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edal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edals are inverse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brake for braking the driving wheel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핸들의 분리와 결합을 위한 핸들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handle fixing pin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frame and the handl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6회전체는 풀리, 기어나, 체인휠, 프리휠 중 어느 하나로서, 이웃하는 회전체와 직접 또는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to sixth rotators are either pulleys, gears, chain wheels or freewheels, and ar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adjacent rotors either directly or via a power transmitting memb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안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saddle mounted on the fram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드에 절첩 또는 슬라이드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expansion plate formed on the board so as to be expandable by folding or slid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바퀴로부터 전가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현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suspension for absorbing vibration transferred from the driving wheel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대구경 기어, 상기 대구경 기어보다 작은 외경이며 상기 대구경 기어와 동축으로 형성되는 소구경 기어, 상기 대구경 기어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소구경 변속기어, 상기 소구경 변속기어보다 큰 외경으로 상기 소구경 변속기어와 동축으로 형성되는 대구경 변속기어, 상기 소구경 변속기어 및 대구경 변속기어와 동축으로서 회전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소구경 변속기어를 상기 대구경 기어에 연결하거나 상기 대구경 변속기어를 상기 소구경 기어에 연결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속 레버로 이루어진 변속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large diameter gear which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large diameter gear and coaxially formed with the large diameter gear, a small diameter transmiss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 diameter gear, A large-diameter gearbox coaxial with the small-diameter gearbox with a larger outer diameter, a power transmitting member coaxial with the small-diameter gearbox and the large-diameter gearbox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wheels, Or a transmission lever for connecting the large-diameter transmission to the small-diameter gear so as to perform a shifting oper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2페달에 절첩 또는 슬라이드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구동 퀵보드.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expansion plat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pedals so as to be extended by folding or sli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30492A 2016-10-10 2016-10-10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KR1017460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92A KR101746061B1 (en) 2016-10-10 2016-10-10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92A KR101746061B1 (en) 2016-10-10 2016-10-10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061B1 true KR101746061B1 (en) 2017-06-12

Family

ID=5921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92A KR101746061B1 (en) 2016-10-10 2016-10-10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06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042B1 (en) 2017-09-15 2018-06-12 김리한 Driving unit freewheel and driving product including this same
KR20190031114A (en) 2018-03-23 2019-03-25 김리한 Driving unit freewheel and driving product including this same
CN115042902A (en) * 2022-07-26 2022-09-13 浙江德策工贸有限公司 Scooter and scooter runn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25Y1 (en) * 2001-03-09 2001-10-06 김창수 Skate board having rotatory board structured by separating 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25Y1 (en) * 2001-03-09 2001-10-06 김창수 Skate board having rotatory board structured by separating boa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042B1 (en) 2017-09-15 2018-06-12 김리한 Driving unit freewheel and driving product including this same
WO2019054693A1 (en) * 2017-09-15 2019-03-21 김리한 Driving unit for traveling, using freewheels, and apparatus for traveling, including same
KR20190031114A (en) 2018-03-23 2019-03-25 김리한 Driving unit freewheel and driving product including this same
CN115042902A (en) * 2022-07-26 2022-09-13 浙江德策工贸有限公司 Scooter and scooter running method
CN115042902B (en) * 2022-07-26 2024-03-29 浙江德策工贸有限公司 Scooter and scooter runn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061B1 (en) Driving and driven for a quick Board
US5419572A (en) Reciprocating bicycle drive
US6209900B1 (en) Cycle provided with a moving fulcrum type leverage
CN103261013B (en) Bicycle
CN101468703A (en) Steering mechanism for a row bike
US20150367910A1 (en) Elliptical drive mechanism and a steering mechanism, applicable to velocipedes in general
CN105143030A (en) A propulsion system for human powered vehicles
CN1630790A (en) Mechanical transmission
WO2006059836A1 (en) Non-power mini bike
WO2017137923A1 (en) Dual arm single-shock-absorber assembly for a pair of wheels of a velocipede
CN205440736U (en) Pedal scooter
WO2006001450A1 (en) Toggle joint drive mechanism
JP2006159919A (en) Crank device, and vehicular crank pedal device with the same
CN208360414U (en) Transmission component, bicycle drive and bicycle
CN105730597A (en) Foot treading scooter
JP4697681B2 (en) A mechanism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while the front wheel drive bicycle and the follower are rotatable around the axis.
KR101197157B1 (en) Health Bicyle
KR101449346B1 (en) Torque transfer devices and vehicles using the same
CN202593777U (en) Hand and foot dual-drive chainless bicycle
CN109080761B (en) Speed change gear of environmental sanitation tricycle
KR20190031114A (en) Driving unit freewheel and driving product including this same
CN201280202Y (en) One-rod dual-purpose power device
CN102602495A (en) Hand and foot drive outdoor sports bicycle
RU2506191C1 (en) Transport facility
JP3205706U (en) Self-propelled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