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690B1 -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690B1
KR101745690B1 KR1020150149547A KR20150149547A KR101745690B1 KR 101745690 B1 KR101745690 B1 KR 101745690B1 KR 1020150149547 A KR1020150149547 A KR 1020150149547A KR 20150149547 A KR20150149547 A KR 20150149547A KR 101745690 B1 KR101745690 B1 KR 10174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height
range
bloc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895A (ko
Inventor
허혁정
Original Assignee
허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혁정 filed Critical 허혁정
Priority to KR102015014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6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9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직립하여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변위정보판단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위정보판단부는, 수신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해 대량 생산되는 콘크리트 블록제품의 전수량 치수계측과 정품판정 및 치수변화추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DIMENSION MEASURING APPARATUS OF CONCRETE BLOCK AND DIMENSION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해 대량 생산되는 콘크리트 블록제품의 전수량 치수계측과 정품판정 및 치수변화추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수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블록 성형기에서 진동 압축에 의해 대량 생산되는 블록의 치수측정은 빈번하게 수행된다.
콘크리트 블록의 몰탈 수분량 및 골재크기, 진동의 편차 등의 조건에 따라 형틀(몰드)에 공급되어지는 몰탈량에 변화가 있게 되어지고 이는 블록제품의 치수 변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대량 생산시 전수량에 대한 자동화 치수 검사 방식이 요구되어 현재, 접촉시 치수측정에 의한 표본 치수검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접촉을 통한 치수측정에 의한 표본 치수검사 방식은, 콘크리트 블록의 몰드 교체시 초기 셋팅 및 안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치수를 변경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자동화 설비를 빈번하게 정지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접촉식 치수 측정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를 측정하게 되면 양생전 제품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식 치수 측정시 작업자의 기준에 따라 치수 불량품이 그대로 통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해 대량 생산되는 콘크리트 블록제품의 전수량 치수계측과 정품판정 및 치수변화추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접촉식 센서를 통해 치수를 측정하기 때문에, 센서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고, 측정오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는,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직립하여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통해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정보를 생성하는 블록불량발생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좌우길이범위, 전후길이범위,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누어 설정하는 설정모듈을 구비한 변위정보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정보판단부는 상기 블록불량발생정보가 생성되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경고등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변위정보판단부는, 각 센서마다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여 상기 좌우길이 범위 및 전후길이범위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블록마다 그 높이를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위정보판단부는, 수신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되, 누적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의 변화량을 통해 치수변화값을 생성하여 상기 치수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치수변화 범위에 해당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방법은, (a) 이송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이송부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센서부의 상측에 하나이상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상기 (a)단계에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변위정보판단부에 송신하는 단계: (c) 변위정보판단부가 상기 (b)단계에서 송신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수신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 범위를 설정하되, 수평으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좌우길이범위, 전후길이범위,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는, 각 센서마다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여 상기 좌우길이 범위 및 전후길이범위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블록마다 그 높이를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측에 스피커 및 경고등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블록 불량 발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경고등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는, (c1) 수신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되, 누적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의 변화량을 통해 치수변화값을 생성하여 상기 치수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치수변화 범위에 해당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해 대량 생산되는 콘크리트 블록제품의 전수량 치수계측과 정품판정 및 치수변화추이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식 센서를 통해 치수를 측정하기 때문에, 센서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고, 측정오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센서의 측정범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그래프가 화면에 출력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콘크리트 블록 높이를 누적하여 선형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기로부터 양생실로 이송할 때 콘크리트블록의 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센서의 측정범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100)는, 이송부(110), 센서부(120), 변위정보판단부(200)를 포함한다.
이송부(110)는,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이송부(110)는, 콘크리트 블록 성형기로부터 생산된 제품이 양생실로 이동하는 컨베어벨트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단에 모터가 형성되고 후단에 롤러가 형성되어 모터와 롤러를 감싸는 형태로 벨트가 안착되며, 모터의 구동을 통해 벨트를 회전시켜 벨트에 고정된 이송판을 이송시켜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기로부터 양생실로 이송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20)는, 상기 이송부(110)에 직립하여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이송부(110)에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130)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이송부(110)의 양 측면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축프레임(122), 상기 각 축프레임(122)의 상측을 서로 연결프레임(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서(130)는, 상기 연결프레임(124)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센서(130)는 연결프레임(124)에 프로파일 형강류를 통해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센서(130)는,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변위정보판단부(2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센서(130)는, 콘크리트 블록 이송판의 상면으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학 변위센서(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이저를 조사하여 그 높이를 측정하되, 센서와 콘크리트 블록 이송판의 상면과의 높이에서 센서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과의 높이를 빼서 콘크리트 블록의 실제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센서(130)는 초당 2000회 이상 연속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하여 측정되는 높이의 정확성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센서부(120)에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 방향으로 바람을 방출하는 송풍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붙은 이물질, 몰타 등의 버(BUR)로 인해 센서(130)로 측정되는 값이 불량으로 파악될 가능성이 있어 버(BUR)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다.
변위정보판단부(200)는, 블록불량발생정보 생성모듈(210), 설정모듈(220), 출력모듈(230) 및 저장모듈(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변위정보판단부(200)는, 일반적으로 상기 센서(13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개인용 PC, 메인서버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센서(13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면 수신된 높이를 출력하거나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면 사용 가능하다.
블록불량발생정보 생성모듈(210)은 수신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을 표시한다.
여기서, 블록 불량 발생정보는, 블록 불량이 발생된 열과 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의 열과 행은, 중앙부 높이범위의 측정 횟수에 따라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록불량발생정보 생성모듈(210)은, 블록 불량 발생 정보 생성시 가동중단, 스피커(140)로 경고음 출력, 경고등(150) 발광, 화면에 정보표시등을 통해 불량이 발생하면 그 즉시 대처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모듈(220)은, 수신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 범위를 설정하되, 수평으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좌우길이범위, 전후길이범위,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설정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제품의 종류별로 100개 이상의 각 범위를 설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제품이 변경되면 미리 설정된 제품의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제품의 종류의 범위에 따라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센서(130)로부터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되 사용자가 전후길이를 130~140, 좌우길이를 50~60, 중앙부 높이를 80~85, 모서리 높이를 75~80으로 설정해두었다면, 하나의 센서(130)에서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을 모서리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으로 나누되, 설정된 모서리부의 높이가 전후길이, 좌우길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센서(130)에서 측정되는 각 콘크리트블록의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측정되면, 모서리부로부터 모서리부까지 좌우길이로 판단하고, 이송부의 이송속도를 통해 앞 모서리부부터 뒷 모서리부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거나, 중앙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넓이를 통해 좌우길이 및 전후길이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모듈(230)은, 기본적으로 알림을 표시하되, 각 센서(130)마다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여 상기 좌우길이 범위 및 전후길이범위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블록마다 그 높이를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즉, 콘크리트 블록이 이송부(110)를 통해 이동하면서 센서(130)를 통해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화면에 막대그래프화 하여 출력하되 중앙부의 높이, 모서리부의 높이로 각각 나눠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그래프가 화면에 출력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3개의 센서(130)의 평균값은 왼쪽 화면에 표시되고 각 센서(130)에서 측정되는 높이는 오른쪽에 각각 출력된다.
여기서, 수신되는 높이가 중앙부 높이범위와 모서리부 높이범위에 해당하면 정품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상측에 스피커(140) 및 경고등(15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위정보판단부(200)는, 상기 블록 불량 발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경고등(150)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변위정보 판단부에서 블록 불량 발생 정보가 생성되면 센서부(120)에 형성된 스피커(140)와 경고등(150)을 통해서 알람을 울려 불량이 발생된 것을 작업자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콘크리트 블록 높이를 누적하여 선형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저장모듈(240)은, 수신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되, 누적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의 변화량을 통해 치수변화값을 생성하여 상기 치수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치수변화 범위에 해당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높이를 변위정보 판단부가 누적하여 연속선형 그래프로 변환하여 치수변화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되, 누적된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치수변화범위를 초과하면 이물질, 몰타 등의 버(BUR)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붙은 것으로 판단하여 양품으로 판단하고, 치수변화범위 미만이면 정상적인 제품이라 판단하여 양품으로 판단하며, 상기 치수변화범위 내에 위치하면 불량이라 판단하여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장모듈(240)은, 누적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간대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검색하려는 날짜정보 또는 제품이름을 입력하게 되면 제품의 종류별 생산수량이력이 전체합계, 시간별, 일별, 주별, 월별, 연간 등으로 나누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우선 이송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한다(S110).
그 다음, 상기 이송부(110)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센서부(120)의 상측에 하나이상 설치되는 센서(130)를 통해 상기 이송부(110)에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한다(S120).
그리고, 센서(130)는 측정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변위정보판단부(200)에 송신하고, 변위정보판단부(200)가 상기 센서(130)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130).
여기서, 수신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하면 양품으로 판단하여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 다음, 수신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을 표시한다(S140).
그 다음, 상기 블록 불량 발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경고등(150)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1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치수측정장치 110: 이송부
120: 센서부 122: 축프레임
124: 연결프레임 130: 센서
140: 스피커 150: 경고등
200: 변위정보판단부 210: 블록불량발생정보 생성모듈
220: 설정모듈 230: 출력모듈
240: 저장모듈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직립하여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통해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정보를 생성하는 블록불량발생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좌우길이범위, 전후길이범위,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누어 설정하는 설정모듈을 구비한 변위정보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정보판단부는 상기 블록불량발생정보가 생성되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경고등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보판단부는 각 센서마다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여 상기 좌우길이 범위 및 전후길이범위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블록마다 그 높이를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보판단부는 수신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되, 누적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의 변화량을 통해 치수변화값을 생성하여 상기 치수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치수변화 범위에 해당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6. 삭제
  7. (a) 이송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이송부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센서부의 상측에 하나이상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상기 (a)단계에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변위정보판단부에 송신하는 단계:
    (c) 변위정보판단부가 상기 (b)단계에서 송신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수신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 범위를 설정하되, 수평으로 이송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좌우길이범위, 전후길이범위,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각 센서마다 측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수신하여 상기 좌우길이 범위 및 전후길이범위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블록마다 그 높이를 중앙부 높이범위 및 모서리부 높이범위로 나눠 그래프화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측에 스피커 및 경고등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블록 불량 발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경고등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수신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되, 누적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의 변화량을 통해 치수변화값을 생성하여 상기 치수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치수변화 범위에 해당되면 블록 불량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방법.
KR1020150149547A 2015-10-27 2015-10-27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KR10174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47A KR101745690B1 (ko) 2015-10-27 2015-10-27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47A KR101745690B1 (ko) 2015-10-27 2015-10-27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95A KR20170048895A (ko) 2017-05-10
KR101745690B1 true KR101745690B1 (ko) 2017-06-20

Family

ID=5874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547A KR101745690B1 (ko) 2015-10-27 2015-10-27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39B1 (ko) * 2018-02-27 2018-06-04 (주)88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610B1 (ko) 1998-06-01 2002-01-12 추호석 카메라와레이저변위센서를혼합한비접촉식선박용곡판부재계측장치
KR101400635B1 (ko) 2013-11-28 2014-05-29 박종현 레이저 변위센서 시스템
JP2015183245A (ja) 2014-03-25 2015-10-22 日本電子株式会社 3次元積層造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610B1 (ko) 1998-06-01 2002-01-12 추호석 카메라와레이저변위센서를혼합한비접촉식선박용곡판부재계측장치
KR101400635B1 (ko) 2013-11-28 2014-05-29 박종현 레이저 변위센서 시스템
JP2015183245A (ja) 2014-03-25 2015-10-22 日本電子株式会社 3次元積層造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95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283B1 (ko) 타이어 트레드 자동 조인트 감지장치
US7624857B2 (en) Device for monitoring a conveyor
CN101661007B (zh) X射线检查装置
WO2018216371A1 (ja) ゴムシート監視装置およびゴムシート監視方法
KR101745690B1 (ko) 콘크리트 블록의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KR101870015B1 (ko) 스크류 제조 설비용 스크류 불량 유무 감별장치
US9688010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 of molded product
CN103921994A (zh) 箱装缺条检测装置的自诊断方法及系统
JP5470885B2 (ja) フィルムの平面性検査装置および平面性検査方法
CN107235288B (zh) 一种辊式输送装置
JP2022000324A (ja) 鋸ベルトの残余寿命を予測する方法およびベルト鋸機
KR20160077964A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KR20080062111A (ko) 진동 보정장치를 이용한 선재 및 봉강의 진원도, 직선도 자동측정장치
JP5057236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処理装置
JP2010071948A (ja) 計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184838A (ja) 板状物の切線加工装置及び板状物の切線加工方法、ならびに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CN106077158A (zh) 一种冷轧钢板收料机、剪板系统及收料方法
EP181646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easuring the profile of at least one physical quantity of a film material
CN209363381U (zh) 卷料全自动冲切机
JP2010189166A (ja) コンベヤベルト及びガイドローラの不良判定システム
JP6874709B2 (ja) 上下鋳型の型ずれ検知装置、及び、上下鋳型の型ずれ検知方法
JP6863449B2 (ja) 鋳造設備の作動方法及び作動装置
KR101864139B1 (ko)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20566B1 (ko) 슬라브의 벤딩률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131671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 정도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