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629B1 -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629B1
KR101745629B1 KR1020160010779A KR20160010779A KR101745629B1 KR 101745629 B1 KR101745629 B1 KR 101745629B1 KR 1020160010779 A KR1020160010779 A KR 1020160010779A KR 20160010779 A KR20160010779 A KR 20160010779A KR 101745629 B1 KR101745629 B1 KR 10174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ensor
user terminal
control signal
m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953A (ko
Inventor
박재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09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H04M1/72533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울기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MCU가 내장되고 블록 간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메인블록과, 구동을 위한 모터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MCU가 내장되고 블록 간 연결을 위한 제2 결합부가 구비되는 서브블록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2 MCU에 전달하는 연결블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블록들 간에 자유로운 구축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흔드는 횟수 및 속도에 따라 조립된 전자 블록을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구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MOVABLE ELECTRONIC BLOCK LINKED WITH USER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된 전자 블록을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자 블록은 간단한 로봇 혹은 자동차 등 기존의 간단한 보편적 사물을 움직이는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 따라서, 창의적, 비정형의 움직임을 지닌 형태를 구축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고, 형상적인 측면에서 곡면의 표현 혹은 완성품으로써의 완전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레고 블록에서도 전자 블록을 개발하였는데, 레고 블록의 전자 블록과 전통 레고 블록을 활용하여도 기존의 보편화된 사물(자동차, 크레인 등) 이상의 조형을 구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4503호(2002. 02. 25. 공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된 전자 블록을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울기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MCU가 내장되고 블록 간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메인블록; 구동을 위한 모터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MCU가 내장되고 블록 간 연결을 위한 제2 결합부가 구비되는 서브블록;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2 MCU에 전달하는 연결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MCU는, 상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록은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MCU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파지한 상태에서 흔드는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MCU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동시에 흔드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를 곱셈 연산하여, 연산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축에 이동 가능한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제1 MCU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상기 바퀴의 회전 횟수 또는 상기 바퀴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MCU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록이 상기 서브블록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 주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들거나 상기 메인블록을 흔들면, 상기 제1 MCU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흔든 속도 및 기울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블록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고, 분리된 상기 메인블록이 상기 서브블록과 연결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MCU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록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은, 상기 메인블록에 내장되는 제1 MCU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울기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브블록에 내장되는 제2 MCU가 상기 연결블록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2 MCU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블록에 내장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의 축에 장착된 바퀴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블록들 간에 자유로운 구축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흔드는 횟수 및 속도에 따라 조립된 전자 블록을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구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델링 된 형상으로 3D 프린팅하여 사용자에 의해 구축된 블록의 표면을 입체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작동을 지닌 창의적 조형물의 제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창의적인 학습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창의성 교육, 융합교육(steam)을 위한 교구로써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용 도구를 넘어 일반인이 ICT기술이 접목된 융합 제품개발을 위한 디자인 도구로 사용되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에서 블록 간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에서 메인블록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에서 블록 간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100)은 메인블록(110), 서브블록(120) 및 연결블록(130)을 포함하며, 서브블록(120) 및 연결블록(13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메인블록(110)은 전원공급부(112), 통신부(113), 제2 센서(114), 제1 MCU(115) 및 저장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와 같이 메인블록(110)은 홈 형태로 구현된 복수의 제1 결합부(111)를 통하여 서브블록(120) 또는 연결블록(130)과 연결되어 결합된다.
전원공급부(11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으로 연결된 서브 블록(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113)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감지된 기울기를 수신한다.
제2 센서(114)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블록(11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메인블록(110)을 파지한 상태에서 흔든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MCU(115)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기울기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서브블록(120)의 제2 MCU(123)로 전달한다.
저장부(116)은 제1 MCU(115)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저장한다.
서브블록(120)은 제2 결합부(121), 모터(122) 및 제2 MCU(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결합부(121)는 메인블록(110) 또는 연결블록(130)과 연결되어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홈 형태로 구현된다.
모터(122)는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122)의 축에는 이동 가능한 바퀴(14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제2 MCU(123)는 제1 MCU(115)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한다.
연결블록(130)은 일단부(131a)와 타단부(131b)가 각각 제1 결합부(111) 및 제2 결합부(121)에 연결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132)을 통해 제1 MCU(115)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 MCU(123)에 전달한다.
즉, 연결블록(130)에 구비되는 전선(132)을 통해 제1 MCU(115)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 MCU(123)에 유선으로 전달하므로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2에서와 같이 메인블록(110)과 복수의 서브블록(120)은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26면체로 이루어지며, 연결블록(130)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선(132)이 감싸지도록 3D 프린터로 출력되어 자유로운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해당된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의 경우 응용 프로그램은 기기 상에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210)가 구비되고 메인블록(110)에 구비되는 통신부(113)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스마트폰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센서(210)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자세히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들면, 제1 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메인블록(110)의 제1 MCU(115)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에서 메인블록의 상세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메인블록(110)은 외측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112)가 USB Por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스피커(118) 온오프 및 블루투스 연결 등 버튼 조작을 위한 버튼부(117)와 음성 및 사운드 출력을 위한 스피커(118)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먼저, 메인블록(110)에 내장되는 제1 MCU(115)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기울기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410).
이때, S410 단계는 다양한 경우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드는 경우, 메인블록(110)의 통신부(113)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된 제1 센서(21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제1 MCU(115)는, 통신부(113)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MCU(115)는, 사용자가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흔드는 경우, 메인블록(110)에 내장된 제2 센서(114)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MCU(115)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와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흔드는 경우, 제1 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제2 센서(114)를 통해 감지된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를 곱셈 연산하여, 연산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든 횟수가 3회이고,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흔든 횟수가 5회이면, 제1 MCU(115)는 총 흔든 횟수를 15회로 인식하여, 15회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즉 회전 속도 또는 회전 횟수를 더욱 증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MCU(115)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서브블록(120)의 모터(122) 축에 장착되는 바퀴(140)의 회전 횟수 또는 바퀴(14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흔든 횟수가 10회면 바퀴(140)를 10회 회전시키도록 모터(12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이동형 전자 블록(100)를 흔드는 속도에 비례하게 바퀴(140)를 회전시키도록 모터(12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MCU(115)는, 제1 센서(210) 또는 제2 센서(114)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형 전자 블록(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좌측으로 기울여서 흔든 다음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내려놓으면 이동형 전자 블록(100)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 다음, 서브블록(120)에 내장되는 제2 MCU(123)가 연결블록(130)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132)을 통해 S41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달받는다(S420).
만약, 메인블록(110)이 서브블록(120)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형 전자 블록(100) 주변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를 흔들거나 메인블록(110)을 흔들면, 제1 MCU(115)는, 제1 센서(210) 또는 제2 센서(114)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흔든 속도 및 기울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메인블록(110)에 구비된 저장부(116)에 저장하고, 제2 MCU(123)는 분리된 메인블록(110)이 서브블록(120)과 연결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MCU(115)로부터 저장부(116)에 저장된 제어신호를 전달받다.
즉, 분리된 메인블록(110)이 서브블록(120)과 연결되는 즉시 이동형 전자 블록(100)이 구동되면 사용자가 어린아이인 경우에는 놀랄 수도 있으므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서브블록(120)에 내장되는 제2 MCU(123)가 S420 단계에서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서브블록(120)에 내장된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한다(S430).
즉, 제2 MCU(123)는 S420 단계에서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22)의 구동 횟수 및 구동 속도 및 이동형 전자 블록(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모터(122)의 축에 장착된 바퀴(140)가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한다(S440).
즉,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모터(122)의 축에 장착된 바퀴(140)가 회전하여 이동형 전자 블록(100)이 이동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메인블록(110), 서브블록(120) 및 연결블록(130)을 조립하여 이동형 전자 블록(100)이 자동차 형상이 되도록 한 것이고, 도 6은 애벌레 형상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서브블록(120)은 도 5에서와 같이 모터(122)의 축에 이동 가능한 바퀴(140)가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도 6에서와 같이 바퀴(140) 대신 이동형 전자 블록(1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이동부재(150)가 모터(122)의 축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은 다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블록들 간에 자유로운 구축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흔드는 횟수 및 속도에 따라 조립된 전자 블록을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구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델링 된 형상으로 3D 프린팅하여 사용자에 의해 구축된 블록의 표면을 입체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작동을 지닌 창의적 조형물의 제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창의적인 학습 효과가 있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창의성 교육, 융합교육(steam)을 위한 교구로써 효과적이다.
또한, 교육용 도구를 넘어 일반인이 ICT기술이 접목된 융합 제품개발을 위한 디자인 도구로 사용되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이동형 전자 블록 110 : 메인블록
111 : 제1 결합부 112 : 전원공급부
113 : 통신부 114 : 제2 센서
115 : 제1 MCU 116 : 저장부
117 : 버튼조작부 118 : 스피커
120 : 서브블록 121 : 제2 결합부
122 : 모터 123 : 제2 MCU
130 : 연결블록 131a : 일단부
131b: 타단부 132 : 전선
140 : 바퀴 150 : 이동부재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제1 센서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와,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기울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MCU가 내장되고 블록 간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메인블록;
    구동을 위한 모터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MCU가 내장되고 블록 간 연결을 위한 제2 결합부가 구비되는 서브블록;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2 MCU에 전달하는 연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MCU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파지한 상태에서 흔드는 경우,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동시에 흔드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를 곱셈 연산하여, 연산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축에 이동 가능한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제1 MCU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상기 바퀴의 회전 횟수 또는 상기 바퀴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MCU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이 상기 서브블록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 주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들거나 상기 메인블록을 흔들면,
    상기 제1 MCU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흔든 속도 및 기울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블록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고, 분리된 상기 메인블록이 상기 서브블록과 연결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MCU에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하나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10.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연결블록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블록과 서브블록을 포함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을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에 내장되는 제1 MCU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울기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브블록에 내장되는 제2 MCU가 상기 연결블록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2 MCU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블록에 내장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의 축에 장착된 바퀴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MCU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파지한 상태에서 흔드는 경우, 상기 메인블록에 포함되어 상기 메인블록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동시에 흔드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를 곱셈 연산하여, 연산된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을 흔든 횟수 또는 흔든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여 상기 바퀴의 회전 횟수 또는 상기 바퀴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이 상기 서브블록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전자 블록 주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흔들거나 상기 메인블록을 흔들면,
    상기 제1 MCU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흔든 횟수, 흔든 속도 및 기울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블록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단계는,
    분리된 상기 메인블록이 상기 서브블록과 연결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MCU에 전달받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하나인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전자 블록의 구동 방법.
KR1020160010779A 2015-01-28 2016-01-28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 KR101745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3426 2015-01-28
KR1020150013426 2015-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53A KR20160092953A (ko) 2016-08-05
KR101745629B1 true KR101745629B1 (ko) 2017-06-09

Family

ID=5671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779A KR101745629B1 (ko) 2015-01-28 2016-01-28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82A1 (ko) *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WO2019231181A1 (ko) *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WO2021010793A1 (ko) * 2019-07-17 2021-01-21 (주) 로보라이즌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모듈러 로봇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7037B1 (ja) * 2019-07-26 2020-01-08 みこと株式会社 組立玩具
JP6647702B1 (ja) * 2019-10-16 2020-02-14 みこと株式会社 組立玩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464A (ja) * 1999-02-25 2000-09-05 System Watt:Kk 組立自在な制御用ブロック
JP2008125741A (ja) * 2006-11-20 2008-06-05 Sony Corp ロボット装置制御システム、ロボット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制御方法
JP2008295519A (ja) * 2007-05-29 2008-12-11 Tomy Co Ltd リモコン玩具
KR101483017B1 (ko) * 2014-06-26 2015-01-16 주식회사 헬로긱스 프로그래밍 가능한 결합형 블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464A (ja) * 1999-02-25 2000-09-05 System Watt:Kk 組立自在な制御用ブロック
JP2008125741A (ja) * 2006-11-20 2008-06-05 Sony Corp ロボット装置制御システム、ロボット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制御方法
JP2008295519A (ja) * 2007-05-29 2008-12-11 Tomy Co Ltd リモコン玩具
KR101483017B1 (ko) * 2014-06-26 2015-01-16 주식회사 헬로긱스 프로그래밍 가능한 결합형 블록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82A1 (ko) *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WO2019231181A1 (ko) *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190136372A (ko) * 2018-05-30 2019-12-10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102055502B1 (ko) * 2018-05-30 2019-12-12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US11623345B2 (en) 2018-05-30 2023-04-11 RoboRisen Co., Ltd. Modular robot system
US11878416B2 (en) 2018-05-30 2024-01-23 RoboRisen Co., Ltd. Modular robot system
WO2021010793A1 (ko) * 2019-07-17 2021-01-21 (주) 로보라이즌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210009520A (ko) * 2019-07-17 2021-01-27 (주) 로보라이즌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102238167B1 (ko) * 2019-07-17 2021-04-12 (주) 로보라이즌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모듈러 로봇 시스템
US11951414B2 (en) 2019-07-17 2024-04-09 Robo Risen Co., Ltd. Modular robot system having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53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629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
JP5563464B2 (ja) 玩具構築システム
US10001843B2 (en) Modular sensing device implementing state machine gesture interpretation
JP4441179B2 (ja) 玩具用触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20180043838A1 (en) Spherical mobile robot with pivoting head
US20160299531A1 (en) Cylindrical Comput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205516505U (zh) 无线充电智能互动积木系统
JP6555831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201918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ccessories connected to apparatus
KR20140112352A (ko) 햅틱 리모트 컨트롤 게임을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2830929A (zh) 一种解锁系统、方法及移动终端
CN103218104A (zh) 一种电子终端及控制电子终端震动方向的方法
CN205461019U (zh) 智能互动积木系统
US20150031459A1 (en) Projecting unit having function of game platform
KR101755604B1 (ko)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
KR101911010B1 (ko) 스마트 블록 조립체
KR101736134B1 (ko) 행동블록을 이용한 로봇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EP34741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egree-of-freedom shape changing devices
KR101769867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로봇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6134B1 (ko) 웹 환경 내에서 이루어지는 완구용 로봇의 활용시스템
KR101988835B1 (ko) 움직임 가능한 큐브형 마우스
KR102301027B1 (ko) 모듈을 이용한 독자 참여형 전자책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204233751U (zh) 一种电动陀螺的无线遥控装置
KR102055502B1 (ko) 모듈러 로봇 시스템
TW201444604A (zh) 以智能裝置控制之遙控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