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620B1 -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 Google Patents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620B1
KR101745620B1 KR1020160111274A KR20160111274A KR101745620B1 KR 101745620 B1 KR101745620 B1 KR 101745620B1 KR 1020160111274 A KR1020160111274 A KR 1020160111274A KR 20160111274 A KR20160111274 A KR 20160111274A KR 101745620 B1 KR101745620 B1 KR 10174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heel
forefoot
groov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16011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7Sole and hee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하이힐용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밑창의 구조를 신발밑창과 힐 부분의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게 하되, 힐 부분에 대하여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거나, 신발밑창과 힐 부분의 결합 구조를 이루게 하되, 힐 부분에 대하여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이힐의 착용효과를 그대로 발휘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탄성력의 부여에 따른 보행시 발가락을 포함한 발바닥과 발목에 전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가능하게 하는 등 보행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부여하며, 하이힐 착용으로 인한 족부질환의 예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Shoe sole for high heels having elastic structure}
본 발명은 하이힐용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밑창을 구성함에 있어, 신발밑창에 탄성력이 부여되게 하여 보행시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행시 편안함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즈는 사람의 신체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발을 보호함과 더불어 발의 착용감을 증대시키기위해 사람의 발에 착용하는 것이며, 슈즈는 신체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분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 및 구조로 제조된다.
한편, 이러한 슈즈중 하이힐 슈즈는 얇고 높은 뒷굽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슈즈가 있는데, 근래 들어 뒷굽의 높이는 더욱 높아지는 한편 뒷굽 두께는 더욱 얇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얇고 높은 굽들 또는 이러한 굽들을 포함하는 슈즈가 "핀힐(pin hill)", "킬힐(kill hill)" 또는 "스틸레토 힐(Stiletto heel)"가 있다.
이러한 하이힐 슈즈는, 지면과 접촉하는 뒷굽의 표면적이 과도하게 작으며 사람의 발 뒷굽을 지면으로부터 멀리 떨어뜨린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의 집중 하중이 얇은 뒷굽을 통해 사용자의 발에 전달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많은 불편함과 피로감을 겪게 되며, 심할경우 다양한 족부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하이힐 슈즈를 무리하게 착용으로 인한 족부질환을 살펴보면, 먼저 "무지외반증"을 들 수 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앞쪽 뼈나 새끼발가락 부분의 뼈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증상인데, 변형이 심해지면 발가락이 휘고, 뼈가 심하게 튀어나오기도 한다. 심할경우 균형잡기가 어려워지고 걸음걸이가 바뀌게 되며 발 뿐 아니라 무릎, 엉덩이 관절에 까지 통증이 발생하게 되며 방치시 다리가 휘어지고 족골의 골막에 염증이 생겨 치료가 어려워지기도 한다.
또한 족부질환으로 "족저근막염"을 들 수 있다.
족저근막염은, 족부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 중 약 50%는 족저근막염 때문이라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질환으로, 발바닥이 다른 신체부위에 비해 두꺼운 것이 바로 이 부분 때문인데, 족저근막은 보행시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발의 아치를 유지하도록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충격와 압력을 받아 족저근막이 늘어나면 염증이 생기는데 이를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또한 족부질환으로 "만성족관절불안정성"을 들 수 있다.
만성족과절불안정성은, 발목을 삐거나 접질리는 일, 걸을때 발을 삐끗하는 빈도가 크게 늘어났다면 하이힐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보아야 하며, 보통 발목이 삐었을때 발이 안쪽으로 접질리며 발목 바깥쪽의 힘줄이 손상되게 된다. 하이힐을 신었을 때 여러 번 발목을 삐면 이 손상이 심해지지만 힘줄은 뼈나 다른 부위에 비해 통증이 빨리 사라지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반복되면 나중에는 발목을 접질러도 아프지 않게 되는데 이는 발목 바깥쪽에 더이상 손상될 힘줄이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발목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발을 자주 접지르게 되는데, 이는 이후 발목관절염 등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목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이힐은 보행시 발가락을 포함한 발바닥과 발목 등 발 전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다양한 족부질환을 야기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여성들은 이러한 하이힐의 부작용으로 인한 족부질환을 감수하면서도 멋을 추구하기 위해 무리하게 하이힐을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이힐의 힐 내부에 스프링을 형성 및 그 피스톤 로드를 통해 스프링과 반응하는 굽의 완충에 의해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고자 하는 하이힐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하이힐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상의 난해함을 가져왔으며, 특히 그 작동 구조가 기계적인 작동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그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외관상으로 피스톤 로드가 노출된 특성상 하이힐의 미려함이 사라지는 등 멋을 중요시 하기 위해 착용하는 하이힐 사용자로 하여금 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7425호.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09999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신발밑창의 구조를 신발밑창과 힐 부분의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게 하되, 힐 부분에 대하여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거나, 신발밑창과 힐 부분의 결합 구조를 이루게 하되, 힐 부분에 대하여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이힐의 착용효과를 그대로 발휘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탄성력의 부여에 따른 보행시 발가락을 포함한 발바닥과 발목에 전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가능하게 하는 등 보행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부여하며, 하이힐 착용으로 인한 족부질환의 예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발바닥의 발볼이 안착되는 전방의 전족부와, 발바닥 중앙이 안착되는 중족부와, 뒤꿈치부가 안착되는 후방의 후족부를 이루는 중창으로 구성하되,
중창을, 상부면이 전족부로부터 중족부를 거쳐 후족부에 이르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상향 경사를 이루게 하고, 중창의 하부에는 중창과 동일한 우레탄 재질로 된 힐부가 일체 형성되게 구성하되,
힐부의 후단에는, 휨 탄성 작용이 가능하도록 "C"자 형태로 함몰 형성된 C형 탄성홈을 이루게 구성하고,
힐부의 저면은, 전족부와 후족부의 사이에서 중족부의 위치에 해당하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함몰 형성되는 바닥 탄성홈을 형성 및 후방에 뒷굽을 이루게 구성하며,
C형 탄성홈에는,
그 C형 탄성홈의 형상에 해당하게 "C"자 형태를 이루며 탄성을 갖는 탄성체가 더 형성되게 구성하거나,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발바닥의 발볼이 안착되는 전방의 전족부와, 발바닥 중앙이 안착되는 중족부와, 뒤꿈치부가 안착되는 후방의 후족부를 이루게 구성하되,
중창을, 전족부로부터 중족부를 거쳐 후족부에 이르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상향 경사를 이루는 패드 형태로 구성하되,
중족부의 하부에는, 중창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힐부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중창의 중족부 상부측으로부터 후족부 전체에는, 금속재로 된 휨방지 보강재가 내입 형성되게 구성하며,
탄성힐부는,
상기 중창(10)의 중족부(200) 하부에 중창(10)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면은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상향 경사를 이루는 중창과 같은 경사를 이루며, 상기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도록 전후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좌우폭은 중족부(200)의 폭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중족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중창(10)의 경사를 유지하면서도 중족부(200)의 지지가 가능하고, 후방으로 개방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C형"자 형태로 절곡형성된 탄성 유도홈(910)이 구비되며, 전방 상부면은 중족부(2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후방 상부면은 휨방지 보강재(350)와 중첩되게 결합되며, 하단이 뒷굽(920)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삭제
상기 탄성힐부(900)의 전방 상부면은 탄성힐부 결합홈(901) 전방에 밀착되고, 후방 상부면은 하부면이 노출된 휨방지 보강재(350) 선단부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탄성힐부(900)가 탄성힐부 결합홈(901)에 결합되며
상기 중족부의 하부 위치에는 전족부와 뒷굽의 사이로 공간 형태의 바닥 탄성홈을 이루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은, 신발밑창의 구조가 전족부와 중족부와 후족부를 이루는 중창과 힐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힐부의 후방에 C형 탄성체를 갖는 C형 탄성홈이 형성되는 등 힐부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게 구성되거나, 신발밑창의 구조가 전족부와 중족부와 후족부를 이루는 중창과 힐부가 결합되게 구성하되, 힐부 자체가 후방에 C형 탄성홈 갖는 탄성힐부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적인 간소화를 가져오면서도 신발을 착용시 뒤꿈치를 올려주는 하이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행시 보행중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힐부의 C형 탄성체 또는 탄성힐부가 하중에 반응하는 휘어지는 탄성 작용을 하여 발목에 전해지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이와 동시에 저면에 형성된 바닥 탄성홈을 통해 한번더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C형 탄성홈 및 C형 탄성체의 탄성력 복원에 의한 보행의 유도가 가능하게 되는 등 보행시 안정감과 편안함의 부여에 따른 하이힐의 착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족부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2 실시예 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2 실시예 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2 실시예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작동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1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1)은, 중창(10)이 구성된 것으로, 중창(10)은 외력을 부여시 탄성을 가지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발가락을 포함한 발바닥의 발볼이 안착되는 전방의 전족부(100)와, 발바닥의 중앙이 안착되는 중족부(200)와, 발바닥의 뒤꿈치부가 안착되는 후방의 후족부(300)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중창(10)을 상부면이 전방의 전족부(100)의 후단으로부터 중족부(200)를 거쳐 후방의 후족부(300)에 이르게 발바닥의 접촉형태에 따라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고, 그 중창(10)의 하부에는 전족부(100)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중창(10)의 경사를 유지하면서도 중족부(200)의 지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창(10)과 동일한 재질로 된 힐부(11)가 일체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중창(10)과 힐부(11)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제작되어 통굽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중창(10)의 곡률 정도와 후족부(300)의 상부 높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하이힐의 형상 및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중창(10)의 힐부(11) 후방에는, "C"자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그 함몰에 의해 후족부(300)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는 C형 탄성홈(400)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힐부(11)의 휨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C형 탄성홈(400)은, 보행중 후족부(300)에 하중이 작용시 그 힐부(11)의 상단이 소정 눌리는 탄성이 부여되어 힐부(11)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힐부(11)의 저면에 전족부(100)와 후족부(300)의 사이를 이루는 중족부(200)의 위치가 만곡한 곡률을 이루게 상부로 함몰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함몰에 의해 바닥 탄성홈(500)을 이루게되며, 그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힐부(11)의 하단에 전족부(100)의 저면측과 구분되는 뒷굽(310)이 구성된다.
즉, 바닥 탄성홈(500)은, 보행중 하중이 작용시 그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힐부(11)의 하부가 전족부(100)와 후족부(300)로 소정 벌어지는 탄성이 부여되어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C형 탄성홈(400)에는, 중창(10)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탄성의 보강이 가능한 탄성체(6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탄성체(600)는, 탄성홈(400)의 형상에 해당하게 후방이 개방된 "C"자 형태를 이루되, 외주면이 탄성홈(400)과 동일한 C형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외주면이 탄성홈(400)에 결합 및 그 개방부를 통해 탄성력의 작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며, 그 탄성체(600)를 C형 탄성홈(400)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착이나 볼팅 조립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체(6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카본(Carbon) 또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또는 하이테크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카본(Carbon)은, 알려진바와 같이 무게가 매우 가벼운 소재로, 부식에 강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주로 프로 선수들이 애용하는 고급 소재로 등산스틱, 스키 폴대, 낚싯대 등 스포츠 용품에 사용되며 탄성과 강도가 무게 대비 우수한 것으로, 탄성체(600)로 적용시 우수한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며 힐부(11)의 고급스러움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는, 알려진바와 같이 내구성이 강하여 마모가 잘 되지 않는 재질로, 신발의 밑창 소재로 사용되어 뒤틀림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서 항공기나 자동차 제작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탄성체(600)로 적용시 우수한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며 힐부(11)의 고급스러움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이테크 폴리머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의 일종으로 내구성이 강하여 마모가 잘 되지 않는 재질로, 신발의 밑창 소재로 사용되어 뒤틀림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서 항공기나 자동차 제작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탄성체(600)로 적용시 우수한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며 힐부(11)의 고급스러움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600)를 C형 탄성홈(400)에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C형 탄성홈(400)의 내주면에 탄성체(600)의 끼움이 가능하도록 탄성체 결합홈(41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탄성체(600)를 C형 탄성홈(400)에 형성함에 있어, 그 외둘레가 탄성체 결합홈(410)에 내입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 탄성이 작용시 그 탄성체(600)가 탄성체 결합홈(410) 내에 지지되어 만약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600)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탄성체(600)를 C형 탄성홈(400)과 분리 가능하게 하여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그 탄성체(600)을 서로다른 두께를 이루어 그 두께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탄성을 가지도록 다수개로 구성 및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601)을 형성하고, C형 탄성홈(4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트공(601)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체(320)를 매입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탄성체(6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볼트공(601)을 통해 너트체(320)에 나삽되는 결합볼트(610)의 체결로 그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1)을 구성함에 있어, 본중창(10)의 전족부(100)와 중족부(200)와 후족부(30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밀착되는 인솔(70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전족부(100)의 저면과 후족부(300)의 뒷굽(310)에는, 보행시 지면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800)(800')가 각각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6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2 실시예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2 실시예 후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제2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1)은, 중창(10)이 구성된 것으로, 중창(10)은 외력을 부여시 탄성을 가지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발가락을 포함한 발바닥의 발볼이 안착되는 전방의 전족부(100)와, 발바닥의 중앙이 안착되는 중족부(200)와, 발바닥의 뒤꿈치부가 안착되는 후방의 후족부(300)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중창(10)을 상부면이 전방의 전족부(100)의 후단으로부터 중족부(200)를 거쳐 후방의 후족부(300)에 이르게 발바닥의 접촉형태에 따라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상향 경사를 이루면서 절곡 및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패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중창(10)의 곡률 정도와 후족부(300)의 상부 높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하이힐의 형상 및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중창(10)의 중족부(200) 하부에 중창(10)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힐부(90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힐부(900)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C형" 홈 형태의 탄성 유도홈(910)을 이루도록 전체적으로 "C"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외둘레 상부면이 중족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중창(10)의 경사를 유지하면서도 중족부(200)의 지지가 가능하게 하며, 그 탄성힐부(900)를 중족부(200)에 형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착이나 볼팅 조립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힐부(6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카본(Carbon) 또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또는 하이테크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카본(Carbon)은, 알려진바와 같이 무게가 매우 가벼운 소재로, 부식에 강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주로 프로 선수들이 애용하는 고급 소재로 등산스틱, 스키 폴대, 낚싯대 등 스포츠 용품에 사용되며 탄성과 강도가 무게 대비 우수한 것으로, 탄성힐부(900)로 적용시 우수한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며 고급스러움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는, 알려진바와 같이 내구성이 강하여 마모가 잘 되지 않는 재질로, 신발의 밑창 소재로 사용되어 뒤틀림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서 항공기나 자동차 제작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탄성힐부(900)로 적용시 우수한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며 고급스러움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이테크 폴리머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의 일종으로 내구성이 강하여 마모가 잘 되지 않는 재질로, 신발의 밑창 소재로 사용되어 뒤틀림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서 항공기나 자동차 제작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탄성힐부(900)로 적용시 우수한 탄성력의 부여가 가능하며 고급스러움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족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힐부(900)는, 그 C형 형태로 절곡된 특성상 하단이 전족부(100)와 구분되어 뒷굽(920)을 이루게 구성되며, 그 전족부(100)과 구분된 뒷굽(920)의 사이에는 공간 형태의 바닥 탄성홈(500')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탄성힐부(900)는, 보행중 후족부(300)에 하중이 작용시 그 후족부(300)의 상단이 소정 눌리는 탄성이 부여되어 후족부(300)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바닥 탄성홈(500')은, 보행중 신발밑창(1) 전체에 하중이 작용시 그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전족부(100)와 후족부(300)가 소정 벌어지는 탄성이 부여되어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중창(10)에는, 중족부(200)의 상부 일부로부터 후족부(300) 전체에 이르게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강성을 지닌 판체 형태로 된 휨방지 보강재(350)가 더 내입되되, 휨방지 보강재(350)은 그 하부(도면중 좌측)가 탄성힐부(900)의 상부와 약 10Cm 정도 중첩 결합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휨방지 보강재(350)는 상기 탄성힐부(900)가 중족부(200)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인바, 보행시 탄성을 갖는 중창(10)의 후족부(300)가 꺽이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는 등 신발밑창(1)의 형상 유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중족부(200)의 하부에 탄성힐부(90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그 중족부(200)의 저면에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도록 전후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좌우폭은 중족부(200)의 폭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후방에 휨방지 보강재(350)의 전방 일부 하부면이 노출되도록 상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탄성힐부 결합홈(901)을 형성하여 탄성힐부(900)의 외둘레 상부가 탄성힐부 결합홈(901)에 끼움 결합되면서 후방 상단면이 휨방지 보강부재(350)의 선단부 하부면에 밀착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탄성힐부(900)와 휨방지 보강재(350)의 밀착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착이나 볼팅 결합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즉, 탄성힐부(900) 후방 상부면과 휨방지 보강재(350)의 전방 하부면이 서로 밀착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휨방지 보강재(350)와 탄성힐부(900)가 함께 탄성 작용하여 중창(10)의 후족부(300)가 탄성 작용과 별도로 꺽이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1)을 구성함에 있어, 중창(10)의 전족부(100)와 중족부(200)와 후족부(30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밀착되는 인솔(70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되고, 전족부(100)의 저면과 후족부(300)의 뒷굽(920)에는, 보행시 지면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800)(800')가 각각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도 9를 참조하여 통상의 신발과 같이 상부에 갑피 또는 밴드(도면중 미도시함) 등이 형성되어 신발(20)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때 본 발명 신발밑창(1)은, 중창(10)의 구조가 그 상부면이 전방의 전족부(100)로부터 후방의 후족부(300)를 이루게 상향 경사를 이루고 하부에는 힐부(11)가 형성되어 그 후족부(300)가 하이힐의 높이를 이루는 것인바, 별도의 하이힐에 적용되는 힐이 없이도 하이힐의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신발밑창(1)은, 보행시 사용자의 하중 및 지면과 닿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 신발밑창(1)은, 그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되, 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먼저 보행중 지면에 발을 디디는 과정에서 가장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후족부(300)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탄성 재질로 된 중창(10)의 특성상 그 후족부(300)의 상단이 소정 눌리는 휨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휨 과정에서 힐부(11)의 C형 탄성홈(400)이 완충재 역할을 수행하여 후족부(300)에 전해지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이때 C형 탄성홈(400)에는, C형 탄성홈(400)과 함께 작용하는 탄성체(600)가 형성된 것인바, C형 탄성홈(400)의 탄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C형 탄성홈(400)의 탄성이 보강되어 탄성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600)를 구성함에 있어, 도 4를 참조하여 탄성체(600)가 탄성체 결합홈(410)에 내입된 상태를 이룰시에는 그 탄성체(600)가 휨 작용시 탄성체 결합홈(410)의 단부에서 지지력이 부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 및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체(600)를 구성함에 있어, 도 5를 참조하여 탄성체(600)를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다수개로 구성시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탄성체(600)를 교체 사용함으로 보행시 탄성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보다 편안한 신발의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서로다른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600)는, 사용자의 체중 또는 사용자의 요구하는 탄성에 맞게 다양하게 교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신발밑창(1)은, 상기와 같이 탄성체(600)가 형성된 C형 탄성홈(400) 이외에 저면에는 중족부(200) 위치에 전족부(100)와 후족부(300)를 구분하는 함몰형 바닥 탄성홈(500)이 형성된 것인바, 하중이 작용시 그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전족부(100)와 후족부(300)가 소정 벌어지는 탄성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그 바닥 탄성홈(500)이 완충재 역할을 수행하여 하중이 사용자의 뒤꿈치부로터 앞꿈치부로 전해지는 충격의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도 11을 참조하여 통상의 신발과 같이 상부에 갑피 또는 밴드(도면중 미도시함) 등이 형성되어 신발(20)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때 본 발명 신발밑창(1)은, 중창(10)의 구조가 그 상부면이 전방의 전족부(100)로부터 후방의 후족부(300)를 이루게 상향 경사를 이루어 그 후족부(300)가 하이힐의 높이를 이루되, 중족부(200)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힐부(900)를 통해 하이힐의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신발밑창(1)은, 보행시 사용자의 하중 및 지면과 닿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 신발밑창(1)은, 그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되, 이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12의 도시와 같이 보행중 지면에 발을 디디는 과정에서 가장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후족부(300)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탄성 재질로 된 중창(10)의 특성상 그 후족부(300)의 상단이 소정 눌리는 휨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휨 과정에서 중족부(200)에서는 탄성힐부(900)가 탄성 유도홈(910)을 통해 휘어지면서 탄성 작용하여 완충재 역할을 수행하여 후족부(300)에 전해지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탄성힐부(900)가 탄성 작용하는 과정에서 중족부(200)와 후족부(300)의 위치에는 휨방지 보강재(350)가 탄성힐부(900)와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그 휨방지 보강재(350)에 전해지는 하중이 탄성힐부(900)에 전달되어 탄성힐부(900)의 탄성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힐부(900)를 구성함에 있어, 탄성힐부(900)가 탄성힐부 결합홈(901)에 내입된 상태를 이루어 휨 작용시 탄성힐부(900)가 탄성힐부 결합홈(901)의 단부에서 지지력이 부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 및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탄성 과정에서 후족부(300)에는 탄성힐부(900)가 형성되지 않은 것인바, 이때 그 후족부(300)에 과도한 휨이 발생하여 보행중 불편함과 중창(10)의 변형을 줄 수 있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그 후족부(300)에 중족부(200)와 연장되는 휨방지 보강재(350)가 형성되어 그 과도한 휨을 방지하여 중창(10)의 변형 및 보행중 불편함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신발밑창(1)은, 상기와 같이 탄성힐부(900) 이외에 저면에는 중족부(200) 위치에 전족부(100)와 후족부(300)를 구분하는 함몰형 바닥 탄성홈(500')이 형성된 것인바, 하중이 작용시 그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전족부(100)와 후족부(300)가 소정 벌어지는 탄성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그 바닥 탄성홈(500')이 완충재 역할을 수행하여 하중이 사용자의 뒤꿈치부로터 앞꿈치부로 전해지는 충격의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 신발밑창(1)의 제1,2 실시예는, 보행중 충격이 발생하는 발을 지면에 디디는 과정에서 하중과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되는 것인바, 발목과 발바닥에 무리가 가는것을 방지하는 등 발의 보호 및 나아가 발과 상호 작용하는 무릎 관절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신발밑창(1)은, 상기와 같이 지면에 닿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의 흡수 이외에 다시 보행을 위해 신발을 지면으로부터 떼는 과정에서는 후족부(300)가 휘어 충격이 흡수된 상태와 반대로 탄성체(600) 및 탄성힐부(900)와 바닥 탄성홈(500)(500')에 작용한 압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복원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밀어주는 탄성이 작용하여 보행의 유도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은, 신발밑창을 구성함에 있어, 별도의 힐 결합 없이도 하이힐 구조를 이루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이힐 착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보행 과정에서 하이힐에서 발생되는 발목을 포함한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보행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부여함과 동시에 족부의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0 : 중창 11 : 힐부
100 : 전족부 200 : 중족부
300 : 후족부 310 : 뒷굽
320 : 너트체 350 : 휨방지 보강재
400 : C형 탄성홈 410 : 탄성체 결합홈
500,500' : 바닥 탄성홈 600 : 탄성체
610 : 결합볼트 700 : 인솔
800,800' : 미끄럼 방지패드
900 : 탄성힐부 901 : 탄성힐부 결합홈
910 : 탄성 유도홈 920 : 뒷굽

Claims (8)

  1.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발바닥의 발볼이 안착되는 전방의 전족부(100)와, 발바닥 중앙이 안착되는 중족부(200)와, 뒤꿈치부가 안착되는 후방의 후족부(300)로 구성되고, 상부면이 전족부(100)로부터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는 중창(10)과;
    상기 중창(10)의 하부에 전족부(100)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중창(10)의 경사를 유지하면서도 중족부(200)의 지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창(10)과 동일한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중창(10)과 일체 제작되어 통굽 형태를 이루는 힐부(11)와;
    상기 힐부(11)의 후방에 보행중 후족부(300)에 하중이 작용시 힐부(11)의 상단이 눌리는 탄성이 부여되어 힐부(11)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C"자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그 함몰 형태에 의해 후족부(300)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고, 내주면에는 탄성체 결합홈(410)이 구비된 C형 탄성홈(400)과;
    상기 힐부(11)의 전족부(100)와 후족부(300) 사이 중족부(200) 저면에 보행중 하중이 작용시 그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힐부(11)의 하부가 전족부(100)와 후족부(300)로 소정 벌어지는 탄성이 부여되어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상부로 함몰 형성되는 바닥 탄성홈(500)과:
    상기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힐부(11)의 하단에 전족부(100)의 저면측과 구분되도록 구성되는 뒷굽(310)과;
    상기 C형 탄성홈(400)의 형상에 해당하게 "C"자 형태를 이루며 탄성을 갖고, 외둘레가 탄성체 결합홈(410)에 결합되는 탄성체(600)와;
    상기 중창(10)의 전족부(100) 저면과 후족부(300)의 뒷굽(310) 저면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보행시 지면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패드(800)(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600)는 두께 조절을 통해 각각 다른 탄성력을 갖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C형 탄성홈(400)과 분리 가능하도록 탄성체(600)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공(601)을 형성하고, C형 탄성홈(400)의 탄성체 결합홈(410) 내주면에는 상기 볼트공(60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매입되는 하나 이상의 너트체(320)가 구비되어 탄성체(600)가 볼트공(601)을 통해 너트체(320)에 조립되는 결합볼트(610)의 조립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5.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발바닥의 발볼이 안착되는 전방의 전족부(100)와, 발바닥 중앙이 안착되는 중족부(200)와, 뒤꿈치부가 안착되는 후방의 후족부(300)로 구성되고, 전족부(100)로부터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상향 경사를 이루는 패드 형태로 구성된 중창(10)과;
    상기 중창(10)의 중족부(200) 상부측으로부터 후족부(300) 전체에 내입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판체 형태로 된 휨방지 보강재(350)와;
    상기 중창(10)의 중족부(200) 하부에 중창(10)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면은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상향 경사를 이루는 중창과 같은 경사를 이루며, 상기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도록 전후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좌우폭은 중족부(200)의 폭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중족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중창(10)의 경사를 유지하면서도 중족부(200)의 지지가 가능하고, 후방으로 개방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C형"자 형태로 절곡형성된 탄성 유도홈(910)이 구비되며, 전방 상부면은 중족부(2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후방 상부면은 휨방지 보강재(350)와 중첩되게 결합되며, 하단이 뒷굽(920)을 이루는 탄성힐부(900)와;
    상기 중창(10)의 전족부(100)와 뒷굽(920)의 사이 중족부(200) 하부 위치에 공간 형태로 구비되어 보행중 하중이 작용시 그 바닥 탄성홈(500)을 통해 힐부(11)의 하부가 전족부(100)와 후족부(300)로 소정 벌어지는 탄성이 부여되어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상부로 함몰 형성되는 바닥 탄성홈(500')과;
    상기 중창(10)의 중족부(200) 저면에 중족부(200)를 거쳐 후족부(300)에 이르도록 전후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좌우폭은 중족부(200)의 폭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후방에 휨방지 보강재(350)의 전방 일부 하부면이 노출되도록 상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탄성힐부 결합홈(901)과;
    상기 중창(10)의 전족부(100) 저면과 후족부(300)의 뒷굽(920) 저면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보행시 지면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패드(800)(80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힐부(900)의 전방 상부면은 탄성힐부 결합홈(901) 전방에 밀착되고, 후방 상부면은 하부면이 노출된 휨방지 보강재(350) 선단부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탄성힐부(900)가 탄성힐부 결합홈(90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11274A 2016-08-31 2016-08-31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KR10174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274A KR101745620B1 (ko) 2016-08-31 2016-08-31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274A KR101745620B1 (ko) 2016-08-31 2016-08-31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620B1 true KR101745620B1 (ko) 2017-06-09

Family

ID=5921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274A KR101745620B1 (ko) 2016-08-31 2016-08-31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6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5198A (ja) 2005-03-17 2006-09-28 Moe:Kk 婦人靴に於けるヒール取付部の補強装置
JP2012095979A (ja) * 2010-11-02 2012-05-24 Yuitto:Kk 履物用ヒール部材及び履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5198A (ja) 2005-03-17 2006-09-28 Moe:Kk 婦人靴に於けるヒール取付部の補強装置
JP2012095979A (ja) * 2010-11-02 2012-05-24 Yuitto:Kk 履物用ヒール部材及び履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203B2 (en) Footwear construction
JP6995826B2 (ja) シューソール
JP6505895B2 (ja)
US9961959B2 (en)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RU2461345C2 (ru) Обувь
US6401365B2 (en)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US9554621B2 (en) Midsole for a running shoe
US20050274045A1 (en) Athletic footwear and the like with integral supinator device
US6854198B2 (en) Footwear
TWI744706B (zh) 具有殼體的鞋
US20070062065A1 (en) Shoe sole with energy return plate
KR20240025618A (ko) 역 아치형 신발
WO2020217041A1 (en) Resilience enhancing footwear
KR101745620B1 (ko) 탄성구조를 갖는 하이힐용 신발밑창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US20030029059A1 (en) Biomechanical sole unit
JP4368038B2 (ja)
KR101957213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KR101672477B1 (ko) 기능성 인솔
US11786009B2 (en) Footwear system with integrated orthotics, stabilization features, and a plurality of design features
KR100979261B1 (ko) 스포츠 런닝 슈즈
KR102332280B1 (ko) 족저근막염 안창
US20230180889A1 (en) Resilience enhancing footwear
CN114831387A (zh) 鞋垫
KR20240021556A (ko)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