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594B1 -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594B1
KR101745594B1 KR1020100079978A KR20100079978A KR101745594B1 KR 101745594 B1 KR101745594 B1 KR 101745594B1 KR 1020100079978 A KR1020100079978 A KR 1020100079978A KR 20100079978 A KR20100079978 A KR 20100079978A KR 101745594 B1 KR101745594 B1 KR 10174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resolution
information
screen
arbitrar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343A (ko
Inventor
주상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5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62Creating, deleting, clon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데스크탑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는, 다수의 단말기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처리부와, 연결 처리부를 통해 임의의 단말기가 접속됨에 따라 임의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폰트 해상도 산출부와, 산출된 폰트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임의의 단말기에 제공될 화면을 변환하는 서비스 변환부와, 변환된 화면을 임의의 단말기에 스트리밍해주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P AUTOMATICALLY A SCENE IN A VIRTUAL DESKTOP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화면 설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와 사용자가 기 설정한 폰트 면적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폰트 해상도 및 화면 해상도를 이용하여 화면을 스트리밍해줄 수 있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기, 예컨대 PDA, 스마트 폰, 노트북, 넷북, 컴퓨터 등을 구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들간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들간의 공유를 위해서는 OPMD(One Person Multi Device) 환경인 데이터 세어링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OPMD 서비스는 하나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여러 해상도 및 화면 크기를 갖는 단말기들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으로,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이하 VDI라고 한다.) 기술을 이용한다. 여기에서, VDI 기술이란 사용자의 여러 단말기(클라우드 디바이스)들이 접속할 수 있는 가상 데스크탑을 제공하고, 가상 데스크탑을 이용하여 자신의 여러 단말기인 넷북, 스마트 폰, 컴퓨터 등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VDI 기술은 데이터를 제공할 때 가상 데스크탑에 접속하는 단말기의 화면 해상도에 맞춰서 데이터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데, 즉 VDI 클라이언트인 단말기에서 자신의 해상도 또는 윈도우 해상도를 VDI에 전송하면, VDI에서 해상도에 맞도록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설정하여 화면을 VDI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VDI 기술은 VDI 클라이언트의 해상도만 맞춰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해주기 때문에 단말기의 해상도가 매우 높고, 화면의 실제 크기가 작은 이동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 폰, 넷폰, 노트북 등에서는 VDI가 송출하는 화면의 글자 및 아이콘이 너무 작기 때문에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경우 아이콘이 너무 작아 터치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그 때마다 사용자는 작은 화면에 맞도록 폰트 사이즈(DPI)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도뿐만 아니라 폰트 해상도까지 고려하여 화면을 스트리밍함으로써, 폰트 사이즈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처리부와, 상기 연결 처리부를 통해 임의의 단말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폰트 해상도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폰트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제공될 화면을 변환하는 서비스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화면을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스트리밍해주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가 상기 연결 처리부를 통해 접속될 때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이즈 및 화면 해상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에서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폰트 면적을 설정한 후 상기 폰트 면적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는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폰트 면적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대한 폰트 면적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에 제공하며,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은 임의의 단말기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면,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폰트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스트리밍될 화면을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화면을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에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폰트 면적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폰트 면적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단말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폰트 면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대한 폰트 면적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면적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이즈 및 화면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와 사용자가 기 설정한 폰트 면적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폰트 해상도 및 화면 해상도를 이용하여 화면을 스트리밍해줌으로써, 각 VDI 클라이언트에 적합한 화면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에 각 VDI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화면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폰트 해상도까지 고려하여 화면을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폰트 사이즈에 맞게 재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으로 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OPMD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이 화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이 화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와 사용자가 기 설정한 폰트 면적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폰트 해상도 및 화면 해상도를 이용하여 화면을 스트리밍해줄 수 있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으로 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OPMD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다수의 VDI 클라이언트(100)를 관리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OPMD는 "One Person Multi Device"로서, 한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다수의 단말기, 즉 VDI 클라이언트(10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다수의 VDI 클라이언트(100)는 넷북,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클라우드 단말기를 의미하며, 하나의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을 통해 연동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VDI 클라이언트(100)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과 유무선 통신망(미도시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은 다수의 VDI 클라이언트(100)를 관리하며,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가 접속됨에 따라 자동 화면 설정 장치를 구동시켜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의 해상도 및 폰트 해상도에 맞도록 화면을 스트리밍 해준다. 이러한 자동 화면 설정 장치는 저장부(152), 연결 처리부(154),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 서비스 변환부(158) 및 서비스 제공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2)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에 연결된 각각의 VDI 클라이언트(1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 식별 정보에는 VDI 클라이언트(100)의 폰트 면적 정보가 각각 매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VDI 클라이언트(100)의 해상도 및 화면 크기 등의 정보가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 처리부(154)는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가 접속됨에 따라 구동되어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로부터 해상도, 화면 사이즈 정보 등이 포함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에 제공한다.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는 해상도, 화면 사이즈 정보 등의 디스플레이 정보와 저장부(152)에 저장된 폰트 면적 정보를 이용하여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데, 즉 아래의 수학식1을 토대로 폰트 해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폰트 해상도=(폰트 면적 정보/화면 면적)*(화면 해상도)
상기의 수학식 1에서 화면 면적은 화면의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는 폰트 면적 정보를 저장부(152)에서 추출하지 않고, 화면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면 사이즈가 노트북과 같이 큰 경우에는 큰 값을 설정하고, 화면 사이즈가 넷북과 같은 중간 인 경우에는 중간 값을 설정하며, 화면 사이즈가 스마트 폰과 같은 작은 경우에는 작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큰 값, 중간 값, 작은 값은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에서 임의로 설정된 값이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에서 산출된 폰트 해상도는 서비스 변환부(158)에 제공되며, 서비스 변환부(158)는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의 화면 해상도 및 폰트 해상도에 맞도록 화면을 변환한 후 이를 서비스 제공부(160)를 통해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에게 스트리밍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해상도뿐만 아니라 폰트 해상도까지 고려하여 화면을 스트리밍해줌으로써, 각 VDI 클라이언트에 적합한 화면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에 각 VDI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화면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이 자동으로 화면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이 화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 예컨대 스마트폰이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에 접속하면(S200),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은 연결 처리부(154)를 이용하여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인 스마트폰의 식별 정보와 더불어 해상도, 화면 사이즈 정보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한다(S202). 여기에서, 연결 처리부(154)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에 제공한다.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52)의 검색을 통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폰트 면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폰트 면적 정보와 디스플레이 정보의 화면 해상도, 화면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폰트 해상도를 산출한다(S204). 여기에서, 산출된 폰트 해상도는 서비스 변환부(158)에 제공된다.
서비스 변환부(158)는 폰트 해상도와 화면 해상도에 맞도록 스마트폰에 스트리밍될 화면을 변환한 후 이를 서비스 제공부(160)를 통해 변환된 화면을 스트리밍해준다(S20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정보와 기 저장된 폰트 면적 정보를 이용하여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폰트 해상도와 화면 해상도를 이용하여 화면을 스트리밍해줌으로써, 각 VDI 클라이언트별 화면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이 화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은 다수의 VDI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선택적으로 폰트 면적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부(152)에 저장한다(S300). 이때,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은 VDI 클라이언트(100)의 식별 정보에 폰트 면적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부(152)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정보는 각 VDI 클라이언트(1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인 기기 고유 번호일 수 있다.
이후, 임의의 VDI 클라이언트(100), 예컨대 스마트폰이 접속됨에 따라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150)은 연결 처리부(154)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자신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한다(S302). 여기에서, 연결 처리부(154)는 수신한 디스플레이 정보와 식별 정보를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에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정보로는 스마트폰의 해상도, 화면 사이즈 등이 될 수 있다.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52)를 검색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폰트 면적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04).
S304의 판단 결과, 폰트 면적 정보가 존재할 경우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폰트 면적 정보를 저장부(152)에서 검색하고(S306), 검색된 폰트 면적 정보와 디스플레이 정보인 해상도 및 화면 사이즈 정보를 상기의 수학식 1에 적용하여 폰트 해상도를 산출한다(S308). 산출된 폰트 해상도는 서비스 변환부(158)에 제공된다.
서비스 변환부(158)는 폰트 해상도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받은 화면 해상도를 기반으로 스마트폰에 스트리밍될 화면을 변환하고(S310), 변환된 화면을 서비스 제공부(160)를 통해 스마트폰에 스트리밍해준다(S312).
한편, S304의 판단 결과, 폰트 면적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는 디스플레이 정보 중 화면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폰트 면적 정보를 설정(S314)한 후 S308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즉, 폰트 해상도 산출부(156)는 화면 사이즈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값들을 토대로 폰트 면적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폰트 면적 정보,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폰트 해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변환부(158)는 산출된 폰트 해상도와 화면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을 스마트폰 사용자가 보기 좋은 형태로 변환한 후 이를 서비스 제공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스트리밍해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와 사용자가 기 설정한 폰트 면적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폰트 해상도 및 화면 해상도를 이용하여 화면을 스트리밍해줌으로써, 접속하는 단말기별로 매번 폰트 사이즈를 조정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인 가상 머신을 다수의 단말기를 제어하는 OPMD 환경에서의 각 단말기별로 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이며, 더욱 상세하게 OPMD 환경에서 각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로 이용될 수 있다.
100 : VDI 클라이언트
150 :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
152 : 저장부
154 : 연결 처리부
156 : 폰트 해상도 산출부
158 : 서비스 변환부
160 : 서비스 제공부

Claims (9)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처리부와,
    상기 연결 처리부를 통해 임의의 단말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폰트 해상도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폰트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제공될 화면을 변환하는 서비스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화면을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스트리밍해주는 서비스 제공부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폰트 면적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처리부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대한 폰트 면적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에 제공하며,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가 상기 연결 처리부를 통해 접속될 때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이즈 및 화면 해상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폰트 면적을 설정한 후 상기 폰트 면적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5. 삭제
  6. 임의의 단말기가 연결 처리부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면, 폰트 해상도 산출부가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폰트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스트리밍될 화면을 서비스 변환부에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화면을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스트리밍하는 단계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단말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폰트 면적 정보를 저장부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가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단말기에 대한 폰트 면적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면적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폰트 면적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폰트 면적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폰트 면적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폰트 해상도 산출부가 상기 폰트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처리부가 상기 임의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이즈 및 화면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
KR1020100079978A 2010-08-18 2010-08-18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74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78A KR101745594B1 (ko) 2010-08-18 2010-08-18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78A KR101745594B1 (ko) 2010-08-18 2010-08-18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43A KR20120017343A (ko) 2012-02-28
KR101745594B1 true KR101745594B1 (ko) 2017-06-09

Family

ID=4583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978A KR101745594B1 (ko) 2010-08-18 2010-08-18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273B1 (ko) * 2014-10-07 2016-06-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데스크탑 기반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123925B (zh) * 2016-11-30 2021-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共享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492793B1 (ko) * 2018-01-03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0504A (ja) * 2006-07-11 2008-01-31 Meidensha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像・文字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0504A (ja) * 2006-07-11 2008-01-31 Meidensha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像・文字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43A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994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o enable access to portal services
WO2015127834A1 (en) Content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CN103873326B (zh) 在智能家居环境中传输内容的方法
CN10609507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增强现实设备
EP289488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consumption
US2013016967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lide file during slide file presentation
CN107908765B (zh) 一种游戏资源处理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US20230300391A1 (en) Selective streaming of video segments based on buffer data and download rate range
US20170104808A1 (en) Network appliance, feature phone, network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network appliance
KR101745594B1 (ko)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시스템의 자동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US10026184B2 (en) Grading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image quality
CN108877733B (zh) 色温调节方法及相关装置
CN113038192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4349202B (zh) 视频获取方法与装置
US20150186095A1 (en) Inter-terminal image shar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6445154A (zh) 一种提供ar内容的方法、装置、ar设备及服务器
JP2019522848A (ja) 処理方法及び端末
CN107798008B (zh) 内容推送系统、方法及装置
CN102123342A (zh) 在社群网站发布含位置资讯信息的方法及手持式电子装置
CN106376096B (zh)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及其设备
CN113993164A (zh) 文件传输方法和文件传输装置
CN103093791A (zh) 网络音频播放系统
CN108111561B (zh) 一种数据下载方法及其设备
CN111047714A (zh) 一种虚拟旅游系统
KR101191795B1 (ko) 블로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