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287B1 -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287B1
KR101745287B1 KR1020160177295A KR20160177295A KR101745287B1 KR 101745287 B1 KR101745287 B1 KR 101745287B1 KR 1020160177295 A KR1020160177295 A KR 1020160177295A KR 20160177295 A KR20160177295 A KR 20160177295A KR 101745287 B1 KR101745287 B1 KR 10174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part
data
hmi
image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주)성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창 filed Critical (주)성창
Priority to KR102016017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는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기 위한 심볼 분할부, 심볼 분할부에 의하여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기 위한 객체파트 편집부, 객체파트 편집부로부터 편집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고유 포맷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화부 및 데이터 블록화부를 통하여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효과에는 객체파트와 관련된 화면의 출력 개시, 객체파트의 출현 패턴, 위치 이동, 색 변화 또는 모양 변화가 포함되고, 가상태그는 동적효과에 상응하도록 객체파트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식이고, 실태그는 HMI와의 연동 장비의 실제 입출력 어드레스(I/O address)의 표식일 수 있다.

Description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OF WEB BASED HUMAN-MACHINE INTERFACE}
본 발명은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함으로써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은 산업제어 시스템(Industrial Control Systems)이라고도 불리며 공장 및 대규모 처리시설에서 모든 설비를 원격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산업공정, 기반시설공정, 설비 공정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쓰인다. 즉, SCADA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한 각종 설비 등의 상태 및 정보를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나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 RTU)로 수집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의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정점으로 한 정보 처리 체계(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로 전송하고, 전송된 자료값의 추이를 분석, 제어하여 각종의 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RTU는 원격 감시를 위하여 현장에 설치하는 장치로, 모뎀을 통하여 현장에서 취득한 각종 정보를 중앙 센터에 보내는 장치로 원거리 감시 제어에 사용되며, PLC는 미리 프로그램된 제어 순서에 의해 설비를 제어하며, 추출된 자료를 근거리통신망을 통하여 중앙 센터로 보내기 위한 장치이다.
HMI(Human-Machine Interface)는 PLC 또는 RTU 장비에서 수집한 관련 기기의 정보를 관리자 등의 사람이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UI를 이용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소프트웨어 또는 그러한 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산업분야별로 미리 설정된 UI만으로만 설비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밖에 없으므로, 설비의 상태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없었다. 다시 말해서, 새로운 설비가 개발되어 산업 현장에 설치될 때 이러한 설비의 운용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기에는 충분치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SCADA 시스템의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각종 설비 등과 관련된 HMI의 정상적인 운용을 위하여 모니터링 서버 등 클라이언트 측 장치에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을 동작시켜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06987호 (2016년09월13일)
브라우저 및 플랫폼에 독립적인 HMI(Human-Machine Interface)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구성할 때, 종래의 HMI 제작도구가 제공하는 각 장비 및 설비를 표현하는 방법에 한계가 있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산업별 분류에 따라 사용 가능한 HMI 제작 소프트웨어의 종류가 상이하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RTU(Remote Terminal Unit) 장비 및 구성하고자 하는 시스템이 동일하더라도 해당 산업분야의 소프트웨어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을 본 발명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는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기 위한 심볼 분할부, 심볼 분할부에 의하여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기 위한 객체파트 편집부, 객체파트 편집부로부터 편집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고유 포맷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화부 및 데이터 블록화부를 통하여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효과에는 객체파트와 관련된 화면의 출력 개시, 객체파트의 출현 패턴, 위치 이동, 색 변화 또는 모양 변화가 포함되고, 가상태그는 동적효과에 상응하도록 객체파트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식이고, 실태그는 HMI와의 연동 장비의 실제 입출력 어드레스(I/O address)의 표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로부터 단일의 객체파트가 추출되거나, 복수개의 객체파트들이 추출됨으로써 심볼이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포맷에는 편집된 이미지의 기본정보, 편집된 이미지에 할당된 가상태그에 대한 정보 및 실태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편집된 이미지의 기본정보에는 이미지의 명칭, ID, 크기, 색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가상태그에 대한 정보에는 분할된 객체파트의 개수, 할당된 가상 태그의 개수, 분할된 객체파트의 ID, 분할된 객체파트의 HMI 화면 내 위치, 크기, 가상태그의 명칭, 가상태그 값의 범위, 가상태그의 데이터 타입 및 동적효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실태그에 대한 정보에는 편집된 이미지로의 매핑 가능한 실태그의 개수 및 실태그의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포맷으로의 블록화는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태그는 실태그와 매핑되어 실태그의 데이터 값에 따라 할당된 동적효과가 객체파트에서 수행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을 위한 방법은,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할당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고유 포맷으로 블록화하는 단계 및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적효과에는 객체파트와 관련된 화면의 출력 개시, 객체파트의 출현 패턴, 위치 이동, 색 변화 또는 모양 변화가 포함되고, 가상태그는 동적효과에 상응하도록 객체파트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식이고, 실태그는 HMI와의 연동 장비의 실제 입출력 어드레스(I/O address)의 표식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I(ex. 웹 기반 HMI)에 최적화된 브라우저 및 해상도에 독립적인 HMI 화면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시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PC에 별도 프로그램(ex. 플러그인 등) 설치 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HMI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분야의 종류에 독립적인 HMI 제작이 가능해짐으로써, 경제적이고 다양한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ex. 수처리 감시 제어 SCADA, 전력 감시 제어 SCADA, 조명 감시 제어 SCADA 등)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기존 HMI 제작/배포 솔루션의 경우, 제한적인 동적효과 때문에 실제 PLC/RTU의 I/O Address 낭비가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이러한 낭비를 절감하여 수요처의 SCADA 시스템 하드웨어 경비를 줄일 수 있다. 즉, 심볼(Symbol)편집이 불가능한 경우, 하나의 Symbol에 복수 개의 I/O Address가 매핑되어야 다양한 동적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I/O Address가 변화하는 상황에 맞게 복수 개의 가상태그들을 매핑시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I 소프트웨어가 외부 심볼 라이브러리를 불러오기 위해 웹 보안에 취약한 ActiveX 플러그인을 주로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 환경에서 벗어나 웹 표준을 준수하는 심볼 로드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HMI 화면을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 상에서도 HMI 화면이 오류없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유려한 애니메이션 효과 적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HMI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의된 UI 컴포넌트(ex. 버튼, 라디오 버튼, 체크박스, 트렌드 그래프 등)의 사용자 취향에 맞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심볼을 분할하여 동적효과가 적용될 수 있도록 편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HMI 화면의 각각의 심볼에 대하여 심볼을 분할하여 동적효과(예컨대, 애니메이션 효과 등)를 가상태그와 함께 할당할 수 있고, 각기 다른 동적효과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소정의 PLC 또는 RTU 데이터(예컨대, 실태그 데이터)와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포맷의 예이다.
도 3은 전구 심볼에 대한 HMI의 이미지 편집의 일 예이다.
도 4는 팬 심볼에 대한 HMI의 이미지 편집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분할 심볼 속성 창의 일 예 및 (b) 동적효과 편집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의 이미지 편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컴포넌트(Component)는, 물리적 하드웨어 설비를 HMI에 표현하기 위한 시각적 데이터로, 여기서는 실체적 개념이 아닌 실제 하드웨어와 심볼을 연결해주는 관계 정도로 정의한다. SVG(Scalable Vector Graphics)는 2차원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XML 기반의 파일 포맷을 지칭한다.
심볼(Symbol)은 SVG 포맷의 시각적 데이터로서, 산업현장 하드웨어 설비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HMI 감시제어 화면에 표현되는 모든 객체를 지칭한다. 정적인 객체와 애니메이션 효과를 갖는 동적 객체로 나뉠 수 있다. 동적 객체는 Figure로 지칭될 수 있고, 심볼(Symbol)이 갖는 시각적 데이터 외에 동적효과 정보 및 가상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태그(Virtual Tag, VT)는, 하나의 심볼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로 할당 가능하며, 최대 해당 심볼의 각 부분별 영역(예컨대, 객체파트 등)의 수만큼 사용가능한 태그를 지칭한다. 물리적 하드웨어와 통신하지 않는 가상 저장공간으로 동적효과를 사용자 선택조건에 따라 실현시키는 기준이 된다. 또한, HMI 작화(구성) 시 또 다른 사용자 선택조건에 따라 실태그(Real Tag, RT) 값과 매핑됨으로써 실시간 동적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가상태그는 RTU나 PLC의 실제 I/O Address에 매핑되어 Address 데이터 값에 따라 동적효과를 실시간으로 실현시키는 데 쓰일 수 있다. HMI 작화(구성)에서는 블록화된 Figure 데이터를 HMI 편집 화면에 호출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RTU(Remote Terminal Unit)는 DDC(Direct Digital Control)와 같이 현장 설비의 상황을 데이터로 수집하여 I/O Address에 저장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일컫는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내부적으로 고유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프로그램을 삽입가능한 데이터 수집 처리장치로서, 감시제어 및 자동제어 분야에 널리 쓰이는 것으로 시설현장의 모든 기기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포맷의 예이며, 도 3은 전구 심볼에 대한 HMI의 이미지 편집의 일 예이다. 또한, 도 4는 팬 심볼에 대한 HMI의 이미지 편집의 일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분할 심볼 속성 창의 일 예 및 (b) 동적효과 편집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의 이미지 편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에서는 HMI 제작도구에 그려지는 심볼을 HMI 제작/설계자가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동적 애니메이션 효과 및 가상태그 편집 기능을 함께 제공하여 Figure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된 Figure 데이터 정보를 HMI 프로젝트에 포함시켜 HMI 배포 시 Figure 데이터를 SVG포맷과 동적 효과를 제공하는 언어 포맷으로 변환하여 배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는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기 위한 심볼 분할부(1100), 심볼 분할부(1100)에 의하여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기 위한 객체파트 편집부(1200), 객체파트 편집부(1200)로부터 편집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고유 포맷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화부(1300) 및 데이터 블록화부(1300)를 통하여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효과에는 객체파트와 관련된 화면의 출력 개시, 객체파트의 출현 패턴, 위치 이동, 색 변화 또는 모양 변화가 포함되고, 가상태그는 동적효과에 상응하도록 객체파트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식이고, 실태그는 HMI와의 연동 장비의 실제 입출력 어드레스(I/O address)의 표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나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 RTU) 등과 같은 HMI와의 연동 장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5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로부터 단일의 객체파트가 추출되거나, 복수개의 객체파트들이 추출됨으로써 심볼이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포맷에는 편집된 이미지의 기본정보, 편집된 이미지에 할당된 가상태그에 대한 정보 및 실태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편집된 이미지의 기본정보에는 이미지의 명칭, ID, 크기, 색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가상태그에 대한 정보에는 분할된 객체파트의 개수, 할당된 가상 태그의 개수, 분할된 객체파트의 ID, 분할된 객체파트의 HMI 화면 내 위치, 크기, 가상태그의 명칭, 가상태그 값의 범위, 가상태그의 데이터 타입 및 동적효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실태그에 대한 정보에는 편집된 이미지로의 매핑 가능한 실태그의 개수 및 실태그의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태그의 데이터 타입에는 Boolean,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파트 편집부(1200)에서는 Figure에 대하여 전체 심볼 중 동적효과를 부여한 영역의 정보와 동적효과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블록화부(1300)에서는 저장부(1400)로 저장될 블록화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 등에 대하여 HMI로 배포하기 위해 브라우저에 독립적인 SVG 또는 XML 형태로 변환(ex.블록화)하거나, 이미 블록화된 Figure 정보를 정적 심볼과 가상태그, 동적효과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포맷으로의 블록화는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태그는 실태그와 매핑되어 실태그의 데이터 값에 따라 할당된 동적효과가 객체파트에서 수행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400)에 저장된 이미 만들어진 SVG 이미지에 대하여 동적효과 및 가상태그를 할당하기 위해 저장부(1400)로부터 SVG 이미지가 추출되어 심볼 분할부(1100)로 제공될 수 있다. 심볼 분할부(1100)로의 SVG 이미지의 제공은 해당 SVG 이미지의 고유 포맷의 데이터를 정적 심볼(Symbol), 가상태그, 동적효과로 분할하여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태그 및 동적효과 할당 과정은 고유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가능하나, 필요 시 알려진 스크립트 언어(예컨대, Java 스크립트 등)를 작성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며 이 때 동적효과 및 가상태그를 참조할 수 있는 도 2와 같은 고유의 방법(포맷)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제공될 수 있다.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새로운 심볼이 편집되는 경우,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에서는 통신부(1500)를 통하여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이미지를 제공(download)받고,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Figure) 편집을 위한 종래의 그림 편집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이미지인 심볼을 편집하거나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 과정을 통하여 동적 효과 부여 및 가상태그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 과정을 통하여 이전에 변환(블록화)된 심볼(또는 Figure)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에서는 이전에 작업이 수행되어 저장부(14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예컨대, 기존 데이터)를 제공받고,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예컨대, 심볼 정보, 가상태그 및 동적효과 정보 등)를 삽입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파트 편집부(1200)에서는, 분할된 객체파트에 대하여 할당된 동적효과와 가상태그를 매핑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파트 편집부(1200)는 예를 들면, 도 5에서와 같은 HMI 화면 창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상태그(VT)와 실태그(RT)의 매핑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고유 인터페이스 또는 알려진 스크립트 언어 편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객체파트 편집부(1200)에 의하여 편집된 이미지(예컨대, 동적효과 및 가상태그가 할당된 이미지 등)의 데이터는 데이터 블록화부(130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포맷으로 변환(블록화)될 수 있다.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적효과 수행 조건정보 및 가상태그 정보가 객체파트 편집부(1200)로부터 데이터 블록화부(1300)로 이미지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가상태그 정보에는 알려진 스크립트 언어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가상태그(VT)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동적효과 정보와 실태그(RT)의 기본 정보만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설정된 동적효과는 Figure 전체에만 적용되며, HMI 작화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편집이 가능하다. 만약,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동적효과가 없다면, 정적 이미지(Symbol) 정보만이 데이터 블록화부(1300)로 전달될 수 있다. 선택된 동적효과가 없어도 HMI 작화 시 실태그에 할당된 동적효과를 Figure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의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된 데이터는 사용자 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주요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예컨대, 모니터링 서버 등) 측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의 저장부(1400)에는 HMI 작화 도구에서 정의된 심볼 라이브러리의 정보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을 위한 방법은,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는 단계(S100),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S200),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할당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고유 포맷으로 블록화하는 단계(S300) 및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동적효과에는 객체파트와 관련된 화면의 출력 개시, 객체파트의 출현 패턴, 위치 이동, 색 변화 또는 모양 변화가 포함되고, 가상태그는 동적효과에 상응하도록 객체파트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식이고, 실태그는 HMI와의 연동 장비의 실제 입출력 어드레스(I/O address)의 표식일 수 있다.
도 1의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는 널리 알려진 HMI 편집기가 제공하는 HMI 화면 편집 장치와는 구분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1000)는 HMI 화면에 표현될 수 있는 심볼의 편집을 위한 것임에 비하여, 기존의 HMI 화면 편집 장치는 HMI 화면의 레이아웃 등을 편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시작"과 "종료" 단계는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과정"의 시작과 종료일 뿐, 이미 알려진 HMI 편집기의 편집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와 같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1100: 심볼 분할부
1200: 객체파트 편집부
1300: 데이터 블록화부
1400: 저장부
1500: 통신부

Claims (7)

  1.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로서,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기 위한 심볼 분할부;
    상기 심볼 분할부에 의하여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기 위한 객체파트 편집부;
    상기 객체파트 편집부로부터 편집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고유 포맷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화부; 및
    상기 데이터 블록화부를 통하여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효과에는 상기 객체파트와 관련된 화면의 출력 개시, 상기 객체파트의 출현 패턴, 위치 이동, 색 변화 또는 모양 변화가 포함되고,
    상기 가상태그는 상기 동적효과에 상응하도록 상기 객체파트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식이고,
    상기 실태그는 상기 HMI와의 연동 장비의 실제 입출력 어드레스(I/O address)의 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로부터 단일의 객체파트가 추출되거나, 복수개의 객체파트들이 추출됨으로써 상기 심볼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포맷에는 상기 편집된 이미지의 기본정보, 상기 편집된 이미지에 할당된 가상태그에 대한 정보 및 실태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편집된 이미지의 기본정보에는 이미지의 명칭, ID, 크기, 색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가상태그에 대한 정보에는 분할된 객체파트의 개수, 할당된 가상 태그의 개수, 분할된 객체파트의 ID, 분할된 객체파트의 HMI 화면 내 위치, 크기, 상기 가상태그의 명칭, 가상태그 값의 범위, 상기 가상태그의 데이터 타입 및 동적효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실태그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편집된 이미지로의 매핑 가능한 실태그의 개수 및 상기 실태그의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포맷으로의 블록화는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형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태그는 상기 실태그와 매핑되어 상기 실태그의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할당된 동적효과가 상기 객체파트에서 수행되도록 사용되는 것인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6.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을 위한 방법으로서,
    HMI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인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파트에 동적효과를 부여하고, 부여된 동적효과에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가상태그 및 실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할당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고유 포맷으로 블록화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효과에는 상기 객체파트와 관련된 화면의 출력 개시, 상기 객체파트의 출현 패턴, 위치 이동, 색 변화 또는 모양 변화가 포함되고,
    상기 가상태그는 상기 동적효과에 상응하도록 상기 객체파트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식이고,
    상기 실태그는 상기 HMI와의 연동 장비의 실제 입출력 어드레스(I/O address)의 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의 이미지 편집을 위한 방법.
  7. 제 6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177295A 2016-12-23 2016-12-23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295A KR101745287B1 (ko) 2016-12-23 2016-12-23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295A KR101745287B1 (ko) 2016-12-23 2016-12-23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287B1 true KR101745287B1 (ko) 2017-06-09

Family

ID=5922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295A KR101745287B1 (ko) 2016-12-23 2016-12-23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8879A1 (zh) * 2019-06-11 2020-1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动画数据编码、解码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62B1 (ko) 2013-10-08 2015-03-11 주식회사 우담기술 Hmi 시스템, hmi 시스템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62B1 (ko) 2013-10-08 2015-03-11 주식회사 우담기술 Hmi 시스템, hmi 시스템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8879A1 (zh) * 2019-06-11 2020-1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动画数据编码、解码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JP2022536233A (ja) * 2019-06-11 2022-08-15 テンセント・テクノロジー・(シェンジェ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動画データ符号化/復号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7165272B2 (ja) 2019-06-11 2022-11-02 テンセント・テクノロジー・(シェンジェ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動画データ符号化/復号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8817B1 (en) User interface logical and execution view navigation and shifting
EP3798815A1 (en) Extensible ide platform with open apis
US9792354B2 (en) Context aware user interface parts
US10417352B2 (en) Generating a three dimensional building management system
JP6611434B2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のユーザ表示に用いるための迅速に編集可能な特徴を有する再使用可能なグラフィカル要素
US105747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ccess process data stored on a server
JP6751551B2 (ja) 汎用プロセスシステムライブラリに基づき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を構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2579050B (zh) 工业应用开发系统、工业自动化项目开发方法和介质
CN112558928A (zh) 虚拟设计环境
EP2419824A2 (en) Utilizing spreadsheet user interfaces with flowsheets of a cpi simulation system
WO20140719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a combined physical and virtual communication network of a power plant
CN102124445A (zh) 用于针对自动化过程创建hmi应用的方法和系统
EP3465426B1 (en) User interface with movable mini-tabs
CN102722409A (zh) 用于装置软件的移植的系统和方法
CN112579051B (zh) 开发工业应用的系统和管理工业开发工作空间的方法
US11507712B2 (en) Generating an image for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1745287B1 (ko) 웹 기반 hmi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CN110781653A (zh) 利用vue绘制svg图表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70110957A (ko) 감시제어데이터수집시스템 및 상기 감시제어데이터수집시스템에서의 데이터엔지니어링 방법
CN108351804B (zh) 基于模型的人机界面系统和方法
CN103488477A (zh) Java接口的可视化编辑系统和可视化编辑方法
CN103810312B (zh) 用于人机接口动画图形元素的计算机辅助设计的方法及装置
CN105335149A (zh) 一种环保监控设备系统的实现方法及图形化组态平台
EP4345602A1 (en) Presentation design to automation device binding
EP4345603A1 (en) Use of device profiles in automation pro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