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542B1 -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42B1
KR101744542B1 KR1020170014621A KR20170014621A KR101744542B1 KR 101744542 B1 KR101744542 B1 KR 101744542B1 KR 1020170014621 A KR1020170014621 A KR 1020170014621A KR 20170014621 A KR20170014621 A KR 20170014621A KR 101744542 B1 KR101744542 B1 KR 10174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raw material
housing
uni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국열
Original Assignee
홍국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국열 filed Critical 홍국열
Priority to KR102017001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6Mincing and grind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조림의 대량생산에 용이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조림에 사용하는 고기의 파쇄를 자동으로 실시하여 장조림의 대량생산에 용이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칼날이 아닌, 회전하는 다수의 파쇄봉이 원물을 반복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파쇄부를 통해 작업자가 손으로 절개한 것과 같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조림용 고기를 제공하여 유지보수의 비용을 낮추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조림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Manufacturing method of boiled beef in soy sauce an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장조림의 대량생산에 용이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조림이란 간장에 소고기 등의 삶은 육류를 넣고 조린 반찬을 의미하고, 소고기 이외에도 돼지고기나 닭고기 등을 이용한 많은 종류의 장조림이 가공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특히, 소고기 장조림은 옛날부터 한국인들의 밥상에 올라오는 기본적인 반찬의 하나이고, 국내는 물론 해외에 수출되는 상품이며, 근래에는 이러한 장조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계적인 시스템이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이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2009-55751호 등이 있고, 이러한 종래기술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소고기 전처리 과정, 장조림 소스를 제조하는 과정, 소고기와 소스를 혼합하는 과정, 소스가 혼합된 소고기를 밀봉 포장하는 과정 및 포장된 소고기를 살균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하나의 상품화된 소고기 장조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소고기의 전처리 과정이란 생고기 상태의 소고기의 핏물을 제거하는 체형과정, 체형과정이 이루어진 소고기를 삶는 과정 및 삶은 소고기를 절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소고기의 절개과정은 다수의 작업자가 삶아진 소고기를 직접 수작업으로 절개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 의한 공정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작업자마다 절개하는 크기의 기준치가 서로 상이하여 표준화되지 못해 상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칼날을 사용하여 삶아진 소고기를 절개하는 연육기나 절단기 등이 있으나, 이는 장조림에 사용하기 위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것이 아닌, 생고기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연육기의 경우, 먼저 소고기를 갈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장조림에 사용하는 고기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장치들은 모두 날카로운 칼날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그 칼날의 날을 유지하기 위한 높은 유지보수 비용 및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동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장조림에 사용하는 고기를 자동으로 파쇄하여 장조림의 대량생산에 용이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칼날을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손으로 절개한 것과 같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낮추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종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의 제조방법은 1) 전처리 공정이 이루어진 원물을 증숙하는 단계와, 2) 증숙한 원물의 기름을 온수에 침수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3) 기름이 제거된 원물을 일정크기로 파쇄하는 단계와, 4) 파쇄가 이루어진 원물을 선별하는 단계와, 5) 포장백 내부에 선별이 완료된 원물과 함께 액상소스 또는 부가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되 상기 포장백을 밀폐포장하여 상품화될 수 있도록 포장하는 단계 및 6) 상품화된 상기 포장백 외면에 일정시간 열을 가하여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단계에서는 증숙된 원물을 기둥형상을 갖는 다수의 파쇄봉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에 걸쳐 반복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단계에서의 상기 액상소스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맛을 갖는 소스가 서로 용해되어 상기 포장백에 수용되며, 상기 부가재료는 메추리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술한 종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의 제조시스템은 전처리공정이 이루어진 원물인 원물을 증숙하는 증숙기와, 내부에 수용된 온수에 증숙된 원물을 침수시켜 원물의 기름을 제거하는 기름제거부와, 기름이 제거된 원물을 소정크기로 반복파쇄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원물을 선별하는 선별부와, 선별된 원물, 액상소스 및 부가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백에 포장하여 상기 포장백 내부를 밀폐시키는 포장부 및 밀폐된 상기 포장백 외면에 일정시간 열을 가하여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두 분체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서로 축 결합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되 공급된 원물을 1차 파쇄하는 제1파쇄부와, 상기 제1파쇄부 하부에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되 1차 파쇄한 원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이송된 원물을 2차 파쇄하여 배출하며, 상기 베이스의 회동방향에 따라 2차 파쇄된 원물의 파쇄시간 또는 육류의 배출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이동 또는 고정가능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상부와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상기 제1파쇄부는 물론,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제2파쇄부 각각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파쇄부 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재 및 하부가 상기 제1몸체와 축 결합하며, 상부는 상기 제2몸체와 축 결합하여 승강에 따라 상기 제2몸체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파쇄부 내에서 2차 파쇄가 이루어지는 원물이 골고루 교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모터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2몸체에 구비된 제1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에 소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2파쇄부 외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파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 및 양측이 상기 제2몸체에 구비된 제2베어링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상기 제2파쇄부 외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2파쇄부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파쇄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함 형상의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제1파쇄봉이 서로 이웃하게 돌출형성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파쇄봉과 서로 마주보되 상기 제1파쇄봉과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제1간격을 갖도록 상기 제1하우징 내벽에 돌출설치되며, 상기 제1파쇄봉과 함께 원물을 1차 파쇄하는 제1보조파쇄봉 및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파쇄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상기 제1파쇄부와 연통되게 개방되며, 외면에는 상기 제2파쇄부와 연통되는 개방공이 형성된 이송하우징과, 상기 이송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외면에는 1차 파쇄된 원물을 상기 제2파쇄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공 방향으로 상기 제2파쇄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이송스크류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파쇄부는 양측이 개방된 소정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입구 측이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외부에는 외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회전링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제2파쇄봉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름 중앙부에는 인입공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입구 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서로 대향되게 상기 제2하우징 출구 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된 원물을 배출하는 배출판 및 일단은 상기 고정링과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배출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며, 외면에는 상기 제2파쇄봉과 서로 마주보되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 제2간격이 형성되게 드나들 수 있도록 제2보조파쇄봉이 서로 이웃하게 다수 돌출형성된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조림에 사용하는 고기를 자동으로 파쇄하여 장조림의 대량생산에 용이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칼날이 아닌, 회전하는 다수의 파쇄봉이 원물을 반복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파쇄부를 통해 작업자가 손으로 절개한 것과 같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조림용 고기를 제공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낮추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의 증숙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의 기름제거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의 파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베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대한 베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대한 제1파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대한 제1파쇄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5에 대한 이송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대한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5에 대한 제2파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5에 대한 제2파쇄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대한 측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도 5에 대한 파쇄부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의 진동선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의 선별망을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의 컨베이어 선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의 포장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방법(이하, 간략하게 '제조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크게 증숙공정(S100), 기름제거공정(S200), 파쇄공정(S300), 선별공정(S400), 포장공정(S500) 및 살균공정(S6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물의 증숙 과정을 통해 요구자의 기호에 따라 가열온도는 물론, 가열시간을 표준화하여 신뢰도가 높은 고품질의 장조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원물의 파쇄 과정과 선별공정을 통하여 정형화되지 않은 소정크기의 원물을 신속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살균 과정을 통하여 원물의 파쇄, 선별 및 포장 과정 중의 2차 오염에 대한 유해균을 살균하여 고품질의 장조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증숙공정(S100)은 장조림에 사용하기 위한 육류인 원물을 삶아내기 위한 공정이다.
원물의 증숙공정은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마솥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품질유지를 위해 가열온도 또는 가열시간 등의 제어가 전기적으로 가능한 가마솥 형상의 전기인덕션을 사용한다.
이때, 원물로 사용되는 육류는 돼지고기나 닭고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소고기의 부위 중 비교적 기름기가 적은 홍두깨살이나 사태살을 사용하며, 증숙 이전에 전처리과정으로 냉수 등에 원물을 투입하여 핏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제혈작업을 미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처리 과정에서의 냉수는 원물의 투입량에 따라 수시로 교체해주는 것이 이로우나 적어도 4시간 이내로 원물이 침지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의 육즙이 과도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원물의 증숙 과정에서는 그 원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잡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한약재 등이 추가로 투입되어 증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제거공정(S200)은 증숙공정 이후의 원물에 포함된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원물의 기름제거는 후술하는 기름제거부(200)에 형성된 수용공간부(221) 내에 온수를 수용하고, 그 온수에 증숙된 원물을 투입하여 일정시간 동안 기름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기름기를 배출하기 위한 온수의 온도는 50~65℃ 이내의 온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되 침수시간은 20분 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과도한 육즙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기름제거과정에서 온수 상부로 부상(浮上)하는 이물질이나 기름기 등은 뜰채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기름을 제거중인 원물과 함께 다음 공정으로 섞여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쇄공정(S300)은 기름이 제거된 원물을 소정크기로 파쇄(찢어냄)하여 장조림에 사용하기 알맞은 원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원물의 파쇄는 후술하는 파쇄부(300)를 통해 1차 및 2차에 걸쳐 복수의 파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물의 신속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1차 파쇄된 원물은 2차 파쇄시에 용이하게 원물이 파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단계로 실시되며, 2차 파쇄가 이루어진 원물의 기준치 크기는 5.5±1cm 이내이되 그 두께는 0.2~0.5cm 이내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해당 기준치는 요청자(발주자)의 요청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파쇄가 이루어진 원물의 기준치는 장조림에 사용되는 통상의 크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공정(S400)은 파쇄과정이 이루어진 원물의 크기나 상태 등을 확인하여 불량으로 의심되는 원물을 선별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선별공정(S400)은 크게 진동선별공정(S410) 및 컨베이어 선별공정(S42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정밀한 원물의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진동선별공정(S410)은 다수의 선별공(415a)이 메쉬(mesh) 형상으로 천공형성되어 있는 선별망(415) 상면에서 실행되며, 진동모터에 의해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기 선별망(415)에 의해 2차 파쇄된 원물의 크기가 기준치 이하인 것들이 상기 선별공(415a) 하부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선별되도록 한다.
아울러 진동선별은 상술한 파쇄부(300)의 2차 원물이 배출되는 출구 측과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파쇄부(300)에 의해 배출되는 원물이 자동으로 진동선별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베이어 선별공정(S420)은 진동선별공정(S410) 이후에 실시되되 다수의 작업자들이 육안으로 진동선별된 원물을 확인하여 이물질이나 기준치보다 너무 큰 원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진동선별은 2차 파쇄된 원물이 기준치 이하의 크기인 경우를 선별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선별공정(S420)은 선별망(415)으로는 선별하기 어려운 기준치 이상으로 너무 큰 원물이나 이물질 따위를 선별하여 고품질의 장조림용 원물을 획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컨베이어 선별공정은 후술하는 포장공정까지 그 컨베이어가 이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선별된 원물이 자동으로 포장공정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공정(S500)은 초기 상부가 개방된 포장백 내부에 선별이 완료된 원물과 액상소스 및 부가재료를 넣어 밀폐 포장하기 위한 공정이다.
여기서 액상소스는 간장, 정제수, 물엿 및 백설탕이 적정비율로 용해(혼합)된 것을 사용하되 원물과 액상소스의 비율은 40:60 비율을 갖도록 밀폐 포장되며, 부가재료는 요청자에 따라 메추리알, 고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해당 액상소스 역시, 요청자의 요청에 따라 그 맛을 달리할 수 있도록 레시피가 다르게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그리고, 상기 살균공정(S600)은 상술한 증숙공정(S100)을 제외한 나머지 공정을 실시하는 동안 2차적인 원인으로 오염된 원물의 유해균(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살균과정은 포장백 외부에 열을 가하는 열처리 방식으로 유해균을 제거한다.
즉, 증숙된 원물은 기름제거, 파쇄, 선별 및 포장 등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무균실(고가의 시설)이 아니고서는 외부공기에 접촉하거나 작업자(옷이나 장갑 등)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2차 오염된 원물은 그대로 포장백에 수용되어 유통기간을 단축하는 원인이 된다.
하여, 원물이 수용된 포장백의 손상이 되지 않되 유해균이 사멸할 수 있을 정도의 열을 일정시간 가함으로써, 상품의 신선도는 물론, 유통기한을 연장하는 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살균공정의 온도는 100±10℃ 이내의 온도를 적어도 1~2시간 동안 지속적인 열을 가하여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1 내지 제4제어판넬은 통상의 각 구성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장조림 제조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증숙기(100), 기름제거부(200), 파쇄부(300), 선별부(400), 포장부(500) 및 살균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증숙기(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 공정이 이루어진 생고기 상태의 원물을 삶아내기 위한 구성으로 증숙베이스(110), 증숙몸체(120), 교반부재(130) 및 발열체(140)를 포함한다.
증숙베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게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증숙몸체(120)가 설치된다.
증숙베이스(110)의 상부에는 제1제어판넬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제어판넬은 후술하는 교반부재(130)의 회전은 물론, 발열체(140)에 전기를 인가하여 증숙몸체(120) 내부에 수용된 원물을 삶아내기 위한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제어판넬은 교반부재(130)의 회전속도, 발열체(140)의 온도제어 및 상기 발열체(140)의 동작예약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원물의 품질이 표준화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위치 및 디스플레이 등으로 표시된다.
증숙몸체(120)는 상부가 개방되되 속이 빈 원통형의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은 증숙베이스(110)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증숙몸체(120) 내부에서 삶아지는 원물을 배출시에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증숙몸체(120) 외면에는 상기 증숙몸체(120) 상부에 교반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판(121)이 용접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증숙몸체(120)의 개방된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는 교반부재(130)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두 분체로 이루어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증숙몸체(120)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제1제어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증숙몸체(120)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체(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교반부재(130)는 증숙몸체(120) 내부에서 삶아지는 원물이 골고루 삶아지도록 저어주기 위한 구성으로 교반모터(131), 축봉(133) 및 교반봉(135)을 포함한다.
교반모터(131)는 제1제어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판(121)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모터축이 상기 설치판(121)에 관통삽입된 축봉(133) 상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축봉(133)은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는 설치판(121)에 관통삽입되어 교반모터(1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는 증숙몸체(120) 내부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웃하게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교반봉(135)을 회전시킨다.
교반봉(135)은 회전하는 축봉(133) 외면에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축봉(133)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 돌출형성되어 증숙몸체(120) 내에서 삶아지는 원물이 골고루 삶아질 수 있도록 저어준다.
아울러 교반봉(135)은 동일길이를 갖도록 돌출형성되기도 하나,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짧거나 긴 형상을 갖도록 축봉(133)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원물이 용이하게 저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발열체(140)는 제1제어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증숙몸체(120)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증숙몸체(120) 내부에 수용된 원물이 삶아지기 위한 열원으로 사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발열체(140)는 증숙몸체(120)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증숙몸체(120) 내부 또는 외면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나아가 발열체(140)는 막내나 코일 형상의 히터 또는 봉 형상의 히터봉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제거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숙기(100)로 삶아진 원물에 남아있는 기름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름제거 베이스(210) 및 수용몸체(220)를 포함한다.
기름제거 베이스(210)는 수용몸체(220)가 지면에서 소정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바 및 수평바가 용접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한다.
수용몸체(220)는 기름제거 베이스(210)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내부에는 온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221)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수용공간부(221)와 연통되는 배출관(223)이 설치되어 기름제거에 사용된 온수가 수용몸체(2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배출관(223)은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서만 개폐될 수 있도록 수동 또는 자동밸브(체크밸브 등)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출관(223) 하부에는 배출되는 온수가 받아지는 기름수용함(미도시)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배출관(223)과 관 연결되어 정제시설이 구비된 하수구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때, 수용몸체(220)는 기름제거를 위한 원물이 담아지는 뜰채 등이 거치될 수 있도록 턱부(225)가 설치되어 원물의 기름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름제거가 이루어진 원물을 소정크기로 파쇄(찢어냄)하여 장조림에 사용할 수 있는 고기로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베이스(3100), 제1파쇄부(3200), 이송부(3300) 및 제2파쇄부(3400)의 구성을 요지로 하고 있으며, 제2제어판넬(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3100)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파쇄부(3200,3400) 및 이송부(3200)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되 2차 파쇄되는 원물의 파쇄시간 또는 2차 파쇄된 원물의 배출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몸체(3110), 제2몸체(3120), 덮개부재(3130), 승강수단(3140) 및 회전수단(3150)을 포함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제1 및 제2몸체(3110,3120)는 다수의 수평바와 수직바가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의 틀을 갖도록 용접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한다.
여기서 제1몸체(3110)는 작업장소 또는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베이스(3100)를 이동하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수평프레임(3111) 및 제1수직프레임(311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수평프레임(3111)은 소정넓이를 갖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하부에는 이동 및 고정이 자유로운 캐스커(3113)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제1수직프레임(3115)이 설치된다.
제1수직프레임(3115)은 제1수평프레임(3111) 상부 일측에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는 제2수평프레임(3121) 하면과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축 결합한다.
아울러 제1수직프레임(3115)의 높이는 덮개부재(3130) 하부에 위치하는 선별부(400)가 제2수평프레임(3121) 하부로 자유롭게 출입 가능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2차파쇄부(300)를 통해 배출되는 원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선별부(400)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몸체(3120)는 제1 및 제2파쇄부(3200,3400)는 물론, 이송부(3300)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되 제1몸체(31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수평프레임(3121) 및 제2수직프레임(312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수평프레임(3121)은 제1수직프레임(3115) 상부에 위치하되 제1수평프레임(3111)과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하부는 제1수직프레임(3115) 상부와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한다.
아울러 제2수평프레임(3121) 상부 일측 즉, 상술한 제1수직프레임(3115)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제2수직프레임(3125)이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 타측에는 후술하는 회전수단(3150)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제1베어링(3123a)과 제2베어링(3123b)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나아가 제2수평프레임(3121) 일단 즉, 제2파쇄부(3400)를 통해 2차 파쇄된 원물이 배출되는 출구 측에는 덮개부재(3130)가 설치되어 상기 제2파쇄부(3400)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2수직프레임(3125)은 제2수평프레임(3121)에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플레이트(3127a)와 하부플레이트(3127b)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부플레이트(3127a)와 하부플레이트(3127b) 사이에는 이송부(3300)가 배치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3127a)의 면적 중앙부에는 제1파쇄부(3200)가 상기 이송부(3300)와 서로 연통되게 관통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삽입공(3129)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3130)는 제2수평프레임(3121)에 설치되어 제2파쇄부(3400)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판(3131) 및 덮개판(313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설치판(313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수평프레임(3121)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설치판(3131)의 면적 중앙부에는 제2하우징(3410)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3133)이 천공형성된다.
이때, 관통공(3133)을 통해 삽입되는 제2하우징(3410)의 출구(2차 파쇄된 원물이 배출되는 곳) 측은 제2수평프레임(3121) 끝단보다 더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3410)을 통해 배출되는 원물이 선별부(400)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판(3135)은 설치판(3131)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원물의 2차 파쇄작업이 마감되거나 파쇄부(300) 전체를 이동설치시에 출구 측이 개방된 제2하우징(34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덮개부재(3130)는 설치판(3131)과 덮개판(3135)의 구성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제2하우징(3410)의 개방된 출구를 막는 마개(미도시) 등이 사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3140)은 제1몸체(3110)를 중심으로 제2몸체(3120) 자체를 회동시켜 제2파쇄부(3400)에서 2차 파쇄된 원물의 파쇄시간이나 배출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승강수단(3140)은 예컨대 유압이나 공기압 등으로 작동하는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하부는 제1수평프레임(3111) 상부와 축 결합하고, 상부는 제2수평프레임(3121) 하부와 축 결합하여 승강에 의해 제2몸체(3120)를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승강수단(3140)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핸들(3141)을 회전시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실린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2제어판넬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승강하는 실린더의 사용도 가능하다.
나아가 승강수단(3140)을 통한 제2몸체(3120)의 회동각도는 파쇄하고자 하는 원물의 육질(질감) 등에 따라 제2수평프레임(3121)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0도 기준으로 하여 ±20도 내의 각도를 갖도록 회동한다.
즉, 제2몸체(3120)가 상방으로 회동한 경우에는 제2하우징(3410)의 출구 측으로 파쇄된 원물이 배출되는데 간섭이 일어나게 되어 파쇄시간은 물론, 배출시간이 연장되며, 상기 제2몸체(3120)가 하방으로 회동한 경우에는 상기 제2하우징(3410) 출구 측으로 원물의 배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파쇄시간과 배출시간이 짧아지게 되므로 원물의 육질에 따라 적절히 회동하여 장조림으로 사용하기 용이한 신뢰도가 높은 원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16 참조)
상기 회전수단(3150)은 제2몸체(3120)에 설치된 제2하우징(3410)을 회전시켜 상기 제2하우징(3410) 내부에서 2차 파쇄작업이 진행중인 원물이 골고루 교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모터(3151), 회전봉(3153), 회전롤러(3155) 및 지지롤러(3157)를 포함한다.
회전모터(3151)는 제2수직프레임(3125)의 하부플레이트(3127b)에 고정설치되되 후술하는 회전봉(3153)을 회전시킨다.
회전봉(3153)은 전체적으로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일단이 회전모터(3151)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외면은 제2수평프레임(3121)에 형성된 제1베어링(3123a)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된다.
회전롤러(3155)는 회전봉(3153)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소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한 쌍이 하나의 유닛으로 설치되는 제1베어링(3123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315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롤러(3155) 외면은 제2하우징(3410)에 형성된 회전링(3411)과 접하도록 삽입설치되어 회전봉(3153)의 회전력을 제2하우징(3410)에 전달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파쇄작업시에 제2하우징(3410) 내측 하부에 있는 원물이 상부로 반복 이동하여 파쇄가 용이하도록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롤러(3155)의 회전방향은 제2회전축(3420)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파쇄봉(3421)과 제2보조파쇄봉(3431)의 상호작용에 의한 파쇄작업은 물론, 상기 원물의 교반도 용이하도록 한다.
지지롤러(3157)는 양측이 제2수평프레임(3121)에 형성된 제2베어링(3123b)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그 외면은 상술한 회전링(3411)과 접하도록 삽입되어 회전롤러(315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2하우징(34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회전축(3420)을 중심으로 제2하우징(3410)의 일측 및 타측에 회전롤러(3155)와 지지롤러(3157)가 회전링(3411)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2하우징(3410)이 회전시에 회전롤러(3155)는 제2하우징(34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고, 지지롤러(3157)는 회전중인 상기 제2하우징(3410)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2차 파쇄되는 원물이 교반될 수 있는 것이다(도 14 참조).
아울러 회전링(3411)과 접하는 회전롤러(3155) 또는 지지롤러(3157)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이나 서로 치 결합하는 기어에 의해 상기 회전링(341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파쇄부(3200)는 원물를 1차 파쇄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하우징(3210), 제1회전축(3220), 제1보조파쇄봉(3230) 및 파쇄모터(32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하우징(3210)은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술한 상부플레이트(3127a)의 삽입공(3129)에 관통삽입되어 제2수직프레임(3125)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제1하우징(3210)의 개방된 하부는 후술하는 이송부(3300)의 개방된 상부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하우징(3210)의 개방된 상부는 원물이 공급된 이후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하우징(3210) 내부에는 제1회전축(32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3220)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파쇄모터(324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1하우징(3210) 외면에는 축공이 천공형성된다.
제1회전축(3220)은 전체적으로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제1하우징(32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축공을 통해 파쇄모터(32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회전축(3220)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제1파쇄봉(3221)이 돌출형성되어 공급된 원물을 소정크기로 파쇄한다.
제1보조파쇄봉(3230)은 제1회전축(3220) 외면에 돌출형성된 제1파쇄봉(3221)과 서로 마주보되 제1하우징(3210) 내부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고정구비되며, 각각의 제1보조파쇄봉(3230)은 제1회전축(3220)이 회전시에 상기 제1파쇄봉(3221)의 사이로 드나들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공급된 원물을 제1파쇄봉(3221)과 함께 파쇄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증숙된 원물이 제1하우징(3210)의 개방된 상부로 공급되면 제1회전축(3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물은 제1파쇄봉(3221)과 제1보조파쇄봉(3230) 사이의 제1간격(D1) 만큼 1차 파쇄되어 상기 제1하우징(32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이송부(3300)로 공급되는 것이다.(도 15 참조)
파쇄모터(3240)는 제2제어판넬에 의해 제어되되 축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회전축(3220)의 끝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2수직프레임(3125)의 상부플레이트(3127a)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3300)는 상술한 제1파쇄부(3200)를 통해 1차 파쇄작업이 이루어진 원물을 공급받아 제2파쇄부(3400)로 밀어내어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하우징(3310), 이송스크류(3320) 및 이송모터(3330)를 포함한다.
이송하우징(3310)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수직프레임(3125)의 상부플레이트(3127a)와 하부플레이트(3127b)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부는 제1하우징(3210)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외면에는 상기 제1하우징(3210)을 통해 1차 파쇄된 원물이 이송스크류(3320)의 회전에 의해 제2하우징(34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공(3311)이 형성된다.
이때, 개방공(3311)과 서로 마주보는 이송하우징(3310)의 측면에는 이송스크류(3320) 일단이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되 이송모터(33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축공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개방공(3311)은 제2하우징(3410) 입구(1차 파쇄된 원물이 공급되는 곳)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1차 파쇄된 원물이 용이하게 상기 제2하우징(3410) 내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다.
이송스크류(3320)는 이송하우징(3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축공을 통해 관통되어 이송모터(3330)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송스크류(3320) 외면에는 토네이도 형상의 이송날개(3321)가 돌출형성되어 제1하우징(3210)을 통해 이송하우징(3310) 내부로 공급되는 1차 파쇄된 원물이 개방공(3311)을 통해 제2하우징(3410) 내부로 밀려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송스크류(3320)의 타단에는 제2회전축(3420)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이송스크류(3320)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2파쇄부(3400)는 제2회전축(3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가 구비되지 않고도 이송스크류(3320)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33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송모터(3330)는 제2제어판넬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하부플레이트(3127b)에 고정설치되며, 축공을 통해 노출된 이송스크류(332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파쇄부(3400)는 이송부(3300)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 공정이 이루어진 원물을 더 잘게 2차 파쇄하여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하우징(3410), 제2회전축(3420) 및 고정바(34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하우징(3410)은 전체적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기둥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입구 측은 개방공(3311)이 삽입되며, 출구 측 외면은 설치판(3131)에 형성된 관통공(3133)으로 관통삽입되고, 외면에는 띠 형상의 회전링(3411)이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하우징(3410)의 입구는 개방공(3311)과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링(3411)은 상술한 회전롤러(3155) 및 지지롤러(3157)가 삽입되어 지지롤러(3157)에 지지된 제2하우징(3410)이 회전롤러(3155)에 의해 회전하여 내부에서 2차 파쇄중인 원물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하우징(3410)의 내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고정바(3430)가 설치되기 위한 고정링(3415) 및 배출판(3413)이 설치된다.
고정링(3415)은 내부에 소정지름을 갖되 이송부(3300)에 의해 1차 파쇄된 원물의 공급이 용이하게 인입공(3415a)이 형성된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3415)의 외경은 제2하우징(341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2하우징(3410) 내부의 입구 즉, 이송하우징(3310)과 제2하우징(3410) 사이에 설치된다.
배출판(3413)은 전체적으로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지름 중앙부는 제2회전축(3420)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축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고정바(3430)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판(3413a)이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배출판(3413)은 고정링(3415)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제2하우징(3410)의 출구 측에 설치되며, 2차 파쇄된 원물은 회전하는 각각의 결합판(3413a)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간부(341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출공간부(3413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2회전축(3420)은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일측은 이송스크류(3320)의 결합공(3323)과 축 결합하여 이송모터(3330)에 의해 제2하우징(341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배출판(3413)의 축 삽입공과 결합하여 상기 배출판(3413)이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회전축(3420)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의 제2파쇄봉(3421)이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보조파쇄봉(3431)과 함께 1차 파쇄된 원물을 2차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바(3430)는 제2회전축(3420) 지름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며, 각각의 양측은 상술한 고정링(3415)과 결합판(3413a)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2하우징(3410) 내부에 설치되어 제2하우징(3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고정바(3430)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의 제2보조파쇄봉(343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보조파쇄봉(3431)의 돌출된 끝단은 제2회전축(342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파쇄봉(3421)과 함께 원물을 2차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보조파쇄봉(3431)은 제2회전축(3420)에 의해 회전하는 제2파쇄봉(3421)를 사이에 제2간격(D2)을 형성하여 드나들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간격(D2)을 통해 원물이 2차 파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간격(D2)은 상술한 제1간격(D1)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1차 파쇄된 원물보다 2차 파쇄된 원물의 두께, 크기 및 질량 등이 더 작도록 잘게 파쇄되도록 한다.
따라서 파쇄부(300)는 파쇄모터(3240)에 의해 제1회전축(3220)이 회전중인 제1하우징(3210) 내부로 원물이 공급되면 회전하는 제1파쇄봉(3221)과 상기 제1파쇄봉(3221) 사이로 드나드는 제1보조파쇄봉(3230) 사이의 제1간격(D1)을 통해 1차 파쇄되어 이송하우징(33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이송하우징(3310) 내부로 유입된 원물은 이송모터(3330)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320)의 이송날개(3321)를 통해 제2하우징(34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아울러 제2하우징(3410) 내부로 유입된 원물은 회전하는 제2회전축(3420) 외부에 다수 돌출형성된 제2파쇄봉(3421) 및 상기 제2파쇄봉(3421) 사이로 드나드는 제2보조파쇄봉(3431) 사이의 제2간격(D2)에 의해 2차 파쇄되어 제2하우징(34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2차 파쇄되는 원물의 종류 또는 상태에 따라 승강수단(3140)을 이용하여 제2몸체(3120) 자체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각도를 갖게 핸들(3141)로 제어하여 제2하우징(3410) 내에서 파쇄중인 원물의 파쇄시간이나 배출시간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나아가 제2하우징(3410)은 회전수단(315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하우징(3410) 내에서 2차 파쇄중인 원물이 제2보조파쇄봉(3431)에 의해 서로 교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조림 제조에 사용하기 신뢰도가 높은 고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400)는 파쇄부(300)를 통해 소정크기로 파쇄된 원물을 진동 및 작업자에 의해 선별하여 신뢰도가 높은 원물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크게 진동선별부재(410) 및 컨베이어 선별부재(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진동선별부재(410)는 진동에 의해 2차 파쇄된 원물의 크기가 기준치 미만인 것을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진동베이스(411), 진동모터(413), 선별망(415) 및 수거함(419)을 포함한다.
진동베이스(411)는 지면에 고정 또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작업자에 의해 진동모터(413)를 제어하기 위한 제3제어판넬이 설치된다.
예컨대 진동베이스(4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면에는 상기 진동베이스(411)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한 제3제어판넬의 조작은 물론,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진동모터(413)는 제3제어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진동베이스(411) 상부에 설치되되 모터축은 선별망(415)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진동모터(413)의 진동이 선별망(415)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진동모터(413)는 선별망(415) 전체에 균일한 진동을 가해줄 수 있도록 진동베이스(411)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선별망(415)에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선별망(415)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바닥면에는 기준치 이하의 원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415a)이 천공형성되며, 상부 양측에는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원물이 선별망(41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417)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가이드(417)는 선별망(415)의 입구(진동에 의해 선별하고자 하는 원물이 공급되는 곳) 폭이 상기 선별망(415)의 출구(진동에 의해 선별된 원물이 배출되는 곳)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원물이 한 곳으로 모아져 후술하는 컨베이어 선별부재(4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함(419)은 선별망(415) 직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진동베이스(411)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선별공(415a)을 통해 낙하하는 원물을 수집하여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베이어 선별부재(420)는 진동선별이 이루어진 원물을 작업자의 육안으로 재선별하여 상기 진동선별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나 상기 원물이 기준치 크기보다 큰 것들을 골라내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컨베이어 선별부재(420)는 컨베이어 베이스(421) 및 컨베이어(425)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베이스(4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컨베이어(4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바 및 수평바들의 용접이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으로 일정 틀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작업자의 육안을 통해 원물을 더욱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을 조사하는 램프(423)가 설치된다.
컨베이어(425)는 다수의 회전하는 롤러(427) 외면을 감싸도록 선별벨트(429)가 구비되되 상기 선별벨트(429) 상부에 원물이 공급되어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상의 컨베이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본 발명에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부(500)는 선별이 이루어진 원물과 함께 액상재료 및 부가제료를 밀폐 가능한 포장백(B)에 수용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을 이루고자 하는 구성으로 포장베이스(510), 저울(520), 주입부재(530) 및 밀봉기(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장백(B)은 개방된 상부가 가열에 의해 접착되어 내부가 밀폐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부를 개폐 및 밀폐할 수 있는 통상의 지퍼백을 사용한다.
포장베이스(510)는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후술하는 저울(520), 주입부재(530) 및 밀봉기(540)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포장베이스(510) 외면에는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포장베이스(510) 내부에는 주입부재(530)와 관 연결되되 액상소스가 저장되는 탱크(T)가 설치될 수 있다.
저울(520)은 포장베이스(510) 상부에 구비되며, 작업자에 의해 포장백(B) 내부에 수용되는 원물 및 부가재료 등의 무게를 측정한다.
아울러 부가재료는 필요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이때 저울(520)은 포장베이스(510)에 설치된 제4제어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장백(B) 내부에 수용되는 원물 및 부가재료의 무게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부재(530)는 탱크(T) 내부에 저장된 액상소스를 원물 및 부가재료가 수용된 포장백(B) 내부에 주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주입건(531), 거치대(533) 및 호스(535)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주입부재(530)는 하나의 탱크(T) 내부에 저장된 액상소스를 포장백(B) 내부에 주입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탱크(T)는 포장베이스(510) 내부에 서로 다른 액상소스가 각각 저장되도록 다수 구비되어 하나의 포장백(B) 내부에 둘 이상의 액상소스가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533)는 포장베이스(5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고정설치되며, 일측에는 주입건(531)을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주입건(531)은 상부가 호스(535) 일단과 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하부에는 액상소스가 배출되는 노즐이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한 주입손잡이 조작에 따라 액상소스가 포장백(B)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주입건(531)은 제4제어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입손잡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일정량의 액상소스가 포장백(B)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호스(535)는 일단이 주입건(531)과 관 연결되되 타단은 탱크(T)와 관 연결되어 주입건(531)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탱크(T) 내부에 저장된 액상소스가 노즐을 통해 포장백(B)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호스(535) 타단과 탱크(T) 사이에는 펌프(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탱크(T) 내부에 저장된 액상소스가 호스(535)를 통해 주입건(531)까지 압력에 의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밀봉기(540)는 원물, 액상소스 및 부가재료 등이 수용된 포장백(B)을 밀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아울러 밀봉기(540)는 포장백(B)이 개폐 가능한 지퍼백이 아닌 통상의 가열에 의해 밀봉접착되는 포장용기인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생략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살균부(600)는 장조림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품화된 포장백(B) 외부에 열을 가하여 전술한 파쇄부(300), 선별부(400) 및 포장부(500) 등을 통해 2차 오염된 유해균을 살균하기 위한 구성이다.
살균부(600)는 통상 이동가능한 컨베이어 상부에 상품화된 포장백(B)을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되 그 외면에 열을 가하여 살균을 실시하는 이동식 살균기를 사용하거나 다수의 상기 포장백(B)을 수납하되 그 외면에 열을 가하여 살균하는 고정식 살균기를 사용하여 살균한다.
아울러 살균부(600)는 포장백(B)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열을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가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원물의 품질을 표준화시켜 상품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원물을 삶아내기 위한 증숙기(100)의 가열시간이나 가열온도 등을 표준화하여 장조림에 사용하고자 하는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파쇄부(300)를 통해 삶아진 원물을 수작업으로 찢어낸 듯이 소정크기로 파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장조림 제조시스템
100: 증숙기 110: 증숙베이스
120: 증숙몸체 130: 교반부재
140: 발열체 200: 기름제거부
210: 기름제거 베이스 220: 수용몸체
300: 파쇄부 3110: 제1몸체
3120: 제2몸체 3130: 덮개부재
3140: 승강수단 3150: 회전수단
3200: 제1파쇄부 3210: 제1하우징
3220: 제2회전축 230: 제1보조파쇄봉
3240: 파쇄모터 3300: 이송부
3310: 이송하우징 3320: 이송스크류
3330: 이송모터 3400: 제2파쇄부
3410: 제2하우징 3420: 제2회전축
3430: 고정바 400: 선별부
410: 진동선별부재 420: 컨베이어 선별부재
500: 포장부 510: 포장베이스
520: 저울 530: 주입부재
540: 밀봉기 600: 살균부
B: 포장백 D1: 제1간격
D2: 제2간격 T: 탱크

Claims (7)

  1. 전처리공정이 이루어진 원물을 증숙하는 증숙기(100);
    내부에 수용된 온수에 증숙된 원물을 침수시켜 원물의 기름을 제거하는 기름제거부(200);
    기름이 제거된 원물을 소정크기로 반복되게 파쇄하는 파쇄부(300);
    상기 파쇄부(300)를 통해 파쇄된 원물을 선별하는 선별부(400);
    선별된 원물, 액상소스 및 부가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백(B)에 포장하여 상기 포장백(B) 내부를 밀폐시키는 포장부(500); 및
    밀폐된 상기 포장백(B) 외면에 일정시간 열을 가하여 살균하는 살균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300)는
    두 분체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서로 축 결합하는 베이스(3100);
    상기 베이스(3100)에 설치되되 공급된 원물을 1차 파쇄하는 제1파쇄부(3200);
    상기 제1파쇄부(3200) 하부에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되 1차 파쇄한 원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3300); 및
    상기 이송부(3300)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이송된 원물을 2차 파쇄하여 배출하며, 상기 베이스(3100)의 회동방향에 따라 2차 파쇄된 원물의 파쇄시간 또는 육류의 배출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파쇄부(3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림 제조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100)는
    이동 또는 고정가능한 제1몸체(3110);
    상기 제1몸체(3110) 상부와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상기 제1파쇄부(3200)는 물론, 상기 이송부(3300)와 상기 제2파쇄부(3400) 각각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2몸체(3120);
    상기 제2몸체(3120)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파쇄부(3400) 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재(3130); 및
    하부가 상기 제1몸체(3110)와 축 결합하며, 상부는 상기 제2몸체(3120)와 축 결합하여 승강에 따라 상기 제2몸체(312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승강수단(3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림 제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100)는 상기 제2파쇄부(3400) 내에서 2차 파쇄가 이루어지는 원물이 골고루 교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수단(31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수단(3150)은
    회전모터(3151);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회전모터(315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2몸체(3120)에 구비된 제1베어링(3123a)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회전봉(3153);
    상기 회전봉(3153)에 소정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봉(3153)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2파쇄부(3400) 외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파쇄부(3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3155); 및
    양측이 상기 제2몸체(3120)에 구비된 제2베어링(3123b)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상기 제2파쇄부(3400) 외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3155)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2파쇄부(34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3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림 제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부(32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함 형상의 제1하우징(3210);
    상기 제1하우징(32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제1파쇄봉(3221)이 서로 이웃하게 돌출형성된 제1회전축(3220);
    상기 제1파쇄봉(3221)과 서로 마주보되 상기 제1파쇄봉(3221)과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제1간격(D1)을 갖도록 상기 제1하우징(3210) 내벽에 돌출설치되며, 상기 제1파쇄봉(3221)과 함께 원물을 1차 파쇄하는 제1보조파쇄봉(3230); 및
    상기 제1회전축(3220)을 회전시키는 파쇄모터(3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림 제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300)는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상기 제1파쇄부(3200)와 연통되게 개방되며, 외면에는 상기 제2파쇄부(3400)와 연통되는 개방공(3311)이 형성된 이송하우징(3310);
    상기 이송하우징(33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외면에는 1차 파쇄된 원물을 상기 제2파쇄부(3400)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3321)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공(3311) 방향으로 상기 제2파쇄부(34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3323)이 형성된 이송스크류(3320); 및
    상기 베이스(3100)에 설치되되 상기 이송스크류(3320)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3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림 제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쇄부(3400)는
    양측이 개방된 소정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입구 측이 상기 이송부(3300)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외부에는 외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회전링(34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1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하우징(3410);
    상기 제2하우징(34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제2파쇄봉(342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이송부(3300)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축(3420);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름 중앙부에는 인입공(3415a)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3410)의 입구 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링(3415);
    상기 고정링(3415)과 서로 대향되게 상기 제2하우징(3410) 출구 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2하우징(3410)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된 원물을 배출하는 배출판(3413); 및
    일단은 상기 고정링(3415)과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배출판(3413)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3420)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며, 외면에는 상기 제2파쇄봉(3421)과 서로 마주보되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축(3420) 사이에 제2간격(D2)이 형성되게 드나들 수 있도록 제2보조파쇄봉(3431)이 서로 이웃하게 다수 돌출형성된 고정바(3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림 제조시스템.
KR1020170014621A 2017-02-01 2017-02-01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 KR10174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21A KR101744542B1 (ko) 2017-02-01 2017-02-01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21A KR101744542B1 (ko) 2017-02-01 2017-02-01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542B1 true KR101744542B1 (ko) 2017-06-08

Family

ID=5922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21A KR101744542B1 (ko) 2017-02-01 2017-02-01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82B1 (ko) 2020-06-16 2020-09-29 김훈섭 장조림 제조 및 포장장치
CN114769136A (zh) * 2022-04-11 2022-07-22 连江旭隆食品有限公司 丸类产品自动筛选蒸煮工艺及自动化筛选蒸煮一体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34B1 (ko) 2016-01-21 2016-05-19 임구연 컨베이어의 이동이 가능하여 고기 크기를 선별하는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34B1 (ko) 2016-01-21 2016-05-19 임구연 컨베이어의 이동이 가능하여 고기 크기를 선별하는 선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82B1 (ko) 2020-06-16 2020-09-29 김훈섭 장조림 제조 및 포장장치
CN114769136A (zh) * 2022-04-11 2022-07-22 连江旭隆食品有限公司 丸类产品自动筛选蒸煮工艺及自动化筛选蒸煮一体机
CN114769136B (zh) * 2022-04-11 2023-11-24 连江旭隆食品有限公司 丸类产品自动筛选蒸煮工艺及自动化筛选蒸煮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9257B1 (en) Apparatus & process for sterilization of spices and leafy herbs
SU1777777A1 (ru) Лин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фруктовых компотов
KR101744542B1 (ko) 장조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조림 제조시스템
US20140314918A1 (en) Juice Containing Pouch and Press for Extracting Juice from the Pouch
US4187992A (en) Device for reconstituting used coffee grounds
CN1812817A (zh) 用于用微波处理产物的机器和方法
CN105146635B (zh) 一种自动化无菌冷灌装生产工艺
WO2015020912A1 (en) Juice containing pouch and press for extracting the juice from the pouch
KR20210074058A (ko) 나물 자동 포장장치 및 그 포장장치를 이용한 자동 포장방법
US20080163766A1 (en) Processing Line For Producing Foods
CA2021411A1 (en) Method and contrivance for sterilizing, disinfecting and/or drying
US5513804A (en) Method for recycling solid waste using a decentralized recycling system
AU2007345804B2 (en) A method of packing a food product with extended shelf-life
US2768572A (en) Art of processing and packaging cheese
JP2009136193A (ja) 密封容器入り擦りおろし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207940308U (zh) 一种食品机
HUT63106A (en) Apparatus for treating products particularly foodstuffs in inert atmosphere and at controlled temperature
CN103120293A (zh) 一种自动化酱腌菜生产系统
CN105934284A (zh) 处理感染性废物的机器,特别是医疗废物
EP0120789A2 (fr) Procédé de remplissage aseptique, à froid, de récipients, en particulier en matière synthétique - bouteilles ou analogues - par des boissons, notamment à base de jus de fruits
DE19901355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onend aseptischen Abfüllen von Produkt in Behältnisse
JPH0372246B2 (ko)
US2303768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fruit juices
JP4942186B2 (ja) 包装食品の分別前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1631A (en) Process of heat tr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