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023B1 -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 Google Patents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023B1
KR101744023B1 KR1020160111481A KR20160111481A KR101744023B1 KR 101744023 B1 KR101744023 B1 KR 101744023B1 KR 1020160111481 A KR1020160111481 A KR 1020160111481A KR 20160111481 A KR20160111481 A KR 20160111481A KR 101744023 B1 KR101744023 B1 KR 10174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biodegradable biodegradable
complex enzyme
mix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16011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enzymes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은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물에 분산시켜 일정 농도의 생분해 조성액을 준비하는 생분해 조성액 제조단계와, 생분해 조성액이 오폐수의 양에 비례하여 혼합되도록 하는 생분해 조성액 공급단계와, 생분해 조성액에 의해 오폐수 처리와 악취 제거가 행해지는 반응처리단계와, 반응처리단계 이후에 행해지는 침전 및 여과 단계로 구성된다.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액상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60질량%와 제3조성물 40질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액상의 고도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건조한 것으로, 액상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목질분 40질량%와 물 60질량%를 혼합ㆍ교반하여 얻어지는 제1조성물과, 유기물 30질량%와 물 70질량%를 혼합ㆍ교반하여 얻어지는 제2조성물을 1:1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제1 및 제2조성물이 혼합된 혼합액 대비 10% 이하의 질량비로 반응안정제를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얻어지며, 제3조성물은 고도 처리 보조제 40질량%와 물 60질량%를 교반함으로써 얻어지고, 목질분으로는 황칠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및 솔잎의 분쇄물이 사용되며, 유기물로는 무화과가 사용되고, 반응안정제로는 계피가 사용되며, 고도 처리 보조제로는 갑각류 분쇄물과 은행잎 분쇄물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Wastewater treatment and odor removal microbial-enzymatic method using a complex microbial agent}
본 발명은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의 분해제거 작용에 의해, 악취 성분과 총 인(T-P) 및 총 질소(T-N)를 줄일 수 있고,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일정한 농도로 분산시킨 생분해 조성액을 오폐수 저장탱크나 오폐수 유동 관로에 유입하기만 하면 악취 제거와 오폐수 처리가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 오폐수 처리 공법에 비해 알루미늄계 응집제 사용량과 슬러지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 처리시에 생기는 슬러지에는 유기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히 처리하지 않으면, 유기 성분의 부패로 인해, 악취 발생이나 해충 번식과 같은 문제가 야기된다.
오폐수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는 대도시일수록 심화하고 있는데, 특히 슬러지 처리 문제가 심각하다.
예전에는 이 슬러지를 해양 투기로 대부분 처리하였지만, 해양오염 방지협약 때문에, 슬러지의 해양 투기가 약 20년 전부터 전면 금지됨에 따라, 이제는 매립이나 소각 등의 방식으로 슬러지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슬러지를 매립하거나 소각할 경우, 대기오염이나 토양오염과 같은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슬러지의 매립 처리와 관련하여, 매립지의 추가 확보는 점점 어려워지는 실정이며, 매립지 분담금 인상으로 인해, 지자체의 재정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오폐수 처리에서는 신속 처리 못지않게,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슬러지 발생량을 줄임과 아울러, 악취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리 비용과 처리 후의 수질 등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처리 방식이 혼용되는데,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특히 생물학적 처리 방식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 기술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침전분리조 용량을 크게 하지 않아도 오니와 스컴의 축적량을 대폭으로 감소시켜 이들의 제거에 따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으로서, 미생물이 비교적 이용하기 쉬운 유기물(예를 들면, 당류)과 비교적 이용하기 어려운 유기물(예를 들면, 목질계 유기물)을 조합한 탄소원을 사용하여 침전분리조에서의 C/N 비율(탄소와 질소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기술적 특징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2≫
하수 또는 오폐수로부터 수집된 농축 슬러지 속의 유기물을, 물리 또는 화학적 전처리를 거치치 않고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종래 오폐수 처리 공법보다 처리비용이 저렴하고 오폐수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26898호 특허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1207373호
본 발명은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생물학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쓰레기 및 오폐수 처리장, 저수지나 호수처럼 녹조 발생과 각종 악취 발생이 예상되는 곳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악취 제거와 수질 정화 등의 작용효과가 뛰어난,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에서 사용하는 미생물 제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1] 물 60∼70질량%와 목질분(木質粉) 30∼40질량%로 구성된 제1조성물;
물 60∼70질량%와 유기물(有機物) 30∼40질량%로 구성된 제2조성물;
제1 및 제2조성물이 1:9∼9:1의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혼합된 혼합액에 대해, 일정량의 반응안정제가 첨가된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2] 상기 [1]에서, 제1조성물의 목질분은 황칠나무 분쇄물과 측백나무 분쇄물과 소나무 및 솔잎의 분쇄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제2조성물의 유기물은 무화과와 쌀겨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천연 방부제와 당류와 염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안정제가 혼합액 대비 10% 이하의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첨가된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3] 상기 [2]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에 대해 5∼15%의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고도 처리 보조제가 더 첨가된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4] 상기 [3]의 고도 처리 보조제는 금속성분 흡착제와 천연 방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5] 상기 [1] 내지 [4]에 기재된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건조하여 얻은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또한, [1]-[5]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의 제조≫
[6] 물 60∼70질량%와 목질분 30∼40질량%를 60∼80℃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상 교반하여 제1조성물을 얻는 단계;
물 60∼70질량%와 유기물 30∼40질량%를 60∼80℃ 온도조건에서 3시간 이상 교반하여 제2조성물을 얻는 단계;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을 1:9∼9:1의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혼합한 혼합액에 계피 등의 천연 방부제와 설탕 등의 당류와 소금 등의 염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안정제를 혼합액 대비 10% 이하의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첨가하고 50∼70℃ 온도조건에서 2시간 미만 교반함으로써, 오염도가 낮은 오폐수 처리용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7] 금속성분 흡착제와 천연 방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도 처리 보조제 30∼40질량%와 물 60∼70질량%를 85∼120℃ 온도조건에서 5∼7시간 교반하여 제3조성물을 얻는 단계;
상기 [6]에서 얻어진 오염도가 낮은 오폐수 처리용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50∼60질량%와 제3조성물 40∼50질량%를 60℃ 미만의 온도조건에서 1시간 미만 교반함으로써, 오염도가 높은 오폐수 처리용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얻는 단계가 더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8] 상기 [6] 또는 [7]의 제조법에 따라 얻어진 액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건조하는 단계가 더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은 아래에 나열된 순서대로 각 단계가 실시됨으로써 행해진다.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포기(aeration) 가능한 탱크에 물 1톤당 1㎏의 비율로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투입하여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용 생분해 조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오폐수(이하에서 "원수"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의 양에 비례하여 생분해 조성액을 오폐수에 혼합하는 단계;
생분해 조성액에 의해 오폐수 처리와 악취 제거가 행해지는 단계;
침전 및 여과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여기서,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액상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60질량%와 제3조성물 40질량%를 혼합·교반하여 얻어지는 액상의 고도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건조한 것으로서,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목질분 40질량%와 물 60질량%를 혼합ㆍ교반하여 얻어지는 제1조성물과, 유기물 30질량%와 물 70질량%를 혼합·교반하여 얻어지는 제2조성물을 1:1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제1 및 제2조성물이 혼합된 혼합액 대비 10% 이하의 질량비로 반응안정제를 투입·교반함으로써 얻어지며;
제3조성물은 고도 처리 보조제 40질량%와 물 60질량%를 혼합·교반함으로써 얻어지고;
목질분으로는 피톤치드와 독특한 향을 지닌 황칠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및 솔잎의 분쇄물이 사용되며, 유기물로는 무화과가 사용되고, 반응안정제로는 계피가 사용되며, 고도 처리 보조제로는 키토산이 함유된 갑각류 분쇄물과 은행잎 분쇄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처리장치나 처리시설의 오폐수 저장탱크 혹은 오폐수 유동 관로에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가 일정 농도로 분산되어 있는 생분해 조성액을 유입시키는 것만으로도 악취 제거와 오폐수의 수질 정화가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 방식에 비해 알루미늄계 응집제 사용량과 슬러지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의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아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또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흩트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표준 처리용」 및 「고도 처리용」이라는 용어는 2가지 유형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가 제공된다는 의미일 뿐, 오폐수의 오염도에 따라 표준 처리용과 고도 처리용으로 반드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하에서,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간단히 「바이오 크린」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바이오 크린은 비교적 오염도가 낮은 오폐수의 처리에 적합한 것으로, 목질분 40질량%와 물 60질량%를 60∼80℃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상 혼합·교반하여 얻어진 제1조성물과, 유기물 30질량%와 물 70질량%를 60∼80℃ 온도조건에서 3시간 이상 혼합·교반하여 얻어진 제2조성물을 1:1의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혼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반응안정제를 투입하여 70℃ 미만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하 혼합·교반하여 얻어진다.
목질분으로는 황칠나무나 측백나무 또는 소나무 및 솔잎의 분쇄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피톤치드와 독특한 향을 함유하고 있으며, 탈취 및 방부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유기물로는 무화과나 쌀겨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항균 및 방충 효과가 있는 무화과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반응안정제로는 계피 등의 천연 방부제나 설탕 등의 당류나 소금 등의 염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데, 제1 및 제2조성물이 혼합된 혼합액 대비 10% 이하의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첨가된다.
여기서, 목질분과 유기물과 반응안정제의 사용량은 예시된 특정 값보다 크거나 작아도 된다. 예컨대, 물을 제외한 이들 첨가물은 5∼10질량% 범위 내에서, 즉, 목질분의 경우는 30∼45질량% 범위 내에서 변동되어도 되고, 유기물의 경우는 25∼40질량% 범위 내에서 변동되어도 되며, 반응안정제의 경우는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혼합액 대비 5∼15% 범위 내에서 변동되어도 된다.
따라서 첨가물의 사용량(투입량) 조정을 통해, 악취 제거 및 수질 정화 효율이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준비할 수 있으므로, 오폐수의 오염도에 따라 소비자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우수한 것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경우,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가 일정 농도로 분산된 생분해 조성액을 기존 처리시설의 저장탱크나 오폐수 유동 관로에 유입시키기만 하면,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에 유용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악취 성분인 2NH3, NH3, H2S, (CH3)3N, CH3S를 제거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연못 등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배설물이 작은 조각으로 분해제거됨과 아울러 물비린내를 탈취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녹조나 이끼의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도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총 질소(T-N), 총 인(T-P), BOD, COD, SS(부유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SS를 제거하기 위해 투입하던 알루미늄계 응집제 사용량을 종래 대비 90% 가까이 줄일 수 있고, 슬러지 발생량도 50% 선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그 기능이 오폐수의 산도(수소이온 농도, pH)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폐수가 강산성일 경우는 중성화제로 오폐수의 산도를 미리 조정한 후에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하에서, 고도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간단히 「바이오 크린 프러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바이오 크린 프러스는 오염도가 높은 오폐수의 처리에 적합한 것으로, 질량비 또는 체적비로, 상기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60%, 후술하는 제3조성물을 40%의 비율로 혼합하여, 60℃ 미만의 온도조건에서 1시간 미만으로 교반해서 얻는다.
그러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와 제3조성물의 혼합비가 상기 수치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로서, 표준 처리용 미생물 제제의 성분비는 50∼70% 범위 내에서 있으면 되고, 이에 맞춰 제3조성물의 성분비는 30∼50%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제3조성물은 예를 들면, 금속성분 흡착제와 천연 방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도 처리 보조제 30∼40질량%와 물 60∼70질량%를 85∼120℃ 온도조건에서 5∼7시간 교반하여 얻는다.
금속성분 흡착제로는 키토산이 함유된 갑각류 분쇄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천연 방충제로는 은행잎 분쇄물 또는 그 추출물과, 염도 18∼20%의 간장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갑각류 분쇄물은 1ℓ당 0.5g의 비율로, 은행잎 추출물은 1000ℓ당 2g의 비율로, 간장은 1000ℓ당 0.5ℓ의 비율로 사용되었는데, 반드시 이러한 비율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즉, 필요에 따라, 제3조성물의 고도 처리 보조제 농도나 성분조성 범위는 달라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도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상술한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로는 완전히 처리하기 곤란한 악성 악취와 심하게 오염된 악성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의 공정도로서, 화살표는 관로를 의미하고, 사각형은 공정(또는 그 공정이 행해지는 탱크나 수조)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은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물에 분산시켜 일정 농도의 생분해 조성액을 준비하는 생분해 조성액 제조단계와, 생분해 조성액이 오폐수의 양에 비례하여 혼합되도록 하는 생분해 조성액 공급단계와, 생분해 조성액에 의해 오폐수 처리와 악취 제거가 행해지는 반응처리단계와, 반응처리단계 이후에 행해지는 침전 및 여과단계로 구성된다.
생분해 조성액 제조단계는 포기(aeration) 가능한 탱크 또는 수조에, 물 1톤당 1㎏의 비율로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투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생분해 조성액 공급단계는 상기 탱크 또는 수조로부터 오폐수 저장탱크 또는 오폐수 유입 관로로 생분해 조성액이 공급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서, 포기 가능한 보조탱크(또는 수조)를 하나 더 두어, 상기 탱크로부터 보조탱크로 생분해 조성액이 옮겨진 후, 상기 보조탱크에서 오폐수 저장탱크나 유입 관로로 생분해 조성액이 공급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액상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60질량%와 제3조성물 40질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액상의 고도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건조한 것으로, 액상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목질분 40질량%와 물 60질량%를 혼합ㆍ교반하여 얻어지는 제1조성물과, 유기물 30질량%와 물 70질량%를 혼합ㆍ교반하여 얻어지는 제2조성물을 1:1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제1 및 제2조성물이 혼합된 혼합액 대비 10% 이하의 질량비로 반응안정제를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얻어지며, 제3조성물은 고도 처리 보조제 40질량%와 물 60질량%를 교반함으로써 얻어지고, 목질분으로는 황칠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및 솔잎의 분쇄물이 사용되며, 유기물로는 무화과가 사용되고, 반응안정제로는 계피가 사용되며, 고도 처리 보조제로는 갑각류 분쇄물과 은행잎 분쇄물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래의 표 1 내지 표 6은 바이오 크린의 시험결과(모델명 : K-BC)를 나타내며, 표 7 내지 표 12는 바이오 크린 프러스의 시험결과(모델명 : K-BL)를 나타낸다. (의뢰기관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1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2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3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4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5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6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7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8
Figure 112016084793989-pat00009
Figure 112016084793989-pat00010
Figure 112016084793989-pat00011
Figure 112016084793989-pat00012
표 1∼표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은 악성 악취 및 악성 오폐수를 처리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데, COD, 총 인(T-P), 총 질소(T-N), 황화수소, 메틸머캅탄을 낮추는 데에는 바이오 크린 프러스가 바이오 크린에 비해 좀 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박테리아에서 유도된 단일 분자 형태의 유기물 분해제이며, 효소 및 유기촉매제이다.
고성능, 무독성, 생분해성인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자연친화적이며, 유기조직체는 포기(aeration)에 의해 20-30분에 그 숫자가 두 배로 증식된다.
복잡하고 분자량이 큰 유기물(또는 폐기물 분자)을 작은 분자량의 조각으로 분해하여 박테리아가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유기조직체는 오폐수 속의 유기물 분해시에 부산물(또는, 잔류물)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며, 악취가 즉시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그리스(윤활유)·오일 등도 분해·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호기성 조건과 혐기성 조건 모두에서 왕성한 분해작용을 행한다.
따라서, 원수 처리 후의 TP, TN, BOD, COD, SS 기준치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슬러지와 악취를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은 종래 공법보다 운전비용이 절감되고(1개월 20%, 2개월 35%, 3개월 40% 감소 기대), 슬러지 처리비용도 대폭 절감되므로(1개월 30%, 2개월 40%, 3개월 50% 감소 기대), 지자체의 재정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미생물 공법으로 운전되는 하수처리장 등에서는 악취측정 및 수질측정을 주기적으로 행하여, 그 측정값이 허용 가능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원수의 유입수량에 비례하여 투입되는 생분해 조성액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거나, 생분해 조성액의 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유지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유지관리 업무는 민간위탁 관리업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2)

  1. 액상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 60질량%와 제3조성물 40질량%를 혼합·교반하여 얻어지는 액상의 고도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건조하여 제조되는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액상의 표준 처리용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는 목질분 40질량%와 물 60질량%를 혼합ㆍ교반하여 얻어지는 제1조성물과, 유기물 30질량%와 물 70질량%를 혼합·교반하여 얻어지는 제2조성물을 1:1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제1 및 제2조성물이 혼합된 혼합액 대비 10% 이하의 질량비로 반응안정제를 투입·교반함으로써 얻어지며;
    상기 제3조성물은 고도 처리 보조제 40질량%와 물 60질량%를 혼합·교반함으로써 얻어지고;
    상기 목질분으로는 피톤치드와 독특한 향을 지닌 황칠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및 솔잎의 분쇄물이 사용되며, 상기 유기물로는 무화과가 사용되고, 반응안정제로는 계피가 사용되며, 고도 처리 보조제로는 키토산이 함유된 갑각류 분쇄물과 은행잎 분쇄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말상의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으로서,
    포기(aeration) 가능한 탱크에 물 1톤당 1㎏의 비율로 분말상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투입하여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용 생분해 조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오폐수의 양에 비례하여 생분해 조성액을 오폐수에 혼합하는 단계;
    생분해 조성액에 의해 오폐수 처리와 악취 제거가 행해지는 단계;
    침전 및 여과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KR1020160111481A 2016-08-31 2016-08-31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KR10174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481A KR101744023B1 (ko) 2016-08-31 2016-08-31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481A KR101744023B1 (ko) 2016-08-31 2016-08-31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023B1 true KR101744023B1 (ko) 2017-06-07

Family

ID=5922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481A KR101744023B1 (ko) 2016-08-31 2016-08-31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02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3780A (zh) * 2017-06-28 2017-09-29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新装修房屋环境的环保酵素产品及其制备工艺
CN107281928A (zh) * 2017-06-28 2017-10-24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空气净化功能的环保酵素及其制备工艺
KR101938497B1 (ko) 2017-12-06 2019-04-11 김진희 고농도의 유기성 오폐수에 대한 미생물학적 슬러지 저감 방법
CN112499770A (zh) * 2020-10-29 2021-03-16 诸暨市洛宏环保科技有限公司 餐厨废水环保除臭装置及除臭方法
CN113713603A (zh) * 2021-08-27 2021-11-30 广州市爱家有方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生物降解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05510A (ko) * 2021-07-01 2023-01-10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KR20230031692A (ko)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바이오 효소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환경개선 및 폐기물 재활용 유기물소멸 공법
KR20240017218A (ko) 2022-07-28 2024-02-07 주식회사 엠티에스바이오 산업폐수 내 질소화합물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친환경 혼합 미생물 제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976A (ja) * 1999-12-01 2001-06-05 Masaharu Nagao 廃水の浄化材と廃水の浄化方法と廃水処理システム
JP2002051709A (ja) * 2000-05-29 2002-02-19 Usi Prfitmax Kk 錦鯉用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錦鯉用養殖場の水浄化剤
KR100950231B1 (ko) * 2009-09-15 2010-03-29 (주) 화인워터 수 처리용 세라믹 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976A (ja) * 1999-12-01 2001-06-05 Masaharu Nagao 廃水の浄化材と廃水の浄化方法と廃水処理システム
JP2002051709A (ja) * 2000-05-29 2002-02-19 Usi Prfitmax Kk 錦鯉用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錦鯉用養殖場の水浄化剤
KR100950231B1 (ko) * 2009-09-15 2010-03-29 (주) 화인워터 수 처리용 세라믹 볼의 제조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3780A (zh) * 2017-06-28 2017-09-29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新装修房屋环境的环保酵素产品及其制备工艺
CN107281928A (zh) * 2017-06-28 2017-10-24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空气净化功能的环保酵素及其制备工艺
CN107213780B (zh) * 2017-06-28 2019-09-13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新装修房屋环境的环保酵素产品及其制备工艺
KR101938497B1 (ko) 2017-12-06 2019-04-11 김진희 고농도의 유기성 오폐수에 대한 미생물학적 슬러지 저감 방법
CN112499770A (zh) * 2020-10-29 2021-03-16 诸暨市洛宏环保科技有限公司 餐厨废水环保除臭装置及除臭方法
CN112499770B (zh) * 2020-10-29 2022-09-16 诸暨迅超工业设计有限公司 餐厨废水环保除臭装置及除臭方法
KR20230005510A (ko) * 2021-07-01 2023-01-10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KR102605307B1 (ko) 2021-07-01 2023-11-23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CN113713603A (zh) * 2021-08-27 2021-11-30 广州市爱家有方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生物降解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31692A (ko)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바이오 효소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환경개선 및 폐기물 재활용 유기물소멸 공법
KR20240017218A (ko) 2022-07-28 2024-02-07 주식회사 엠티에스바이오 산업폐수 내 질소화합물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친환경 혼합 미생물 제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023B1 (ko) 복합효소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악취 제거 바이오 미생물 공법
Lee et al. Sustainable approach to biotransform industrial sludge into organic fertilizer via vermicomposting: A mini‐review
Rupani et al. Review of current palm oil mill effluent (POME) treatment methods: vermicomposting as a sustainable practice
Anwar et al. Characterization and recycling of organic waste after co-composting-A review
KR101780626B1 (ko)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공법
Chen et al. Heavy metals distribution and their bioavailability in earthworm assistant sludge treatment wetland
Achak et al. Preliminary evalu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for nutrients removal from olive mill wastewater (OMW) after passing through a sand filter
Vale et al. Parabens as emerging contaminants: Environmental persistence, current practices and treatment processes
Shabir et al. Treatment technologies for olive mill wastewater with impacts on plants
WO2014038596A1 (ja) 可溶性シリカを含んだフルボ酸鉄資材の製造方法
Ermis et al. Determination of biokinetic coefficients for nutrient removal from anaerobic liquid digestate by mixed microalgae
Chen et al. Organic matter in wastewater and treated wastewater-irrigated soils: Properties and effects
Bouhia et al. Olive mill waste sludge: From permanent pollution to a highly beneficial organic biofertilizer: A critical review and future perspectives
Achak et al. Performance of olive mill wastewater treatment using hybrid system combining sand filtration and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JP2008214600A (ja) 重金属及び食品廃液を減少除去させる重金属処理材及び土壌改良剤。並びに重金属除去方法。
CN105645596A (zh) 一种活性污泥预处理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Boruszko et al. Impact of effective microorganisms bacteria on low-input sewage sludge treatment
Al-Shaweesh et al. Olive mill wastewater (OMW) treatment by using ferric oxide dephenolization and chemical oxygen demand removal
Iwai et al. Management of municipal sewage sludge by vermicomposting technology: Converting a waste into a bio fertilizer for agriculture
Adamu et al. A review on abattoir wastewater treatment for environmental health improvement
Udume et al. Composting: A low-cost biotechnological approach to ameliorating macrophyte nuisance in fresh waters
RU2175580C2 (ru) Состав для очистки почвы от нефтя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очвы от нефтя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Faisal Utilization of tofu liquid waste generated from anaerobic processing in compost preparation
KR101657211B1 (ko) 개질된 활성오니, 이를 이용한 하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처리수의 이용
Azuar et al. Phytotoxicity effect of palm oil mill effluent (POME) on lettuce seed (L. sativa L.) after vermifiltration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