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41B1 -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41B1
KR101743641B1 KR1020090093990A KR20090093990A KR101743641B1 KR 101743641 B1 KR101743641 B1 KR 101743641B1 KR 1020090093990 A KR1020090093990 A KR 1020090093990A KR 20090093990 A KR20090093990 A KR 20090093990A KR 101743641 B1 KR101743641 B1 KR 101743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nd
biomolecule
receptor
inorganic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364A (ko
Inventor
최진호
박대환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41B1/ko
Priority to PCT/KR2009/007191 priority patent/WO2011040676A1/ko
Publication of KR2011003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51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inorga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with ligand physically entrapped within the solid ph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Abstract

리간드가 결합된 바이오분자 또는 리간드가 결합된 무기담체에 담지된 바이오분자를 이용하여 개체를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리간드와 특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리셉터와 결합시, 바이오분자 또는 무기담체의 존부를 확인하고, 이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개체식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Object Using Biomolecule-Inorganic Hybrid with Multimodal Ligand-Receptor}
바이오분자를 이용한 개체 식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바이오분자의 유전적 정보 또는 암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체를 식별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정보/암호 코드 인식 기술은 개체 식별 기술에 응용되고 있다. 정보/암호 코드 인식 기술이 개체의 식별에 이용될 경우, 세계적 표준화의 미비, 훼손이나 복제, 위조로 인한 진위여부 판별의 어려움이나 증명의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분자 수준의 코드를 개인 식별에 이용할 수 있다. 분자 수준 코드의 대표적인 예가 염기 서열이며, 이를 이용한 코드 인식 기술이 유전자 서열 분석 기술이다. 따라서 유전자 서열을 탐지(sensing)하는 기술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분자 수준의 코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사이즈로 해당 개체에 고루 담지됨으로써 쉽게 탐지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특별한 장치를 통해서 복 제/위조가 불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다. 특히 염기서열을 정보 단위로 사용하는 경우, DNA 염기서열은 생물의 모든 유전 정보를 모두 담을 수 있으므로 정보의 집적화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판단 기준을 갖고 있어 신뢰성이 높다. 더욱이, 모든 개체는 고유의 유전 정보를 지니고 있어 개체나 품종의 분류하는 고유 코드로써 사용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암호화된 정보를 함유하고 있는 바이오분자를 다양한 식별용 매체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바이오분자를 효과적으로 검출 또는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개체 식별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고,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바이오분자를 무기담체에 담지하여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계;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리간드-바이오분자와 접촉시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확인하는 제 1 식별단계;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오분자 및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바이오분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리간드-바이오분자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계;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리간드-바이오분자와 접촉시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확인하는 제 1 식별단계;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무기담체에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오분자를 담지하여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계;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리간드-무기담체와 접촉시켜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오-무기 복합체의 존부를 확인하는 제 1 식별단계.
개체 식별을 위해 바이오분자 또는 바이오분자를 무기담체에 담지한 바이오-무기 복합체의 존부를 확인하고, 바이오분자에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 이들을 분리함에 있어서, 리간드와 리셉터의 특정적인 결합 반응을 이용하고, 하여 개체 식별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들이 하기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언급한 실시예들로만 한정되어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항에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등의 수치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는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반된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 나타난 수적인 파라미터는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근사값이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식별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거나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1. 리간드 -바이오분자를 포함한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식별
도 1 및 2에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에 따른 실시예 1의 개체식별 과정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고,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바이오분자를 무기담체에 담지하여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제조된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계(S2);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리간드-바이오분자와 접촉시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확인하는 제 1 식별단계(S3);
도 2에 따르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고,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바이오분자를 제조하는 단계(S1-2);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리간드-바이오분자를 소지시키는 단계(S2-2);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리간드-바이오분자와 접촉시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확인하는 제 1 식별단계(S3-2);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이오분자의 존부 확인을 위해 바이오분자에 결합된 리간드 및 이와 특징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를 사용한다. 즉, 리셉터와 결합되는 리간드의 존재를 통해 바이오분자의 존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리간드와 리셉터의 특징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바이오분자를 개체 또는 바이오-무기 복합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서, 진위 판별, 이력 추적 등의 시스템에 적용시 접근성이 매우 높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리간드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리간드-바이오분자; 201, 202)를 무기담체(70)에 담지하여 바이오-무기 복합체(101)를 제조한다. 한편, 제 2 실시예는, 리간드-바이오분자(201, 202)를 무기담체(70)에 담지하지 않고 개체에 부가하는 경우이다.
본 도면에서는 2개의 리간드-바이오분자(201, 202)를 포함하는 무기담체(70)를 도시하고 있으나, 무기담체(70)에 담지되는 리간드-바이오분자(201, 202)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오분자(10)를 무기담체(70)에 담지함으로써, 저장, 전달이 용이하고, 효소, 열, 미생물 등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변형, 변성 또는 파괴되는 바이오분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무기 복합체(101)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별도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단계(S2)에서는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102)에 소지시킨다. 즉,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102)에 따라 별개의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암호화하는 바이오분자(10)를 개체(102)에 소지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개체”는 식별의 대상을 의미하고, 생물, 무생물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개체 식별’은 개체의 존부 또는 진위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2)에서 개체(102)에 리간드-바이오분자(201, 202) 또는 바이오-무기 복합체(101)를 소지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개체에 직접 부가하거나 소정의 매개체를 이용하여 개체에 부가하는 간접 부가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간접 부가 방식의 예로는, 보안기술, 상품식별기술, 진위판별기술, 이력추적시스템, 위조복제 방지기술 등 개체식별이 활용되는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식별용 조성물에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부가하고 상기 식별용 조성물을 개체에 소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보안 제품의 제조를 위한 기기감응물질(Machine readable materials), 미세추적물질(Micro tracer), 주화용 신소재, 위·변조 방지용 특수 잉크·안료·페인트·도료 등에 혼합하고 분산시켜 사용하는 방법; 특수 인쇄 보안용지, 제지용 특수 섬유, 고내구성지(Durable papers)에 직접 삽입하는 방법; 이외 물리적·화학적 흡착으로 적절하게 개체 및 포장지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계(3)은 임의의 개체가 소정의 암호화된 정보를 갖는 바이오분자(10)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개체의 식별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바이오분자(10)의 존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오분자(10)에 결합된 리간드(20)와 특정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30)를 이용한다.
상기 개체(102)에 소지된 바이오분자(10)에는 소정의 리간드(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리간드(20) 역시 하나의 코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개체(102)에 따라 별개의 리간드(20)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리간드(20)가 결합된 바이오분자(10)의 존부를 통해 개체의 진위 판정을 1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암호화하는 바이오분자(10)에 결합되는 리간드(20) 및 이와 대응되는 리셉터(30) 쌍을 미리 결정한다.
리간드(20)는 리셉터(30)와 특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부위(21); 및 바이오분자(10)와 결합될 수 있는 부위;를 포함한다.
이에, 개체에 소지시킨 바이오분자(10)에 결합된 리간드(20)에 대응하는 리셉터(301, 302)를 리간드-바이오분자(201, 202)와 접촉시켰을 때 리셉터(301, 302)가 리간드와 결합되어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01, 402)가 형성된다면 개체에 부여된 리간드-리셉터 쌍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암호화한 바이오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1차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01, 402)를 형성하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리셉터(301, 302)에 접촉시켰을 때 리간드-바이오분자(201, 202)의 크기 또는 질량 등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리셉터(31, 32)가 리간드(20)에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크기가 커지거나 또는 질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크기 또는 질량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리간드-리셉터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크기 또는 질량 변화는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법, 전기영동법(electrophoresis), 원심분리법(centrifugation), 또는 여과법(filtration)를 이 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30)의 크기 또는 질량이 너무 작으면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리셉터(30)는 지지체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및 5에는 지지체(40)와 결합된 리셉터(311, 312)를 이용하여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11, 412)를 형성하는 경우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4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리셉터(311, 312)와 결합될 수 있는 부위를 갖고 검출가능한 크기 또는 질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201, 202)를 지지체(40)와 결합된 리셉터(311, 312)와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11, 412)의 형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0)에 복수 개의 리셉터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2개의 리셉터가 부착된 하나의 지지체(313)를 이용하여 2개의 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201, 202)가 하나의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13)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6 및 7에는 리셉터와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포획체(5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체(50)는 상술한 지지체(40)와 달리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21, 42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21, 422)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포획체(503)가 복수 개의 리셉터(324, 325) 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23, 424)와 포획체(503)가 복합체를 이룰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리셉터(30), 지지체(40), 또는 포획제(50)는 질량 변화 또는 크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리셉터(30), 지지체(40), 또는 포획제(50)에는 분리 수단이 결합되어 있고, 분리수단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리셉터(30), 지지체(40), 또는 포획제(50)는 그 자체로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리셉터(30), 지지체(40), 또는 포획제(50)는 그 자체로 분리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리셉터(30), 리셉터와 결합된 지지체(40), 또는 리셉터와 결합된 포획체(50)를 이용하여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분리 수단은 자성력을 갖는 자성입자이고, 분리 장치는 자성 분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분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 1 식별단계(S3)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오분자, 리셉터, 지지체, 또는 포획제에서 리간드 또는 특정 결합 부위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기계적 신호, 전기적 신호, 정전기적 신호 또는 광학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물질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신호발생물질(60)은 바이오분자(10)에서 리간드(21)가 결합되지 않은 단부 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소정의 기재(330) 상에 리셉터들(30)이 고정되어 있고, 신호발생물질(60)이 결합된 리간드-바이오분자(431, 432, 433)를 리셉터(30)에 접촉시킨다. 이 때,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31, 432)를 형성하지 않은 미결합 리간드-바이오분자(433)을 기재 상에서 분리, 제거한 후 신호발생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의 복합체(431, 432)를 형성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미결합 리간드-바이오분자(433)의 제거 방법은 통상의 수세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물질(60)은 리셉터(30)에서 리간드(21)와 결합되는 부위가 아닌 부위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신호발생물질(60)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제(50)를 통해 신호발생물질(60)이 결합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21, 422)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0에는 또 하나의 예에 따른 개체식별시스템의 순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 따른 개체식별시스템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고,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바이오분자를 무기담체에 담지하여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제조된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계(S2);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리간드-바이오분자와 접촉시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확인하는 제 1 식별단계(S3); 및
바이오분자 내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는 제 2 식별단계(S5);
본 예에 따르면, 제 1 식별단계(S3)를 수행한 후 바이오분자에 암호화된 정보가 개체에 부여된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제 2 식별단계(S5)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식별단계(S5)는 바이오분자 내 암호화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로부터 바이오분자를 분리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식별단계(S5)를 수행하기 전에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로부터 바이오분자를 분리하는 단계(S4)를 더욱 거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 2 식별단계(S5)는 바이오분자의 서열에 대해 상보서열을 갖는 프로브를 바이오분자와 접촉시켜 혼성화 결합을 이루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체에 부여된 암호화된 정보가 서열X일 때, 바이오분자에 서열X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서열X와 상보 서열을 갖는 서열 Y를 포함하는 프로브를 설정한다.
이에, 개체의 식별을 위해 상기 프로브를 개체로부터 추출 또는 분리한 바이 오분자에 접촉시켰을 때 혼성화 결합이 일어난다면 개체로부터 얻은 바이오분자가 위조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에는 프로브를 이용한 혼성화 결합 여부를 통해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예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재(330) 상에 다수 개의 리셉터(301, 302, 303)가 고정되어 있는 어레이에 리간드-바이오분자(201, 202)를 접촉시킨다. 이 때, 제 1 리간드-바이오분자(201)는 그에 대응하는 리셉터(301)과 결합되고 제 2 리간드-바이오분자(202)가 그에 대응하는 리셉터(302)와 결합되며, 제 3 리셉터(303)의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리간드-바이오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 3 리셉터(303)는 대조군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리셉트-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431, 432)가 고정된 기재(330)에 소정의 프로브들(600)을 접촉시키면, 바이오분자와 프로브들(600)이 혼성화 결합을 할 수 있다. 이 때, 질량 또는 크기의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검출함으로써 혼성화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개체에 부여된 바이오분자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브와 혼성화 결합이 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 개체가 위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에 대하여 직접 프로브를 혼성화시켰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복합체로부터 분리한 바이오분자에 대하여 프로브를 반응시켜 혼성화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331) 상에 프로 브(601, 602)가 고정된 어레이에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201, 202)를 접촉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201, 202)로부터 분리한 바이오분자를 기재(331) 상의 프로브(601, 602)와 접촉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에 포함된 바이오분자의 서열에 특징적으로 작용하는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를 바이오분자와 접촉시킨 후 길이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통해 제 2 식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한효소는 특정한 서열을 인식하여 이를 절단하는 효소이다. 이에, 바이오분자 내 제한효소가 인식할 수 있는 특정한 서열을 포함시키면 제한효소가 이를 절단함으로써 바이오분자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바이오분자의 길이가 달라지는지 여부를 통해 특정 서열을 포함하는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기재(332) 상에 리셉터(30) 또는 리셉터와 결합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201, 202)를 부착하고, 제 1 바이오분자(11)에 포함된 특정서열에 작용하는 제한효소A 및/또는 제 2 바이오분자(12)에 포함된 특정서열에 작용하는 제한효소B를 접촉시킨다.
제 1 바이오분자(11) 또는 제 2 바이오분자(12)에 제한효소가 작용하는 특정 서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특정서열은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바이오분자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바이오분자 길이의 변화를 통해 특정서열을 포함하는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된 바이오분자의 특정서열을 세척 과정으로 제거하는 경우에는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201, 202)의 중량 역시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식별단계(S5)는 바이오분자(10)의 서열을 평형 PCR, 또는 서열분석으로 분석함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201, 202)로부터 바이오분자(10)만을 별도로 분리하는 과정을 더욱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체 식별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개체식별의 신뢰성, 신속성, 정확성을 확보하여 복제, 위조로 야기되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대중적인 보안 시스템, 정보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다.
2. 리간드-무기담체를 이용한 개체식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오분자를 담지하는 무기담체에 리간드가 결합되어 있고, 리간드와 특징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를 이용하여 바이오분자의 존부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 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순서도 및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예시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바이오분자를 담지하기 위한 무기담체 및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무기담체에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오분자를 담지하여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3);
상기 제조된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 계(S2-3);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리간드-무기담체와 접촉시켜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바이오-무기 복합체의 존부를 확인하는 제 1 식별단계(S3-3);
또한, 도 14에는 리간드-무기담체를 이용한 식별 시스템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리간드-무기담체(102)는 표면에 복수 개의 리간드(20)들이 형성되어 있는 무기담체(70) 및 여기에 담지된 바이오분자(1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리간드-무기담체(102)와 리간드에 특정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30)를 반응시키면 리셉터와의 결합에 의해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45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복합체(450)의 크기 또는 중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크기 또는 중량의 변화에 의해 리셉터(30)와 대응되는 리간드(20)를 포함하는 무기담체(102)의 존재/부존재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3-1)에서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450)를 형성하는지 여부는 리셉터(30)를 접촉시켰을 때 리간드-바이오분자(102)의 크기 또는 질량 변화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크기 또는 질량 변화는 크로마토그래피법, 전기영동법(electrophoresis), 원심분리법(centrifugation), 또는 여과법(filtration)를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30)를 이용하여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450)의 형태로 복합체(45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분리된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450)로부터 바이오분자(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30)는 항목 1에서 상술한 바와 대략 동일하다. 이에, 리셉터(30)는 소정의 지지체 또는 포획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체 또는 포획체는 리셉터의 결합에 따른 크기 또는 질량 변화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무기담체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분리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리셉터, 지지체, 또는 포획제는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셉터, 지지체, 또는 포획제에는 리간드 또는 리셉터와 결합하기 위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분리장치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작용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항목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 지지체, 또는 포획제에는 분리 수단이 결합될 수 있고, 분리 수단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를 분리한 후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도 17을 참조하면, 리셉터(34)에서 리간드(20)가 결합되는 부위가 아닌 타 단부에 자성력을 갖는 자성입자(80)가 분리수단으로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자성입자(80)가 결합된 리셉터(34)를 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103)와 반응시키는 경우 무기담체 표면의 리간드(20)와 리셉터(34)가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무기담체(70)의 표면 측에 자성입자가 결합되게 된다. 이에, 무기담체(70)의 크기 및 중량 변화를 관철하여 리셉터(34)의 결합여부를 관찰하는 한편, 자성분리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46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3. 바이오-무기 복합체
상술한 항목 1에서 바이오분자 및 무기담체로 이루어진 바이오-무기 복합체에 대하여 하기에서 상술한다.
바이오분자
상기 바이오분자(bio-molecule, 10)는 예를 들어, DNA, RNA, PNA 등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일반적으로 비변형(non-modified) 또는 변형된(modified) RNA 또는 DNA 등의 모든 폴리리보뉴클레오티드(RNA) 또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NA)를 지칭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일- 또는 이중-가닥 DNA, 단일- 및 이중-가닥 영역의 혼합물인 DNA, 단일- 및 이중-가닥 RNA, 단일- 및 이중-가닥 영역의 혼합물인 RNA, 단일- 또는 이중 가닥, 또는 단일- 및 이중 가닥 영역의 혼합물일 수 있는 DNA 및 RNA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분자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RNA 또는 DNA, 또는 RNA 및 DNA 모두를 포함하는 3중 가닥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지칭 되는 상대적으로 짧은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그 이외에도 인공 DNA 유사체인 PNP(Peptide Nucleic Acid), 플라스미드(Plasmid) DNA, 엔지니어드(Engineered) DNA 등도 포함된다.
용어 “폴리펩티드”는 둘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 또는 변형된 펩티드 결합을 통해 결합된 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폴리펩티드”는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또는 올리고머 등의 단쇄 및 단백질 등의 장쇄를 모두 포함한다. “폴리펩티드”는 천연적 방법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변형 기술에 의해 변경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은 아세틸화, 아실화, ADP-라이보실화, 아미드화, 비오틴화, 플라빈의 공유 부착, 헴(heme) 부분의 공유 부착, 뉴클레오티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유도체의 공유 부착, 지질 또는 지질 유도체의 공유 부착, 포스포티딜이노시톨의 공유 부착, 가교결합, 사이클화, 디술피드 결합 형성, 탈메틸화, 공유 가교의형성, 시스틴의 형성, 피로글루타메이트의 형성, 포르밀화, 감마-카르복실화, 글리코실화, GPI 앵커(anchor) 형성, 히드록실화, 요오드화, 메틸화, 미리스토일화, 산화, 단백질 가수분해 가공, 포스포릴화, 프레닐화, 라세미화, 셀레오일화, 황화, 아르기닐화와 같이 아미노산의 단백질에 대한 전달-RNA 매개 첨가 및 유비퀴틴화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오분자는 암호화된 정보를 함유하고 있는 바, 암호화된 정보는 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의 형태일 수 있다.
스테가노그래피 등과 같이 염기서열을 코드화하고, 서열해독을 통해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할 수 있다. 이 경우, 바이오분자의 염기 수와 배열 등이 개체 식별 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염기서열의 코드화는 예를 들어, DNA 염기서열 A, T, C, G 중의 한 개가 코드의 단위가 되며 염기서열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길이에 관계없이 코드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분자는 복제, 위조, 변조 등이 불가능한 암호화가 가능하고 고유 정보, 암호를 고집적화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분자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입체 셀이 복수 개의 무기시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바이오분자는 예를 들어, 10 내지 3000 bp 길이를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1000 bp 이상의 길이를 갖는 거대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이오분자는 예를 들어 5 내지 1000 kDa 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에, 테라헤르츠파를 바이오분자에 투사하여 나오는 파형을 관찰하면 암호화된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파가 통과할 때, 바이오분자에 포함된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 영역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체 식별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리간드 리셉터
상기 리간드는 리셉터와 특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부위; 및 바이오분자와 결합될 수 있는 부위;를 포함한다. 또한, 리셉터는 리간드와 특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부위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 또는 리간드는 폴리펩타이드, 항체, 항원, 지질,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리간드는 항원, 항체, RNA, DNA, 합텐(hapten), 아비딘(avidin), 스트렙타비딘 (streptavidin), 뉴트라비딘 (neutravidin), 프로테인 A, 프로테인 G, 렉틴(lectin), 셀렉틴(selectin), 방사선동위원소로 표지된 성분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셉터는 리간드와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담체
상기 무기담체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박편상 무기 시트로 이루어진 3차원 입체 셀의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이오분자와 무기시트들 상호 간은 물리적 흡착, 수소결합, 정전기적 인력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입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박편상 무기시트”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박편상 시트 형태 물질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체가 무기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거나, 유기물질을 부착하는 등의 표면 개질이 된 형태인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무기시트에 포함된다.
상기 “박편상”은 당업계의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께가 0.1 nm∼8.0 ㎛의 범위이며, 애스펙트비가 2∼100 정도인 시트일 수 있다.
상기 무기시트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I 내지 화학식 IV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양이온성 무기시트일 수 있다.
<화학식 I>
[ M 2 + 1- x M 3 + x ( OH ) 2 ]
<화학식 II>
[M + M 3 + 2 ( OH ) 6 ]
<화학식 III>
[M 2+ ( OH ) x' ]
<화학식 IV>
[ M 2 + 1-x M’ 2+ 1+x ( OH ) 3(1-y) ]
상기에서, M+는 1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고, M2 + 및 M’2+는 2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며; M3 +은 3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고, x는 0.01 내지 0.5의 수이고, x’는 1 초과 2 미만의 수이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M2 +은 마그네슘(Mg2 +), 칼슘(Ca2 +), 코발트(Co2 +), 니켈(Ni2 +), 구리(Cu2 +) 및 아연(Zn2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3 +은 알루미늄(Al3 +), 크롬(Cr3+), 철(Fe3 +), 인듐(In3+), 바나 듐(V3 +), 티타늄(Ti3 +) 및 갈륨(Ga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는 무기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Mg0 .6~0.7Al0 .3~0.4 (OH)2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I 내지 화학식 IV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무기시트는 x 또는 x’가의 양전하를 띄는 바, DNA, RNA 등과 같이 음전하를 띄는 바이오분자와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기시트는 pH 4이하에서 인산 완충용액 등의 산성 완충용액으로 처리시 서서히 녹으므로 바이오분자 만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무기시트는 나노 사이즈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길이가 1 내지 500 nm이고, 두께가 0.1 내지 50 n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나노’, ‘나노 사이즈’ 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10000 나노미터(nm) 이하의 직경 또는 길이를 갖는 입자 또는 복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용어 ‘마이크로’, ‘마이크로 사이즈’ 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10000 nm 초과의 직경 또는 길이를 갖는 입자 또는 복합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나노 사이즈의 2차원 무기시트 복수 개가 상호 결합되어 3차원의 입체 셀을 형성한다. 따라서, 무기 시트의 형상, 개수, 크기 들을 조절함으로써 입체 셀의 형상,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입체 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내부에 담지된 바이오분자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입체 셀은 구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스팩트비(a/b)가 1 내지 500일 수 있다. 상기 입체 셀의 크기는 바이오분자의 부피에 대략 대응하는 바, 수 나노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바이오-무기 복합체는 필요에 따라 표면개질, 코팅 등을 통해 임의의 매체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적용 분야를 확장하고 장기적/항구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리간드-바이오분자 및 리셉터의 일 예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리간드-바이오분자에 신호발생물질이 결합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리셉터에 신호발생물질이 결합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에서 혼성화 방법을 이용한 개체식별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에서 제한효소를 이용한 개체식별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에서 제 2 식별단계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체식별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Claims (25)

  1. 복수 개의 박편상 무기 시트로 구성된 3차원 입체 셀, 및 상기 셀 내에 담지되고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리간드-바이오분자를 포함하는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계;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상기 리간드-바이오분자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시트는 하기 화학식 I 내지 화학식 III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서 양이온성이고, 0.1 nm 내지 8.0 ㎛의 두께 범위 및 2 내지 100의 애스펙트비를 가지고, 상기 바이오분자는 음이온성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박편상 무기시트와 정전기력 인력으로 결합하여 입체 형태를 유지하는 개체식별 시스템.
    <화학식 I>
    [M2+ 1-xM3+ x(OH)2]
    <화학식 II>
    [M+ M3+ 2(OH)6]
    <화학식 III>
    [M2+ (OH)x']
    상기에서, M+는 1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고, M2+ 및 M'2+는 2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며; M3+은 3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고; x는 0.01 내지 0.5의 수이며, x'는 1 초과 2 미만의 수이다.
  2. 특정 결합 부위를 갖는 리간드가 결합된 복수 개의 박편상 무기 시트로 구성된 3차원 입체 셀, 및 상기 셀 내에 담지되는 바이오분자를 포함하는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무기 복합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개체에 소지시키는 단계;
    상기 개체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예측되는 리간드의 특정 결합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리셉터를 상기 리간드-무기담체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시트는 하기 화학식 I 내지 화학식 III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서 양이온성이고, 0.1 nm 내지 8.0 ㎛의 두께 범위 및 2 내지 100의 애스펙트비를 가지고, 상기 바이오분자는 음이온성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박편상 무기시트와 정전기력 인력으로 결합하여 입체 형태를 유지하는 개체식별 시스템.
    <화학식 I>
    [M2+ 1-xM3+ x(OH)2]
    <화학식 II>
    [M+ M3+ 2(OH)6]
    <화학식 III>
    [M2+ (OH)x']
    상기에서, M+는 1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고, M2+ 및 M'2+는 2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며; M3+은 3가 금속 양이온을 나타내고; x는 0.01 내지 0.5의 수이며, x'는 1 초과 2 미만의 수이다.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는 리셉터를 접촉시켰을 때 리간드-바이오분자의 물성 변화에 의해 검출하는 개체식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 변화는 크기 또는 질량 변화이고, 크로마토그래피법, 전기영동법(electrophoresis), 원심분리법(centrifugation), 또는 여과법(filtration)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개체식별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는 지지체와 결합되어 있고, 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를 지지체와 접촉시키는, 개체식별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와 리셉터와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포획체를 접촉시키는, 개체식별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이오분자 내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는 제 2 식별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개체식별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단계는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로부터 바이오분자를 분리하지 않고 수행하는, 개체식별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단계는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 또는 리셉터-리간드-무기담체 복합체로부터 바이오분자를 분리한 후에 수행하는, 개체식별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단계는 상기 바이오분자의 서열에 대해 상보서열을 갖는 프로브를 바이오분자와 접촉시켜 혼성화 결합을 이루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하는, 개체식별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혼성화 결합은 기재 상에 프로브가 고정된 어레이에 바이오분자, 또는 리셉터-리간드-바이오분자 복합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개체식별 시스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단계는 상기 바이오분자의 서열에 특징적으로 작용하는 제한 효소를 바이오분자와 접촉시킨 후 길이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행되는, 개체식별 시스템.
  19. 삭제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분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인, 개체식별 시스템.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또는 리셉터는 폴리펩타이드, 항체, 항원, 지질,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개체식별 시스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90093990A 2009-10-01 2009-10-01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KR101743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990A KR101743641B1 (ko) 2009-10-01 2009-10-01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PCT/KR2009/007191 WO2011040676A1 (ko) 2009-10-01 2009-12-03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비표지형 바이오분자-무기 하이브리드를 이용한 개체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990A KR101743641B1 (ko) 2009-10-01 2009-10-01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364A KR20110036364A (ko) 2011-04-07
KR101743641B1 true KR101743641B1 (ko) 2017-06-07

Family

ID=4404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990A KR101743641B1 (ko) 2009-10-01 2009-10-01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7450A (ja) * 2004-05-12 2007-12-20 ナノスフェア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イオバーコードに基づく標的検体の検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7450A (ja) * 2004-05-12 2007-12-20 ナノスフェア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イオバーコードに基づく標的検体の検出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CHEM. ENG. RES., (2008), Vol. 46, No. 1, pp 23-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364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789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分子バーコード
CN108138229B (zh) 使用磁响应式传感器确定遗传特征的系统和方法
Robertson et al. The utility of nanopore technology for protein and peptide sensing
Cialla et al. SERS-based detection of biomolecules
Oh et al. Integrated bio-inorganic hybrid systems for nano-forensics
CN103717753B (zh) 用于遗传和生物分析的系统和方法
Ding et al. Electrochemical and electrochemiluminescence determination of cancer cells based on aptamers and magnetic beads
CN105051270A (zh) 生物传感器微阵列构成和方法
JP4697852B2 (ja) 分子構造を検出および同定するための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像のモデルを用いた融合
US20080268431A1 (en) Information Code System Using Dna Sequences
US20150141264A1 (en) In-field dna extraction,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therefor
US200501364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acterizing a polymer
Geng et al. Noble metal nanoparticle biosensors: from fundamental studies toward point-of-care diagnostics
CA32090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olecule retention
WO2016032562A1 (en) In-field dna extraction,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therefor
CN106796214A (zh) 混合纳米孔传感器
WO2017128888A1 (zh) 一种基于蛋白纳米线的3d探针-磁性微珠复合物及其应用
Zhu et al. Solid-state nanopore single-molecule sensing of DNAzyme cleavage reaction assisted with nucleic acid nanostructure
Chen et al. Identification of bacteria in juice/lettuce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and selected reaction monitoring mass spectrometry
Nadar et al. The untapped potential of magnetic nanoparticles for forensic investigations: A comprehensive review
KR101743641B1 (ko) 리간드-리셉터 다작용기가 결합된 바이오분자-무기 복합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KR101090340B1 (ko) 나노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한 광학 유전자 코드 식별 시스템
Hall et al. A molecular biology approach to protein coupling at a biosensor interface
Mout et al. Bio and Nano Working Together: Engineering the Protein‐Nanoparticle Interface
KR101592554B1 (ko) 바이오-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