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30B1 -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30B1
KR101743530B1 KR1020150079746A KR20150079746A KR101743530B1 KR 101743530 B1 KR101743530 B1 KR 101743530B1 KR 1020150079746 A KR1020150079746 A KR 1020150079746A KR 20150079746 A KR20150079746 A KR 20150079746A KR 101743530 B1 KR101743530 B1 KR 10174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smartphone
light source
film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268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H04M1/7254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63J2019/003Shadow show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림자 필름; 스마트 폰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광원 고정 부재; 양측면에 형성된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을 통해 상기 그림자 필름을 삽입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상기 삽입 고정되는 그림자 필름에 통과시켜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방사 부재;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 내에 삽입되는 한쌍의 렌즈를 구성한다. 상술한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에 의하면, 그림자 필름을 그림자 놀이 장치에 끼우고 스마트 폰의 광원을 조사하여 그림자 놀이를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휴대하는 스마트 폰의 광원을 통해 선명한 그림자를 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약화에 따른 그림자의 선명도 저하의 문제가 개선된다.

Description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SHADOW PICTURE MAKER LINKED WITH SMART PHONE AND SYSTEM OF NARRATION OF THE FAIRY TA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림자 놀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에 관한 것과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4430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림자 놀이 카드에 빛을 조사하여 어떤 형상의 그림자가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림자 놀이 카드는 하나씩 갈아끼울수 있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를 장착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그림자 놀이 카드는 낱개의 그림자 놀이 카드를 갈아끼우면서 별모양이나 사람 모양을 투영하면서 아이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그런데, 이러한 그림자 놀이 카드는 각각 낱개로 구성되어 각 그림자 놀이 카드간의 연속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동화책의 그림들을 그림자 놀이 카드로 구성하더라도 각 그림들을 아이에게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새로운 내용의 동화책 내용을 부모나 선생님이 아이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조명을 모두 끈 상태에서 그림자 놀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아이에게 책을 보면서 각 그림자 놀이 카드의 내용을 설명한다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4430의 그림자 놀이 장치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력이 약해질수록 그림자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20-0344430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는, 그림자 필름; 스마트 폰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광원 고정 부재; 양측면에 형성된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을 통해 상기 그림자 필름을 삽입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상기 삽입 고정되는 그림자 필름에 통과시켜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방사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 내에 삽입되는 한쌍의 렌즈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는, 상단에 삽입된 렌즈 및 하단에 삽입된 렌즈 간의 초점 조절을 위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양 렌즈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는, 광원 부재; 그림자 필름; 상기 광원 부재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광원 고정 부재; 양측면에 형성된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을 통해 상기 그림자 필름을 삽입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원 부재의 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상기 삽입 고정되는 그림자 필름에 통과시켜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방사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 부재의 광을 집광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 내에 삽입되는 한쌍의 렌즈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는, 상단에 삽입된 렌즈 및 하단에 삽입된 렌즈 간의 초점 조절을 위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양 렌즈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은, 스마트 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자 필름; 상기 스마트 폰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광원 고정 부재; 양측면에 형성된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을 통해 상기 그림자 필름을 삽입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상기 삽입 고정되는 그림자 필름에 통과시켜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방사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그림자 필름별로 대응되는 동화 내용을 사용자가 읽어줄 수 있도록 그림자 필름별 동화 텍스트(text)를 디스플레이(display)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 내에 삽입되는 한쌍의 렌즈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는, 상단에 삽입된 렌즈 및 하단에 삽입된 렌즈 간의 초점 조절을 위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양 렌즈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온/오프(on/off) 및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을 상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에 의하면, 그림자 필름을 그림자 놀이 장치에 끼우고 스마트 폰의 광원을 조사하여 그림자 놀이를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휴대하는 스마트 폰의 광원을 통해 선명한 그림자를 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약화에 따른 그림자의 선명도 저하의 문제가 개선된다.
또한, 동화책 내용을 담은 일련의 그림자 필름을 갈아끼우면서 아이에게 동화 구연을 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때, 스마트 폰에 그림자 필름별 동화책 내용을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부모나 선생님이 쉽게 그림자 필름의 내용을 설명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어두운 실내에서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화 내용을 읽어줄 수 있으므로 특히 유용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화 구연 시스템의 스마트 폰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이하, '그림자 놀이 장치'라 함)(100)는 그림자 필름(110), 광원 고정 부재(120), 원통형 방사 부재(130), 렌즈(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림자 놀이 장치(100)는 그림자 필름(110)을 원통형 방사 부재(130)에 끼우고 스마트 폰(10)을 광원 고정 부재(120)에 고정하여 스마트 폰(10)의 광원(11)을 이용하여 그림자 필름(110)의 형상을 벽에 투영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림자 놀이 장치(100)는 별도의 배터리 장착이 필요하지 않고, 배터리의 전력 약화에 따른 그림자 선명도 저하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그림자 놀이 장치(100)의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림자 필름(110)은 광을 통해 벽이나 흰 스크린에 무늬나 이미지를 투영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림자 필름(110)은 원형의 투명 플라스틱에 구현된 무늬나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림자 필름(1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나 문구가 프린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동화의 연속 이미지들로 구성되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 고정 부재(120)는 스마트 폰(10)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원 고정 부재(1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스마트 폰(10)을 삽입하여 고정하며 스마트 폰(10)의 광원(11)이 원통형 방사 부재(130)와 하나의 직선상에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 방사 부재(130)는 원통형 방사 부재(130)의 측면에 형성된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131)에 그림자 필름(110)을 삽입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 방사 부재(130)는 스마트 폰(10)의 광원(11)의 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위 삽입 고정되는 그림자 필름(110)에 통과시켜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 방사 부재(130)의 내부에는 한쌍의 렌즈(1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렌즈(140)는 스마트 폰(10)의 광원(11)의 광을 집광하고 초점을 맞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140)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렌즈(14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초점을 맞출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렌즈(140)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통형 방사 부재(130)를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의 2개의 부재로 구현하고, 2개의 부재에 각각 렌즈(140)가 삽입되도록 구현하며, 2개의 부재를 나사 결합에 의해 거리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부재가 나사 결합의 돌림에 의해 거리 조정이 됨으로써, 각각의 상단 부재와 하단 부재에 구비된 렌즈(140)간의 초점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아이의 보호자나 선생님은 그림자 필름(110)을 수동으로 갈아 끼우면서 아이에게 동화 이미지를 설명해 줄 수 있으며, 동화용 그림자 필름(110)이 아니더라도 성인들 간의 사랑 고백이라든가 남기고 싶은 이미지를 그림자 필름(110)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이하, '그림자 놀이 장치'라 함)(100)는 그림자 필름(110), 광원 고정 부재(120), 원통형 방사 부재(130), 렌즈(140)와 광원 부재(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림자 놀이 장치(100)는 도 1a 내지 도 1c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나 광원을 스마트 폰(10)의 광원(11)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광원 부재(150)를 이용하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스마트 폰(10)을 이용하는 경우 장시간 이용시 발열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 부재(150)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광원 부재(150)는 LED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 부재(150)는 광원 고정 부재(12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이하, '동화 구연 시스템'이라 함)은 스마트 폰(210), 그림자 필름(220), 광원 고정 부재(230), 원통형 방사 부재(240), 렌즈(2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화 구연 시스템(200)은 동화책 내용을 담은 일련의 연속된 이미지들로 구성되는 각각의 그림자 필름(220)을 이용하여 보호자나 선생님이 아이에게 동화 구연을 하거나 내용을 이야기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그림자 필름(220)에 내포된 설명을 이야기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폰(210)의 디스플레이상에 해당 그림자 필름(220)의 이미지와 동화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선생님이나 보호자가 그 내용을 읽으면서 아이에게 설명해줄 수 있다.
전통적인 동화가 아닌 새로운 동화나 이야기들에 대해서는 선생님이나 보호자가 모를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나 선생님이 어두운 실내에서 스마트 폰(2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읽으면서 설명해주기 용이하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폰(210)에는 그림자 필름(220)을 이용한 동화 구연이나 동화 이미지 투영을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신데렐라라는 동화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20개의 그림자 필름(220)이 있는 경우, 각각의 그림자 필름(220)에 대한 동화 텍스트(text)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210)은 그림자 필름(220)별로 대응되는 동화 내용을 사용자가 읽어줄 수 있도록 그림자 필름(220)별 동화 텍스트(text)를 디스플레이(display)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20개의 그림자 필름(220)에 대해 각각 20개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동화 텍스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20개의 페이지에는 각각 해당 그림자 필름(220)의 이미지도 표시되어 해당 텍스트와 해당 이미지가 서로 연계된 텍스트와 이미지인지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210)은 스마트 폰(210)의 광원(211)의 온/오프(on/off) 및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을 상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밝기를 여러 단계의 밝기로 제어하여 그림자 필름(220)별로 필요한 밝기로 광원(211)이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고정 부재(230)는 스마트 폰(210)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원 고정 부재(230)는 스마트 폰(210)의 광원(211)이 원통형 방사 부재(240)와 하나의 직선상에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 방사 부재(240)는 스마트 폰(210)의 광원(211)의 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위 삽입 고정되는 그림자 필름(220)에 통과시켜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 방사 부재(240)의 내부에는 렌즈(25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렌즈(250)는 스마트 폰(210)의 광원(211)의 광을 집광하고 초점을 맞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250)는 원통형 방사 부재(240)내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렌즈(25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초점을 맞출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렌즈(250)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통형 방사 부재(240)를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상단과 하단의 2개의 부재로 구현하고, 상단 부재와 하단 부재 각각에 렌즈(250)가 삽입되도록 구현하며, 2개의 부재를 나사 결합에 의해 거리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부재가 나사 결합의 돌림에 의해 거리 조정이 됨으로써, 각각의 부재에 구비된 렌즈(2)간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화 구연 시스템의 스마트 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스마트 폰(210)의 디스플레이에는 그림자 필름(220)의 이미지와 이에 대응되는 동화 텍스트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210)은 광원(211)을 임의로 언제든지 온/오프할 수 있는 버튼을 상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폰(210)은 그림자 필름(220)이 바뀔때마다 스마트 폰(210)의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next page' 버튼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림자 필름(220)의 동화 이미지와 동화 텍스트는 서버(미도시)에서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동화의 그림자 필름(220)을 세트로 구매하는 사용자에게 서버가 해당 동화 이미지와 동화 텍스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허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마련된 동화 이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특정의 일련의 텍스트나 이미지 또는 손글씨 등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그림자 필름(220)을 스마트 폰(220)상에서 서버(미도시)로 제작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22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사진 이미지를 독출하여 서버로 송신하거나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직접 손글씨로 작성한 텍스트를 서버로 송신하여 그림자 필름(220)의 제작 요청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는 이에 상응하는 비용을 스마트 폰(22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림자 필름(220)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그림자 필름
120: 광원 고정 부재
130: 원통형 방사 부재
131: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
140: 렌즈
250: 광원 부재
210: 스마트 폰
211: 광원
220: 그림자 필름
230: 광원 고정 부재
240: 원통형 방사 부재
241: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
250: 렌즈
260: 광원 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스마트 폰;
    동화의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이미지가 프린트된 그림자 필름;
    상기 스마트 폰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광원 고정 부재;
    양측면에 형성된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을 통해 상기 그림자 필름이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광을 상기 삽입 고정되는 그림자 필름에 통과시켜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방사 부재;
    상기 스마트 폰의 광원의 광을 집광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 내에 삽입되는 한쌍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방사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 틀에 삽입 고정된 그림자 필름 슬라이드를 상기 그림자 필름의 연속 이미지의 순서대로 손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각 연속 이미지들이 광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도록 구성되며, 상단에 삽입된 렌즈 및 하단에 삽입된 렌즈 간의 초점 조절을 위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양 렌즈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그림자 필름의 각 연속 이미지에 대응되는 동화 내용을 사용자가 읽어줄 수 있도록 그림자 필름별 동화 텍스트(text)를 디스플레이(display)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광원의 온/오프(on/off)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제어 버튼을 상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79746A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KR101743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46A KR101743530B1 (ko)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46A KR101743530B1 (ko)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68A KR20160143268A (ko) 2016-12-14
KR101743530B1 true KR101743530B1 (ko) 2017-06-07

Family

ID=5757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746A KR101743530B1 (ko)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202A (ko) 2018-11-21 2020-05-29 한국과학기술원 증강현실 기반의 동화 구현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430Y1 (ko) 2003-12-24 2004-03-10 서민정 그림자를 이용한 유아용 카드놀이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202A (ko) 2018-11-21 2020-05-29 한국과학기술원 증강현실 기반의 동화 구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68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368B2 (en) Projection system
RU2014129282A (ru) Система трехмер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US9675901B2 (en) Slides projector book device
CN103309136A (zh) 展示装置
EP2164063A4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200137766A (ko) 유아기관 시장의 변화에 맞게 구성된 스마트교육시스템 및 방법
KR101743530B1 (ko)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그림자 놀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 구연 시스템
NL2008660C2 (en)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media player.
KR20170023545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용 시트지 및 시스템
CN202907041U (zh) 摄影及演讲一体化提词器
WO2013146240A1 (ja) 表示装置
CN105357476A (zh) 一种视频摄制系统及方法
CN103455146A (zh) 隔空电子翻书方法及系统
Bongers Exploring Extended Realities in Environmental Artistic Expression through Interactive Video Projections
Fox et al. Langford's basic photography: the guide for serious photographers
KR101785433B1 (ko) 학습겸용 영상투사장치
KR102364827B1 (ko) 환경보호 체험학습 시스템
KR101257817B1 (ko) 천과 화선지 및 영상을 이용한 그림기법의 영상 촬영저장장치와 상기 그림기법이 저장된 영상저장장치와 그림기법의 원격 저장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12112407U (zh) 互动展示交互设备
Carter Art photography and everyday life
WO2012056459A1 (en) An apparatus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Ternan Art and design higher education curriculum design: integrating a lost stop motion method in higher education
Campana Projected on the Dusk: Seeking Cinema in 1910s and 1920s Japanese Poetry
JP3179119U (ja) カメラ用スピーチ用兼用プロンプター
CN204044748U (zh) 一种纸质手写签名的互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