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68B1 -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 - Google Patents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68B1
KR101743468B1 KR1020170023450A KR20170023450A KR101743468B1 KR 101743468 B1 KR101743468 B1 KR 101743468B1 KR 1020170023450 A KR1020170023450 A KR 1020170023450A KR 20170023450 A KR20170023450 A KR 20170023450A KR 101743468 B1 KR101743468 B1 KR 10174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ion
vehicle
ion generator
genera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삼증
이상권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측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홈부(110)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연결핀(120)이 구성되어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지지대(100);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끝단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끝단에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뭉치(210)가 구성되는 연결부(200); 내부에 통신이 가능토록 블루투스모듈(310)과 음이온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20)과 차량의 실내 공기를 감지하는 감지모듈(330) 및 음이온발생부(350)를 포함되며 상기 지지대(100)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외부 일측에 감지된 차량의 실내오염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LED(340)가 구성되는 음이온발생기(300);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블루투스모듈(310)과 블루투스통신에 의해 연동되는 APP(410)이 설치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현재상태를 확인 및 확인 후 선택적으로 음이온발생기(300)의 음이온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400); 으로 구성됨으로써, 음이온을 방출시켜 차량의 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목적을 그대로 수행함과 동시에 음이온이 방출되는 높이 및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다양성이 부여되고, 차량의 컵홀더에 완전히 끼워져 고정됨으로 차량의 흔들림 및 충격 등이 발생할 시에도 견고한 고정력으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실내 오염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실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한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차량의 실내 오염상태 및 음이온의 방출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groove portion (110) formed vertically to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and a connecting pin (120) A support base 100 to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And a connection bundle 21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in 100,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 connection part 200 constituted by the connecting part 200; A control module 320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negative ions, a sensing module 330 for sensing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and an anion generator 350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upport 100, An anode generator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configured to display LEDs 340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indoor contamination state of the vehicle sensed at the outer side; An APP 410 interlocked with the Bluetooth module 31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installed to confirm and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nd selectively detect the negativ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 smart phone 4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400;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height and direction in which the negative ions are emitted so that the diversity of use can be imparted to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achment with a firm fixing force even when a vehicle is shaken or impacted, and can output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indoor pollution condition of the vehicle,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indoor condi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ndoor pollution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emission amount of the negative ion in real time so that it is a useful invention for giving convenience of use.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컵홀더에 안정된 형태로 고정되어 차량의 흔들림으로부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음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분출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토록 함은 물론, 현재 차량 내부의 오염상태를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on generator for a vehicle that is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gative ion generator for a vehicle, which is fixed to a cup holder of a vehicle in a stable form to secure a fixing force from a vehicle shake, And an automobi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that can monitor the pollution state inside the vehicle in real time through a smart phone.

근래에는 공해물질의 과다한 배출로 인해 대기 환경이 많이 오염되고 있고 실내의 공기 또한 흡연이나 각종 오염물질로 인하여 심하게 오염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excessive pollutants are polluting the air, and the air in the room is heavily polluted by smoking and various pollutants.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 있어서 차량의 많은 도로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며 운전 중에는 외부로부터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 공해물질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탑승한 인원에 의해서도 실내 공기가 오염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 automobile, this is more so when operating a large number of roads of a vehicle. In addition, not only air pollutants such as exhaust gas of an automobile from the outside enter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but also indoor air is contaminated by the occupant.

한편, 이러한 종래의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음이온 발생기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여 음이온의 방출로 인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of contamination, the vehicle negative 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to purify the room air due to the release of negative ions.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First of all,

차량의 전원콘센트에 연결되며 온/오프(ON/OFF)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전원컨넥터와; 차량 실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전원컨넥터로부터 전달된 전기로 작동되며 조절스위치의 조작에 대하여 음이온의 양을 조절하여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멍의 외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로 구성된 자동차용 실내 공기청정기에 관한 기술이다.A power connector having a power switch connected to a power outlet of the vehicle and turned on / off; A cas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interior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 anion genera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operated by electricity delivered from a power connector and generating an anion by adjusting the amount of anion with respect to operation of the control switch; And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hole.

등록번호 10-0992578호(특)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에 음이온방출구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복수의 기류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와 제3고정부재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기류 흡입구의 전면에 위치하여 전면과 후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의 상부에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받데리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전면에 제2고정부재가 위치하여 양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2고정부재의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전면에 제3고정부재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3고정부재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면서 측면판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복수의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의 양측면에 고정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브라켓에 받침프레임을 결합하되,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받침대가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 판상으로 이루어진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양면 접착제가 형성되어 차량의 대쉬 보드에 고정되는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원공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받데리 삽입구에 보조전원공급장치가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의 내부에 충전받데리가 삽입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보조전원공급부의 사이에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를 인가시킬 수 있도록 전원 컨넥터가 전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콘센트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고정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내부에 음이온발생장치가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이온발생장치의 전면에 방전판과 접지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방전판과 접지판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고정부재의 수납공간부에 방전판과 접지판을 삽입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방전판과 접지판의 전면과 후면의 사이즈를 다르게 형성하되, 상기 방전판과 접지판의 후면이 상기 수납공간부와 밀착이 되도록 동일한 사이즈의 외관으로 형성하고, 상기 방전판과 접지판의 전면은 후면의 외관보다 작게 형성하여 측면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상기 방전판과 접지판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전핀과 접지핀의 전위차에 의해서 다량의 음이온이 방출되어 상기 음이온방출구로 방출되도록 한 음이온방출수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기에 관한 기술이다.[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air inlets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The first fix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irflow inlet an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 second fix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protruded perpendicularly to both sides of the first fixing member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a third fixing membe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The third fixing member is installed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re opened and the side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upporting frame is coupled to a fixing bracke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wherein the supporting frame has a fixing bracke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a double-sided adhesive agen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 double-sided adhesi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vehicle, A fixed case; A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lower case,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coupl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coupled to the power outlet of the vehicle, the power connector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outlet of the vehicle so as to apply electricity to the power supply unit, the switch being insert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nd a discharge plate and a ground pl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ront surface of the anion generator, and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front and rear sizes so that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can be firmly fixed when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ar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third fixing member, Wherein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are formed to have an outer appearance of the same size so that the rear face of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rage space portion, the front face of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face of the rear face, A large amount of anions is discharged and discharged to the anion outlet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pin and the ground pin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late and the ground plate A negative ion release means; A negative ion generator for a vehicle.

상기한 종래 기술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거짹에 끼워 사용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으나, 음이온 발생장치의 방출되는 방향 및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자들이 그 방출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전체적으로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비교적 고가로 제조 및 판매될 수밖에 없어 경제적 효율성이 저하되는 한편, 음이온이 방출되되, 사용자의 차량의 내부 오염상태를 별도로 확인하지 못하여 무분별하게 음이온을 방출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의 소모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since the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are not adjus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gative ion generator is emitted can not be selectively performed. In additio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is so complex that it can not be manufactured and sold at a relatively high cost, resulting in lowering of the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the negative ions are emitted, but the negative contamination of the user is not separately recognized. And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차량의 시거짹 또는 USB포트에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전원을 공급받되, 차량의 흔들림 등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지지대를 구성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음이온발생장치를 삽입 구성하되, 상기 음이온발생장치를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이온발생장치를 지지대 상에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 및 차량의 실내 상황에 따라 음이온이 방출되는 높이 및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음이온발생장치의 블루투스로 연동되는 스마트폰을 구성하여 차량의 오염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garette or a USB port of a vehicle, And the anion generating device is divided into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and the upper case can be adjusted in direction and angle So that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negative ions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door situation of the user and the vehicle,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provided. A smartphone interlocked with the Bluetooth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Configuration focuses the vehicle that works with negative ions generating device for the smartphone to determine the contamination condi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to provide it came up with a complete technical problem.

이에 본 발명은,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측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홈부(110)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연결핀(120)이 구성되어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지지대(100);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끝단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끝단에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뭉치(210)가 구성되는 연결부(200); 내부에 통신이 가능토록 블루투스모듈(310)과 음이온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20)과 차량의 실내 공기를 감지하는 감지모듈(330) 및 음이온발생부(350)를 포함되며 상기 지지대(100)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외부 일측에 감지된 차량의 실내오염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LED(340)가 구성되는 음이온발생기(300);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블루투스모듈(310)과 블루투스통신에 의해 연동되는 APP(410)이 설치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현재상태를 확인 및 확인 후 선택적으로 음이온발생기(300)의 음이온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4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negative ion generator for a vehicle, comprising: a support base (100)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upper center portion and a connection pin (120) at an inner side thereof to be inserted into a cup holder of a vehicle; And a connection bundle 21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in 100,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 connection part 200 constituted by the connecting part 200; A control module 320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negative ions, a sensing module 330 for sensing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and an anion generator 350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upport 100, An anode generator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configured to display LEDs 340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indoor contamination state of the vehicle sensed at the outer side; An APP 410 interlocked with the Bluetooth module 31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installed to confirm and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nd selectively detect the negativ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 smart phone 4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400; As a technical feature.

상기 연결부(200)는 배선 또는 닥트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뭉치(210)는 시거짹 또는 USB젠더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unit 200 may include a wiring or a duct, and the connection unit 210 may include a cigarette or a USB gender.

상기 음이온발생기(300)는, 상기 지지대(100)에 끼워지되 내부에 상기 블루투스모듈(310), 제어모듈(320), 감지모듈(330) 및 음이온발생부(350)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300a)와, 내부에 송풍팬(360)을 포함하고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상부와 연결 구성되되, 꺾임 및 회전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부 가장자리에는 LED(340)가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다수의 통공(t)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300b)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ncludes a lower case 300a including the Bluetooth module 310, the control module 320, the sensing module 330, and the negative ion generator 350. The lower case 300a And a blowing fan 360.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300a and is bent and rotat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direction. And an upper case 300b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상기 송풍팬(360)은 상부케이스(300b)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축(361) 설치되어 수평으로 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음이온발생부(350)에는 일측에서 연장되어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브러쉬(351)가 구성되되 외부 일부분이 상기 축(361)의 내부로 위치되며 끝단이 상기 상부케이스(300b)보다 돌출되게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air blowing fan 36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upper case 300b and rotates horizontally. A brush 351 tha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anion generating part 350 and discharges negative ions And an outer portion is positioned inside the shaft 361 and an end portion is position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case 300b.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300b)의 꺾임 및 회전 시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게 경사부(305c)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ase 300b is formed at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300a with an inclined portion 305c to prevent the upper case 300b from bending and rotating.

상기 홈부(110)의 내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11)에 걸림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돌기(30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301)를 상기 걸림돌기(111)에 억지 끼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1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one or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301 which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s 111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301) is pressed against the locking protrusion (111).

상기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지지대(100)는, 정단면이 “

Figure 112017018350290-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ㄴ”자 형상의 제1지지대(101)과“ㅣ”자 형상의 제2지지대(103)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된 부분의 각각의 일측에 당김성질을 갖는 탄성부재(13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er 10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for vehicles has a positive cross-
Figure 112017018350290-pat00001
The first support 101 and the second support 1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upport 101 and the second support 1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elastic member 130 is constitut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의하면, 음이온을 방출시켜 차량의 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목적을 그대로 수행함과 동시에 음이온이 방출되는 높이 및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다양성이 부여되고, 차량의 컵홀더에 완전히 끼워져 고정됨으로 차량의 흔들림 및 충격 등이 발생할 시에도 견고한 고정력으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실내 오염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실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한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차량의 실내 오염상태 및 음이온의 방출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releasing negative ions to comfort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while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negative ions ar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falling out with a firm fixing force even when the vehicle is shaken or impacted due to the fact that it is fully inserted and fixed in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allows easy monitoring of the indoor pollution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emission amount of the negative ion in real time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이온발생기에 대한 분해도,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이온발생기에 대한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이온발생기에 대한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대에 대한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대에 음이온발생기가 끼워지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8은 도 7의 a와b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sectio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sectio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and plan view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at the negative ion generator is fitted to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Figs. 7A and 7B;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컵홀더에 안정된 형태로 고정되어 차량의 흔들림으로부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음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분출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토록 함은 물론, 현재 차량 내부의 오염상태를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a cup holder of a vehicle in a stable form to secure a fixing force from the shaking of the vehicle and to selectively control the anion ejection direc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Provided is an automotive negative ion generator which is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for monitoring in real tim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측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홈부(110)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연결핀(120)이 구성되어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지지대(100);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끝단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끝단에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뭉치(210)가 구성되는 연결부(200); 내부에 통신이 가능토록 블루투스모듈(310)과 음이온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20)과 차량의 실내 공기를 감지하는 감지모듈(330) 및 음이온발생부(350)를 포함되며 상기 지지대(100)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외부 일측에 감지된 차량의 실내오염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LED(340)가 구성되는 음이온발생기(300);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블루투스모듈(310)과 블루투스통신에 의해 연동되는 APP(410)이 설치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현재상태를 확인 및 확인 후 선택적으로 음이온발생기(300)의 음이온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400); 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negative ion generator for a vehicle, a groove 110 is formed in a vertically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ide, and a connection pin 120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groove 110. A support 100 constructed to be inserted into a cup holder of the vehicle; And a connection bundle 21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in 100,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 connection part 200 constituted by the connecting part 200; A control module 320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negative ions, a sensing module 330 for sensing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and an anion generator 350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upport 100, An anode generator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configured to display LEDs 340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indoor contamination state of the vehicle sensed at the outer side; An APP 410 interlocked with the Bluetooth module 31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installed to confirm and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nd selectively detect the negativ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 smart phone 4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400; .

상기 지지대(100)는 도 2, 6, 7,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홈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300)가 삽입 구성되고, 내부 일측에 연결부(200)의 일측과 연결되는 연결핀(120)이 구성되어 차량의 컵홀더(k)에 삽입 구성된다.2, 6, 7, and 9, the support 100 includes a groove 110 formed in a vertical central portion thereof to insert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therein, And a connecting pin 1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p holder k.

이를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대(100)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단면이 “

Figure 112017018350290-pat00002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ㄴ”자 형상의 제1지지대(101)과“ㅣ”자 형상의 제2지지대(103)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된 부분의 각각의 일측에 당김성질을 갖는 탄성부재(130)가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or Fig. 7,
Figure 112017018350290-pat00002
The first support 101 and the second support 1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upport 101 and the second support 1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astic member 130 is constituted.

즉, 상기 제1,2지지대(101, 103)의 상호 대응하는 일측에는 각각의 홈(h)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30)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30)에 의해 밀착되게 됨으로써, 음이온발생기(300)가 삽입되는 홈부(11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홈부(110)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다수의 걸림돌기(111)가 형성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외주에 형성된 고정돌기(301)가 각각의 걸림돌기(111)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게 된다.In other words, each of the grooves h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1 and 103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30 and to be closely contacted by the elastic member 130,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1 are formed in the groove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s 111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The fixing protrusions 301 formed are positioned and fixed between the respective locking projections 111. [

다시 말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10)로 음이온발생기(30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301)가 걸림돌기(111)와 맞닿아 억지끼움되어 제1지지대(101)와 제2지지대(103)가 반대방향으로 밀림되면서 음이온발생기(300)가 홈부(110)로 삽입되게 된다.5 to 7, when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0, the fixing protrusion 30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11 and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ing table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0 whil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01 and 103 are pus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때,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111)로 인해 차량의 흔들림 및 기타 외부요인으로 충격이 발생할 시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from being released when an impact occurs due to vibration of the vehicle or other external factors due to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11.

또한, 상기 연결핀(120)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연결부(200)의 일측끝단과 연결되어 차량의 시거짹 또는 USB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음이온발생기(300)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120 is typ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200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by receiving power from a cigarette or USB terminal of the vehicle do.

상기 연결부(200)는 도 1, 2, 5, 6,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상기 제1지지대(101)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일측단부가 상기 지지대(100)의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차량의 시거짹 또는 USB단자와 연결을 위한 연결뭉치(210)가 구성된다.1, 2, 5, 6, and 9, a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200 is included in the first support 101,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the other end is constituted by a connection bundle 210 for connection with a cigarette or USB terminal of the vehicle.

즉, 상기 연결부(200)는 배선 또는 닥트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뭉치(210)는 시거짹 또는 USB젠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connection unit 200 may be formed of a wiring or a duct, and the connection unit 210 may be formed of a cigar jack or a USB gender.

다시 말해, 상기 연결부(200)는 차량의 시거짹 또는 USB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연결핀(120)측으로 공급토록 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unit 200 receives power from a cigarette or USB terminal of the vehicle and supplies the power to the connection pin 120 side.

상기 음이온발생기(300)는, 도 2, 4, 5, 7,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모듈(310), 제어모듈(320), 감지모듈(330), LED(340) 및 음이온발생부(350)와, 상기 음이온발생부(350)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의 방출을 유도하는 송풍팬(3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100)의 홈부(110)에 삽입되어 연결핀(120)과 연결된다.2, 4, 5, 7 and 9,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ncludes a Bluetooth module 310, a control module 320, a sensing module 330, an LED 340 and an anion generator And an air blowing fan 360 for inducing the release of negative ions emit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art 350. The air blowing fan 36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0 of the suppor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상기 블루투스모듈(3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상호간에 통신수단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써, 음이온발생기(300)와 하기될 스마트폰(400)과의 연동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을 통해 음이온발생기(3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1 to 5, the Bluetooth module 310 is a general configuration used as a communication unit between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nd the smartphone 400, And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smartphone 400.

한편, 상기 제어모듈(32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발생부(350)의 작동을 제어 및 상기 감지모듈(330)의 감지에 따라 음이온의 방출량을 제어하게 된다. 1 to 5, the control module 3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50 and controls the amount of emitted negative ions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ensing module 330.

즉, 상기 제어모듈(320)은 PCB회로 기판 등 다양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될 수가 있고, 상기 제어모듈(320)은 하기될 감지모듈(330)로부터 전송받은 실내의 공기상태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400) 측으로 전송하게 되어 사용자들이 상기 스마트폰(400)을 통해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module 320 may include various control means such as a PCB circuit board, and the control module 320 may control the air condition of the room received from the detection module 330 to be re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door air condi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smartphone 400.

또한, 상기 감지모듈(330)의 경우 차량의 내부 즉 실내 공기를 감지하게 되면 그 신호를 제어모듈(320)로 전송하게 되는 통상의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nsing module 330, when the inside of the vehicle, that is, indoor air, is detecte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320.

여기서,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외부 일측 즉, 상부 일측에 상기 감지모듈(330)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실내오염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LED(340)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 비교적 쾌적한 환경일 경우, 녹색으로 표시될 수가 있고, 쾌적하지 못한 환경일 경우 파란색, 아주 쾌적하지 못한 환경일 경우 붉은색으로 발광될 수가 있고, 상기 LED(340)의 발광색상의 제어는 상기 감지모듈(30)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실내공기를 제어모듈(320)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모듈(320)의 제어에 따라 그 색상에 맞게 발광되게 되고, 제어모듈(320)의 구성에 따라서 그 발광되는 색상의 밝기 및 진하기 정도를 선택적으로 가변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D 340 may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indoor pollution state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330 on one sid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For example, in a relatively pleasant environment, it may be displayed in green, in the case of an uncomfortable environment it may be blue, in the case of an unpleasant environment, it may be emitted in red, and the control of the emission color of the LED 340 When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320,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is emit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20.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320, And the brightness and the degree of intensity of the emitted light may be selectively varied.

또한,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내부 상측에는 음이온발생부(350)가 구성되어, 상기 제어모듈(320)의 제어에 따라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In addition, an anion generator 350 is disposed inside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to emit negative 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20.

여기서, 상기 음이온발생부(300)의 구조를 보면, 도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에 끼워지되 내부에 상기 블루투스모듈(310), 제어모듈(320), 감지모듈(330) 및 음이온발생부(350)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300a)와, 내부에 송풍팬(360)을 포함하고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상부와 연결 구성되되, 꺾임 및 회전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부 가장자리에는 LED(340)가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다수의 통공(t)가 형성되어 상기 음이온발생부(350)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을 방출시키는는 상부케이스(300b)가 구성된다.2, 3, 4 and 5,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art 30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100 and includes the Bluetooth module 310, the control module 320, A lower case 300a including a sensing module 330 and an anion generating part 350 and a blowing fan 360 inside and a lower part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300a,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 ar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emit anions emit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ortion 350. The upper case (LED) 300b.

상기 하부케이스(300a)와 상부케이스(300b)의 연결 구조를 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상측 중앙부에는 끼움홈(301a)이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홈(301a)은 둥근 볼 형상을 하며, 상부가 개방되되 상부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크게 개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lower case 300a and the upper case 300b have a fitting groove 301a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the lower case 300a. Shaped as a round ball,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gradually opened to the upper direction gradually.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300b)의 하측 중앙부에는 힌지부(303b)와 상기 힌지부와 일측이 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끼움홈(301a)에 끼워지는 끼움뭉치(301b)가 구성된다.The upper case 300b has a hinge portion 303b and a fitting bundle 301b with one side thereof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being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301a.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300b)를 끼움뭉치(301b)를 축으로 하여 다양한 각도로 음이온발생부(350)의 음이온 방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03b)를 중심으로 상기 음이온발생부(350)의 음이온 방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이중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upper case 300b can be adjusted in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irec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art 350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fitting bundle 301b, 5, the anion emission direc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art 350 can be adjusted around the hinge part 303b so that double adjustment is possible.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고정된 형태를 취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가 있으면서도 음이온이 방출되는 방향을 차량의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그 방향을 조절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된다.Such a structure is generally fixed to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have a firm fixing force and the direction of the negative ions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give convenience in use.

또한,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하부케이스(300a)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걸림돌기(111)에 걸림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돌기(30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301)를 상기 걸림돌기(111)에 억지 끼움하여 고정된다.One or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301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case 300a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jections 111 of the supporting table 100, (Not shown).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301)가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1)가 다수개로 형성되는 이유는 지지대(100)의 탄성부재(130)에 의해 음이온발생기(300)을 잡고 있고, 차량의 컵홀더(k)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게 되는 반면, 상기 차량의 컵홀더(k)에 끼우기 전에 자칫 사용자가 바닥등 지면에 떨어뜨리게 될 경우 상기 지지대(100)로부터 음이온발생기(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reason why the fixing protrusions 301 are formed as one and a plurality of the locking protrusions 111 are formed is that the negative ions generator 300 is held by the elastic member 130 of the support 100, (k),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rops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onto the floor or the lik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k of the vehicle, And prevents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from escaping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100.

또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컵홀더(k)의 크기가 천차만별이기 마련인데, 이러한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갖는 컵홀더(k)에 맞춰서 차량의 갑작스런 정차 및 충격 등과 같은 외부요인으로 차량의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지지대(100)로부터 음이온발생기(300)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The size of the cup holder k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However,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a sudden stoppage and shock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cup holder k having various types and sizes, Thereby preventing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from separating from the support 100.

한편, 상기 음이온발생기(350)와 송풍팬(360)이 구성되는 구조를 보면, 도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360)은 상부케이스(300b)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축(361) 설치되어 수평으로 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음이온발생부(350)에는 일측에서 연장되어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브러쉬(351)가 구성되되 외부 일부분이 상기 축(361)의 내부로 위치되며 끝단이 상기 상부케이스(300b)보다 돌출되게 위치되게 구성되어, 상기 음이온발생부(350)의 브러쉬(351)에서 음이온이 방출됨과 동시에 상기 송풍팬(360)에 의해 음이온방출이 유도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2, 4 and 5, the blower fan 36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upper case 300b, And a brush 351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and discharges negative ions is formed in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art 350. An outer part of the brush 351 is positioned inside the shaft 361, The negative ions are emitted from the brush 351 of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art 350 and the negative ions are emitted by the blowing fan 360 at the same time as the negative ion generating part 350 protrudes from the upper case 300b.

또한,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다른 실시 예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300b)의 꺾임 및 회전 시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게 경사부(305c)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하부케이스(300b, 300a)의 연결구조는 연결뭉치(301b)를 구성하지 않고,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내부 상측에 상기 상부케이스(300b)의 힌지부(303b)를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하여, 상기 힌지부(303b)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경사부(305c)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케이스(300b)가 회동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스(300a)와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300a so as to prevent the upper case 300b from colliding with the upper case 300b when the upper case 300b is bent and rotated.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300b and 300a is not formed as a connecting bundle 301b and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upper case 300b and the lower case 300b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300a, The upper case 300b is pivoted about the hinge 303b and the upper case 300b is rotated due to the inclined portion 305c,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lower case 300a.

한편, 상기 스마트폰(400)의 경우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블루투스모듈(310)과 블루투스통신에 의해 연동되는 APP(410)이 설치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현재상태를 확인 및 확인 후 선택적으로 음이온발생기(300)의 음이온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smartphone 400, an APP 410 interlocked with the Bluetooth module 31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installed to confirm and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amount of negative ions generated by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상기 스마트폰(400)의 APP(410)의 경우 기본적으로 감지모듈(330)로부터 감지된 실내 공기에 대한 정보를 제어모듈(320)로부터 전송받아 그 실내의 공기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음이온발생기(300)의 음이온발생부(350)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의 방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the APP 410 of the smartphone 400, the control module 32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air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330, And an adjustment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amount of anions emit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35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selectively.

또한, 상기한 확인 및 조절하는 인터페이스 이외에도, APP(410)과 제어모듈(320)의 구성에 따라서 감지모듈(330)로부터 감지된 공기에 대한 수치 및 음성 및 기타 사이렌과 같은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다양한 편의기능이 구현될 수가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terface for checking and adjusting,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numerical value of the air detected by the sensing module 330, sound such as voice and other siren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PP 410 and the control module 320 Functions and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의하면, 음이온을 방출시켜 차량의 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목적을 그대로 수행함과 동시에 음이온이 방출되는 높이 및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다양성이 부여되고, 차량의 컵홀더에 완전히 끼워져 고정됨으로 차량의 흔들림 및 충격 등이 발생할 시에도 견고한 고정력으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실내 오염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실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한편,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차량의 실내 오염상태 및 음이온의 방출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releasing negative ions to comfort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while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negative ions ar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falling out with a firm fixing force even when the vehicle is shaken or impacted due to the fact that it is fully inserted and fixed in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allows easy monitoring of the indoor pollution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emission amount of the negative ion in real time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 phone.

100 : 지지대
101 : 제1지지대 103 : 제2지지대
110 : 홈부 111 : 걸림돌기 120 : 연결핀
130 : 탄성부재
200 : 연결부 210 : 연결뭉치
300 : 음이온발생기
300a : 하부케이스 301a : 끼움홈
300b : 상부케이스 301b : 끼움뭉치 303b : 힌지부
305c : 경사부
301 : 고정돌기 310 : 블루투스모듈 320 : 제어모듈
330 : 감지모듈 340 : LED 350 : 음이온발생부
351 : 브러쉬
360 : 송풍팬 361 : 축
400 : 스마트폰 410 : APP
t : 통공 h : 홈 k : 컵홀더
100: Support
101: first support member 103: second support member
110: groove portion 111: engaging projection 120: connecting pin
130: elastic member
200: connection part 210: connection bundle
300: Negative ion generator
300a: Lower case 301a: Fitting groove
300b: Upper case 301b: Fitting bundle 303b:
305c:
301: fixing protrusion 310: Bluetooth module 320: control module
330: Detection module 340: LED 350: Negative ion generator
351: Brushes
360: blower fan 361: shaft
400: smartphone 410: APP
t: through hole h: groove k: cup holder

Claims (7)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측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홈부(110)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연결핀(120)이 구성되어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지지대(100);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끝단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끝단에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뭉치(210)가 구성되는 연결부(200);
내부에 통신이 가능토록 블루투스모듈(310)과 음이온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20)과 차량의 실내 공기를 감지하는 감지모듈(330) 및 음이온발생부(350)를 포함되며 상기 지지대(100)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120)과 연결되고 외부 일측에 감지된 차량의 실내오염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LED(340)가 구성되는 음이온발생기(300);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블루투스모듈(310)과 블루투스통신에 의해 연동되는 APP(410)이 설치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현재상태를 확인 및 확인 후 선택적으로 음이온발생기(300)의 음이온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40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음이온발생기(300)는,
상기 지지대(100)에 끼워지되 내부에 상기 블루투스모듈(310), 제어모듈(320), 감지모듈(330) 및 음이온발생부(350)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300a)와,
내부에 송풍팬(360)을 포함하고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상부와 연결 구성되되, 꺾임 및 회전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부 가장자리에는 LED(340)가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다수의 통공(t)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300b)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



A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for a vehicle,
A support base 100 formed with a groove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upper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connection pin 120 formed at an inner side thereof to be inserted into a cup holder of the vehicle;
And a connection bundle 21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in 100, th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 connection part 200 constituted by the connecting part 200;
A control module 320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negative ions, a sensing module 330 for sensing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and an anion generator 350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upport 100, An anode generator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120 and configured to display LEDs 340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indoor contamination state of the vehicle sensed at the outer side;
An APP 410 interlocked with the Bluetooth module 31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is installed to confirm and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nd selectively detect the negativ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 smart phone 4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400; Respectively,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A lower case 300a fitted in the support 100 and including the Bluetooth module 310, the control module 320, the sensing module 330 and the anion generator 350,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300a and is bent and rotat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direction and the LED 34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And an upper case (300b)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0)는 배선 또는 닥트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뭉치(210)는 시거짹 또는 USB젠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200 is composed of a wiring or a duct,
Wherein the connection bundle (210) comprises a cigarette or a USB gend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360)은 상부케이스(300b)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축(361) 설치되어 수평으로 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음이온발생부(350)에는 일측에서 연장되어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브러쉬(351)가 구성되되 외부 일부분이 상기 축(361)의 내부로 위치되며 끝단이 상기 상부케이스(300b)보다 돌출되게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blowing fan 360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case 300b in a vertical direction to rotate horizontally,
The anion generator 350 includes a brush 351 extending from one side thereof to emit negative ions and an outer portion thereof located inside the shaft 361 and an end thereof protruding from the upper case 300b Wherein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is interlocked with the smart 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0a)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300b)의 꺾임 및 회전 시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게 경사부(305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clined portion (305c)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300a) so as to prevent the upper case (300b) from bumping and bending when rota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110)의 내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음이온발생기(300)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11)에 걸림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돌기(30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301)를 상기 걸림돌기(111)에 억지 끼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11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groove 110 at regular intervals,
One or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301)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300) to engage with the locking protrusions (111)
And the fixing protrusion (301)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1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지지대(100)는,
정단면이 “
Figure 112017018350290-pat00003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ㄴ”자 형상의 제1지지대(101)과“ㅣ”자 형상의 제2지지대(103)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된 부분의 각각의 일측에 당김성질을 갖는 탄성부재(1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차량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upport 10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for vehicles,
The positive cross-
Figure 112017018350290-pat00003
Shaped first supporting base 101 is connected to a second supporting base 103 having a "" -like " shape,
And an elastic member (130) having a pulling property is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connected portions.




KR1020170023450A 2017-02-22 2017-02-22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 KR1017434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50A KR101743468B1 (en) 2017-02-22 2017-02-22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50A KR101743468B1 (en) 2017-02-22 2017-02-22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468B1 true KR101743468B1 (en) 2017-06-07

Family

ID=5922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50A KR101743468B1 (en) 2017-02-22 2017-02-22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6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19B1 (en) 2014-04-21 2014-11-07 세종아이앤텍(주) Dust collection typ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19B1 (en) 2014-04-21 2014-11-07 세종아이앤텍(주) Dust collection type air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772B2 (en) Flameless candle with multimedia capabilities
US7651365B2 (en) Outlet adapter with EL elements, receptacles for other electric devices, and prongs for supply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to the receptacles and EL elements
US20190168573A1 (en) Vehicle Roof Fan
TW201436422A (en) Mobile phone charger with sterilization ultraviolet LED
US20090238687A1 (en) Blower
JP5451996B2 (en) Lighting device
KR101743468B1 (en) Negative Ion generator for automobile linked to smart phone
JP5187855B2 (en) Portable lighting device
CN213072176U (en) Vehicle-mounted charging power supply
CN214231202U (en) Dust collector with multiple charging modes
WO2006060741A3 (e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individually removable driver electrodes
US7497591B1 (en) Eyestrain reducing device
CN210688040U (en) Solar energy lighting device
CN210191105U (en) Vehicle-mounted air purifier
KR20170098390A (en) Detachable anion generator with function for mounting on cell phone
CN213542170U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KR20200099502A (en) Power supply regulator and portable device therewith
KR20100007140A (en) Display system abailable drawing
JP2016123250A (en) Microphone charging device
CN217503390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handheld folding lamp
CN213630260U (en) Bluetooth music candle lamp
CN218054800U (en) Fragrance generator, fragrance generating system and vehicle
CN214713602U (en) Champignon machine convenient to it is clean
KR20200010845A (en) Portable Electric Fan
CN212276413U (en) Tobacco 32-bit laser code recogni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