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48B1 -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48B1
KR101743448B1 KR1020100122762A KR20100122762A KR101743448B1 KR 101743448 B1 KR101743448 B1 KR 101743448B1 KR 1020100122762 A KR1020100122762 A KR 1020100122762A KR 20100122762 A KR20100122762 A KR 20100122762A KR 101743448 B1 KR101743448 B1 KR 10174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value
horizontal bar
vertical
bending sen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441A (ko
Inventor
안동규
황재호
박유태
황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electric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safety devices, e.g. airba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로바와 세로바로 이루어져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 벤딩센서를 통해 교차점 절곡을 이용한 방식이므로, 필요한 센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며, 센서수가 감소되므로 회선이 단순화될 수 있고, 매트 절손 가능성이 낮아지며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신뢰성이 매우 높다.

Description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SEAT SENSING APPARATUS WITH A BENDING SENSOR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가로바와 세로바로 이루어져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 벤딩센서를 통해 센서수를 감소시키고 회선을 단순화시키며 매트 절손 가능성을 감소시켜 오인식율을 줄이고 경제성 및 신뢰성을 높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사고 발생시 또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장치의 가동을 위해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탑승자의 성별과 중량을 미리 판단함으로써 긴급하게 보조 장치를 동작시킬 경우 미리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보조 장치가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해주는 장치로서 운전석과 조수석에 에어백이 장착되고 있는데, 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차량시트에 압력센서를 장착하거나 광원을 이용하여 승객을 감지함으로써 탑승자가 있는 좌석에서만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장치들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이하, 탑승객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타입의 감지장치를 살펴본다.
도 1a, 1b, 1c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 타입의 시트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동 도면에 도시된 승객 감지장치는 OC-매트를 나타내는 바, OC-매트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착좌면 하부에 다수의 압전센서(FSR: Force Sensing Resistor)가 포설됨으로써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리로 측정 압력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분포의 패턴에 따라 유아, 소아, 성인 등의 구분이 가능하게 되며, 전체 탑승원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압전센서 방식의 OC-매트는 매트 절손에 따른 감지 불능이 종종 발생되며, 유아, 소아, 성인 등의 승원에 대한 오인식 가능성이 존재하고, 패턴 인식을 위해 다수의 압전센서가 셀단위로 필요하나 총 40여개 정도로 상당히 많은 압전센서가 필요하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회선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IEEE 사의 스위치 타입으로 이루어진 감지매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2b, 2c, 2d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타입의 감지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동 도면에 도시된 기술은 유럽 특허공개번호 WO 06/058841호인 특허로서, 여기서 사용하는 스위치는 PET(플라스틱 매트) 재질의 매트 상면에 일렉트로이드(전도성 물체)를 프린팅하고, 그 반대편의 매트면에 FSR(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는 Patch - resistive patches )를 붙이고, 두 매트 사이를 스페이서라 불리우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붙여서 일렉트로이드와 FSR 사이의 공간을 만들게 된다. 만일 매트 위에 사람이 앉게 되면, 일레트로이드와 FSR이 맞닿으며, 센서에 인가된 압력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게 된다. 시트에 인가되는 압력분포를 측정하여, 압력 분포 패턴에 따라 승원/사물을 구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 역시 다수의 감지 셀이 필요하며, 특히 스페이서가 필요하므로 시트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수의 감지셀이 구성되므로 회선 역시 매우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로바와 세로바로 이루어져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 벤딩센서를 통해 센서수를 감소시키고 회선을 단순화시키며 매트 절손 가능성을 감소시켜 오인식율을 줄이고 경제성 및 신뢰성을 높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는 시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구부려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비례하는 벤딩센서와;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저항값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저항값 입력부와; 각 출력신호별 벤딩센서의 교차점 위치 및 저항값에 따른 레벨분포정보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이미지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부피값으로 변환하는 부피 연산부와; 탑승객의 엉덩이 패턴과 부피값, 교차점의 ID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이미지 패턴과 부피값을 통해 탑승정보를 판단하는 탑승정보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벤딩센서는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가로바와; 그 가로바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사이에 구성되며 가로바와 세로바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고, 상기 세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며,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과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평균하여 교차점의 저항값을 추정하여 검출하는 센서로써, 카본 프린팅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탑승정보는 탑승객의 성별, 중량, 인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변환부는 DSP 칩을 통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방법은 시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구부려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비례하는 다수 쌍의 벤딩센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각 쌍의 교차점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각 교차점의 위치 및 저항값에 따른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해당 이미지를 부피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해당 이미지 패턴과 부피값으로 탑승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벤딩센서는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가로바와; 그 가로바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사이에 구성되며 가로바와 세로바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고, 상기 세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며,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과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평균하여 교차점의 저항값을 추정하여 검출하는 센서로써, 카본 프린팅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탑승정보는 탑승객의 성별, 중량, 인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은 교차점 절곡을 이용한 방식이므로, 필요한 센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며, 센서수가 감소되므로 회선이 단순화될 수 있고, 매트 절손 가능성이 낮아지며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신뢰성이 매우 높다.
도 1a, 1b, 1c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 타입의 시트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 2b, 2c, 2d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타입의 감지매트를 도시한 도면,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벤딩센서의 감지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벤딩센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에 의한 탑승정보 추정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싱한 패턴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벤딩센서의 감지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벤딩센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이루어져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 벤딩센서를 통해 센서수를 감소시키고 회선을 단순화시키며 매트 절손 가능성을 감소시켜 오인식율을 줄이고 경제성 및 신뢰성을 높인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주요 구성인 벤딩센서(10)는 카본 프린팅 방식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하중이 가해지면 마이크로-크랙(Micro-Crack)이 발생한다.
이때, 크랙의 발생정도에 따라 저항값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 바, 즉 벤딩센서(10)는 구부러지는 정도에 비례하여 저항이 증가되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주요 구성인 벤딩센서(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가로바와; 그 가로바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사이에 구성되며 가로바와 세로바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으로 구성되며, 가로바와 세로바의 교차점 저항을 검출한다.
승원 중량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는 가로바와 세로바를 혼합한 저항값을 사용하는 바, 가로바와 세로바의 사이에는 쇼트 방지를 위해 절연판이 구비된다.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에 의한 탑승정보 추정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에 포함된 벤딩센서(10)의 저항 분포추정 원리를 살펴보는 바, 센서를 구성하는 가로바 또는 세로바 양끝단에서 측정한 저항값은 전체 센서의 Crack 정도에 따른 저항값이고, 실제 구역마다 센서의 변형정도에 따른 Crack에 차이가 나게 되므로 구역마다 저항값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구역이란 시트의 위치를 의미한다.
즉, 하중에 따른 저항분포의 변화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므로 이를 고려해서 저항값 분포 추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분포하중 분석시 분포하중이 조밀한 곳은 분포하중이 조밀하지 않는 곳보다 상대적으로 가로/세로바의 Bending Sensor Crack이 많이 발생할 것이므로, 가로바의 전체 저항 R에 대해 각각의 교차점 저항값 P1, P2, P3 를 추정할 때 세로축 센서의 저항값 r1, r2, r3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R값의 분해된 값 P1,P2, P3를 추정할 수 있다.
도 5d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진 교차점 저항을 추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1) 가로축 Bending Sensor에 의한 저항값 : R1/R2/R3,
세로축 Bending Sensor에 의한 저항값 : r1/r2/r3 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한 저항값을 갖는 매트릭스 교차점 저항을 추정하는 원리는 아래와 같다.
2. 비례식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 추정 방법
(P1:가로축 기준에서의 교차점/P1':세로축 기준에서 교차점)
P1 추정 저항값 = R1 * r1/(r1+r2+r3)
P1' 추정 저항값 = r1 * R1/(R1+R2+R3)
상기한 가중치 방식을 통해, 각각의 가중치에 비례하여 교차점의 저항값 추정가능하다.
또한, (P1+P1')/2 값으로 교차점의 평균적인 저항값 추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교차점의 평균 저항값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a, 도7b, 도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싱한 패턴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는 시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구부려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비례하는 벤딩센서(10)와; 상기 벤딩센서(10)로부터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저항값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저항값 입력부(20)와; 각 출력신호별 벤딩센서(10)의 교차점 위치 및 저항값에 따른 레벨분포정보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변환부(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는 상기 이미지 변환부(30)의 출력신호를 부피값으로 변환하는 부피 연산부(40)와; 탑승객의 엉덩이 패턴과 부피값, 교차점의 ID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60)와; 이미지 패턴과 부피값을 통해 탑승정보를 판단하는 탑승정보 판단부(50)를 포함한다.
이때, 동 도면에서 벤딩센서(10)에 포함된 MUX1, MUX2에는 가로바 및 세로바의 +극 및 -극을 접속하여 출력값을 수신하는 바, 예컨대 가로바 및 세로바는 각각 8개라고 가정한다면 총 16쌍의 출력값을 수신하게 된다.
또한, 각 센서쌍마다 저항값을 입력받고,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고 ID를 통해 교차점 위치를 파악한다. 위치정보 및 저항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변환부(30)에서는 이미지로 프로세싱하는 바, 상기 이미지 변환부(30)는 DSP 칩을 통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산출된 부피값과 패턴을 통해 탑승정보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탑승정보는 탑승객의 성별, 중량, 인원수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16쌍의 벤딩센서(10)에 전원을 인가하고, 각 쌍의 교차점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입력한다. 그러면, 각 교차점의 위치 및 저항값에 따른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탑승객이 착좌한 시트의 위치 즉 범위에 따라 상기 벤딩센서(10)의 크랙이 발생되고, 그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며 그 저항값 변화를 이용하여 이미지로 프로세싱하면 그 이미지 패턴에 따라 승원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3세 아이의 경우 도 7a의 맨 좌측 이미지와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며, 46㎏의 여성인 경우 좌측 두 번째 이미지 패턴을 갖고, 60㎏ 성인 남성의 경우 좌측 세 번째 이미지 패턴을 가지며, 94㎏ 성인 남성의 경우 맨 우측의 엉덩이 패턴을 갖는다.
여기서, 해당 이미지를 부피값으로 변환하면, 엉덩이 패턴과 부피값으로 탑승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엉덩이 패턴과 부피값 추정을 통해 도 7b와 7c와 같은 3D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탑승 정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은 교차점 절곡을 이용한 방식이므로, 필요한 센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며, 센서수가 감소되므로 회선이 단순화될 수 있고, 매트 절손 가능성이 낮아지며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신뢰성이 매우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0 : 벤딩센서 20 : 저항값 입력부
30 : 이미지 변환부 40 : 부피연산부
50 : 탑승정보 판단부 60 : 데이터저장부

Claims (7)

  1. 시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구부려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비례하는 벤딩센서와;
    상기 벤딩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저항값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저항값 입력부와;
    각 출력신호별 벤딩센서의 교차점 위치 및 저항값에 따른 레벨분포정보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상기 이미지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부피값으로 변환하는 부피 연산부와;
    탑승객의 엉덩이 패턴과 부피값, 교차점의 ID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이미지 패턴과 부피값을 통해 탑승정보를 판단하는 탑승정보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벤딩센서는,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가로바와;
    그 가로바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사이에 구성되며 가로바와 세로바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고, 상기 세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며,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과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평균하여 교차점의 저항값을 추정하여 검출하는 센서로써, 카본 프린팅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정보는 탑승객의 성별, 중량, 인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환부는 DSP 칩을 통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6. 시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구부려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비례하는 다수 쌍의 벤딩센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각 쌍의 교차점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각 교차점의 위치 및 저항값에 따른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해당 이미지를 부피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해당 이미지 패턴과 부피값으로 탑승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벤딩센서는,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가로바와;
    그 가로바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인가로 소정의 저항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사이에 구성되며 가로바와 세로바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고, 상기 세로바와 교차하는 상기 가로바의 저항값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세로바의 저항값을 분배하여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추정하며, 상기 가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과 상기 세로바 기준에 의한 교차점 저항값을 평균하여 교차점의 저항값을 추정하여 검출하는 센서로써, 카본 프린팅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정보는 탑승객의 성별, 중량, 인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방법.
KR1020100122762A 2010-12-03 2010-12-03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10174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62A KR101743448B1 (ko) 2010-12-03 2010-12-03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62A KR101743448B1 (ko) 2010-12-03 2010-12-03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41A KR20120061441A (ko) 2012-06-13
KR101743448B1 true KR101743448B1 (ko) 2017-06-05

Family

ID=4661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762A KR101743448B1 (ko) 2010-12-03 2010-12-03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322A (ko)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체 감지 시스템
KR102102696B1 (ko) 2018-12-27 2020-04-21 한국과학기술원 구부림 센서, 구부림 센서의 제조방법 및 에너지 발전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905B1 (ko) 2017-08-21 2018-06-11 박삼목 염화칼슘 성분이 함유된 리필용 습기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보충용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5725B2 (ja) * 1996-06-04 2006-01-18 日本発条株式会社 着座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5725B2 (ja) * 1996-06-04 2006-01-18 日本発条株式会社 着座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322A (ko)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체 감지 시스템
KR102102696B1 (ko) 2018-12-27 2020-04-21 한국과학기술원 구부림 센서, 구부림 센서의 제조방법 및 에너지 발전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41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942B1 (ko) 승객 검지 시스템
JP4674585B2 (ja) 車両用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
JP2011075405A (ja) 静電容量式乗員センサおよび静電容量式乗員センサ装置
EP2329998B1 (en) Seat occupancy detection device
JP4581624B2 (ja) 車両用衝突物体判別装置
KR101743448B1 (ko) 벤딩센서가 구비된 시트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ATE471848T1 (de) Vorrichtung zur sitzbelegungserkennung
EP3369610A1 (en) System to determine the posture and weight of an occupant of a seat
CN101190675A (zh) 座椅传感器
JP2005088738A (ja) 着座検知装置
KR101611097B1 (ko) 차량용 승객 식별장치
US6808200B2 (en) Method for occupant classification in a motor vehicle
US20170232868A1 (en) Occupant detection method and occupant detection apparatus
JP6536206B2 (ja) 着座状態検知装置
US20070235243A1 (en) Seatbelt minder
JP5499491B2 (ja) 乗員検知センサ及び乗員検知システム
US6567732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evaluating sensor signals from a seat mat in a vehicle seat
JP2000301980A (ja) 乗員検出装置
JP2014206480A (ja) 荷重センサを用いる乗員判定装置
US10377266B2 (en) Weight-responsive vehicle seat occupa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JP2001074575A (ja) 着座センサ及び着座状態検出装置
WO2013077324A1 (ja) 乗員検知装置
KR101355567B1 (ko) 스마트 에어백을 위한 센서 융합형 승객 감지 장치
JP2009189555A (ja) シートセンサ
JP2010195343A (ja) 乗員検知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