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08B1 -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08B1
KR101743408B1 KR1020160165726A KR20160165726A KR101743408B1 KR 101743408 B1 KR101743408 B1 KR 101743408B1 KR 1020160165726 A KR1020160165726 A KR 1020160165726A KR 20160165726 A KR20160165726 A KR 20160165726A KR 101743408 B1 KR101743408 B1 KR 10174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illuminance
power
sensing unit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동
정선우
Original Assignee
정해동
정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동, 정선우 filed Critical 정해동
Priority to KR102016016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05B37/02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를 구비한 도로표지판; 상기 LED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 상기 도로표지판에 결합되어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 상기 전원과 상기 LED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도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조도에 따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LED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위 조도에 따라 LED 조도가 변화하는 도로표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ILLUMINATIN TYPE ROADSIGN SYSTEM WITH BRIGHTNESS ADJUSTED BY CIRCUMSTANCE ILLUMINATION}
본 발명은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들에게 도로의 정보나 교통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도로에는 도로표지판이 설치된다. 도로표지판은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방향표시, 제한속도, 위험표시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도로표지판은 크게 비조명식과 조명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조명식은 차량의 전조등에서 나오는 광을 반사하는 방식으로 빛을 발하지만, 발광하는 광원을 갖지 않은 도로표지판이다. 조명식 도로표지판은 발광하는 광원을 갖는 도로표지판이다. 그리고 도 2는 조명식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조명식 도로표지판은 표지판의 바깥 상단부나 지상부에 설치된 조명기구가 도로표지판을 비추어 밝게 보이도록 구성한 외부 조명식과, 도로표지판 내부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출력광에 의해 도로표지판이 밝게 표시되도록 구성한 내부 조명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로안내표지판의 시인성은 조명식이 비조명식에 비해 훨씬 우수하다. 비조명식 도로표지판에 비해 조명식 도로표지판은 야간 시인성에 있어서 약 1.6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우수한 시인성에 의해 주행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조명식 도로표지판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편,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석유, 석탄 등의 의한 에너지가 아닌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청정에너지,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대체에너지로서는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발전과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이 대표적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대체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식 도로표지판의 전력을 공급하여 도로표지판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식 도로표지판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조명식 도로표지판의 전력공급원으로서 태양광에너지 및 풍력에너지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대체에너지 사용시의 에너지 부족으로 인한 전력공급 중단을 예방하고, 궁극적으로는 이산화탄소 배출 및 나아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위조도에 따라 조명기구의 밝기를 조정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LED를 구비한 도로표지판;
상기 LED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
상기 도로표지판에 결합되어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
상기 전원과 상기 LED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도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조도에 따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LED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위 조도에 따라 LED 조도가 변화하는 도로표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원이거나 또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원은,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모듈;
상기 풍력발전모듈로부터 생산된 풍력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LED에 공급하는 제1 축전기; 및
상기 제1 축전기에 충전된 양을 측정하는 제1 감지부를 포함하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전지모듈;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생산된 태양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LED에 공급하는 제2 축전기; 및
상기 제2 축전기에 충전된 양을 측정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서 각각 측정된 충전된 양을 비교하여, 충전된 양이 많은 축전기의 에너지를 상기 LED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명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을 이용하면, 도로표지판 조명기구의 전력원으로서 석탄, 석유 등에 의한 에너지가 아닌 태양광, 풍력의 대체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주위 조도에 따라 조명기구의 밝기가 조정됨으로써 배터리에 충전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대체에너지로 충전된 전력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조명식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은 도로표지판(100), 전원(200), 조도측정부(110), 및 디머모듈(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100)은 조명에 의하여 야간 등에도 밝게 보이는 조명식 도로표지판(100)으로서, 도로표지판(100)의 외부에 조명기구가 결합되어 도로표지판(100)을 비추는 외부 조명식과 도로표지판(100)의 내부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출력광에 의하여 도로표지판(100)이 밝게 표시되는 내부 조명식을 포함한다.
이때의 조명은 LED(130) 조명이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130) 조명을 갖는 도로표지판(100)이다.
LED(130) 조명은 시인성과 판독성이 우수하여 사고예방 효과가 탁월하며 운전자의 시야에 혼란을 주지 않는다. 또한, LED(130)는 전구나 형광등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매우 적다. 전구 대비 1/8, 형광등 대비 1/3 수준이다. 소비전력이 매우 적다는 장점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전원(200)으로서 외부전원(200)이 아닌 대체에너지 즉,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한 전력만으로 충분하게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원(200)은 LED(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전원(200)으로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원(200)과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원(200)이 이용될 수 있다.
태양광과 풍력은 대표적인 대체에너지원으로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온실효과를 유발하지 않고, 환경오염이 적은 청정에너지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대체에너지원을 이용할 경우, 전력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만 이용하거나 또는 풍력만을 이용한 전력생산의 경우 에너지 부족으로 전력공급 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발전원(200)과 풍력발전원(200)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발전원(200)으로부터의 전력이 부족한 경우 다른 하나의 발전원(200)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풍력발전원(200)은 풍력발전모듈(210), 제1 축전기(220), 제1 감지부(230)를 포함한다.
풍력발전모듈(210)은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게 된다. 즉, 풍력발전은 풍력터빈을 이용하여 바람을 전력으로 바꾸는 것이다.
제1 축전기(220)는 풍력발전모듈(210)로부터 생산된 풍력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다시 LED(130)에 공급하게 된다. 제1 축전기(220)는 다양한 충전배터리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230)는 제1 축전기(220)에 충전된 전력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된다. 제1 감지부(230)의 구성을 통하여 제1 축전기(220)에 충전된 전력양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태양광발전원(200)은 태양전지모듈(240), 제2 축전기(250) 및 제2 감지부(260)를 포함한다.
태양전지모듈(24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해 낸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은 여려개의 태양전지들이 부착된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류전기로 바꾸어 전량을 생산해낸다.
제2 축전기(250)는 태양전지모듈(240)과 연결되어 태양전지모듈(240)로부터 생산된 태양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다시 LED(130)의 전력원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제2 축전기(250)는 다양한 충전배터리를 포함한다.
제2 감지부(260)는 제2 축전기(250)에 충전된 전력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된다. 제2 감지부(260)를 통하여 제2 축전기(250)에 충전된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130)의 전원(200)으로서 태양광발전원(200)과 풍력발전원(200)을 모두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 중 충전된 양을 서로 비교하여 충전된 전력양이 많은 쪽은 전원(200)을 LED(130)의 구동전원(200)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부(3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풍력발전원(200)의 제1 감지부(230) 및 태양광발전원(200)의 제2 감지부(260)와 각각 연결된다. 제1 감지부(230)에서 측정된 제1 축전기(220)의 충전량과 제2 감지부(260)에서 측정된 제2 축전기(250)의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비교하고, 충전된 양이 많은 축전기의 에너지를 LED(13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감지부(230)의 측정된 제1 축전기(220)의 충전량이 많다면, 풍력발전원(200)의 LED(130) 공급라인을 개방하여 LED(13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감지부(260)의 측정된 제2 축전기(250)의 충전량이 많으면, 태양광발전원(200)의 LED(130) 공급라인을 개방하여 LED(13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처럼 대체에너지인 풍력발전원(200)과 태양광발전원(200)을 함께 구비하고, 실시간으로 각각의 발전원(200)으로부터 생산되어 충전된 충전량을 비교하여 더 많이 충전된 축전기의 전력을 LED(130)에 공급하게 함으로써, LED(130)의 전력 공급 중단을 예방하고, LED(130)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주위 조도에 따라 LED(130) 조도가 변화하는 도로표지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100)에는 조도측정부(110)가 결합되어 있다.
조도측정부(110)는 도로표지판(100)에 결합되어 주위의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된다. 주위 조도는 맑고 화창한 주간에는 높아지고, 야간이나 흐린 날씨 등의 환경에서는 낮아지게 된다.
맑고 화창한 주간에는 도로표지판(100)의 LED(130)를 밝힐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LED(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반대로 야간이나 흐린 날씨 등의 환경에서는 운전자 등을 위하여 도로표지판(100)을 밝게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LED(130)에 전력을 공급하여 도로표지판(100)을 밝힌다.
또한, 야간이나 흐린 날씨의 경우에도 조도는 달라질 수 있고, 다양한 조도에 따라서 LED(13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예방해야 한다.
디머모듈(120)은 조도측정부(110)와 연결되어, LED(130)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고, 나아가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도 제어한다.
디머모듈(120)은 조도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조도에 따라서 전원(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게 된다. 전력의 조절은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포함한다. 맑고 화창하여 조도가 높은 경우 디머모듈(120)은 전원(200)으로부터 LED(13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여 전력을 세이브 한다.
야간이나 흐린 날씨의 경우에도 조도에 따라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체에너지로부터 발전한 전력의 양은 많지 않은데, 이러한 디머모듈(120)을 통한 효율적 전력소모를 통하여 대체에너지로도 안정적으로 도로표지판(100)의 LED(130)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도로표지판
110: 조도측정부
120: 디머모듈
130: LED
200: 전원
210: 풍력발전모듈
220: 제1 축전기
230: 제1 감지부
240: 태양전지모듈
250: 제2 축전기
260: 제2 감지부
300: 제어부

Claims (4)

  1. LED를 구비한 도로표지판;
    상기 LED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
    상기 도로표지판에 결합되어 주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 및
    상기 전원과 상기 LED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도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조도에 따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LED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원이거나 또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원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풍력발전원은,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모듈;
    상기 풍력발전모듈로부터 생산된 풍력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LED에 공급하는 제1 축전기; 및
    상기 제1 축전기에 충전된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발전원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전지모듈;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생산된 태양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LED에 공급하는 제2 축전기; 및
    상기 제2 축전기에 충전된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서 각각 측정된 충전된 양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충전된 양이 많은 축전기의 에너지를 상기 LED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위 조도에 따라 LED 조도가 변화하는 도로표지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65726A 2016-12-07 2016-12-07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KR10174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26A KR101743408B1 (ko) 2016-12-07 2016-12-07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26A KR101743408B1 (ko) 2016-12-07 2016-12-07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408B1 true KR101743408B1 (ko) 2017-06-05

Family

ID=5922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726A KR101743408B1 (ko) 2016-12-07 2016-12-07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19B1 (ko) * 2017-08-11 2018-03-08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US10832598B2 (en) 2018-05-08 2020-11-10 Altech Co., Ltd. Light emitting sign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including solar-responsive light sens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921B1 (ko) * 2011-03-23 2011-10-31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Led 내부조명식 도로표지판
KR101375229B1 (ko) * 2012-02-28 2014-03-18 주식회사 퓨처테크 계통 연계형 가로등 시스템 내의 가로등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921B1 (ko) * 2011-03-23 2011-10-31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Led 내부조명식 도로표지판
KR101375229B1 (ko) * 2012-02-28 2014-03-18 주식회사 퓨처테크 계통 연계형 가로등 시스템 내의 가로등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19B1 (ko) * 2017-08-11 2018-03-08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US10526757B2 (en) 2017-08-11 2020-01-07 Altech Co., Ltd. Light emitting sign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US10832598B2 (en) 2018-05-08 2020-11-10 Altech Co., Ltd. Light emitting sign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including solar-responsive light sens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482B1 (ko) 교통신호 시스템
JP6750065B2 (ja) 光ファイバ発光型標識装置
KR101743408B1 (ko) 주위 조도에 따라 밝기 조절이 되는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KR10166375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체 발광 교통 표지판
KR101956781B1 (ko) 조명식 도로표지시스템
KR101943016B1 (ko) 도로 표지병 제어 장치
CN201259139Y (zh) 太阳能雾气道钉灯
CN103236723A (zh) 一种在基于路灯下工作的多模式供电装置
KR200404631Y1 (ko) 태양열을 이용한 발광표지판
CN202203839U (zh) 一种太阳能供电的智能化led照明系统
US20010055206A1 (en) Lightning fixture for showing roadway diversion
CN2923809Y (zh) 道路交通线形诱导标装置
KR20110007430U (ko)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표지장치
KR20130046962A (ko) 풍력발전기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정보를 표시하는 독립형 가로등
KR20140136121A (ko) 태양광 발전을 사용하는 엘이디램프와 축광 발광제를 활용한 무전력 도로 안내용 표지봉
CN206157604U (zh) 一种道路警示桩
JP4565132B2 (ja) 風力回転式視線誘導標
JP2006288039A (ja) 屋外照明装置
KR200206705Y1 (ko) 야간용 도로 표지판 조명 장치
KR102046533B1 (ko) 차량의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20140019068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GB2519352A (en)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street light
CN203684127U (zh) 亮度自动调节的自发光路标
KR100268577B1 (ko)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경고등 점멸장치
KR200311363Y1 (ko) 풍력발전기와 태양발전기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