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565B1 -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enhanced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Google Patents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enhanced earthquake-proof perform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2565B1 KR101742565B1 KR1020160166484A KR20160166484A KR101742565B1 KR 101742565 B1 KR101742565 B1 KR 101742565B1 KR 1020160166484 A KR1020160166484 A KR 1020160166484A KR 20160166484 A KR20160166484 A KR 20160166484A KR 101742565 B1 KR101742565 B1 KR 101742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unit slab
- lower unit
- upper unit
- slab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공장에서는 부품의 개수를 적게 하면서도 운송에 불편함이 없도록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고, 나아가 현장에서는 한정된 토지에 높이를 크게 하여 보다 큰 용적의 저류조를 빠른 시간에 설치하면서도 지진이나 지하철 인근에서의 지하철에 의한 진동과 같은 횡방향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극대화되어 내진 성능이 향상된 내진 강화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that can be made small in size so as not to inconvenience transportation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in a factory, and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resistant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by maximizing the resistance to lateral external forces such as earthquakes and vibrations caused by a subway in the vicinity of a subway while installing the storage tank at a high speed.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건물이 증가하고 지표의 포장률이 상승함에 따라서 강우 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투하는 일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강수량에 따라 하수도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홍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지중에 침투되는 수량이 적어지면 지하수량이 부족해져 가뭄은 물론 갈수기에 하천이 말라 수질이 악화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As the urbanization progresses, the buildings are increasing and the packing ratio of the land is rising. Therefore, the tendency of the rainwater to flow directly into the sewer or the river is increased without penetrating the underground. As a result, floods may occur if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sewer or river exceeds the allowable amount depending on the amount of precipit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water penetrated into the ground is decreased, the underground water becomes insufficient, This is causing the deterioration.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강우 시에 빗물을 저류하여 보관하고, 필요 시에 하천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빗물 저류조(貯溜槽) 등의 설치가 의무화(예를 들면,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되고 있다.For this reason, recently, it has become mandatory to install rainwater storage reservoirs (for example, the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of Reuse of Water) that can store rainwater and store it when necessary in the event of rainfall .
이와 같은 빗물 저류조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기 제작된 콘크리트 저류 블록들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인건비와 공사비도 증가하는 한편 안전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미리 제작해놓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Such a rainwater storage tank is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on sit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constructed concrete storage blocks on site. However, the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by pouring concrete in the field increases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precast concrete block in the field because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the labor cost and construction cost are increased,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s high .
그런데,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은 기둥과 보, 슬래브가 각기 따로 만들어져 부품의 개수가 많고 이 때문에 현장에서 조립할 때 부재의 양중작업 회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경간이 긴 저류조를 건설할 때에는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경간이 긴 저류조의 경우에는 슬래브의 부피가 커지는데, 이 때문에 슬래브를 운송할 때 전주나 신호등, 교통표지판 등의 도로구조물과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크고, 간섭이 생겼을 때에는 이를 처리하기 위해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block, since the column, the beam, and the slab are formed separately,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Therefore, when assembling in the field, the number of working work of the member increases.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e case of a long-span long-term storage tank, the volume of the slab becomes large. Therefore, when the slab is transport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interference with road structures such as electric poles, traffic lights, traffic signs, and the lik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labor and time consumin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송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비교적 작은 부피의 육면체 블록을 다수 준비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블록을 조립하여 완성된 저류조는 그 내부가 서로 뚫려 있어 저류된 우수가 서로 통하여야 하기 때문에, 육면체 블록의 모든 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저류조 블록을 미리 제작하고 나중에 외벽을 이루는 면에 대해서는 일일이 개방면을 막는 공사를 해야 했다. 그러나, 이런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그만큼 누수의 위험도 높다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assembling a large number of hexahedral blocks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with no problem in transportation and assembling them in the field has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the storage tank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locks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is pierced with each other, the stored stormwater must pass through each other. Therefore, the storage tank block is formed in advance so that all surfaces of the hexahedron block are opened, I had to do the work to prevent the opening of each one. However, this operation is quite cumbersome and has a drawback that the risk of leakage is high.
또한, 근래에는 우리나라도 지진 발생의 빈도가 높아져 이에 대한 대비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데, 아직까지 다수의 블록을 조립하는 구조의 저류조에 있어서는 내진 성능에 대한 대비가 없어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trong demand for earthquake occurrence in Korea as well. Therefore, there is no preparation for seismic performance in the case of a structure that assembles a large number of blocks. .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의 개수를 적게 하면서도 운송에 불편함이 없도록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고, 나아가 내진 성능이 향상된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capabl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so as not to inconvenience transportation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furthe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There is purpose in thing.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는, 좌측벽과 우측벽 및 상기 좌·우측벽을 연결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N개(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대칭 형상을 가지는 N개의 제1 상부 유닛슬래브가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이 상하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하나의 관통된 저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걸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끼리의 연결면 및 제1 상부 유닛슬래브끼리의 연결면 사이는 각각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저류 공간의 양쪽 면이 유닛 벽체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lower unit slab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cluding a left wall and a right wall and a slab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s; The first and second upper unit slabs and the N first upper unit slabs having a symmetrical sha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left wall and the right wall vertically to form one penetrating storage spac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means having protrusions inserted in grooves formed on upper and lower connecting surfaces between the first upper unit slabs and between the connecting surface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s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groove and a projection, and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are closed by a unit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의 좌·우측벽의 양단부 또는 중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이격 형성된 요홈에 설치되는 바 형태의 커플링 보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upling means is installed in a groove formed at least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Bar-shaped coupling can be seen.
이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연결면 사이는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surfaces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may b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groove and a proj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의 좌·우측벽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요홈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upling means includes a plate-shaped couple provided on a groov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Ring slab.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의 좌·우측벽에 대한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의 좌·우측벽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Here, the heights of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first upper unit slab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may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 및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의 각 좌·우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을 따라 장력이 가해진 와이어 로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least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a wire rope having tension applied along the through holes is installed May be preferred.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 및 제1 상부 유닛슬래브의 각 좌·우측벽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한편,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는,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의 폭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1 하부 유닛슬래브와,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와 폭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1 상부 유닛슬래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가 서로 접하는 측벽 및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가 서로 접하는 측벽에는 개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 제1-1 하부 유닛슬래브, 제1 상부 유닛슬래브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가 형성하는 저류 공간의 양쪽 면이 모두 유닛 벽체로 폐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1-1 first lower unit slab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a 1-1 second lower unit slab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unit slab in the width direction, Wherein the side 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lower unit sla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idewalls of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first lower unit slab, the first lower unit slab,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can be closed by the unit wall.
여기서, 상기 개구면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 및 상기 제1-1 상부 유닛슬래브의 측벽이 모두 접하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opening surface is formed around a point where the side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the first lower unit slab,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are all in contact with each other Lt; / RTI >
나아가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와 상기 제1-1 상부 유닛슬래브는 상기 폭 방향으로 각각 M개(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연결되고,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 및 상기 제1-1 상부 유닛슬래브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에는 개구면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re connected to the 1-1 st lower unit slab and the 1-1 st upper unit slab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1-1 st lower unit slabs The sidewall and the sidewall contacting the first to the first upper unit slabs may be formed with openings.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연결면, 제1-1 하부 유닛슬래브끼리의 연결면,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연결면, 제1-1 상부 유닛슬래브끼리의 연결면 사이는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lower unit slab,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The connecting surfaces of the first to the first upper unit slabs may b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groove and a projection.
그리고,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여 교번으로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되고, 상기 교번으로 설치되는 커플링 수단은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요홈에 삽입되는 두 개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upling means includes coupl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urfaces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alternately connects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the alternate coupling means may include two protrusions inserted into two groove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는 몇 종류의 하부 유닛슬래브와 상부 유닛슬래브 및 유닛 벽체를 상호 연결 및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와 형태의 빗물 저류조를 쉽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개수를 적게 하면서도 운송에 불편함이 없도록 작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편리해져서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cast storm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easily form a rainwater storage tank of desired size and shape by interconnecting and assembling several types of lower unit slabs, upper unit slabs and unit walls. Therefore, since the number of parts can be made small and the size can be made small so as not to in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the construction becomes very convenient,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는 커플링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횡 방향의 힘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프리캐스트 부품을 조립하는 구조임에도 내진 성능이 우수하다는 등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가진다.Further, the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coupling means,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lateral force, which gives the greatest damage when an earthquake occurs, is improved and therefore, Thereby maximizing the structural safety.
아울러 커플링 수단으로서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종 전기 시설이나 펌프 장비 등을 커플링 슬래브로 격리된 공간 안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어 단면분할을 통하여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도 가진다.In addition, when a plate-type coupling slab is used as a coupling means, various electric facilities and pump equipment can be integrally installed in a space separated by a coupling slab, thereby maximizing utilization of precast rainwater storag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한정된 토지에 보다 큰 규모의 저류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저류조의 높이(깊이)가 커야 하는데, 높이가 커지면 우려되는 횡방향 외력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여 8m 높이의 저류조도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install a larger-sized reservoir on a limited land, the height (depth) of the reservoir must be large. However, when the height is increased,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lateral external force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를 조립하기 위한 상·하부 유닛슬래브의 기본적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하부 유닛슬래브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상·하부 유닛슬래브에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가 설치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커플링 슬래브가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하부 유닛슬래브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2×2로 연결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개구면이 형성된 유닛슬래브 중의 하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상·하부 유닛슬래브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2×3으로 연결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상·하부 유닛슬래브가 폭 방향을 따라 5개 연결된 상태를 커플링 수단을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basic connection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unit slabs for assembling a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unit slabs are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late-shaped coupling slab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unit slabs of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in which a coupling slab is installed;
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upper and lower unit slabs are connected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in a widthwise direction by 2x2;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one of the unit slabs formed with the openings of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unit slabs are connected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a widthwise direction at 2 × 3;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ve upper and lower unit slabs are connec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coupling means as a cen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할 것이며,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well-known structure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elem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element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면서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coupled "or" connected "indirectly while intervening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10)를 조립하기 위한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200)의 기본적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전후좌우, 상하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이러한 용어들은 구성요소를 서로 구별하여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주된 목적일 뿐이므로 그 용어에 구속되어 발명을 좁게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basic connection structure of upper an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10)는 기본적으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커플링 수단(400), 그리고 유닛 벽체(500)를 포함한다.The precast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는 좌측벽(300)과 우측벽(310), 그리고 상기 좌·우측벽(300, 310)을 연결하는 슬래브(320)를 포함하는 "ㄷ"자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이다.The first
이에 대응하는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는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대칭 형상을 가진다. The corresponding first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는 좌측벽(300)과 우측벽(310)이 상하로 연결되어 사각 단면 형상인 하나의 관통된 저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는 좌측벽(300)과 우측벽(310)이 서로 결합하는 연결면은 홈(600)과 돌기(610)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어느 한쪽 유닛 슬래브의 좌·우측벽(300, 310)에 홈(600) 구조가 형성되고, 다른 쪽 유닛 슬래브의 좌·우측벽(300, 310)에는 대응하는 돌기(610)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홈(600)과 돌기(610)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상하 정렬을 맞추고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여기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에 대해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가 대칭 형상을 이룬다는 것은 완전한 대칭(합동)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좌측벽(300)과 우측벽(310) 및 슬래브(320)를 포함하는 기본 구조에 있어 동일하다는 좀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는 좌측벽(300)과 우측벽(310)이 상하로 연결되기 위해서 슬래브(320)의 길이는 동일하여야 한다.The fact that the firs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10)는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걸쳐 형성된 요홈(330)에 삽입되는 돌출부(405)가 구비된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400)을 포함한다.The precast
커플링 수단(400)은 실시형태에 따라 바 형태의 커플링 보(410)이거나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420)일 수 있는데, 공통적으로 그 기능은 상하로 연결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에 작용하는 횡 방향 외력, 대표적으로는 지진파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coupling means 400 may be a bar shaped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10)는 상하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그리 약하지 않지만,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위로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가 올라간 구조이기 때문에 횡 방향 진동에는 약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걸쳐 형성된 요홈(330)에 커플링 수단(400)의 돌출부(405)를 끼워 넣음으로써 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켰으며, 이는 곧 내진 성능이 강화됨을 의미한다.Since the precast
한정된 토지에 저류조를 크게 만들려면 저류조의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고, 저류조의 높이가 높아지면 횡방향의 외력에 매우 취약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커플링 수단(400)을 채택하였다. 이로서, 프리캐스트를 이용하면서도 한정된 공간에 더욱 크면서도 안정적인 저류조의 건설이 가능하게 되었다.In order to make the storage tank large in a limited land, the height of the storage tank must be increased. When the height of the storage tank is increased, the storage tank is very vulnerable to the lateral external force.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a larger but more stable reservoir in a confined space while using precast.
그리고, 상하로 연결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가 그 안쪽에 형성하는 저류 공간의 양쪽 면은 유닛 벽체(500)가 결합되어 폐쇄됨으로써 빗물을 저류할 수 있는 구조로 완성된다. 유닛 벽체(500) 역시 홈(600)과 돌기(610) 구조로서 좌·우측벽(300, 310)과 슬래브(320)에 대해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도면에서는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10)의 내부 구조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유닛 벽체(500)의 도시를 생략할 것이다.Both side surfaces of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first
도 1은 한 쌍의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커플링 수단(400), 유닛 벽체(500)로 이루어진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개개의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크기는 운송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작은 사이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실제 빗물 저류조(10)의 시공에 있어서는 도 1의 연결구조가 종횡으로 확장되어야 한다.1 illustrates a basic structure of a pair of first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1의 기본 구조가 길이 방향(L), 즉 저류 공간이 연이어 연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5, a structure in which the basic structure of Fig. 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tention spaces extend in success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200)가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및 이에 대응하는 N개의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가 하나의 관통된 저류 공간을 형성하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이어 연결된다. 또한,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400) 역시 개개의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걸쳐 설치된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and
그리고, 도 1에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가 홈(600)과 돌기(610) 구조로 연결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끼리의 연결면 및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끼리의 연결면 사이 역시 각각 홈(600)과 돌기(610) 구조로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류 공간의 양쪽 면은 유닛 벽체(500)로 폐쇄된다.1, the first
길이 방향(L)으로의 확장은 간단한데, 다만 길이 방향(L)으로 연결된 각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끼리가 서로 밀착되는 힘을 가하여 하나의 구조물처럼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The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simple, except that the first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및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각 좌·우측벽(300, 31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 홀(70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 홀(700)을 따라 장력이 가해진 와이어 로프(710)를 설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각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를 하나로 묶을 수 있다. 물론 유닛 벽체(500)에도 대응하는 관통 홀(700)을 형성하여 함께 묶을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3, at least two of the first and second
복수 개로 형성되는 관통 홀(700)의 위치는 와이어 로프(710)의 장력이 골고루 작용하도록 균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및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각 좌·우측벽(300, 310) 양단부에 관통 홀(700)을 형성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through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400)은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우측벽(300, 310)의 양단부 및/또는 중간부에 이격 형성된 요홈(330)에 설치되는 바(bar) 형태의 커플링 보(410)이다.The plurality of coupling means 400 shown in FIGS. 1 to 3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도 4는 커플링 수단(400)으로서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우측벽(300, 310)의 길이 방향(L) 전체에 걸쳐 형성된 요홈(33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420)를 적용하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커플링 슬래브(420)의 양쪽을 따라서는 요홈(330)에 삽입되는 돌출부(405)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플링 수단(400)으로서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420)를 적용할 때에는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연결면에 홈(600)과 돌기(610) 구조를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커플링 슬래브(420)를 적용하게 되면 횡 방향 힘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는 한편,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내부의 저류 공간은 서로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아래쪽 공간은 빗물의 저류 공간으로 활용하는 한편 위쪽 공간은 각종 전기 시설이나 펌프 장비 등을 일체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빗물의 저류 공간으로만 활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좀더 다양한 지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application of the
커플링 슬래브(420)를 이용하여 두 개의 격리 공간을 만들 때에는 어느 한쪽의 공간을 더 크게 하는 것이 공간 활용 상 더 바람직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의 좌·우측벽(300, 310)에 대한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우측벽(300, 31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만들 수도 있다.When making the two isolation spaces using the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연결면에는 실링 부재를 끼워넣거나 방수제를 주입하는 등의 실링 처리를 하여 누수를 방지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실링 처리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무방할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t is necessary to seal each connection surface with a sealing member such as a sealing member or a waterproofing agent. Such a sealing process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다음으로, 도 2의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200)가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는 구조를 폭 방향(W)으로 확장하는 구성에 대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and
도 6은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110, 200, 210)가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으로 2×2로 연결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인데, 도 2의 구조가 폭 방향(W)으로 확장된 것이다. 구별을 위해서, 폭 방향(W)으로 확장된 상·하부 유닛슬래브(110, 210)에 대해서는 각각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로 지칭하기로 한다.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and
여기서, 폭 방향(W) 확장시에 더 고려되어야 할 것은 좌·우측벽(300, 310)으로 막혀 있는 각 열의 저류 공간을 연통시켜야 한다는 것이다.Here, it should be further considered that the retention spaces of the respective columns blocked by the left and
이를 위해,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가 서로 접하는 측벽 및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가 서로 접하는 측벽에는 개구면(3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sidewalls of the first
즉, 도 7은 도 6의 개구면이 형성된 유닛슬래브 중의 하나인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인데, 이와 같이 폭 방향(W)으로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110, 200, 210)에 대해 저류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개구면(340)이 일 측벽(300 또는 310)에 형성되며, 각 유닛슬래브에 형성된 개구면(340)이 합쳐져서 집수된 빗물이 서로 통하는 일종의 통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That is,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여기서, 도 7에는 전술한 홈(600)과 돌기(610) 구조가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에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복수의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110, 200, 210)가 도시된 다른 일부 도면에서는 그 연결구조를 좀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홈(600)과 돌기(610) 구조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7, the structure of the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측벽이 모두 접하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개구면(340)이 균등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개구면(340)을 형성하면,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110, 200, 210)가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으로 2×2로 연결되었을 때 그 중간에 충분한 크기의 통로가 만들어진다.6, the first
도 8은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110, 200, 210)가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으로 2×3으로 연결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인데, 도 6과 다른 부분은 가운데 열의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는 양 측벽 모두에 개구면(340)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중간에 끼여 있는 열의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는 양 측벽 모두에 개구면(340)이 형성되어 있어야 모든 저류 공간이 연통되기 때문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and
이를 정리하면,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는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10)의 폭 방향(W)으로 각각 M개(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연결되며, 이때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에는 모두 개구면(340)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first 1-1
여기서, 반드시 길이 방향(L)의 모든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에 대해 개구면(340)을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접한 길이 방향(L)의 저류 공간이 어느 한 지점에서라도 서로 연통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전체 저류 공간은 하나로 연결되기 때문이다.Here,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form the
그리고,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사이의 연결면,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끼리의 연결면,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의 연결면,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끼리의 연결면 사이가 모두 홈(600)과 돌기(610) 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The connecting surfaces of the first
나아가, 길이 방향(L)으로 배열된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200)를 장력이 가해진 와어어 로프(710)를 이용하여 하나로 묶는 것과 유사하게, 폭 방향(W)으로 확장된 상·하부 유닛슬래브(110, 210) 사이를 견고하게 묶어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Further,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폭 방향(W)으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구조는 커플링 수단(400)을 이용한다. 여기서, 커플링 수단(400)은 커플링 보(410)와 커플링 슬래브(42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어떤 커플링 수단(400)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coupling means 400 is used for a rigid conn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 Here, the coupling means 400 includes both the
도 9를 참조하면, 커플링 수단(400)은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된 맨 처음(도면상 가장 좌측)의 커플링 수단(400)을 포함하여 교번으로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되는데, 여기서 교번으로 설치되는 커플링 수단(400)은 폭 방향(W)으로 연속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요홈(330)에 삽입되는 두 개의 돌출부(405)를 구비하게 된다.9, the coupling means 400 includes a first coupling means (leftmost in the drawing)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urfaces between the first
즉, 하나의 커플링 수단(400)의 일단에 두 개의 돌출부(405)가 구비되고, 이 두 개의 돌출부(405)가 폭 방향(W)으로 연이어 붙어있는 두 개 좌·우측벽(300, 310)에 각각 구비된 요홈(330)에 각각 끼워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커플링 수단(400)의 교번 배치를 통해 폭 방향(W)으로 확장된 각 상·하부 유닛슬래브(110, 210)는 서로 번갈아가며 하나로 묶이고, 이를 통해 전체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110, 200, 210)는 폭 방향(W)으로 마치 하나의 구조물처럼 강하게 연결된다.That is, two
물론, 상·하부 유닛슬래브(100, 110, 200, 210)의 측면에는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인접한 슬래브와 결합하는 홈 돌기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는 시공상의 편리성 뿐 아니라 양자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좌측벽(300)과 우측벽(310) 및 상기 좌·우측벽(300, 310)을 연결하는 슬래브(320)를 포함하는 N개(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100),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대칭 형상을 가지는 N개의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가 상기 좌측벽(300)과 우측벽(310)이 상하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폭 방향으로 각각 M개(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연결되는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의 폭 방향으로 M개 연결되는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가 연결되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가 서로 접하는 측벽과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 및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가 서로 접하는 측벽과 상기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에는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상기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측벽이 모두 접하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개구면(340)이 형성되어 하나의 관통된 저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가 형성하는 저류 공간의 양쪽 면이 모두 유닛 벽체(500)로 폐쇄되되,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좌·우측벽(300, 310)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7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홀(700)을 따라 장력이 가해진 와이어 로프(710)를 설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를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우측벽(300, 310)의 양단부와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측벽 양단부 또는 중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이격 형성된 요홈(330)에 설치되는 바 형태의 커플링 보(410) 또는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우측벽(300, 310)과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측벽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요홈(33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420) 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되고, 교번으로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의 상하 연결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수단(400)은 맨처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측벽(300)에 형성된 요홈 및 맨 처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우측벽(310)과 이와 폭방향으로 서로 맞닿아 연속되게 배치되는 요홈(330)에 삽입되고, 마지막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우측벽의 요홈(330) 및 마지막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좌측벽과 이와 폭방향으로 서로 맞닿아 연속되게 배치되는 요홈(330)에 각각 삽입되도록 일단에는 하나의 돌출부(405)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두 개의 돌출부(405)가 구비되거나, 맨처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와 마지막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연이어 붙어있는 다수의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양측벽에 구비된 요홈(330)에 끼워지도록 양단에 두 개의 돌출부(40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되는 커플링 수단은 하나 씩 건너띄어 교번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는 폭 방향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될 수 있다.Of course, as shown in FIG. 2 or 7,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The number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cluding the
A first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first
Both ends of the left and
The coupling means 400 is formed by first joining the first
Here, a coupl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surfaces between the firs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내용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
100: 제1 하부 유닛슬래브 11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
200: 제1 상부 유닛슬래브 210: 제1-1 상부 유닛슬래브
300: 좌측벽 310: 우측벽
320: 슬래브 330: 요홈
340: 개구면 400: 커플링 수단
405: 돌출부 410: 커플링 보
420: 커플링 슬래브 500: 유닛 벽체
600: 홈 610: 돌기
700: 관통 홀 710: 와이어 로프
L: 길이 방향 W: 폭 방향10: Precast rainwater pond
100: first lower unit slab 110: first lower unit slab
200: first upper unit slab 210: first-1st upper unit slab
300: left side wall 310: right side wall
320: slab 330: groove
340: opening face 400: coupling means
405: protrusion 410: coupling beam
420: coupling slab 500: unit wall
600: groove 610: projection
700: Through hole 710: Wire rope
L: longitudinal direction W: width direction
Claims (7)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폭 방향으로 각각 M개(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연결되는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와,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의 폭 방향으로 M개 연결되는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가 연결되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가 서로 접하는 측벽과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 및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가 서로 접하는 측벽과 상기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끼리 서로 접하는 측벽에는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상기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측벽이 모두 접하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개구면(340)이 형성되어 하나의 관통된 저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가 형성하는 저류 공간의 양쪽 면이 모두 유닛 벽체(500)로 폐쇄되되,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좌·우측벽(300, 310)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7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홀(700)을 따라 장력이 가해진 와이어 로프(710)를 설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를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우측벽(300, 310)의 양단부와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측벽 양단부 또는 중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이격 형성된 요홈(330)에 설치되는 바 형태의 커플링 보(410) 또는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우측벽(300, 310)과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측벽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요홈(33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슬래브(420) 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되고, 교번으로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의 상하 연결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커플링 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커플링 수단(400)은
맨처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좌측벽(300)에 형성된 요홈 및 맨 처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의 우측벽(310)과 이와 폭방향으로 서로 맞닿아 연속되게 배치되는 요홈(330)에 삽입되고,
마지막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우측벽의 요홈(330) 및 마지막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좌측벽과 이와 폭방향으로 서로 맞닿아 연속되게 배치되는 요홈(330)에 각각 삽입되도록 일단에는 하나의 돌출부(405)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두 개의 돌출부(405)가 구비되거나,
맨처음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와 마지막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연이어 붙어있는 다수의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의 양측벽에 구비된 요홈(330)에 끼워지도록 양단에 두 개의 돌출부(405)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와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 사이의 상하 연결면에 설치되는 커플링 수단은 하나 씩 건너띄어 교번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 하부 유닛슬래브(100), 제1 상부 유닛슬래브(200), 제1-1 하부 유닛슬래브(110) 및 제1-1 상부 유닛슬래브(210)는 폭 방향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N first slab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of slabs 320 connecting the left wall 300 and the right wall 310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300 and 310, N first upper unit slabs 200 having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re formed by connecting the left wall 300 and the right wall 310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upper unit slab 210 connected to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The first to fourth lower unit slab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he side wall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nd the first lower unit slab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ide walls of the first upper unit slabs 110,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the first lower unit slab 210, and the first lower unit slab 210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s, An opening surface 340 is formed around a point where the sidewalls of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10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through- Forming,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the first lower unit slab 110,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10 are all Closed by the unit wall 500,
The left and right walls 300 and 310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the first lower unit slab 110,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10, At least two through holes 700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to provide a tensioned wire rope 710 along the through hole 700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lower unit slabs 100, The first lower unit slab 110,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single structure,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s 300 and 310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nd both ends of the first lower unit slab 11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Shaped coupling beam 410 installed in a groove 330 spaced apart from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side wall of the side wall 210 or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upper unit slab 100, 20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300 and 310 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walls of the 1-1 st lower unit slab 110 and the 1-1 st upper unit slab 210 The coupling slab 42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urfaces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means 4 (4)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urfaces between the unit slabs 110 and the 1-1st upper unit slab 210 00)
The coupling means (400)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Is inserted into a groove (330) which is continuously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wall (310)
The last 1 st lower unit slab 110 and the groove 330 on the right side wall of the 1-1 st upper unit slab 210 and the last 1 st lower unit slab 110 and the 1-1 st One protrusion 405 is provided at one end and two protrusions 405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eft side wall of the unit slab 210 and the groove 330 continuously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eft wall of the unit slab 210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and the last first 1-1 lower unit slab 110 and the 1-1th upper unit slab 210 in the width direction Two protrusions 405 are provided at both ends so as to fit into the grooves 330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to fourth lower unit slabs 110 and the first to fourth upper unit slabs 210 attached thereto ,
And a coupling means provided on a vertically connecting surface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wherein the plurality of the first lower unit slabs (110) The coupl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urfaces between the unit slabs 210 are installed alternately one by one,
The first lower unit slab 100, the first upper unit slab 200, the first lower unit slab 110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210 are connected in a single structure in the width direction Wherein the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is a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상기 제1 하부 유닛슬래브와 제1-1 하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연결면, 제1-1 하부 유닛슬래브끼리의 연결면, 상기 제1 상부 유닛슬래브와 제1-1 상부 유닛슬래브 사이의 연결면, 제1-1 상부 유닛슬래브끼리의 연결면 사이는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surface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lower unit slab, a connecting surface between the first low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a connecting surface between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the first upper unit slab, And between the connection surfaces of the first to the first upper unit slabs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groove and a protrusion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6484A KR101742565B1 (en) | 2016-12-08 | 2016-12-08 |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enhanced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6484A KR101742565B1 (en) | 2016-12-08 | 2016-12-08 |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enhanced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2565B1 true KR101742565B1 (en) | 2017-05-31 |
Family
ID=5905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6484A KR101742565B1 (en) | 2016-12-08 | 2016-12-08 |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enhanced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256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7338A (en) * | 2021-03-26 | 2021-06-29 | 上海浦东混凝土制品有限公司 | Comparatively firm prefabricated utility tunnel of concaten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6565A (en) * | 2004-03-15 | 2005-09-22 | Sekisui Chem Co Ltd | Waterway constituent plate connecting member and waterway constituent plate connecting method making use of the connecting member |
-
2016
- 2016-12-08 KR KR1020160166484A patent/KR10174256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6565A (en) * | 2004-03-15 | 2005-09-22 | Sekisui Chem Co Ltd | Waterway constituent plate connecting member and waterway constituent plate connecting method making use of the connecting memb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7338A (en) * | 2021-03-26 | 2021-06-29 | 上海浦东混凝土制品有限公司 | Comparatively firm prefabricated utility tunnel of concatenation |
CN113047338B (en) * | 2021-03-26 | 2024-04-26 | 上海浦东混凝土制品有限公司 | Comparatively firm prefabricated utility tunnel of concaten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7774B1 (en) | Joint structure for diaphragm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diaphragm wall using the same | |
KR101713284B1 (en) | Seismic retrofit PC wall panel for RC frame, Seismic retrofit structure of RC frame using PC wal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81070B1 (en) | Wall structure for the water-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ng method | |
KR101210721B1 (en) |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 |
KR101255027B1 (en) | Precast rahmen type box culvert | |
CN108999288B (en) | Prefabricated assembled beam column node | |
KR100583939B1 (en) | Concrete basic structure of building | |
KR101742565B1 (en) | Precast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enhanced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
EP0882845A1 (en) | Partition structure having a screen | |
KR100869764B1 (en) | Earth of building land-side protection wall structure | |
KR101604726B1 (en) | Culvert connected by shear connect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425030B1 (en) | Retaining wall with a lattice structure | |
KR102309544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of a bui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 |
KR100448438B1 (en) | Steel frame and Section steel used therein | |
KR101742722B1 (en) | Block for revetment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thing | |
KR10065338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building housing development | |
KR101328027B1 (en) | Cutting the ground area breast wall and slant safe-guard structure | |
JP6279251B2 (en) | Water stop structure | |
KR101224380B1 (en) | Prefab water-storage tank | |
KR20000002621U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0512199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arth damping member of building | |
KR200258949Y1 (en) | Trusstype support structures for building landslide protection wall | |
KR10059234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with knuckle joint for road | |
JP3114141B2 (en) | Basement | |
JP6567350B2 (en) | Ready-made pile with heat exchange 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