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534B1 - 멀티 방향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멀티 방향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534B1
KR101742534B1 KR1020100067673A KR20100067673A KR101742534B1 KR 101742534 B1 KR101742534 B1 KR 101742534B1 KR 1020100067673 A KR1020100067673 A KR 1020100067673A KR 20100067673 A KR20100067673 A KR 20100067673A KR 101742534 B1 KR101742534 B1 KR 10174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delete delete
support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107A (ko
Inventor
최승욱
Original Assignee
(주)미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컴퍼니 filed Critical (주)미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0006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5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16Balancing devices using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407Ratche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1B2017/2929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 A61B2017/293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with means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actuating r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obo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멀티 방향 리트랙터가 개시된다.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하며,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픽업하여 견인하는 제1 견인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하며, 상기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픽업하여 견인하는 제2 견인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 견인부 및 상기 제2 견인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멀티 방향 리트랙터는 복수의 견인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조직을 간편하게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방향 리트랙터{Muti-ways retractor}
본 발명은 수술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방향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의학적으로 수술이란 피부나 점막, 기타 조직을 의료 기기를 사용하여 자르거나 째거나 조작을 가하여 병을 고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수술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여 열고 그 내부에 있는 기관 등을 치료, 성형하거나 제거하는 개복 수술 등은 출혈, 부작용, 환자의 고통, 흉터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에 소정의 구멍을 형성하여 최소 침습을 위한 의료 기기, 예를 들면, 복강경,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미세수술용 현미경 등만을 삽입하여 수행하는 수술 또는 로봇(robot)을 사용한 수술이 대안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 경우 환자의 수술 부위에 정확한 공간 확보를 위해 환자의 내부 조직(tissue)을 특정 위치로 견인하기 위한 리트랙터(retractor)가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리트랙터는 조직을 잡는 부위가 하나이거나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많은 조직에 적용될 때에는 많은 기구가 사용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소 침습 수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리트랙터를 구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복수의 견인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조직을 간편하게 견인하기 위한 멀티 방향 리트랙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하며,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픽업하여 견인하는 제1 견인부,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하며,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픽업하여 견인하는 제2 견인부,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하여, 제1 견인부 및 제2 견인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멀티 방향 리트랙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 견인부는,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잡는 제1 그립부, 일단은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제1 그립부에 결합하는 제1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견인부는, 제1 그립부의 그립 동작을 제어하는 제1 그립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부분이 제1 샤프트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그 내부에 수용되며, 돌출된 부분을 누르면, 제1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푸쉬 수단과, 제1 푸쉬 수단이 신장되는 경우 제1 그립부를 벌리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샤프트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 샤프트에 형성된 개방홀의 영역에 위치하여, 제1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2 푸쉬 수단과, 제2 푸쉬 수단이 제1 그립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그립부를 벌리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부분이 제1 샤프트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그 내부에 수용되며, 돌출된 부분을 누르면, 제1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푸쉬 수단과, 일단은 제1 푸쉬 수단과 결합하고, 타단은 제1 그립부와 결합하여, 제1 푸쉬 수단이 신장되는 경우 제1 그립부를 벌리는 로드와, 신장된 제1 푸쉬 수단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샤프트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 샤프트에 형성된 개방홀의 영역에 위치하여, 제1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2 푸쉬 수단과, 일단은 제2 푸쉬 수단과 결합하고, 타단은 제1 그립부와 결합하여, 제2 푸쉬 수단이 제1 그립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그립부를 벌리는 로드와, 이동한 제2 푸쉬 수단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견인부가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제1 견인부가 일단에 결합하는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의 타단에 인접하며, 제2 견인부가 일단에 결합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단에 제1 지지부의 타단이 결합하고, 타단에 제2 지지부의 타단이 결합하여,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탄성 인가부는 스프링 또는 자바라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결합하는 부분을 커버하는 지지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조절부는, 제1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랙 기어와, 랙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여 랙 기어를 이동시키는 래치 기어와, 래치 기어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레버와, 래치 기어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레버와 제2 레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눌린 경우 이를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 랙 기어와 래치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단에 랙 기어가 결합하고, 타단에 제2 지지부가 결합하여, 랙 기어와 제2 지지부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인가부를 더 포함하되, 랙 기어와 래치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 인가부에 의해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위치는 초기 설정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지부의 일측과 결합하여 지지부를 픽업하는 픽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픽업부의 수는 복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픽업부는 니들(needle) 형태로 형성되며, 환자의 복벽을 관통하거나, 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환자의 복벽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제1 견인부는,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픽업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견인부는 일단은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후크부에 결합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견인부의 일단과 제2 견인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견인 부재를 더 포함하되,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은 견인 부재에 올려져서 견인될 수 있으며, 견인 부재는 그물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인 샤프트,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픽업하여 견인하는 제1 견인부,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픽업하여 견인하는 제2 견인부 및 메인 샤프트의 타측에 결합하여, 제1 견인부 및 제2 견인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멀티 방향 리트랙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 견인부는,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잡는 제1 그립부와, 일단은 메인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제1 그립부에 결합하는 제1 견인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컨트롤러에 의해 회전되며, 제1 견인부를 메인 샤프트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1 노브와, 제1 노브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2 견인부를 메인 샤프트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2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부는 수술용 로봇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견인부 및 제2 견인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는 복수의 견인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조직을 간편하게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7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의 부분 내부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의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도 1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그립부(110a), 제2 그립부(110b), 제1 샤프트(120a), 제2 샤프트(120b), 제1 그립 제어부(125a), 제2 그립 제어부(125b), 제1 지지부(130a), 제2 지지부(130b), 지지부 커버(140), 픽업부(15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구성요소는 2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술시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tissue)을 들어서 수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견인부를 멀티 방향으로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견인부를 지지하고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수술 환자의 장기 등 내부 조직을 픽업하여 견인하는 2개 이상의 견인부를 서로 결합하여, 결합부위를 조작하거나 이동시키면 견인부가 이동함으로써 견인부 조작이 간편한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는 2개 이상의 견인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견인부가 2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그립부(110)는 수술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어 실제 수술시 수술 부위 및/또는 인접 부위를 픽업하기 위한 부재이다. 그립부(110)는 집게 동작(gripping)을 수행하는 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죠의 집게 동작은 그립 제어부(12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 제어부(125)는 버튼으로 구현되어 그립 제어부(125)를 샤프트(120)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그립부(110)는 벌어지고, 그립 제어부(125)의 눌림을 해제하는 경우 그립부(110)가 다물어지도록 하여 그립부(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죠(155)는 다물어지려는 기능이 초기 설정으로 구현되고, 그립 제어부(125)는 조작을 통해 그립부(110)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러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빨래 집게, 일반 집게 등에서와 같이 죠는 다물어지도록 소정의 탄성력 인가 수단으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고, 그립 제어부(125)는 탄성력에 대항하는 힘을 인가하여 죠가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립 제어부(125)는 사용자의 손,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등의 조작을 받아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그립 제어부(125)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그립부(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 제어부(125)는 구동휠로 구현되고, 구동휠은 한 쌍의 죠와 풀리(pulley) 결합될 수 있다. 구동휠과 한 쌍의 죠가 서로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한 벌의 와이어가 각 죠에 결합하는 방식, 한 벌의 와이어가 한 쌍의 죠에 결합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구동휠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한 쌍의 죠가 집게 동작을 하게 된다. 한 벌의 풀리 와이어를 통해 한 쌍의 죠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한 쌍의 죠를 서로 기어 등으로 연결하고 한 쌍의 죠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죠가 결합된 부분에 풀리 와이어를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한 벌의 풀리를 사용하여 한 쌍의 죠가 집게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샤프트(120)는 일단이 지지부(130)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단이 그립부(110)에 결합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립 제어부(125)는 샤프트(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여 그립부(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립 제어부(125)가 그립부(11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상술한 탄성력 인가 수단, 풀리, 와이어 등은 샤프트(1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견인부는 이러한 그립부(110), 샤프트(120) 및 그립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샤프트(120)가 결합하여 이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지지부(130)는 2개 이상으로 나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그립부(110a), 제1 샤프트(120a), 제1 그립 제어부(125a)를 포함하는 제1 견인부가 일단에 결합하는 제1 지지부(130a)와, 제1 지지부(130a)의 타단에 인접하며 제2 그립부(110b), 제2 샤프트(120b), 제2 그립 제어부(125b)를 포함하는 제2 견인부가 일단에 결합하는 제2 지지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지지부(13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샤프트(120)는 도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지지부(130)와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 커버(140)는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가 결합하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한다. 픽업부(150)는 지지부(130)와 결합하여 지지부(130)를 들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픽업부(150)는 지지부 커버(140)를 개재하여 지지부(130)와 결합하며, 사용자가 손,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이용하여 픽업부(150)를 집어서 이동시키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의 기구 전체가 이동할 수 있다. 픽업부(150)의 형상은 양단이 지지부 커버(140)에 연결된 끈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픽업부(150)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픽업부(15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픽업부(150)는 길게 연장되어 수술시 환자의 피부에 천공된 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픽업부(150)의 일단은 지지부(130)와 결합하며, 타단은 환자의 피부에 결합하여 조직을 특정 방향으로 견인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픽업부(150)는 그 길이가 조절가능하거나 또는 탄성력있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견인부 및/또는 제2 견인부는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샤프트(120a)가 제1 지지부(130a)와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제1 샤프트(120a)가 제1 지지부(130a)에 부착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립부(110)를 이용하여 환자의 조직을 다양한 방식으로 픽업할 수 있으며, 제1 샤프트(120a)가 제1 지지부(130a)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는 제2 견인부만 환자의 조직을 픽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복강안의 공간의 크기를 참고하여 견인부의 수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지지부(130a)가 지지부 커버(140)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는 서로 그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상술한 제1 견인부와 제2 견인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제1 견인부와 제2 견인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는 도시된 도면의 좌측처럼, 견인부가 지지부와 결합하는 부위(예를 들면, 도시된 제1 샤프트(120a)와 제1 지지부(130a)의 결합 부위)에서 견인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이격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도시된 도면의 우측처럼, 지지부(130b)를 이동시킴으로써,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의 조절에 관한 기술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130a), 제2 지지부(130b), 지지부 커버(140), 제1 간격 조절부(141a), 제2 간격 조절부(141b), 스프링(145), 픽업부(15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각 지지부(130)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간격 조절부(141)를 구비하여, 환자의 조직이 놓여 있는 상태에 따라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를 다양한 환자, 위치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의 사이에 탄성 인가부로서 스프링을 포함하여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에 탄성을 인가함으로써, 지지부의 고정, 이동 및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45)을 개재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는 스프링(145)으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서 서로 부딪히지 않고, 유연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141)는 지지부(130)에 결합하여 지지부(13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격 조절부(141)는 지지부 커버(140)에 결합하여 지지부(130)가 지지부 커버(140)에 수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13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간격 조절부(141)는 버튼이며, 간격 조절부(141)는 소정의 래치 기어의 회전을 제어하고, 래치 기어는 지지부(130)의 일단에 형성된 랙 기어와 결합할 수 있다. 즉, 간격 조절부(141)를 지지부 커버(140)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래치 기어가 회전하고, 래치 기어의 회전에 상응하여 랙 기어가 도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부(13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141)에는 소정의 탄성 수단이 결합하여 눌리는 경우 돌출된 상태로 다시 원상회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간격 조절부(141)가 래치 기어의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간격 조절부(141)를 돌림으로써 지지부(13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130a), 제2 지지부(130b), 지지부 커버(140), 제1 간격 조절부(141a), 제2 간격 조절부(141b), 자바라관(147), 픽업부(15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지지부(130) 사이에 탄성 인가부로서 주름진 자바라관(147)을 구비한 실시예이다. 자바라관(147)은 지지부(130)의 연장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바라관(147)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는 자바라관(147)으로부터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받아서 서로 부딪히지 않고, 유연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그립부(110a), 제2 그립부(110b), 제1 샤프트(120a), 제2 샤프트(120b), 제1 그립 제어부(125a), 제2 그립 제어부(125b), 제1 지지부(130a), 제2 지지부(130b), 제1 지지부 커버(140a), 제2 지지부 커버(140b), 픽업부(15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지지부 커버(140)가 제1 지지부 커버(140a)와 제2 지지부 커버(140b)를 포함하며, 제1 지지부 커버(140a)와 제2 지지부 커버(140b)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특징이 있다.
제1 지지부(130a)는 제1 지지부 커버(140a)에 삽입되고, 제2 지지부(130b)는 제2 지지부 커버(14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 커버(140a)가 제2 지지부 커버(140b)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견인부들의 말단에 결합한 제1 그립부(110a)와 제2 그립부(110b)의 이격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직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후크부(115a), 제2 후크부(115b), 제1 탄성부(127a), 제2 탄성부(127b), 제1 지지부(130a), 제2 지지부(130b), 지지부 커버(140), 픽업부(15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그립부(110) 대신 후크부(115)를 이용하여 조직을 픽업하는 특징이 있다. 후크부(115)는 후크 형상의 바늘을 이용하여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관통하여 픽업할 수 있다. 후크부(115)는 탄성부(127)와 결합하여 환자의 조직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127)는 스프링, 탄성끈(예를 들면, 고무줄)과 같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견인 부재(117), 제1 탄성부(127a), 제2 탄성부(127b), 제1 지지부(130a), 제2 지지부(130b), 지지부 커버(140), 픽업부(15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환자의 장기와 같은 조직을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견인 부재(11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견인 부재(117)는 그물망 등과 같이 부드러우면서도 환자 내부의 액체(예를 들면, 혈액)가 고이지 않는 부재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환자의 조직을 견인 부재(117)에 담고, 픽업부(150)를 이용하여 조직을 소정의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그립부(110a), 제2 그립부(110b), 제1 견인 샤프트(129a), 제2 견인 샤프트(129b), 메인 샤프트(135), 컨트롤부(16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멀티 방향 리트랙터를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와 같은 형상, 작동 방식 등으로 구현하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복수의 그립부(110), 샤프트(129, 135) 및 컨트롤부(160)를 구비하여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을 잡는 복수의 그립부(110)를 컨트롤부(160)를 통해 조작하는 특징이 있다.
컨트롤부(160)는 메인 샤프트(135)의 일단에 결합하여 제1 그립부(110a)와 제2 그립부(110b)의 집게 동작을 조작하고, 제1 견인 샤프트(129a)와 제2 견인 샤프트(129b)가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부(160)는 구동휠을 가지며, 컨트롤부(160)의 구동휠은 그립부(110)의 한 쌍의 죠와 풀리 결합될 수 있다. 구동휠과 한 쌍의 죠가 서로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한 벌의 와이어가 각 죠에 결합하는 방식, 한 벌의 와이어가 한 쌍의 죠에 결합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구동휠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한 쌍의 죠가 집게 동작을 하게 된다. 한 벌의 풀리 와이어를 통해 한 쌍의 죠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한 쌍의 죠를 서로 기어 등으로 연결하고 한 쌍의 죠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죠가 결합된 부분에 풀리 와이어를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벌의 풀리를 사용하여 한 쌍의 죠가 집게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는 로봇 수술 또는 수동식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멀티 방향 리트랙터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수술용 로봇 암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액추에이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컨트롤부(160)에 구비되는 구동휠(미도시)이 작동하며, 구동휠과 연결되고 수술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그립부(110)가 소정의 작동을 함으로써, 수술부위를 견인하게 된다. 구동휠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액추에이터에 클러칭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구동휠의 개수는 제어 대상의 개수에 상응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휠에 대한 기술은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와 관련된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 컨트롤부(160)는 사용자가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스틱 형상, 버튼 형상, 집게 형상, 레버 형상 등으로 구비되며, 이를 사용자가 조종하면, 해당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수술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그립부(110)가 소정의 작동을 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의 A영역에 대한 부분 내부도이다. 제1 견인부는 제1 견인 샤프트(129a)의 회전에 의해 메인 샤프트(135)에 대해 회전한다. 제1 견인 샤프트(129a)는 제1 노브(136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제1 노브(136a)는 컨트롤부(160)에 의해 그 회전이 제어된다. 즉, 제1 노브(136a)와 컨트롤부(160)는 와이어(137)에 의해 연결되고, 컨트롤부(160)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137)가 제1 노브(136a)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노브(136a)를 축으로 하는 제1 견인부가 회전한다. 또한, 제2 노브(136b)는 제1 노브(136a)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2 견인 샤프트(129b)는 제2 노브(136b)의 회전에 의해 메인 샤프트(135)에 대해 회전한다. 따라서 제1 견인부와 제2 견인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간격의 크기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견인 샤프트(129a)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노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제1 노브(136a)와 제2 노브(136b)가 서로 직접 맞물리지 않는 등 기타 다양한 메커니즘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그립부(110), 샤프트(120), 제1 푸쉬 수단(126), 탄성부재(128)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소정의 푸쉬 수단과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그립부의 그립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제1 푸쉬 수단(126)은 마름모 형상의 부재가 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샤프트(1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그 내부에 수용되며, 돌출된 부분을 누르면, 샤프트(12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제1 푸쉬 수단(126)은 서로 힌지 결합하는 4변으로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부재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샤프트(120) 측면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꼭지점을 샤프트(120) 방향으로 눌러서 제1 푸쉬 수단(126)을 샤프트(12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푸쉬 수단(126)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의 부재가 되는 등 샤프트(12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기타 다른 형상, 재질, 구조가 제1 푸쉬 수단(126)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부재(128)는 제1 푸쉬 수단(126)이 샤프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 그립부(110)를 벌어지게 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28)는 그 일단이 제1 푸쉬 수단(126)의 일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그립부(1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제1 푸쉬 수단(126)이 눌리는 경우 그립부(110)를 벌어지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립부(110)는 가위와 같이 중심 힌지 축이 샤프트(120)와 고정 결합하여, 제1 푸쉬 수단(126) 및 탄성부재(128)의 운동에 의해 그립 동작이 가능하다.
도 8a의 (A)는 제1 푸쉬 수단(126)이 눌리지 않아서, 그립부(110)가 다물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8a의 (B)는 제1 푸쉬 수단(126)이 눌려서, 그립부(110)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제1 푸쉬 수단(126)은 눌리지 않으면, 탄성력에 의해 도 8a의 (A)와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는 제1 푸쉬 수단(126)이 눌릴 때, 제1 푸쉬 수단(126)이 신장되어 그립부(110)가 벌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1 푸쉬 수단(126)이 눌릴 때, 제1 푸쉬 수단(126)이 축소되어 그립부(110)가 벌어지는 등과 같이 당업자가 자명하게 설계 변경, 구성요소 추가 및 치환 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 소정의 로드(124)를 더 포함하여 그립부(110)의 그립 동작을 구현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로드(124)는 제1 푸쉬 수단(126)의 신장 여부에 따라 그립부(110)의 그립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124)는 일단이 제1 푸쉬 수단(126)과 결합하고, 타단이 그립부(110)와 결합하여, 제1 푸쉬 수단(126)이 신장되는 경우 그립부(110)를 벌리고(도 8b의 (B)), 제1 푸쉬 수단(126)이 탄성부재(128)에 의해 다시 복원되는 경우 그립부(110)를 다시 다물게 한다(도 8b의 (B)). 이 경우 탄성부재(128)는 일단이 제1 푸쉬 수단(126)과 결합하고 타단이 샤프트(120)에 결합하여, 제1 푸쉬 수단(126)이 신장될 경우 복원력을 인가하여 제1 푸쉬 수단(126)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그립부(110), 지지대(119), 샤프트(120), 개방홀(121), 제2 푸쉬 수단(122), 탄성부재(128)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샤프트(120)에 형성된 소정의 구멍(window)을 이용하여 그립부의 그립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제2 푸쉬 수단(122)은 샤프트(1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샤프트(120)에 형성된 개방홀의 영역에 위치하여, 샤프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와 같은 의료 기기를 개방홀(121)에 삽입하여 지지대(119)와 제2 푸쉬 수단(122)의 상단을 가깝게 함으로써, 제2 푸쉬 수단(12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푸쉬 수단(122)이 그립부(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8)는 그립부(110)가 벌어지도록 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 소정의 로드(124)를 더 포함하여 그립부(110)의 그립 동작을 구현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로드(124)는 제2 푸쉬 수단(122)의 이동 여부에 따라 그립부(110)의 그립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로드(124)는 일단이 제2 푸쉬 수단(122)과 결합하고, 타단이 그립부(110)와 결합하여, 제2 푸쉬 수단(122)이 그립부(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립부(110)를 벌리고(도 9b의 (B)), 제2 푸쉬 수단(122)이 탄성부재(128)에 의해 다시 복원되는 경우 그립부(110)를 다시 다물게 한다(도 9b의 (B)).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8)는 일단이 제2 푸쉬 수단(122)과 결합하고 타단이 샤프트(120)에 결합하여, 제2 푸쉬 수단(122)이 그립부(110)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복원력을 인가하여 제2 푸쉬 수단(122)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멀티 방향 리트랙터의 개념도들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그립부(110a, 110b, 110c), 제1 내지 제3 샤프트(120a, 120b, 120c), 연결부(123), 지지부(130), 제1 픽업부(150a), 제2 픽업부(150b)가 도시된다. 그립부와 샤프트 등은 서로 결합 상태만이 일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3개의 샤프트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견인부의 개수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견인부가 지지부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하여, 조직의 견인이 필요한 경우 견인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견인부의 제1 내지 제3 샤프트(120a, 120b, 120c)는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착탈 가능한 결합 방식은 나사 결합 방식, 끼움 결합 방식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 가능한 방식이라면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서 견인부가 결합되는 지지부는 연결부(123)를 개재하여 제3 샤프트(120c)와 결합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리트랙터를 일직선으로 형성함으로써, 환자의 복강에 삽입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즉, 환자의 복강에 리트랙터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이를 일직선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바, 견인부가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리트랙터를 일직선으로 형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견인부를 착탈식으로 형성하면, 지지부와 견인부를 복강 내에 각자 따로 삽입한 후 복강 내에서 이를 조립하여 리트랙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부(130)도 착탈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30)가 서로 이탈되는 경우 도시된 원형의 지지부(130) 형상이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30)에는 복수의 픽업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멀티 방향 리트랙터의 다양한 픽업부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픽업부(150)는 니들(needle) 형상으로 연장된 부분(1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니들 형상 부분(170)은 환자의 복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 노출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리트랙터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픽업부(15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1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 형상 부분(180)을 이용하여 환자의 복벽에 전체 리트랙터를 걸어놓을 수 있으므로, 수술시 편리하게 리트랙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방향 리트랙터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130a), 제2 지지부(130b), 지지부 커버(140), 제1 레버(142a), 제2 레버(142b), 스프링(145), 제1 탄성수단(146a), 제2 탄성수단(146b), 제1 기어(148), 제2 기어(149)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간격 조절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한 실시예로서, 제1 기어(148)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149)가 수평 이동하며, 제1 기어(148)는 제1 레버(142a)와 제2 레버(142b)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레버(142a)를 누르면, 제1 기어(14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149)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2 레버(142b)를 누르는 경우, 제1 기어(14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149)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148)는 래치 기어, 제2 기어(149)는 랙 기어가 될 수 있다.
제1 레버(142a) 및/또는 제2 레버(142b)는 제1 탄성수단(146a) 또는 제2 탄성수단(146b)에 의해 탄성력이 인가되어 누르지 않는 경우 돌출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수단(146a)과 제2 탄성수단(146b)은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레버(142a)와 제2 레버(142b)를 동시에 모두 누르는 경우 제1 기어(148)가 들려서, 제1 기어(148)와 제2 기어(149)는 그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레버(142a)와 제2 레버(142b)를 동시에 모두 누르는 경우 제1 기어(148)가 이동하기 위해서, 각 레버의 일단에 제1 기어(148)를 들 수 있는 바(bar)를 결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제1 기어(148)와 제2 기어(149)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스프링(145)에 의해 제1 지지부(130a)와 제2 지지부(130b)의 위치는 초기 설정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실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a : 제1 그립부 110b : 제2 그립부
115a : 제1 후크부 115b : 제2 후크부
117 : 견인 부재 119 : 지지대
120a : 제1 샤프트 120b : 제2 샤프트
121 : 개방홀 122 : 제2 푸쉬 수단
123 : 연결부 124 : 로드
125a : 제1 그립 제어부 125b : 제2 그립 제어부
126 : 제1 푸쉬 수단 127a : 제1 탄성부
127b : 제2 탄성부 128 : 탄성부재
129a : 제1 견인 샤프트 129b : 제2 견인 샤프트
130a : 제1 지지부 130b : 제2 지지부
135 : 메인 샤프트 136a : 제1 노브
136b : 제2 노브 137 : 와이어
140 : 지지부 커버 141a : 제1 간격 조절부
141b : 제2 간격 조절부 142a : 제1 레버
142b : 제2 레버 145 : 스프링
146a : 제1 탄성수단 146b : 제2 탄성수단
147 : 자바라관 148 : 제1 기어
149 : 제2 기어 150 : 픽업부
160 : 컨트롤부 170 : 니들
180 : 복벽후크

Claims (2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tissue)을 들기 위한 견인 구조를 복수의 방향으로 형성하여 수술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리트랙터로서,
    연장 방향으로 서로 그 거리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보호하도록 커버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단이 수용되는 지지부 커버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술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어 수술에 필요한 부위를 픽업하는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술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어 수술에 필요한 부위를 픽업하는 제2 그립부와;
    상기 지지부 커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지지부 커버에 수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간격 조절부와;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가 수술에 필요한 부위를 집도록 제어하는 그립 제어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들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픽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가 수술에 필요한 부위를 집은 상태에서 상기 픽업부를 이동시켜 상기 후크가 상기 수술 환자의 복벽에 걸리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가 전체적으로 이동되어, 수술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수술 환자의 내부 조직이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방향 리트랙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상호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탄성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방향 리트랙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00067673A 2010-07-14 2010-07-14 멀티 방향 리트랙터 KR10174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73A KR101742534B1 (ko) 2010-07-14 2010-07-14 멀티 방향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73A KR101742534B1 (ko) 2010-07-14 2010-07-14 멀티 방향 리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7A KR20120007107A (ko) 2012-01-20
KR101742534B1 true KR101742534B1 (ko) 2017-05-31

Family

ID=4561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673A KR101742534B1 (ko) 2010-07-14 2010-07-14 멀티 방향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5660A4 (en) * 2018-04-27 2021-06-16 Shanghai Microport Medbot (Group) Co., Ltd. SURGICAL ROBOTIC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64B1 (ko) * 2013-12-17 2014-10-27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의료용 도구 고정 기구
US20180140290A1 (en) * 2016-11-22 2018-05-24 MedInvent Limited Dynamic Retractor System for Laparotomies and Cesarean Sections
KR102275440B1 (ko) * 2019-01-29 2021-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치료용 견인유닛
KR102299603B1 (ko) * 2019-09-06 2021-09-07 장상훈 외과수술용 견인기
US11931113B2 (en) * 2020-08-03 2024-03-19 Mazor Robotics Lt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tractor interference avoidance
CN113349849A (zh) * 2021-07-13 2021-09-07 王腾 一种脊柱外科手术的多向牵开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8107A1 (en) * 2006-10-10 2009-08-06 Park Adrian E Adjustable Line and Net Retractors
JP2009540934A (ja) * 2006-06-22 2009-11-26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ネブラスカ 磁気的連結可能ロボット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0934A (ja) * 2006-06-22 2009-11-26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ネブラスカ 磁気的連結可能ロボット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090198107A1 (en) * 2006-10-10 2009-08-06 Park Adrian E Adjustable Line and Net Retrac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5660A4 (en) * 2018-04-27 2021-06-16 Shanghai Microport Medbot (Group) Co., Ltd. SURGICAL ROBOT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7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534B1 (ko) 멀티 방향 리트랙터
US20220071622A1 (en) Instrument with multiple articulation locks
US9848940B2 (en) De-tensioning mechanism for articulation drive cables
EP3038542B1 (en) Control unit for a medical device
US9510824B2 (en) Low profile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5683349A (en) Laparoscopic dissection tension retractor device and method
US20160113732A1 (en) Surgical tool
US11612447B2 (en) Medical devices having three tool members
US20140188159A1 (en) Surgical tool
US20110238084A1 (en) Surgical instrument
EP2361577B1 (en) Tension mechanism for articulation drive cables
US20110238108A1 (en) Surgical instrument
US20190076160A1 (en) Articulable Endoscopic Instruments
US20230380918A1 (en) Surgical instrument, slave operating equipment, and surgical robot
JP2023517928A (ja) 医療装置のハンドル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241811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WO2019114823A1 (zh) 一种仿生手术器械
KR100956761B1 (ko) 플렉서블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U2018267581A1 (en) Laparoscopic tissue manipulation device
KR20100078551A (ko) 플렉서블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1330256B1 (ko) 가요성 복강경 수술기구
JP2002291765A (ja) 外科用処置具用の保持具
KR101703885B1 (ko) 비틀림 방식의 회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US20210298779A1 (en) Surgical device including two-cable hemispherical grasper
KR100994373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