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209B1 - 에지 그라인더 장치 - Google Patents

에지 그라인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209B1
KR101742209B1 KR1020160095231A KR20160095231A KR101742209B1 KR 101742209 B1 KR101742209 B1 KR 101742209B1 KR 1020160095231 A KR1020160095231 A KR 1020160095231A KR 20160095231 A KR20160095231 A KR 20160095231A KR 101742209 B1 KR101742209 B1 KR 101742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rocessed
e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충석
신행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에스
Priority to KR102016009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relating to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 그라인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촬상하여 배치방향을 분석한 후 상기 가공대상물을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하는 화상정렬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테두리부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연마가공하는 에지가공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화상정렬부로 이송하며, 정렬완료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화상정렬부에서 상기 에지가공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그라인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대상물의 에지가공의 전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작업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지 그라인더 장치{Edge 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지 그라인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대상물의 에지가공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작업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에지 그라인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용 휴대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 휴대 단말기로는 전화 통화를 위한 일반 휴대 전화기와, 전화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스마트폰은 휴대 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종래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를 빠른 속도록 대체하고 있으며, 태블릿 PC 또한 종래 노트북 컴퓨터 등을 대체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문자나 명령 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은 선명한 해상도 및 정밀한 터치 감지를 위해 높은 평탄도가 요구된다.
이에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으로 강화 유리(Glass)가 주로 사용되는데, 강화 유리는 제작시 박막화 및 우수한 평탄도를 얻기 위해 표면을 그라인딩 가공하는 연마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크게 높아지면서 휴대 단말기의 마감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화 유리의 에지 그라인딩 작업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에지 그라인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에지 그라인더 장치(100)는 상면에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지지테이블(110)과, 지지테이블(1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안착면에 안착된 가공대상물(G)의 에지영역과 대응되는 어느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지연마유닛(1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에지 그라인더 장치(100)는 작업자가 안착면이 형성된 지지테이블(110)의 상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대상물(G)을 안착시키면, 지지테이블(110)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설치된 에지연마유닛(120)이 가공대상물(G)에 근접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대상물(G)의 에지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촉되고, 회전하면서 가공대상물(G)의 에지를 가공한 후 가공대상물(G)의 가공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가공대상물(G)을 외부로 반출함으로써 가공대상물(G)의 에지 그라인딩 작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지 그라인더 장치(100)는 지지테이블(110)의 상면에 가공대상물(G)을 안착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 다시 말하면, 가공대상물(G)을 가공하기 전에 가공대상물(G)을 정렬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착면에 가공대상물(G)을 안착할때마다 그 위치가 변위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가공대상물(G)을 정밀하게 정렬하고자 하는 경우 그 정렬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가공대상물(G)의 가공시간이 크게 증대되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대상물의 에지 가공의 전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작업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에지 그라인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영상에 근거하여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와 대응되는 개략적으로 1차 정렬한 후 1차 정렬된 가공대상물의 영상, 즉 제2 영상에 근거하여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정밀하게 2차 정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정렬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영상분석시 제어부의 연산속도가 현격하게 증대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에지 그라인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촬상하여 배치방향을 분석한 후 상기 가공대상물을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하는 화상정렬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테두리부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연마가공하는 에지가공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화상정렬부로 이송하며, 정렬완료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화상정렬부에서 상기 에지가공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정렬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일측에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정렬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1차 촬상하여 제1 영상을 취득하는 제1 촬상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제1 촬상부가 설치된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2차 촬상하여 제2 영상을 취득하는 제2 촬상부 및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로부터 각각 인가받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내 상기 가공대상물의 배치방향을 분석한 후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배치되게 정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픽셀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대응되게 개략적으로 1차 정렬하고, 1차 정렬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촬상한 상기 제2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정밀하게 2차 정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아울러, 상기 에지가공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를 연마가공하는 외테두리 가공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가공대상물의 내테두리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가공대상물의 내테두리를 연마가공하는 내테두리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대상물의 에지 가공의 전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작업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영상에 근거하여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와 대응되는 개략적으로 1차 정렬한 후 1차 정렬된 가공대상물의 영상, 즉 제2 영상에 근거하여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정밀하게 2차 정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정렬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영상분석시 제어부의 연산속도가 현격하게 증대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에지 그라인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그라인더 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그라인더 장치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테두리 가공부의 저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정렬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테두리 가공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테두리 가공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그라인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그라인더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테두리 가공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그라인더 장치(1)는 본체(10)와, 적재부(20)와, 이송부(30)와, 화상정렬부(40)와, 에지가공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되고,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각 구성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적재부(20)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가공대상물이 수용, 적재되는 적재공간(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적재부(20)는 복수의 가공대상물을 일시보관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이송부(30)와 대향되는 일측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후술하는 이송부(30)가 내부에 적재된 복수의 가공대상물 중 어느 하나의 가공대상물을 파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부(30)는 적재부(20)와 후술하는 화상정렬부(4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이송유닛(31)과, 화상정렬부(40)와 에지가공부(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이송유닛(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공대상물을 후술하는 화상정렬부(40)로 이송함과 아울러 화상정렬부(40)에 의해 정렬된 가공대상물을 에지가공부(5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이송유닛(31)은 다관절 로봇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재부(20)에 적재된 가공대상물을 파지한 후 이를 화상정렬부(40)의 정렬플레이트(41) 상면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이송유닛(32)은 화상정렬부(40)와 에지가공부(50) 사이를 직선이동하면서 화상정렬부(40)에 의해 정렬된 가공대상물을 흡착파지하고, 이를 에지가공부(5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한 제1 이송유닛(31) 및 제2 이송유닛(32)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화상정렬부(40)는 본체(10)의 일측에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플레이트(41)와, 본체(10)의 일측 중 정렬플레이트(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촬상부(42)와, 본체(10)의 일측 중 제1 촬상부(42) 부근에 설치되는 제2 촬상부(43) 및 정렬플레이트(41), 제1 촬상부(42), 제2 촬상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촬상부(42) 및 제2 촬상부(43)로부터 취득한 영상에 근거하여 가공대상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일정하게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정렬플레이트(41)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제1 이송유닛(31)에 의해 이송된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정렬플레이트(41)는 후술하는 제어부(44)의 제어에 의해 X,Y측으로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상면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촬상부(42)는 정렬플레이트(41)의 상부에 설치되고, 정렬플레이트(41)의 상면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을 1차 촬상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가공대상물에 대한 제1 영상을 취득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촬상부(43)는 정렬플레이트(41)의 상부 중 제1 촬상부(42) 부근에 설치되고, 정렬플레이트(41) 및 제어부(44)에 의해 1차 정렬된 가공대상물을 2차 촬상하여 1차 정렬된 가공대상물에 대한 제2 영상을 취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촬상부(43)는 제1 촬상부(42)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제2 영상은 제1 영상보다 작은 픽셀크기를 갖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상의 픽셀이 74㎛의 크기로 형성되며, 제2 영상의 픽셀이 1.725㎛의 크기로 형성된다.
제어부(44)는 제1 촬상부(42) 및 제2 촬상부(43)로부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인가받고, 인가된 제1 및 제2 영상에 근거하여 정렬플레이트(41)를 제어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술하면, 제어부(44)는 큰 픽셀크기를 갖는 제1 영상을 통해 가공대상물을 개략적으로 1차 정렬한 후 상대적으로 작은 픽셀크기를 갖는 제2 영상을 통해 가공대상물을 정밀하게 2차 정렬함으로써 연산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대상물의 정렬오차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데, 이러한 제어부(44)의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에지가공부(50)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외테두리 가공부(51)와, 본체(1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내테두리 가공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와 내테두리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외테두리 가공부(51)는 본체(10)의 일측에 회전 및 X,Y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이송유닛(32)에 의해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영역(51aa)이 형성되고 안착영역(51aa)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하는 제1 가공플레이트(51a)와, 본체(10)의 일측 중 제1 가공플레이트(51a)의 일측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가공플레이트(51a)의 안착영역(51aa)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를 가공하는 제1 테두리가공부(5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외테두리 가공부(51)는 미리 설정된 방향과 각도에 따라 제1 가공플레이트(51a)가 이동되면서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가 제1 테두리가공부(51b)에 접촉되어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를 연마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내테두리 가공부(52)는 본체(10)의 일측에 회전 및 X,Y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이송유닛(32)에 의해 외테두리 가공부(51)로부터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영역(52aa)이 형성되고 안착영역(52aa)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하는 제2 가공플레이트(52a)와, 본체(10)의 일측 중 제2 가공플레이트(52a)의 일측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가공플레이트(51a)의 안착영역(52aa)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의 내테두리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가공대상물의 내테두리를 가공하는 제2 테두리가공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내테두리 가공부(52)는 미리 설정된 방향과 각도에 따라 제2 가공플레이트(52a)가 이동되면서 가공대상물의 내테두리가 제2 테두리가공부(52b)에 접촉되어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를 연마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정렬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테두리 가공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테두리 가공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지 그라인더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가공대상물(G)이 적재부(20)의 내부에 적재되어 일정시간 저장된다.
이후,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이송유닛(31)이 적재부(20)에 적재된 복수의 가공대상물(G)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이를 화상정렬부(40)로 이송하여 정렬플레이트(41)의 안착면에 안착한다.
정렬플레이트(41)의 안착면에 가공대상물(G)이 안착되면,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촬상부(42)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가공대상물(G)을 1차 촬상하여 제1 영상을 취득하고, 제어부(44)에서는 제1 영상에 근거하여 가공대상물(G)의 초기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공대상물(G)의 배치방향과 미리 설정된 위치를 비교하여 가공대상물(G)의 이동방향 및 회전각도를 분석한 후 정렬플레이트(41)를 제어하여 가공대상물(G)을 미리 설정된 위치와 개략적으로 대응되게 1차 정렬한다.
가공대상물(G)의 1차 정렬이 완료되면, 1차 정렬된 가공대상물(G)이 표시된 제2 영상에 기초하여 1차 정렬된 가공대상물(G)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공대상물(G)의 배치방향과 미리 설정된 위치를 비교하여 가공대상물(G)의 이동방향 및 회전각도를 분석한 후 정렬플레이트(41)를 제어하여 가공대상물(G)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정밀하게 2차 정렬한다.
이와 같이 가공대상물(G)의 정렬작업이 완료되면, 정렬된 가공대상물(G)은 도7a 내지 도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이송유닛(32)에 의해 외테두리 가공부(51)의 제1 가공플레이트(51a)로 이송되어 안착영역(51aa)에 안착되고, 제1 가공플레이트(51a)에 진공흡착되어 고정된다.
다음, 제1 가공플레이트(51a)가 제1 테두리가공부(51b)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G)의 외테두리가 회전하는 제1 테두리가공부(51b) 일측에 접촉되고, 제1 가공플레이트(51a)가 설정된 동작에 따라 이동되면서 가공대상물(G)의 외테두리가 연마가공된다.
이후, 제1 가공플레이트(51a)는 다시 제2 이송유닛(32)에 의해 외테두리 가공부(51)로부터 내테두리 가공부(52)로 이송되어 제2 가공플레이트(52a)의 안착영역(52aa)에 안착되고, 제2 가공플레이트(52a)에 진공흡착되어 고정된다.
다음, 제2 가공플레이트(52a)가 제2 테두리가공부(52b)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G)의 내테두리가 회전하는 제2 테두리가공부(52b) 일측에 접촉되고, 제2 가공플레이트(52a)가 설정된 동작에 따라 이동되면서 가공대상물(G)의 내테두리가 연마가공되며, 가공대상물(G)의 내테두리 연마공정이 완료된 후 외부로 반출되거나 일측에 구비된 세척부(미도시)를 통해 세척된 다음 외부로 반출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적재부
21 : 적재공간 30 : 이송부
31 : 제1 이송유닛 32 : 제2 이송유닛
40 : 화상정렬부 41 : 정렬플레이트
41a : 안착영역 42 : 제1 촬상부
43 : 제2 촬상부 44 : 제어부
50 : 에지가공부 51 : 외테두리 가공부
51a : 제1 가공플레이트 51aa : 안착영역
51b : 제1 테두리가공부 52 : 내테두리 가공부
52a : 제2 가공플레이트 52aa : 안착영역
52b : 제2 테두리가공부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촬상하여 배치방향을 분석한 후 상기 가공대상물을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하는 화상정렬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테두리부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연마가공하는 에지가공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화상정렬부로 이송하며, 정렬완료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화상정렬부에서 상기 에지가공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정렬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일측에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정렬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1차 촬상하여 제1 영상을 취득하는 제1 촬상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제1 촬상부가 설치된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2차 촬상하여 제2 영상을 취득하는 제2 촬상부; 및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로부터 각각 인가받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내 상기 가공대상물의 배치방향을 분석한 후 상기 정렬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배치되게 정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픽셀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대응되게 개략적으로 1차 정렬하고, 1차 정렬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촬상한 상기 제2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정밀하게 2차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그라인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가공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가공대상물의 외테두리를 연마가공하는 외테두리 가공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가공대상물의 내테두리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가공대상물의 내테두리를 연마가공하는 내테두리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그라인더 장치.
KR1020160095231A 2016-07-27 2016-07-27 에지 그라인더 장치 KR10174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231A KR101742209B1 (ko) 2016-07-27 2016-07-27 에지 그라인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231A KR101742209B1 (ko) 2016-07-27 2016-07-27 에지 그라인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209B1 true KR101742209B1 (ko) 2017-05-31

Family

ID=5905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231A KR101742209B1 (ko) 2016-07-27 2016-07-27 에지 그라인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2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987A (ja) 2011-03-10 2012-10-04 Toshiba Mach Co Ltd ワーク切削ラインの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987A (ja) 2011-03-10 2012-10-04 Toshiba Mach Co Ltd ワーク切削ラインの表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6854B2 (en) Peeling apparatus, peeling system, and peeling method
KR20170095125A (ko) 장치
TWI713721B (zh) 教導系統、教導方法、洗淨裝置、記憶媒體及維護套組
TWI696519B (zh) 研磨裝置及研磨方法
KR20200092870A (ko) 가공 장치의 사용 방법
CN115139217A (zh) 一种适用于晶圆双面抛光研磨设备的智能供料系统
CN110571147B (zh) 晶片的加工方法和磨削装置
JP4861061B2 (ja) ウエーハの外周部に形成される環状補強部の確認方法および確認装置
CN102059646B (zh) 研磨平板显示器的方法
JP2014038929A (ja) インラインシステム
KR101742209B1 (ko) 에지 그라인더 장치
JPWO2019102868A1 (ja) 基板搬送装置、基板処理システム、基板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CN109531088A (zh) 一种玻璃插篮机
KR20190140840A (ko) 기판 반송 시스템을 위한 티칭 장치 및 티칭 방법
KR20160065453A (ko) 박막태양전지 제조를 위한 박막기판용 그라인더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면취장치
KR101513906B1 (ko) 패널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JP7339858B2 (ja) 加工装置及び板状ワークの搬入出方法
KR20210092683A (ko) 가공 장치
JP6202906B2 (ja) 研削加工装置
CN209465909U (zh) 一种玻璃插篮机
KR20210104558A (ko) 가공 장치
KR101691359B1 (ko) 단면가공장치
KR102504029B1 (ko) Cmp 공정용 다중 웨이퍼 이송 장치
JP2017092412A (ja) 円板状ワークの研削方法
KR101472294B1 (ko) 패널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