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99B1 -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 Google Patents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99B1
KR101742199B1 KR1020150083873A KR20150083873A KR101742199B1 KR 101742199 B1 KR101742199 B1 KR 101742199B1 KR 1020150083873 A KR1020150083873 A KR 1020150083873A KR 20150083873 A KR20150083873 A KR 20150083873A KR 101742199 B1 KR101742199 B1 KR 10174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ody
lever
open
lever pie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308A (ko
Inventor
이문재
최은하
Original Assignee
이문재
최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최은하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102015008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6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62Testing or measuring non-electrical properties of switches, e.g. contact veloc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6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 H01H2050/328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with manual locking means having three positions, e.g. on-off-auto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복수개의 접점 단자(12)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접점 단자(12)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접점 단자(12) 사이에는 가동 단자(14)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 단자(14)가 상기 한 쌍의 접접 단자에 교대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릴레이 바디(10);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힌지부(HG)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HG)를 매개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 쪽으로 회동되어 클로즈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서 들려지도록 회동되어 오픈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단자(14)를 한쪽의 접점 단자(12)에서 다른 접점 단자(12)에 접촉되도록 하는 레버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Relay with improved test button function}
본 발명은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 점검과 같은 제반 작업 중에 실수로 스위칭 단자가 접속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인 새로운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 등의 내부에는 릴레이 소켓이 구비되고, 릴레이 소켓에는 기계설비의 각 주요 부분의 특성에 맞는 릴레이(스위치)를 접속하게 된다. 즉, 릴레이는 릴레이(relay)는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등의 전기신호를 비롯하여 온도, 빛 등 여러 가지 입력신호에 따라서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스위칭(switching) 역할을 하는 회로소자로서, 반도체 장비와 같은 각종 기계 장치 등에 연결되어 스위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로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접점을 물리적으로 개폐하여 회로를 단속하는 전자 릴레이와 같은 접점 릴레이 등이 있는데, 상기 접점 릴레이의 경우 입력신호가 있을 경우 복수개의 접점들이 교번적으로 접촉(콘택트)되거나 비접촉되면서 스위칭 온오프(ON/OFF)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점 릴레이 중에서 릴레이 바디의 외부에 테스트 레버(접점 단자의 정상 접속 여부를 점검하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테스트 레버는 릴레이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점 단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점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 레버를 회동시켜서 복수개의 접점 단자들이 제대로 접속(정상 접속 : Normal contact)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릴레이가 구비된 것이 있다.
그런데, 기존의 테스트 레버가 구비된 접점 릴레이(이하, 설명의 편의상 릴레이라 칭함)의 경우, 배전반 등에서 릴레이 점검과 같은 제반 작업을 실시하다가 작업자가 실수로 테스트 레버를 건드려서 테스트 레버가 본의 아니게 회동되고, 테스트 레버가 의도하지 않게 회동될 경우 접점 단자가 통전(접속)되면서 릴레이 연결된 각종 기계 장치가 가동되므로, 기계 장치 주위에 있는 작업자가 다치거나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심각한 위험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배전반에서 릴레이 점검 작업 중에는 릴레이에 구비된 테스트 레버가 접점 단자를 전류가 통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어서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계 장치가 가동되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와 같이 작업중에 릴레이의 테스트 레버를 건드려서 릴레이의 접점이 통전되면 가동 중지되어 있던 기계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기계 장치가 본의 아니게 가동되고, 이로 인하여 기계 장치 주위에 대기하고 있던 작업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게 된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실1998-063967호(1998.11.25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82308호(2000.03.06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6158호(2015.01.28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 점검과 같은 제반 작업 중에 실수로 작업자가 스위칭 단자의 정상 접속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구비된 테스트 레버를 건드리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여 스위칭 단자가 본의 아니게 접속되어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 사고를 미연에 차단하는 새로운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복수개의 접점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접점 단자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접점 단자 사이에는 가동 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 단자가 상기 한 쌍의 접접 단자에 교대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릴레이 바디; 상기 릴레이 바디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릴레이 바디의 외표면 쪽으로 회동되어 클로즈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의 외표면에서 들려지도록 회동되어 오픈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단자를 한쪽의 접점 단자에 접촉시키는 레버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가 제공된다.
상기 릴레이 바디에는 레버편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편은 상기 릴레이 바디에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편 수용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편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릴레이 바디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에 안착되는 클로즈 상태와 상기 릴레이 바디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에서 열리는 오픈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편의 외표면(상면)은 상기 클로즈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 바디의 외표면(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릴레이 바디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편의 외표면(상면)이 클로즈 상태에서 릴레이 바디의 외표면(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릴레이 바디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버편이 공구 등에 의해 걸리면서 상기 릴레이 바디에서 열리는 상태(오픈 상태)가 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편의 저면에는 오픈 스톱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 바디에는 오픈 스톱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편이 상기 릴레이 바디의 레버편 수용홈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오픈 스톱돌편도 함께 회동될 때에 상기 오픈 스톱돌편이 상기 오픈 스톱부재에 걸려져서 상기 레버편을 1차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픈 스톱돌편은 전면과 후면을 구비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편이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에서 1차 오픈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픈 스톱돌편의 후면이 상기 오픈 스톱부재의 상기 보조 오픈 스톱편의 전면에 접촉되고, 상기 레버편이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에서 2차 오픈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픈 스톱돌편의 후면이 상기 오픈 스톱부재의 상기 보조 오픈 스톱편의 상면으로 올라와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레버편이 상기 2차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편이 릴레이 바디에 밀착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레버편을 열어놓으려 하지 않는 이상 레버편이 다른 작업시의 공구 등에 의해 실수로 열려버리지 않는 클로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릴레이에 연결된 기계 설비 등에서 작업을 할 때에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의 주요부인 레버편과 오픈 스톱부재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된 상태를 상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의 주요부인 레버편과 릴레이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의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방향 측면도
도 6은 도 4의 B 방향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릴레이의 주요부인 레버편과 오픈 스톱부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는 내부에 복수개의 접점 단자(12)와 가동 단자(14)가 구비된 릴레이 바디(10)와, 이 릴레이 바디(10)에 구비된 레버편(20)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바디(10)는 네 군대의 측면부와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릴레이 바디(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접점 단자(12)와 가동 단자(14)가 구비된다.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와 상면에는 오목한 홈 형태의 레버편 수용홈(16)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은 양쪽 단부에 이어지는 한 쌍의 레버 풋트 수용홈(17)이 구비된다. 즉, 한 쌍의 레버 풋트 수용홈(17)이 릴레이 바디(10)의 서로 나란한 양쪽 측면부아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레버편 수용홈(16)에 이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레버 풋트 수용홈(17)에는 록킹 돌기홈(RG)이 구비된다. 레버 풋트 수용홈(17)은 바닥면과 전면 및 외측면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 돌기홈(RG)은 레버 풋트 수용홈(17)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록킹 돌기홈(RG)은 반구형 홈 구조이다. 상기 레버 풋트 수용홈(17)의 외측면은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레버 풋트 수용홈(17)을 형성하는 양쪽 한 쌍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록킹 돌기홈(RG)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은 바닥면이 더 깊은 보조홈(16G)을 구비한다.
상기 릴레이 바디(10)는 보조홈(16G)에서 더 아래로 오목한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을 구비한다.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은 전면부와 바닥부 및 양쪽 측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은 상면과 후면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 박스형 홈 구조를 가진다. 또한,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의 바닥부에는 릴레이 바디(10)의 내부로 연통된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 승강홀이 구비된다. 또한,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 승강홀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홈 형태의 걸림 돌기홈이 구비된다.
상기 접점 단자(12)는 릴레이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복수개의 접점 단자(12)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접점 단자(12)는 릴레이 바디(10)의 하면으로 일부가 나와 있다. 복수개의 접점 단자(12)의 일부가 핀 형태로 릴레이 바디(10)의 하면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가동 단자(14)는 복수개의 접점 단자(12)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접점 단자(12) 사이에 구비된다. 가동 단자(14)는 릴레이 바디(10)에 내장된 푸시 연결부재(14PC)에 연결된다. 가동 단자(14)의 상단부가 푸시 연결부재(14PC)에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가동 단자(14)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접점 단자(12)에 교대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가동 단자(14)가 한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되거나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가동 단자(14)가 한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되거나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되도록 하는 기능은 레버편(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편(20)은 플랫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레버편(20)은 양단부에 직교하는 방향(릴레이 바디(10)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버 풋트(27)를 포함한다. 레버편(20)은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볼 때에 양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레버 풋트(27)를 구비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레버편(20)의 안쪽면(저면)에는 오픈 스톱돌편(SP)이 구비된다. 레버편(20)의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볼 때에 오픈 스톱돌편(SP)이 하측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상기 오픈 스톱돌편(SP)의 상단부는 레버편(20)의 안쪽면에 연결되어 있다. 오픈 스톱돌편(SP)은 전면과 좌우 양쪽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한 돌기 형상이다.
상기 레버편(20)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레버 풋트(27)는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록킹 돌기(RP)가 구비된다. 록킹 돌기(RP)는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에 구비된 록킹 돌기홈(RG)에 끼워진다. 록킹 돌기(RP)는 릴레이 바디(10)의 록킹 돌기홈(RG)에 끼워지도록 반구형 돌기 구조를 이룬다.
또한, 레버편(20)의 양쪽 레버 풋트(27)의 안쪽면에는 각각 힌지핀이 구비된다. 각각의 힌지핀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힌지핀이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에 구비된 힌지홈에 끼워진다. 상기 힌지홈은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에 구비된 레버 풋트 수용홈(17)의 외측면에 구비되는데, 상기 레버편(20)의 한 쌍의 레버 풋트(27) 안쪽면에 형성된 각각의 힌지핀이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힌지홈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힌지홈과 힌지핀이 레버편(20)의 회동 기준이 되는 힌지부(HG)를 형성한다.
상기 레버편(20)은 한 쌍의 레버 풋트(27)가 힌지부(HG)에 의해 릴레이 바디(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닫히거나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열리게 된다. 즉, 상기 레버편(20)의 한 쌍의 레버 풋트(27) 안쪽면에 구비된 각각의 힌지핀이 릴리에 바디의 양쪽 측면부에 구비된 힌지홈에 끼워짐으로써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서 바깥쪽으로 열리거나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닫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 바디(10)의 상면에 레버편 수용홈(16)이 구비되고,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에 레버 풋트 수용홈(17)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클로즈 상태 및 오픈 상태가 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로즈 상태라 함은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이고 오픈 상태라 함은 레버편(20)이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서 바깥으로 열려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레버 풋트 수용홈(17)과 레버편(20)의 한 쌍의 레버 풋트(27) 안쪽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레버 풋트 수용홈(17)과 레버 풋트(27)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록킹 돌기(RP)와 록킹 돌기홈(RG)가 구비된다. 록킹 돌기홈(RG)는 릴레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에 형성되고, 록킹 돌기(RP)는 레버편(20)의 양쪽 레버 풋트(27) 안쪽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 안착된 클로즈 상태(닫힌 상태)일 때에 록킹 돌기(RP)가 록킹 돌기홈(RG)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편(20)의 클로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레버편(20)이 닫혀 있는 클로즈 상태에서는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 안착되고 레버편(20) 양단부의 레버 풋트(27)는 릴리에 바디의 양쪽 측면부에 형성된 레버 풋트 수용홈(17)에 안착되므로, 레버편(20)과 레버 풋트(27)가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서 튀어나오는 경우는 없게 된다.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서 레버편(20)과 레버 풋트(27)가 더 튀어나옴으로 인하여 외부의 공구 등이 레버편(20)과 레버 풋트(27)에 걸리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릴레이 바디(10)에 힌지부(HG)를 매개로 레버편(2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HG)를 매개로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 쪽으로 회동되어 클로즈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서 들려지도록 회동되어 오픈 상태로 전환되는데, 상기 클로즈 상태에서는 가동 단자(14)를 두 개의 접점 단자(12) 중에서 한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시키고 상기 오픈 상태에서는 가동 단자(14)를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좀더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레버편(20)은 힌지부(HG)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 안착되는 클로즈 상태와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서 열리는 오픈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레버편(20)의 외표면(상면)은 클로즈 상태에서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공구 등이 레버편(20)에 걸리는 일이 없어서 레버편(20)에 공구 등이 걸려서 레버편(20)이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쉽게 열리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 돌기(RP)는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서 바깥쪽(위쪽)으로 들려진 1차 오픈 상태에서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의 바닥면 위에서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버편 수용홈(16)을 형성하는 보조 레버편(20)의 바닥면 위에서 레버편(20)의 양쪽 레버 풋트(27) 안쪽면에 구비된 록킹 돌기(RP)가 걸려지게 된다. 1차 오픈 상태라 함은 레버편(20)이 완전히 릴레이 바디(10)에서 열리지 않고 대략 반 정도 열린 상태이다. 릴레이 바디(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1차 오픈 상태는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상면)에서 대략 15°에서 20° 정도의 각도로 열린 상태이다. 물론, 상기 각도는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변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차 오픈 상태에서 레버편(20)의 록킹 돌기(RP)가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의 바닥면(구체적으로, 보조홈(16G)의 바닥면)에 걸려지면서 1차 오픈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버편(20)의 저면에 오픈 스톱돌편(SP)이 구비되고, 릴레이 바디(10)에는 오픈 스톱부재(SM)가 구비되어,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오픈 스톱돌편(SP)도 함께 회동될 때에 오픈 스톱돌편(SP)이 오픈 스톱부재(SM)에 걸려져서 레버편(20)을 1차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오픈 스톱부재(SM)는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와 보조 스톱 지지홈(SSG)과 보조 오픈 서포트편과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 및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를 구비한다.
상기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는 상단부가 오픈 스톱부재(SM)의 저면에 연결되어 오픈 스톱부재(SM)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는 단면 사각형의 핀 구조이다.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의 상단부가 오픈 스톱부재(SM)의 중앙부 저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는 릴레이 바디(10)의 내부로 연통된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 승강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의 양쪽 측면부에 각각 구비된 걸림 돌기(25)가 상기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 승강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홈 형태의 걸림 돌기홈에 결합된다. 상기 오픈 스톱부재(SM)가 승강됨에 따라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와 걸림 돌기가 릴레이 바디(10) 내부의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 승강홀을 따라 승강되는데, 상기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의 양쪽 측면부에 구비된 걸림 돌기는 상기 릴레이 바디(10) 내부의 걸림 돌기홈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걸림 돌기홈의 상단 단턱부에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의 각 걸림 돌기가 걸려지게 되어서 레버편(20)의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가 릴레이 바디(10)의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 승강홀에서 위로 이탈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오픈 스톱부재(SM)는 보조 스톱 지지홈(SSG)을 구비한다. 보조 스톱 지지홈(SSG)은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의 상단부에 배치된 오목한 홈이다. 본 발명에서 보조 스톱 지지홈(SSG)은 전면과 상부가 개방된 사각홈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보조 오픈 서포트편은 오픈 스톱부재(SM)의 상면보다 더 위로 돌출된 돌기 구조이다. 보조 스톱 지지홈(SSG)의 후면에서 위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보조 오픈 서포트편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은 오픈 스톱부재(SM)의 상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되 보조 오픈 서포트편보다는 더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은 보조 오픈 서포트편의 뒤에 이어지는 블록 구조이다. 즉,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의 전단부에 위쪽으로 더 돌출된 보조 오픈 서포트편이 구비된다.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은 상면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다.
정리하면, 상기 오픈 스톱부재(SM)는 릴레이 바디(10)에 결합된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이 수용되는 보조 스톱 지지홈(SSG)과, 상기 보조 스톱 지지홈(SSG)의 인접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편(20)이 1차 오픈된 상태에서 오픈 스톱돌편(SP)을 받쳐주는 보조 오픈 스톱편(SOP)과, 상기 레버편(20)이 1차 오픈된 상태에서 더 열려진 2차 오픈 상태에서 오픈 스톱돌편(SP)을 받쳐주는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픈 스톱부재(SM)는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의 양쪽에 배치되도록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를 구비한다.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의 상단부가 오픈 스톱부재(SM)의 양단부측 저면에 연결되며,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는 오픈 스톱부재(SM)의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측면에서 볼 때에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릴레이 바디(10)의 전면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픈 스톱부재(SM)는 릴레이 바디(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오픈 스톱부재(SM)의 저면 중앙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는 릴레이 바디(10)의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의 바닥부에서 릴레이 바디(10)의 내부로 연통된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 승강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오픈 스톱부재(SM)의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는 릴레이 바디(10)의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에 수용됨과 동시에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의 하단부는 상기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의 바닥부에 접촉되고,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오픈 서포트편 및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은 릴레이 바디(10)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스톱 지지홈(SSG)은 보조 오픈 서포트편의 앞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편(20)은 오픈 스톱부재(SM)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버편(20)의 저면으로 돌출된 오픈 스톱돌편(SP)은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스톱 지지홈(SSG)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즉,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이 오픈 스톱부재(SM)의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는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가동 단자(14)가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접점 단자(12) 중에서 한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되어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계 장치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되고,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서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바깥으로 벌어진 오픈 상태에서는 가동 단자(14)가 상기 한쪽의 접점 단자(12)에서 이격되어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됨으로써 릴레이의 스위치 온 상태가 되며, 이러한 오픈 상태에서는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계 장치에 전원이 제대로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되도록 회동되어 있는 클로즈 모드와 레버편(20)이 1차로 릴레이 바디(10)에서 열린 1차 오픈 모드와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서 완전히 열린 오픈 모드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클로즈 모드>
상기 레버편(20)이 릴레에 바디에 형성된 레버편 수용홈(16)에 완전히 안착되어 있고, 레버편(20)의 안쪽면에 구비된 오픈 스톱돌편(SP)은 릴레이 바디(10)의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에 구비된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스톱 지지홈(SSG)에 결합되어 있다.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은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스톱 지지홈(SSG)과 나란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릴레이 바디(10)의 측단면에서 볼 때에 오픈 스톱부재(SM)와 보조 스톱 지지홈(SSG)은 릴레이 바디(10)의 상면과 하면 방향을 이어주는 상하 라인과 나란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상기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클로즈 모드에서는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도 릴레이 바디(10)의 상면과 하면을 잇는 상하 라인과 나란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게 된다. 물론, 클로즈 모드에서는 릴레이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가동 단자(14)가 두 개의 접점 단자(12) 중에서 한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되어 있다. 즉, 상기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계 장치 등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된다.
<1차 오픈 모드>
상기 레버편(2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10)에서 바깥으로 열리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편(20)의 안쪽면(저면)에 구비된 오픈 스톱돌편(SP)이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스톱 지지홈(SSG)과 나란한 방향에서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된다. 상기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이 릴레이 바디(10)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회동된다. 즉, 상기 레버편(20)은 릴레이 바디(10)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일정 각도 들려지고 레버편(20) 저면의 오픈 스톱돌편(SP)은 릴레이 바디(10)의 상면과 하면을 잇는 상하 라인과 나란한 방향에서 바깥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는 1차 오픈 모드가 된다.
상기 릴레이 바디(10)에서 레버편(20)이 1차로 들려지고 레버편(20) 저면의 오픈 스톱돌편(SP)이 기울어지도록 회동된 1차 오픈 모드에서는 릴레이 바디(10)의 릴레이 바디(10)의 오픈 스톱부재(SM) 결합홈에 구비된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오픈 서포트편이 상기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을 받쳐준다. 상기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의 후면에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오픈 서포트편이 접촉되는데, 상기 릴레이 바디(10)에서 레버편(20)이 1차로 들려지고 레버편(20) 저면의 오픈 스톱돌편(SP)이 기울어지도록 회동된 1차 오픈 모드에서 오픈 스톱부재(SM)가 아래로 눌리게 되고, 오픈 스톱부재(SM)의 안쪽면 중앙부에 구비된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는 하강하는데, 오픈 스톱부재(SM)의 양단부측 하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의 하단부는 릴레이 바디(10)에 구비된 오픈 스톱부재(SM) 수용홈의 바닥부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오픈 스톱부재(SM)가 하강함에 따라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눌려지는 힘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되며, 이처럼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눌려져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면, 상기 오픈 스톱부재(SM)가 위로 밀리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서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오픈 서포트편이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을 탄성력으로 받치게 된다. 즉, 상기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는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에 의해 오픈 스톱부재(SM)가 레버편(20)의 경사지게 회동된 오픈 스톱돌편(SP)을 레버편(20)이 열리려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 한편, 상기 레버편(20)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레버 풋트(27) 안쪽면의 록킹 돌기(RP)는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의 바닥부(정확하게는 깊이가 더 깊은 보조 레버편 수용홈(16)의 바닥부) 위에서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레버편(20)이 완전히 열리지는 않은 1차 오픈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레버편(20)의 1차 오픈 상태에서는 오픈 스톱부재(SM)의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가 릴레이 바디(10) 내부의 가동 단자(14) 상단부에 연결된 푸시 연결부재(14PC)를 완전히 아래로 내리 누른 상태가 아니라서 가동 단자(14)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접점 단자(12) 중에서 아직 한쪽의 접점 단자(12)에 붙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레버편(20)의 1차 오픈 모드에서도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계 장치 등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정리하면,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에는 릴레이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결합홈에 접촉되는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는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이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오픈 스톱편(SOP)에 걸려진 1차 오픈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결합홈에 하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굽혀지면서 탄성력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레버편(20)의 1차 개방 상태에서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에서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오픈 스톱편(SOP)이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을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작용시키게 되어서 레버편(20)의 1차 오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오픈 모드>
상기 레버편(20)의 1차 오픈 상태에서 레버편(2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계속해서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10)에서 바깥으로 더 열리도록 회동(1차 오픈 상태보다 더 열려지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편(20)의 안쪽면(저면)에 구비된 오픈 스톱돌편(SP)이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스톱 지지홈(SSG)과 나란한 방향에서 바깥 방향으로 더 벌어지도록 회동(1차 오픈 상태보다 더 벌어지도록 회동)된다. 상기 오픈 스톱돌편(SP)은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편(20)이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서 1차 오픈된 상태에서는 오픈 스톱돌편(SP)의 후면이 오픈 스톱부재(SM)의 보조 오픈 스톱편(SOP)의 전면에 접촉되고, 상기 레버편(20)이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10)의 레버편 수용홈(16)에서 2차 오픈된 상태에서는 레버편(20) 저면의 오픈 스톱돌편(SP) 후면이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의 상면으로 올라온 상태로 유지(임계점을 넘어온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레버편(20)이 2차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양단부측 하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의 하단부는 릴레이 바디(10)에 구비된 오픈 스톱부재(SM) 수용홈의 바닥부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와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24)가 릴레이 바디(10) 내부의 가동 단자(14) 상단부에 연결된 푸시 연결부재(14PC)를 완전히 아래로 내리 누른 상태가 되어서 가동 단자(14)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접점 단자(12) 중에서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로 옮겨서 붙어 있게 되고,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와 푸시 연결부재(14PC)가 완전히 하강하여 하강함에 따라 오픈 스톱부재(SM)의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눌려지는 힘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더 보유하게 되며, 이처럼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눌려져서 탄성 복원력을 더 크게 보유하면, 상기 오픈 스톱부재(SM)가 위로 밀리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서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이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을 탄성력으로 받쳐주게 된다. 이처럼 레버편(20)의 오픈 스톱돌편(SP)이 오픈 스톱부재(SM)의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 위로 올라오는 임계점을 넘어온 상태에서 오픈 스톱돌편(SP)이 탄성력을 보유하도록 눌려진 한 쌍의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편(20)을 밀어주는 힘을 작용시키는 한편, 상기 레버편(20)의 양단부의 레버 풋트(27)가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릴레이 바디(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편(20)이 완전히 열린 2차 오픈 상태로 유지된다. 레버편(20)이 2차 오픈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은 가동 단자(14)가 한쪽의 접점 단자(12)에서 붙어 있다가 떨어져서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가 릴레이의 스위치 온 상태가 되어, 상기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계 장치 등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편(20)을 다시 클로즈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레버편(20)의 개방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즉, 레버편(20)의 오픈 상태에서 1차 오픈 상태로 전환하고, 1차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하면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레버편(20)을 열어놓으려 하지 않는 이상 레버편(20)이 다른 작업시의 공구 등에 의해 실수로 열려버리지 않는 클로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릴레이 바디(10)에 구비된 레퍼편 수용홈에 레버편(20)이 안착되어 있어서,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배전반에서 기계 장치에 전원이 제대로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가 실수로 공구로 레버편(20)을 건드려서 레버편(20)이 열리거나 작업자가 실수로 손으로 레버편(20)을 건드려서 레버편(20)이 열리는 경우가 방지되기 때문에, 레버편(20)이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열려버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클로즈 상태에서는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계 장치 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레버편(20)이 실수로 릴레이 바디(10)에서 열리는 오픈 상태로 되어 버리면 기계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버려서 기계 장치 옆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데, 본 발명은 레버편(20)이 안정적으로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원을 차단하여야 하는 기계 장치에 전원이 공급됨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레버편(20)이 릴레이 바디(10)에 밀착된 클로즈 상태에서 레버편(20)을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해 건드려서 레버편(20)이 열리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레버편(20)이 완전히 릴레이 바디(10)에서 열리지 않는 1차 오픈 상태로만 유지되므로 안전성이 보다 높아진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들고 있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레버편(20)의 선단부를 건드려서 레버편(20)이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열리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레버편(20)에 구비된 오픈 스톱돌편(SP)이 릴레이 바디(10)에 구비된 보조 오픈 스톱편(SOP)에 걸려지기 때문에, 레버편(20)이 완전히 릴레이 바디(10)에서 열리지 않고 1차 오픈 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러한 1차 오픈 상태에서는 레버편(20)에 의해 릴레이 바디(10) 내부의 가동 단자(14)가 한쪽의 접점 단자(12)에서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로 옮겨가서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본 발명의 릴레이에 의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보다 낮추게 되는 것이다. 설령, 작업자가 실수로 레버편(20)을 건드려서 레버편(20)이 열리더라도 레버편(20)이 먼저 1차 오픈 모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릴레이 바디(10) 내부의 가동 단자(14)가 한쪽의 접점 단자(12)에서 다른 쪽의 접점 단자(12)로 옮겨서 접촉되는 경우가 먼저 방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릴레이에 연결된 기계 장치 등에 전원이 본의 아니게 실수로 공급되어 기계 장치 등이 의도하지 않게 작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높여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는 레버편(20)의 선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보조홈(16G)이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보조홈(16G)에 손가락 등을 집어넣어서 레버편(20)의 선단부를 걸은 다음 레버편(20)을 힌지부(HG)를 기준으로 보다 쉽게 열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등의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릴레이 바디 12. 접점 단자
14. 가동 단자 14PC. 푸시 연결부재
16. 레버편 수용홈 16G. 보조홈
17. 레버 풋트 수용홈 20. 레버편
24. 푸시 연결부재 가동 풋트 25. 걸림돌기
27. 레버 풋트 HG. 힌지부
RP. 록킹 돌기 RG. 록킹 돌기홈
SP. 오픈 스톱돌편 SM. 오픈 스톱부재
SSG. 보조 스톱 지지홈 SOP. 보조 오픈 스톱편
MOS. 메인 오픈 서포트편 SSF. 보조 오픈 스톱 풋트

Claims (10)

  1. 내부에 복수개의 접점 단자(12)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접점 단자(12)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접점 단자(12) 사이에는 가동 단자(14)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 단자(14)가 상기 한 쌍의 접접 단자에 교대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릴레이 바디(10);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힌지부(HG)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면 쪽으로 회동되어 클로즈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에서 들려지도록 회동되어 오픈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단자(14)를 한쪽의 접점 단자(12)에서 다른 접점 단자(12)에 접촉되도록 하는 레버편(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바디(10)에는 레버편 수용홈(16)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편(20)은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상기 힌지부(HG)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버편(20)의 저면에는 오픈 스톱돌편(SP)이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 바디(10)에는 오픈 스톱부재(SM)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오픈 스톱부재(SM)는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결합된 상기 레버편(20)의 상기 오픈 스톱돌편(SP)이 수용되는 보조 스톱 지지홈(SSG)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스톱 지지홈(SSG)의 인접 위치에는 상기 오픈 스톱부재(SM)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메인 오픈 스톱돌편(MOS)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오픈 스톱돌편(MOS)에는 보조 오픈 스톱편(SOP)이 구비되고,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에는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결합홈(13)에 접촉되는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레버 풋트 수용홈(17)과 상기 레버편(20)의 한 쌍의 레버 풋트(27) 안쪽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레버 풋트 수용홈(17)과 상기 레버 풋트(27)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록킹 돌기(RP)와 록킹 돌기홈(RG)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편(20)이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에 안착된 클로즈 상태(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록킹 돌기(RP)가 상기 록킹 돌기홈(RG)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편(20)의 클로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상기 레버편(20)이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에서 위로 들려져서 상기 오픈 스톱돌편(SP)이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상기 보조 오픈 스톱편(SOP)에 걸려진 1차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기 결합홈(13)에 하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굽혀지면서 탄성력을 보유함으로써 상기 레버편(20)의 경사지게 회동된 상기 오픈 스톱돌편(SP)을 상기 레버편(20)이 열리려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고 동시에 상기 레버편(20)의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레버 풋트(27) 안쪽면의 상기 록킹 돌기(RP)는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의 바닥부 위에서 걸려지면서 상기 레버편(20)이 완전히 열리지는 않은 1차 오픈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레버편(20)이 1차 오픈된 상태에서 더 열려진 2차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오픈 스톱돌편(SP)이 상기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의 위로 올라감과 동시에 상기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가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기 결합홈(13)에 하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굽혀진 상태로 탄성력을 보유하여 상기 보조 오픈 스톱 풋트(SSF)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오픈 스톱 부재(SM)의 상기 메인 오픈 서포트편(MOS)이 상기 오픈 스톱돌편(SP)을 받쳐서 밀어줌으로써 상기 레버편(20)의 2차 오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내장된 한 쌍의 마주하는 접점 단자(12) 사이에 가동 단자(14)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단자(14)에는 푸시 연결부재(14PC)가 구비되고, 상기 푸시 연결부재(14PC)는 상기 오픈 스톱부재(SM)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힌지부(HG)를 매개로 결합된 상기 레버편(20)이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완전 개방된 2차 개방 상태에서 상기 오픈 스톱부재(SM)가 상기 푸시 연결부재(14PC)를 눌러서 상기 푸시 연결부재(14PC)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가동 단자(14)가 한쪽의 접점 단자(12)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바디(10)에는 레버편 수용홈(16)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편(20)은 상기 릴레이 바디(10)에 상기 힌지부(HG)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버편(20)은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에 안착되는 클로즈 상태와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상기 레버편 수용홈(16)에서 열리는 오픈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편(20)의 외표면(상면)은 상기 클로즈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릴레이 바디(10)의 외표면(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83873A 2015-06-15 2015-06-15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KR101742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3A KR101742199B1 (ko) 2015-06-15 2015-06-15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3A KR101742199B1 (ko) 2015-06-15 2015-06-15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308A KR20160147308A (ko) 2016-12-23
KR101742199B1 true KR101742199B1 (ko) 2017-06-15

Family

ID=5773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873A KR101742199B1 (ko) 2015-06-15 2015-06-15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4135A (zh) * 2019-07-29 2019-11-26 厦门宏发电声股份有限公司 方便操作的电磁继电器手动测试开关结构及电磁继电器
KR102315946B1 (ko) * 2021-01-18 2021-10-22 장근철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의 내부 모듈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74196U (zh) * 2014-03-13 2014-08-13 浙江开控电气有限公司 带手动测试装置的继电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3410A (ja) 1996-12-12 1998-06-26 Sharp Corp ストリップ線路を用いた伝送回路
KR200182308Y1 (ko) 1999-12-09 2000-05-15 윤여관 릴레이 소켓의 릴레이 고정장치
KR200476158Y1 (ko) 2013-05-15 2015-02-03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차 소켓용 릴레이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74196U (zh) * 2014-03-13 2014-08-13 浙江开控电气有限公司 带手动测试装置的继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308A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307B1 (ko) 활성화 스위치를 구비한 전력 소켓 장치 및 작동 방법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6984141B1 (en) Power socket device with enabling switch
US7445472B1 (en) Safety electric socket
US20070014068A1 (en) Circuits for circuit interrupting devices having automatic end of life testing function
KR101390778B1 (ko) 콘센트 안전장치
CA2515054A1 (en) Gfci receptacle having blocking means
KR101742199B1 (ko) 테스트 버튼의 기능을 향상시킨 릴레이
KR10140813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US8961212B2 (en) Burn-in socket
US9906012B2 (en) Electrical circuit protection device for leakage current protection
US6624991B2 (en) Circuit breaker
KR100762278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1748659B1 (ko) 위치선점수단이 구비된 누름형 전기스위치
KR200419424Y1 (ko) 비상 전원 연결용 차단기의 절환장치
KR101680372B1 (ko) 복합 기능성 스위치
CN108231499B (zh) 一种漏电保护器
KR101601910B1 (ko)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KR20160025358A (ko) 원터치 멀티탭
CN102157865B (zh) 具有旋转断开开关的装有熔丝的互锁插座
KR200461085Y1 (ko) 로커 스위치
KR100799548B1 (ko) 백라이트 램프 단자 고정 소켓
CN214153331U (zh) 防脱落的插座
KR101713610B1 (ko) 자동복귀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측면 누름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