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04B1 - 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 Google Patents

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04B1
KR101742104B1 KR1020160129496A KR20160129496A KR101742104B1 KR 101742104 B1 KR101742104 B1 KR 101742104B1 KR 1020160129496 A KR1020160129496 A KR 1020160129496A KR 20160129496 A KR20160129496 A KR 20160129496A KR 101742104 B1 KR101742104 B1 KR 101742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ackrest
engagement
su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세형
임철욱
Original Assignee
이세형
임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형, 임철욱 filed Critical 이세형
Priority to KR102016012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2Anti-earthqua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hair for combined use of a safety helmet. The chair for combined use of a safety helmet comprises: a backrest portion including a first backrest region, a second backrest region, a bending region for connecting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after bending a gap therebetween such that an angle between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can be adjusted, and a first coupling region; and a cushion portion including a second coupling reg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reg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region or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for combined use of a safety helmet, which is usually used as a chair and thus can be easily detected even in the event of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the like, and is also easily deformed into a safety helmet, thereby effectively and quickly protecting users body.

Description

안전모 겸용 의자{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본 발명은 안전모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combined with a helmet.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나와, 땅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을 지진이라고 하며, 이러한 지진이 일어나는 원리는 탄성반발(elastic rebound)이다. 지층은 힘을 받으면 휘어지며 모습이 바뀐다. 그러다 버틸 수 없을 만큼의 힘이 축적되면 지층이 끊어져 단층이 되고,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반발력에 의해 지진이 발생한다. The phenomenon that the energy in the Earth comes out to the surface and the ground is shaken and shakes is called an earthquake. The principle of this earthquake is elastic rebound. Strata are warped and change their shape when they receive power. Then, when the forces that can not be sustained are accumulated, the stratum is broken and becomes a fault, and an earthquake occurs due to repulsive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대부분의 지진은 오랜 기간에 걸쳐 대륙의 이동, 해저의 확장, 산맥의 형성 등에 작용하는 지구 내부의 커다란 힘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 밖에도 화산활동으로 지진이 발생하지만, 이 경우에는 그 규모가 비교적 작다. 또한, 폭발물에 의해 인공적으로 지진이 발생하기도 한다.Most earthquakes are caused by large forces within the earth that affect the continent's movement, expansion of the sea floor, formation of mountains, etc.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earthquakes occur due to volcanic activity, but the scale is relatively small in this case. In addition, earthquakes may occur artificially by explosives.

지진의 발생은 일반 기상현상과는 다르게 예측 및 예보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며 지진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얼마나 빨리 안전장구를 착용하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한 재난 대비 요소가 된다. 그러나 지진이 발생 된 상태에서는 전기가 차단되어 시야 확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지진을 느낀 사람들이 당황하는 경우 평소 안전모가 비치된 위치를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안전모가 비치된 위치를 찾기란 쉽지 않다. Unlike the general weather phenomenon, the occurrence of earthquakes is virtually impossible to predict and predict. It is a very important disaster prevention factor as to how quickly you can wear safety gear from the time of the earthquake and guide you to a safe place. However,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electricity is often blocked and the visibility can not be ensured. Even if the person who feels the earthquake is embarrassed, it is not eas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helmet even though he knows the location of the helmet.

따라서, 학교나 가정 등에 안전모를 비치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비치된 위치를 찾아 안전모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비율은 매우 낮을 것이며, 지진 발생시 낙하물에 의해 머리에 충격을 입게 되는 등 신체에 큰 손상을 입게 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helmets are provided at schools or homes, the proportion of users who wear helmets in search of actual positions will be very low, and if the earthquake occurs, the head will be impacted by falling objects,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소에 의자로 활용하여 지진 등 자연재해 발생시에도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모로의 변형이 용이하여 신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elmet combined with a safety helmet which can be easily detected even in the event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can be easily deformed into a helm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는, 제1 등받이영역, 제2 등받이영역, 상기 제1 등받이영역 및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 등받이영역 및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를 절곡 연결하는 절곡영역 및 제1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제1 결합영역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방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절곡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helmet combined with a first backrest region, a second backrest region, a first backrest region, and a second backrest region, And a cushion portion including a back portion including a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a second engagement portion detachab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region o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hav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은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이 서로 마주보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이 서로 벌어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have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overlap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영역은 상기 제1 등받이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서브결합영역 및 상기 제2 등받이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서브결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engagement region may include a first sub-engagement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a second sub-engagement reg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ckrest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절곡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 및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s coupled to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and in the second position, The coupling reg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b-coupling region and the second sub-coupling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은 각각 양측에 위치한 제1 결합부재를 2개씩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양측에 위치한 제2 결합부재를 2개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2개의 상기 제2 결합부재는 2개의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의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2개의 상기 제2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의 2개의 상기 제1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의 2개의 상기 제1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each include two first engagement members located on both sides,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ncludes a second engagement member located on both sides Wherein the two second engagement members at the first position ar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member of the two first subjoined regions and wherein at any one of the two second engagement members at the second position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two first engaging members of the first sub-engaging region, and the other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s is engaged with any one of the two first engaging members of the second sub- .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방석부는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 및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의 일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second position, the cushion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back portion in such a manner as to connect one side portion of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to each other.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은 상기 제1 등받이영역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may be angled relative to the first backrest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1 등받이영역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1 등받이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비해 작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first backrest region at the first position is great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first backrest region at the second position Can be small.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may be angled relative to the second backrest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방석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in the second position may be less than the length of the cushioning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방석부는 휘어진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second position, the cushion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back portion in a bent stat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석부의 휘어짐에 따른 탄성력은 상기 제2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elastic force due to the warping of the cushion portion can maintain the second posi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안전모 겸용 의자는 의자로 사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안전모 겸용 의자는 안전모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first position, the helmet-combined chair is used as a chair, and in the second position, the helmet-combined chair can be used as a helmet.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절곡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Reg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first posit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위치에서 접히고 상기 제2 위치에서 펼쳐지는 연결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ackres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region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the connecting region folded at the first position and deployed at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는, 평소에 의자로 활용하기 때문에 지진 등 자연발생 시에도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안전모로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여 낙하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등 신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chair combined with the helm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quickly found even when natural occurrence such as an earthquake is used because it is used as a chair and can be easily deformed by a helmet so that the body such as a user's head can be quickly and effectively protected from falling objects .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가 의자로 사용될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가 일반적인 입식 의자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가 안전모로 변형되는 방식을 차례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c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의 안전모로서 착용되는 예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의 안전모로서 착용되는 예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combined with a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combined with the safety helmet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ir combined with the safety helmet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 general standing chair.
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manner in which the chair combined with the safety helmet shown in Fig. 1 is deformed into a helme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safety helmet of the safety helmet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safety helmet of the safety helmet shown in Fig. 5 as viewed from the back.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technicia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mentioned. Although "first ","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의자로 사용될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1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일반적인 입식 의자(200)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의자로 사용될 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100 as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100 as shown in FIG. 1,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ir 100 for a safety helmet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 general standing chair 200. Hereinafter, a cas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chair 100 is used as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는 등받이부(110) 및 방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ackrest part 110 and a cushion part 120. As shown in FIG.

등받이부(110)는 사용자가 안전모 겸용 의자(100)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등을 받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등받이부(110)는 제1 등받이영역(111), 제2 등받이영역(112), 절곡영역(113), 및 제1 결합영역(1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ckrest part 110 is a pa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afety helmet 100. Here, the backrest 110 may include a first backrest region 111, a second backrest region 112, a bending region 113, and a first coupling region 114.

제1 등받이영역(111)은 사용자의 등이 직접 닿는 부분이며, 제2 등받이영역(11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의자로 사용될 때 제1 등받이영역(111)의 후면 쪽에서 제1 등받이영역(111)을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제1 등받이영역(11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절곡영역(113)은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절곡영역(113)에 의해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채로 마주보고 있을 수 있다.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is a portion directly touching the back of the user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is a rear portion of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when the chair 100 is used as a chair,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can b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to support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In addition, the bending region 113 may be bent to connect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Therefore,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can be facing each other with the bending region 113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또한, 제1 결합영역(114)은 등받이부(110)와 방석부(12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방석부(120)의 제2 결합영역(121)과 제1 결합영역(114)과 제2 결합영역(121)은 벨크로, 단추 결합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영역(114)은 예시적으로 제1 서브결합영역(115)과 제2 서브결합영역(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결합영역(115)은 제1 등받이영역(11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2 서브결합영역(116)은 제2 등받이영역(1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안전모 겸용 의자(100)의 의자로서 사용 시 방석부(120)의 제2 결합영역(121)은 제1 서브결합영역(115)과 제2 서브결합영역(116)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제2 결합영역(121)은 제1 서브결합영역(115)에만 결합되고 제2 서브결합영역(116)은 접혀진 상태로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engagement region 114 is formed as a portion for connecting the backrest portion 110 and the cushioning portion 120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and the first engagement region 114 of the cushioning portion 120,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may be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Velcro, button, or the like.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region 114 may illustratively include a first sub coupling region 115 and a second sub coupling region 116. Here,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may extend from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may extend from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region 121 of the cushion portion 120 is coupled to only one of the first sub-coupling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coupling region 116 when used as a chair of the safety helmet 100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is coupled only to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is fold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backrest regions 111, 112). ≪ / RTI >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서브결합영역(115) 및 제2 서브결합영역(116)은 각각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결합부재(118)를 포함하고, 제2 결합영역(121)은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결합부재(125;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의자로 사용될 때에는 제2 결합영역(121)의 2개의 제2 결합부재(125)가 제1 서브결합영역(115)의 2개의 제1 결합부재(118)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벨크로, 단추 결합 등이 양단에서 발생하여 방석부(120)가 등받이부(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llustratively,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each include two first engagement members 118 located on both sides,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includes both sides When the chair 100 is used as a chair in this embodiment, the two second joining members 125 (see FIG. 4) The member 125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two first engagement members 118 of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That is, the crotch part 12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backrest part 110 by generating velcro, button coupling or the like at both ends.

방석부(120)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제2 결합영역(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결합영역(114)과 제2 결합영역(121)의 결합을 통해 등받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의 의자로서 사용 시 반드시 등받이부(110)와 방석부(120)를 결합해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등받이부(110)와 방석부(120)를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ushion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as a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hips and may be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110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first engagement region 114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 ). ≪ / RTI >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backrest 110 and the cushioning portion 120 in combination when using the chair as the chair for the safety helm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ckrest 110 and the cush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unit 120 separately.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는 예시적으로 탄성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130)는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 일측에 이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는데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 거리가 좁혀지도록 탄성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130)의 탄성력에 의해 다른 외력이 없는 한 자연스럽게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마주볼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탄성부(130)를 두지 않고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의 자체 탄성 또는 중력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클리부재 등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afety helm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he elastic part 130 as an example. The elastic part 130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ckrest areas 111 and 112.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It is possible to apply elasticity so as to narrow the distance therebetween. Therefore, as long as there is no external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130,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can naturally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by their own elasticity or gravity without a separate elastic portion 130, It is possible to fix them by a clip member or the like.

한편, 이러한 안전모 겸용 의자(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좌식의자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일반적인 입식 의자(200)에 덧씌워져 일종의 방석이나 쿠션 부재와 같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방석부(120)의 아래면은 바닥이나 입식 의자(200)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닿기 때문에 논슬립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hair 100 may be used as a sole chair, or may be covered with other common standing chairs 200 as shown in FIG. 3 to be a kind of cushion or a cushion member May be used.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120 directly contacts the floor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tocking chair 200, it may be preferable to implement it with a non-slip material.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석부(120)의 내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커버(122), 연성재(미도시), 및 경성재(미도시)의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122)는 방석부(120)의 외면을 감싸는 부재로서 지진 등 위험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안전할 수 있도록 불연재 또는 난연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축광소재를 사용하여 어두운 곳에서 발광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2) 안감은 열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물질로 구성하여 화재 시에도 열변형하거나 연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clearly shown, the inside of the cushio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a cover 122, a soft material (not shown), and a hard material (not shown) toward the center. The cover 122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120. The cover 122 may be made of a non-flammable material or a flame retardant material so as to be safe even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or the like. . Further, the lining of the cover 122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ducing thermal fatigue, so that it can be thermally deformed or not burned even in the event of a fire.

또한, 커버(122)의 안쪽에 위치하는 연성재는 일반적인 쿠션재 등에 사용되는 스폰지와 같이 탄성을 가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모 겸용 의자(100)에 앉았을 때 편안함을 줄 수 있으며, 안전모로 사용될 때 외부 낙하물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성재의 안쪽에는 경성재가 위치할 수 있다. 경성재는 연성재에 비해 딱딱한 물질로서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안전모로 사용될 때 날카로운 낙하물 등이 떨어지더라도 방석부(120)를 관통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신체를 충실히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로서 경성재는 예를 들어 철판과 같은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ft material located inside the cover 12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bsorbs impact while having elasticity, such as a sponge used in a general cushioning material or the li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safety helmet 100. Also, when the safety helmet is used as a safety helmet, it can absorb shocks caused by external fallen objects. In addition, a hard material may be placed inside the soft material. The hard material is a hard material compared to the soft material, and when the safety helmet 100 is used as a helmet, the hard material can prevent the cushion 120 from penetrating even if sharp dropping falls, thereby protecting the body faithfully. As such a member, a hard metal such as a metal plate may be us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방석부(120)가 커버(122), 연성재, 경성재의 다층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등받이부(110)에도 동일한 다층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오히려 등받이부(110)에만 이러한 다층 구조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cushion part 120 is constructed of a cover 122, a soft material, and a hard material. However, the same multi-layer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backrest part 110, It is also possible that such a multi-layer structure is applied to only a single layer.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안전모로 변형되는 방식을 차례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안전모로 사용될 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는 도 1과 같이 의자로 사용되다가 지진 등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도 5와 같은 안전모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과정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s. 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manner in which the chair 100 is deformed into a safety helmet shown in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safety helm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a helmet. The chair 100 is used as a chair as shown in FIG. 1, and can be transformed into a helmet as shown in FIG. 5 when an emergency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This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석부(120)와 등받이부(110)의 결합을 분리한다. 이때, 방석부(120)의 제2 결합영역(121)은 방석부(120)가 제2 등받이영역(112)의 반대편을 향하도록(도 1과 같은 상태) 제1 서브결합영역(115)에 결합되어 있다가, 제1 서브결합영역(115)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될 수 있다(도 4a와 같은 상태).First, as shown in FIG. 4A, the coupling between the cushion 120 and the backrest 110 is separated. At this time,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of the cushion unit 120 is positioned in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so that the cushion unit 120 faces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And can be position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ub-coupling region 115 (state as shown in FIG. 4A).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10)의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를 벌릴 수 있다. 이때, 절곡영역(111)이 상대적으로 펴지게 되며(즉, 절곡각도가 커지게 되며), 등받이부(110)는 절곡영역(113)을 통해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제1 위치(도 4a 참조), 및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서로 벌어지는 형태인 제2 위치(도 4b 참조) 사이에서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도 4a)에서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이루는 각도는 거의 0°에 가까우므로 제2 위치(도 4b)에서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이루는 각도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에 위치된 탄성부(130)는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를 벌리는 외력에 의해 늘어나게 되며,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서로 인접해지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B,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of the backrest 110 may be opened. At this time, the backrest 110 is folded over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1 through the bending region 113, as the folding region 111 is relatively stretched (i.e., the folding angle is increased) 4) between the first position (see FIG. 4A) in which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face each other (see FIG. 4A) and the second position Can be deformed while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At this time, since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at the first position (FIG. 4A) is close to 0 °,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is formed at the second position (FIG.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1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ckrest areas 111 and 112 is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The first and second backrest regions 111 and 112 can be elastically ur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110)는 예시적으로 연결영역(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영역(117)은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의 타측(즉, 탄성부(130)의 반대편)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제1 위치(도 4a)에서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위치(도 4b)에서는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가 벌어지면서 펼쳐질 수 있다. 단, 여기서 접힌 상태와 펼쳐지는 상태는 상대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개념이지 절대적인 완전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Meanwhile, the backrest par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he connection area 117 as an example. Here, the connecting area 117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i.e., the opposite side of the elastic part 130) 4a) and in a second position (Fig. 4b),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can be opened and spread apart. Here,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refer to relative differences, but they may not mean absolute folded states and unfolded states.

다음,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를 벌린 상태에서 방석부(120)를 등받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방석부(120)의 제2 결합영역(121)은 등받이부(110)의 제1 서브결합영역(115) 및 제2 서브결합영역(116) 모두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방석부(120)를 세운 상태에서 방석부(120)가 제1 등받이영역(111) 및 제2 등받이영역(112)에 대략 수직하면서 일단에서 연장되도록 등받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방석부(120)는 등받이부(110)의 절곡영역(113) 반대편을 향하여 등받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등받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4C, the cushion portion 120 can be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11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are open. At this time,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of the cushion 120 can be coupled to both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of the backrest portion 110, and the cushion portion 120 The cushion part 120 can be coupled to the backrest part 110 so as to extend from one end to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while being substantially vertical. That is, the cushion part 120 may be coupled to the backrest part 110 so as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110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area 113 of the backrest part 110.

이때, 방석부(120)의 제2 결합영역(121)과 등받이부(110)의 제1 결합영역(114) 간 결합을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의자로서 사용될 때에는 제2 결합영역(121)의 양측 제2 결합부재(125)는 제1 서브결합영역(115)의 양측 제1 결합부재(118)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c에서와 같이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안전모로서 사용될 때에는 제2 결합영역(121)의 양측 제2 결합부재(125)는 제1 서브결합영역(115) 및 제2 서브결합영역(116)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제1 결합부재(118)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영역(121)의 일측 제2 결합부재(125)는 제1 서브결합영역(115)의 양측 제1 결합부재(118) 중 인접한 어느 하나의 제1 결합부재(118)에 결합되고, 제2 결합영역(121)의 타측 제2 결합부재(125)는 제2 서브결합영역(116)의 양측 제1 결합부재(118) 중 인접한 어느 하나의 제1 결합부재(118)에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결합영역(115)의 다른 하나의 제1 결합부재(118) 및 제2 서브결합영역(116)의 다른 하나의 제1 결합부재(118)에는 아무것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121 of the cushion unit 120 and the first engagement region 114 of the backrest unit 110 will be exemplified as follows. When the chair 100 is used as a chair as shown in FIG. 1, both side second engaging members 125 of the second engaging region 121 are engaged with both side first engaging members 118 of the first sub-engaging region 115, All of which can be combined. 4C, when the safety helmet 100 is used as a safety helmet, both side second engaging members 125 of the second engaging region 121 are engaged with the first sub-engaging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 116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s 118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8. [ That is,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5 on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region 121 is engaged with the adjacent on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s 118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8 on the first sub- And the other second coupling member 125 of the second coupling region 121 is coupled to only one of the adjacent first coupling members 118 of the both side first coupling members 118 of the second sub coupling region 116 . The first coupling member 118 of the first sub coupling region 115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118 of the other one of the second sub coupling region 116 of the first sub coupling region 115 may b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

또한, 제1 서브결합영역(115)은 예를 들어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제1 등받이영역(111)으로부터 자유롭게 절곡(제1 등받이영역(111)에 대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으며, 제2 서브결합영역(116)도 제2 등받이영역(112)으로부터 자유롭게 절곡(제2 등받이영역(112)에 대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c에서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1 서브결합영역(115)이 이루는 각도는 도 1 및 4a에서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1 서브결합영역(115)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4c에서와 같이 제1 서브결합영역(115)과 제2 서브결합영역(116)을 각각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의 끝단에 대략 평행하게 세운 상태에서, 방석부(120)를 휘어서 방석부(120)의 양측에 있는 제2 결합영역(121)이 제1 서브결합영역(115)과 제2 서브결합영역(116)에 모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방석부(120)를 불가피하게 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제1 결합영역(114)과 제2 결합영역(121)의 상대적인 위치 때문으로, 방석부(120)의 양측이 거의 수직하게 꺽여야 제2 결합영역(121)이 제1 결합영역(114)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방석부(120)가 휘게 되는 경우 방석부(120)는 다시 펴지려는 탄성력을 등받이부(110)에 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부(110)의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이 벌어진 제2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방석부(120)가 휘어져서 제1 서브결합영역(115) 및 제2 서브결합영역(116)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어야 하는바, 방석부(120)의 길이는 제2 위치에서 제1 서브결합영역(115)과 제2 서브결합영역(116)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때 방석부(120)의 형상은 제1 서브결합영역(115) 및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116)의 일측부에 일부 중첩되어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등받이부(110)에 결합된 것으로 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flexible material and can be freely bent (adjusting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from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The engagement area 116 may also be free to bend (adjus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from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4C,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is greater tha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in FIGS. 1 and 4A, . 4C,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are position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ends of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respectively, The second coupling region 121 on both sides of the cushion portion 120 may be coupled to both the first sub-coupling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coupling region 116 by bending the cushion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cushion part 120 must be inevitably rotated becaus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coupling area 114 and the second coupling area 121 cause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120 to be almost perpendicularly bent 2 coupling region 121 can engage with the first coupling region 114. In this case, When the cushion part 120 is bent, the cushion part 12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backrest part 110 so that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of the backrest 110 112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the cushion portion 120 should be bent to be overlapped o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so that the length of the cushion portion 120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first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sub-coupling region 115 and second sub-coupling region 116.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ushion portion 120 may be seen as being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partially overlap one an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도 5은 도 4c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100)의 안전모로서 착용되는 예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안전모 겸용 의자(100)의 안전모로서 착용되는 예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안전모 겸용 의자(100)의 안전모로서 착용되는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as a safety helmet of the safety helmet 100 shown in FIG. 4C. FIG. 6 is an example of a safety helmet of the safety helmet 100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Hereinafter, an example of wearing the safety helmet 100 as a helmet of the safety helme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도 4c 상태의 안전모 겸용 의자(100)는 안전모로 사용될 수 있는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등받이부(110)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방석부(120)는 사용자의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 등 자연재해 발생 시 낙하물로부터 인체 중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머리와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방석부(120) 또는 등받이부(110)는 내부에 경성재(124)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날카로운 낙하물에 의해서도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뚫리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안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는 평소에 의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재해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의자에서 안전모로 변형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여 신속하게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5 and 6, when the user wears the backrest 110, the backrest 110 protects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cushioning portion 120 covers the back of the user's head. The user's back can be protected. Therefore, when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human body can be protected from falling objects. In addition, since the cushion portion 120 or the backrest portion 110 includes the hard material 124 therein, it is possible for the safety helmet 100 to be prevented from being pierced by the sharp falling objects. Particularly, since the chair 100 is generally used as a chair, it can be easily found by a user even if a disaster occurs,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transform from a chair to a helmet, The body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한편, 사용자가 안전모 겸용 의자(100)를 착용하였을 때 탄성부(130)는 안전모 겸용 의자(100)가 사용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등받이영역(111)과 제2 등받이영역(112) 사이가 좁혀지도록 탄성력을 가하면서도, 일종의 목줄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영역(117)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뒷머리를 보호해줄 수 있다. 이때, 연결영역(117)에 의해 사용자의 착용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연결영역(117)에 금속소재의 숨구멍단추를 1개 이상 달아놓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방석부(120) 또는 등받이부(110)의 커버(122)에 소형랜턴을 달아두어 재해상황 발생 시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wears the safety helmet 100, the elastic part 130 narrow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ckrest area 111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112 so that the safety helmet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a kind of neck line. In addition, the connection area 117 can protect the back of the user in the unfolded state.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one or more pores of a metal material in the connection area 117, for example, so that the feeling of fit of the user is not lowered by the connection area 117. A small lantern may be placed on the cover 122 of the cushion unit 120 or the backrest unit 110 to be used as a light source in the event of a disaster.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겸용 의자(100)는 등받이부(110)와 방석부(120)를 포함하되, 등받이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끼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는 제1 등받이영역(111) 또는 제1 서브결합영역(115)과 제2 등받이영역(112) 또는 제2 서브결합영역(116)에 각각 구비되어 2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안전모 겸용 의자(100b)를 안전모로 사용 시 끼움부의 홀에 팔을 끼워 겨드랑이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해 발생 시 격하게 몸을 움직이더라도 안전모 겸용 의자(100b)가 사용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Although not shown clearly, the safety helm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ck portion 110 and a cushion portion 120, and includes a fitting portion (not show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ack portion 110 . The fit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backrest region 111 or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115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112 or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116, When the combined chair 100b is used as a helmet, the arm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itting portion and can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arm. Thus, even if the user moves his or her body during a disaster, the chair 100b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 It is convenient to use both arms free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안전모 겸용 의자
110 : 등받이부
111 : 제1 등받이영역
112 : 제2 등받이영역
113 : 절곡영역
114 : 제1 결합영역
115 : 제1 서브결합영역
116 : 제2 서브결합영역
117 : 연결영역
118 : 제1 결합부재
120 : 방석부
121 : 제2 결합영역
125 : 제2 결합부재
130 : 탄성부
100: Safety arm combined chair
110:
111: first backrest region
112: second backrest area
113: bending area
114: first coupling area
115: first sub-
116: second sub-coupling region
117: Connection area
118: first coupling member
120: cushion part
121: second coupling area
125: second coupling member
130:

Claims (16)

제1 등받이영역, 제2 등받이영역, 상기 제1 등받이영역 및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 등받이영역 및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를 절곡 연결하는 절곡영역, 및 제1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제1 결합영역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방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절곡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은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이 서로 마주보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이 서로 벌어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결합영역은 상기 제1 등받이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서브결합영역 및 상기 제2 등받이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서브결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절곡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 및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A first backrest region, a second backrest region, a bending region for bending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is regulated, A back portion including an area; And
A cushion portion including a second engagement reg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Lt; / RTI >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region or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
Wherein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are located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are widened from each other ,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rein the first engagement region includes a first sub-engagement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a second sub-engagement reg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backrest region,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n the first position is coupled to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at the second position is coupled to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reg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은 각각 양측에 위치한 제1 결합부재를 2개씩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양측에 위치한 제2 결합부재를 2개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2개의 상기 제2 결합부재는 2개의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의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2개의 상기 제2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의 2개의 상기 제1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의 2개의 상기 제1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b-coupling region and the second sub-coupling region each include two first coupling members located on both sides,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ncludes two second engagement members located on both sides,
Wherein the two second engagement members in the first position ar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members of the two first sub-engagement regions,
One of the two second engagement members at the second position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two first engagement members of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other of the second engagement members is coupled to the second sub- And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two first engagement members of the coupling reg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방석부는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 및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의 일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ushion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is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in such a manner as to connect one side of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to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은 상기 제1 등받이영역에 대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gle of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backrest region is adjus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1 등받이영역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1 등받이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first backrest region at the first position is smaller than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first backrest region at the second position. chai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에 대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is angled relative to the second backrest reg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서브결합영역과 상기 제2 서브결합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방석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sub-engagement region in the second posi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ushion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방석부는 휘어진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ush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in a bent state in the second 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부의 휘어짐에 따른 탄성력은 상기 제2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resilient force along the curvature of the cushion portion maintains the second posi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안전모 겸용 의자는 의자로 사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안전모 겸용 의자는 안전모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ty helmet is used as a chair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afety helmet is used as a helmet at the second posi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제2 등받이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결합영역은 상기 방석부가 상기 절곡영역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결합영역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n the first position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at the second position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such that the cushion portion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ending reg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astic part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ackrest area and the second backrest area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first position;
The chai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제1 등받이영역과 상기 제2 등받이영역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위치에서 접히고 상기 제2 위치에서 펼쳐지는 연결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res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region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ackrest region and the second backrest region and folded at the first position and deployed at the second position.
KR1020160129496A 2016-10-07 2016-10-07 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KR101742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496A KR101742104B1 (en) 2016-10-07 2016-10-07 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496A KR101742104B1 (en) 2016-10-07 2016-10-07 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104B1 true KR101742104B1 (en) 2017-05-31

Family

ID=5905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496A KR101742104B1 (en) 2016-10-07 2016-10-07 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1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14B1 (en) 2019-07-04 2020-01-14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Hat for disaster prevention
KR200493557Y1 (en) * 2019-10-31 2021-04-20 진재하 Earthquake response suppl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1476B2 (en) * 1988-07-05 2001-08-20 トムソン コンシューマ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Television defl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1476B2 (en) * 1988-07-05 2001-08-20 トムソン コンシューマ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Television deflec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14B1 (en) 2019-07-04 2020-01-14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Hat for disaster prevention
KR200493557Y1 (en) * 2019-10-31 2021-04-20 진재하 Earthquake response suppl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104B1 (en) Chair for combined use of safety cap
US9038203B2 (en) Protective garment with vent features
US9144253B1 (en) System for integrating a knee pad into a garment
US8166570B2 (en) Knee protection system
US20170013893A1 (en) Protection device
KR102038909B1 (en) Multifunction safety cushion
EP3614983B1 (en) A device wearable on the head of a user
WO2007039962A1 (en) Shock absorbent for protective pad and protective pad and protective clothes using the same
KR20200008448A (en) Clothes for protecting hip joint
JP6656023B2 (en) Knee protector
KR200476355Y1 (en) Member dispersing load of bag adhered to shoulder string of bag
KR101077053B1 (en) 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chair
KR20110063946A (en) Neck protection pillow
US20160193487A1 (en) Component for Fitting to a Safety Harness
TWI655939B (en) Rear sheet adjustment assembly of neck collar
JP2017075415A (en) Folding head protector
JP3185280U (en) School Earthquake Tsunami Countermeasure Evacuation Jacket
KR20210112200A (en) Halmet for prevention of flame and disasters
JP3884471B1 (en) Shock absorber for protective pad, protective pad using the same and protective clothing
TWM564355U (en) Disaster prevention head cover
JP2014114531A (en) Simple disaster prevention helmet
JP2023157906A (en) Head protector
JP2006257615A (en) Protecting vest and protector
KR102151274B1 (en) A mattress having resistance characteristic to flame
JP2013215516A (en) Method for storing at least one emergency article required per per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