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89B1 -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Google Patents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1589B1 KR101741589B1 KR1020160107568A KR20160107568A KR101741589B1 KR 101741589 B1 KR101741589 B1 KR 101741589B1 KR 1020160107568 A KR1020160107568 A KR 1020160107568A KR 20160107568 A KR20160107568 A KR 20160107568A KR 101741589 B1 KR101741589 B1 KR 101741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nnecting member
- present
- moving means
- sh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 B63B35/71—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nestable elements
-
- B63B273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육상에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신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신축프레임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신축프레임 양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선수부 및 선미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되,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단부측에 관통 형성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을 갖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1, 2 연결부재의 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 및 가변프레임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에 형성된 돌출돌기가 상기 제1, 2 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조립된다.
또한, 체결부는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상기 신축프레임 측면을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좁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제1 연결부재 단부 외주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 단부 내주면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호 간섭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신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신축프레임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신축프레임 양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선수부 및 선미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되,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단부측에 관통 형성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을 갖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1, 2 연결부재의 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 및 가변프레임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에 형성된 돌출돌기가 상기 제1, 2 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조립된다.
또한, 체결부는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상기 신축프레임 측면을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좁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제1 연결부재 단부 외주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 단부 내주면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호 간섭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육상에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해상용 이동수단으로 배는 사람·가축·물자 등을 싣고 물에 떠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물로, 배를 의미하는 한자는 무려 240여 가지에 달하여 배의 종류가 많음을 보여 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인 의미로 쓰이는 배는 선(船)·주선(舟船)·선박(船舶)·선가 등이며, 주정(舟艇)은 작고 빠른 배, 함선(艦船)과 함정(艦艇)은 작고 큰 모든 군용선의 뜻으로 되어 있다.
용도별로 배를 분류하면 군함·상선·어선·특수선이 있고, 법규상 분류로는 한국선과 외국선, 등록선(登錄船)과 부등록선, 공선(公船)과 사유선(私有船), 내항선(內航船)과 외항선, 여객선과 비여객선, 국내항로선과 국제항로선 등이 있다.
운항방식에 따라서는 정기선·부정기선, 명령항로선(命令航路船)·자유항로선, 자영선(自營船)·용선(傭船) 및 원양항로선·근해항로선·연해항로선·평수항로선·내수선의 분류가 가능하다. 역사적으로 볼 때, 배는 추진방법이나 선체재료에 따라 동력선(動力船)과 무동력선, 목선(木船)과 철선(鐵船)·강선(鋼船)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류의 문명은 나일강·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인더스강·황하 유역에서 물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고 배도 등장했다. 인류가 시초에 배를 움직이게 하는 데 쓴 것은 물갈퀴였다. 막대기 끝에 손바닥 모양의 평평한 토막을 매단 물갈퀴는 지금도 카누와 같은 원시형태의 배에서 사용되고 있다. 물갈퀴 다음으로 사용된 도구가 노이다.
노에는 앞뒤로 밀고 끌어당기는 서양식 노와 배의 뒤편에서 옆으로 밀고 당기는 동양식 노의 두 종류가 있다. 우리나라의 재래식 배에서는 동양식 노가 사용되어왔다. 인류가 인력 대신에 돛을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배를 추진하게 된 것은 선사시대부터였으며, 초기에는 노와 돛을 함께 쓴 범요선(帆橈船)의 형태였다.
인력을 완전히 탈피한 범선은 13세기 경부터 일반화되기 시작하여 19세기까지 범선시대를 이루게 되었다. 1801년 증기기관이 이용된 이후 19세기 초부터는 동력선이 등장하여 선박사에서 가장 큰 전기를 맞게 되었다.
배의 완전한 동력화는 19세기 후기에 프로펠러철선이 나타남으로써 성취되었으며, 20세기에 들어서는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보게 되어 증기기관선에 이어 디젤기관선·증기터빈선이 늘어나고, 오늘날에 와서는 원자력선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배의 원시적 형태는 나무를 묶어 만든 뗏목배, 통나무의 가운데 부분을 파낸 통나무배, 수피(獸皮)·목피(木皮)를 이용한 가죽배 등으로서 이들은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에스키모인은 현재도 나뭇가지로 골격을 만들고 그 위에 동물가죽을 입힌 카약(kayak)을 사용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럼비아에서는 나무껍질을 입힌 카누를 사용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각 지방에서는 갈대를 묶어 만든 파피루스선(papyrus boat)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동남아 여러 나라에서는 참대로 엮어 만든 뗏목배가 아직도 어업에 이용되고 있다. 남태평양의 여러 섬과 아프리카 해안에서는 통나무를 깎아내어서 만든 카누가 토착민들에 의하여 아직도 사용되고 있다.
인류가 사용한 배는 가죽배·통나무배·뗏목배 등 원시적인 배의 형태를 거쳐, 그 뒤 배의 골격을 만든 상태에서 이 골격에 외판과 갑판을 붙인 구조선(構造船)으로까지 발달되어 왔다. 구조선 중 나무재료에 의한 목선의 사용은 세계적으로 서기 15세기 경부터 19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어 왔으나, 19세기 초부터는 재료의 사용이 다양화되어 목철선·철선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19세기 후반 약 20년간 전성기를 이루다가 그 뒤로부터 현대까지 강선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한편, 낮 기온이 30도를 웃돌면서 무서운 속도로 여름이 우리 속에 파고들고 있다. 여름 하면 생각나는 것이 더러 있지만, 그 중 시원한 바다는 여름철 최우선으로 뽑는 여행지임과 동시에 각종 수상 레저기구가 즐비한 곳이기도 하다.
최근 새로운 수상 레저기구가 생겨나고 있는 시점에서 바나나보트와 블롭점프 등 익사이팅(exciting)하고 짜릿한 기분을 즐기는 사람도 있지만 반대로 여유를 느끼고 안정적인 것을 원하는 사람도 있다. 이에 적합한 수상 레저기구가 바로 ‘카약’이다.
해상용 이동수단의 하나인 카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동력 수상 레저기구로 어른들은 물론 어린아이까지 쉽게 즐길 수 있는 수상 레포츠다. 남녀노소 쉽게 탈 수 있다는 장점과 노를 젓는 것으로 운동 효과까지 있어 최고의 수상 레저기구로 각광받고 있다.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에 카약을 구매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으며, 피싱카약, 분리형 카약 등 여러 종류의 카약이 존재하여 카약킹 뿐만 아니라 낚시 등의 여러 방면으로 활용도 가능하다.
통영, 거창, 거제 등의 안전체험장에서는 시승 체험까지 실시하여 많은 방문객이 카약을 직접 타보므로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전국 곳곳에 안전 체험장이 설립되어 누구나 쉽게 카약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들어 여름휴가 시즌에는 수상레저를 즐기는 레저인구 중 카약·카누를 즐기는 인구증가 추세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카약·카누가 ‘정글의 법칙’이나 ‘낚시 채널’등 방송 매체를 통하여 자주 방송되면서 국민에게 친근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보통 수상레저라고 하면 제트스키, 수상스키, 보트 등을 떠올리곤 했지만, 카약·카누가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되면서 전국 수상 레저체험장, 어촌체험마을, 펜션, 수련원 등에 관광프로그램으로 사용되고 있고, 강이나 바다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카약킹이나 낚시 용도로 사용하는 레저인들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올해 여름 휴가시즌에는 관광지에서 카약·카누를 즐기는 관광객이 작년 대비 50% 이상 늘어 날것으로 예상되어 대부분의 수상관련 업체가 카약·카누를 추가로 구입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참고로, 카누 경기의 종목으로는 ①정수(靜水)에서 일정한 거리를 속도로 겨루는 패들링 레이스, ②격류에 기문을 설치하고 통과하는 슬라롬(Slalom), ③급류를 헤쳐나가는 와일드 워터(Wild Water), ④돛을 달고 하는 세일링(Sailing), ⑤그룹으로 수상여행을 즐기는 투어링(Touring) 등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해상용 이동수단으로 예시적인 카누나 카약 등과 같은 배는 육상에서 운반하기에 선체 길이 방향으로 그 크기가 길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육상에서 보관하는 데 부피가 많이 차지하는 등으로 인하여 보관하기 어렵거나 운송 비용 등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신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신축프레임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일체형으로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한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신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신축프레임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신축프레임 양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선수부 및 선미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되,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단부측에 관통 형성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을 갖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1, 2 연결부재의 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 및 가변프레임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에 형성된 돌출돌기가 상기 제1, 2 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조립된다.
또한, 체결부는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상기 신축프레임 측면을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좁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은 제1 연결부재 단부 외주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 단부 내주면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호 간섭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에 따르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운반이나 보관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선수부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체결 부분을 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체결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및 체결 부분을 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선수부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체결 부분을 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체결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및 체결 부분을 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선수부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체결 부분을 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체결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신축프레임 및 체결 부분을 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100)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신축프레임(120)과, 고정프레임(110)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신축프레임(120)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130), 및 신축프레임(120) 양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선수부(140) 및 선미부(150)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120)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되,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단부측에 관통 형성된 제1 관통홀(121h)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121), 및 제1 연결부재(121)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제1 관통홀(121h)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123h)을 갖는 제2 연결부재(1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121)가 상기 제2 연결부재(123)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123)와 겹치는 부분에는 고정프레임(110) 및 가변프레임(130)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160)에 형성된 돌출돌기(161)가 제1, 2 관통홀(121h, 123h)에 삽입되어 체결·조립된다.
또한, 체결부(160)는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신축프레임(120) 측면을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120)은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좁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120)은 제1 연결부재(121') 단부 외주면에 제1 걸림턱(121t)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123') 단부 내주면에 제2 걸림턱(123t)이 형성되어 상호 간섭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120)은 체결부(160)와 분리되어 일자 형태로 신축(伸縮) 가능하다.
또한, 신축프레임(120)은 체결부(160)와 분리되어 일자 형태로 신축(伸縮) 가능하다.
그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100)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100)은,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신축프레임(120)과, 고정프레임(110)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신축프레임(120)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외피커버부(미도시)는 고정프레임(110), 신축프레임(120) 및 가변프레임(13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사람이 착석하는 곳을 제외한 전체를 감싸 카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로 감싸 카누로 사용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피커버부는 고정프레임(110), 신축프레임(120) 및 가변프레임(130) 등을 감싸는 방수성 시트(sheet)로, 종래의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고정프레임(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선체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고정프레임(111), 상기 중앙고정프레임(111)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고정프레임(112) 및 상기 중앙고정프레임(111)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고정프레임(113)으로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10)은 선체의 중심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신축프레임(120) 일측을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중앙고정프레임(111) 및 전후방고정프레임(112, 113)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110)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신축프레임(120)의 신축(伸縮)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며, 중앙고정프레임(111)은 신축프레임(120)의 중앙부를 일체형으로 체결 고정하거나 수리 등을 감안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고정프레임(112, 113)은 신축프레임(120)의 신축(伸縮)과 상관없이 중앙고정프레임(11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선체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킨다.
또한, 고정프레임(110)은 외측 테두리를 따라 신축프레임(120)을 고정하는 체결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60)는 후술하는 내용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고정프레임(110)은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상의 골격을 형성하거나 중앙고정프레임(111)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성의 골격이 될 수 있고, 특히, 중앙고정프레임(111)은 사용자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프레임(1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당한 강도에 휘어질 수 있는 탄성 재질로, 6개의 부재(120a, 120b, 120c, 120d, 120e, 120f)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프레임(120)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선체의 외곽프레임을 구성한다. 신축프레임(120)의 배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길이와 폭을 달리하여 다양한 선체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프레임(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伸縮) 가능하며, 제1연결부재(121)와, 제1연결부재(121)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연결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신축프레임(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中空)인 원통 또는 튜브(tube) 형상을 가지고,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좁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단부측에 관통 형성된 제1 관통홀(121h)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121), 및 제1 연결부재(121)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제1 관통홀(121h)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123h)을 갖는 제2 연결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부호번호 120c, 120f에 해당하는 신축프레임(120)은 내부에 제1 및 제2 관통홀(121h, 123h)이 형성되지 않고 가변프레임(130)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고정프레임(110) 및 가변프레임(130) 간에 완전히 분리하면 조립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신축프레임(120)은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中空)인 원통 또는 튜브(tube) 형상을 가지고,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단부측에 관통 형성된 제1 관통홀(121h')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121'), 및 제1 연결부재(121')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제1 관통홀(121h')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123h')을 갖는 제2 연결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인 신축프레임(120)은 제1 연결부재(121') 단부 외주면에 제1 걸림턱(121t)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123') 단부 내주면에 제2 걸림턱(123t)이 형성되어 상호 간섭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신축프레임(120)는 제1 관통홀(121h) 및 제2 관통홀(123h)이 일직선상에 원활하게 일치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가변프레임(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신축프레임(120)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상의 골격을 형성하거나 중앙고정프레임(111)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성의 골격이 될 수 있으며, 전방가변프레임(130a) 및 후방가변프레임(13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방가변프레임(130a)은 고정프레임(110) 전방에서 선수부(140) 방향을 따라 차례로 제1, 제2, ... 전방가변프레임(131, 132, ...) 등으로 구성되고, 그 수는 선체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후방가변프레임(130b)은 고정프레임(110) 후방에서 선미부(150) 방향을 따라 차례로 제1, 제2, ... 후방가변프레임(135, 136, ...) 등으로 구성되고, 그 수는 선체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방가변프레임(130a)은 선수부(140) 방향으로 갈수록 그 골격이 날렵하게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고, 후방가변프레임(130b)은 선미부(150) 방향으로 갈수록 그 골격이 날렵하게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특히, 가변프레임(130)은 신축프레임(120)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되면서 신축프레임(120)의 일측을 고정하거나 잡아 줄 수 있도록 뼈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후술하는 체결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160)는 고정프레임(110) 및 가변프레임(130) 테두리 외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그 기능은 동일하다 하겠다. 따라서, 각 부재별로 번호를 부여하여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에 단일 번호로 후술하고자 한다.
선수부(140)는 선체의 선두에 형성되어 파도를 헤져 나갈 수 있도록 유선형의 날렵한 형상을 가지되, 신축프레임(120) 선두 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선미부(150)는 선체의 후두에 형성되어 선체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유선형의 키 형상을 가지되, 신축프레임(120) 후두 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선수부(140) 및 선미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프레임(120) 양끝단을 모아 고정하는데, 일부 신축프레임(120c, 120f)은 일체로 고정되고 나머지 신축프레임(120a, 120b, 120d, 120e)은 탈착 가능할 수 있으며, 운반이나 보관 등 필요에 따라 신축프레임(120) 전부를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16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 및 가변프레임(130) 테두리 외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1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신축프레임(120) 측면을 용이하게 돌출된 양끝단이 탄성적으로 잡아주면서 탈착할 수 있고, 'C'자 그 내부에 돌출돌기(161)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신축프레임(120) 일측을 잡아 줄 수 있다.
또한, 체결부(16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연결부재(121, 123)의 단부가 고정프레임(110) 및 가변프레임(130)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160)에 형성된 돌출돌기(161)로 인하여 제1, 2 관통홀(121h, 123h)에 삽입되어 체결·조립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일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100)은 다음과 같이 조립·사용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해상용 이동수단(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용이하게 신축프레임(120)을 최대한 줄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하였다가 세일링(sailing)하고자 하는 바다나 강 주변에 차량 등에 의해 운반하여 이동한다. 이때, 해상용 이동수단(100)은 선체 길이 방향으로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어 부피가 작아져 승용차와 같은 차량에 충분히 실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세일링(sailing)하고자 하는 바다나 강 주변에 도착하여 조립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용 이동수단(100)의 신축프레임(120)을 선체 길이 방향으로 늘려 카누나, 카약과 같은 선체를 형성한다.
이때, 신축프레임(120) 중 부호 120c, 120f는 고정프레임(110) 및 가변프레임(130)에 상하에 위치하여 슬라이드(slide) 되듯이 늘려지면서 가변프레임(1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부호 120c, 120f에 해당하는 신축프레임(120)은 제1, 2 연결부재(121, 123)로 구성되나 내부에 제1 또는 제2 관통홀(121h, 123h)을 가지지 않고 다만 가변프레임(130)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120f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는 부재이다.
다음, 신축(伸縮) 가능한 신축프레임(120)을 최대한 늘려진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10) 및 가변프레임(130)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체결부(160)에 제1, 2 연결부재(121, 123)의 단부를 일치시켜 돌출돌기(161)를 제1, 2 관통홀(121h, 123h)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다음, 신축프레임(120)의 선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140)의 선수부 홈(140h)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신축프레임(120)의 후두는 선미부(150)의 선수부 홈(미도시)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방수성 시트(sheet)인 외피커버부로 고정프레임(110), 신축프레임(120) 및 가변프레임(130) 등을 감싸 물이 새지 않도록 조립하여 해상에 띄우면 된다.
이렇게 하므로,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운반이 편리하고 보관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해상용 이동수단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100)은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신축프레임(120)과, 고정프레임(110)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신축프레임(120)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130)을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조립이 상당히 간편하고 편리하며, 신축프레임(120) 양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선수부(140) 및 선미부(150)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해상용 이동수단은 모든 배를 포괄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상술한 카약뿐만 아니라, 보트, 카누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에 따르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고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운반이나 보관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해상용 이동수단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해상용 이동수단
110 : 고정프레임 120 : 신축프레임
130 : 가변프레임 140 : 선수부
150 : 선미부
110 : 고정프레임 120 : 신축프레임
130 : 가변프레임 140 : 선수부
150 : 선미부
Claims (4)
-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선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고정되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신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신축프레임의 신축(伸縮)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신축프레임 양끝단을 모아 고정하는 선수부 및 선미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신축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좁아지게 구성되되,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단부측에 관통 형성된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을 갖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제2 연결부재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와 겹치는 부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 및 가변프레임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에 형성된 돌출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조립되며,
상기 신축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부재 단부 외주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 단부 내주면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호 간섭으로 빠지지 않으며,
상기 신축프레임은 상기 체결부와 분리되어 일자 형태로 신축(伸縮)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그 단면이 'C'자형으로 상기 신축프레임 측면을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568A KR101741589B1 (ko) | 2016-08-24 | 2016-08-24 |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PCT/KR2017/009231 WO2018038543A1 (ko) | 2016-08-24 | 2017-08-24 |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568A KR101741589B1 (ko) | 2016-08-24 | 2016-08-24 |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1589B1 true KR101741589B1 (ko) | 2017-05-30 |
Family
ID=5905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7568A KR101741589B1 (ko) | 2016-08-24 | 2016-08-24 |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1589B1 (ko) |
WO (1) | WO2018038543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73679A1 (en) | 2013-03-15 | 2014-09-18 | Tolemar Inc. | Buoyant Board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710056T2 (de) * | 1997-07-28 | 2002-09-19 | Vincenzo Filice | System mit starrer oder halbstarrer Zelle mit ausziehbaren Enden für Sportbootskörper |
US6371042B1 (en) * | 2000-04-26 | 2002-04-16 | Dwight W. Abernethy | Folding kayak |
US8091502B2 (en) * | 2007-07-03 | 2012-01-10 | Advanced Elements, Inc. | Backbone |
US8656855B2 (en) * | 2010-12-28 | 2014-02-25 | The Folding Boat Company, Llc | Light-weight portable folding boat |
KR20140089289A (ko) * | 2013-01-04 | 2014-07-14 | 주식회사 케이플랜웍스 | 카누 가변형 카약 |
-
2016
- 2016-08-24 KR KR1020160107568A patent/KR1017415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8-24 WO PCT/KR2017/009231 patent/WO20180385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73679A1 (en) | 2013-03-15 | 2014-09-18 | Tolemar Inc. | Buoyant Bo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38543A1 (ko) | 2018-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63243B2 (en) | Portable collapsible boat | |
Maloney | Chapman piloting & seamanship | |
KR101741589B1 (ko) | 신축프레임을 이용한 해상용 이동수단 | |
Johnstone | Bronze Age sea trial | |
Bond | The handbook of sailing: A complete guide to all sailing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the beginner and the experienced sailor | |
Gibson-Hill | Tongkang and lighter matters | |
US20230219668A1 (en) | Convertible standup paddle board paddle | |
Beale | From Indonesia to Africa: Borobudur Ship Expedition | |
US4587917A (en) | Multi-use watercraft | |
US3161170A (en) | Sailing vehicle | |
Husick | Chapman Piloting & Seamanship | |
Noble | Lessons to be Learned from the Study of Indigenous Craft | |
Gunya et al. | Types of sailing ships and their design | |
Daniel | Ships of the seven seas | |
Shtepa et al. | HISTORY OF THE SHIPBUILDING DEVELOPMENT: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 |
Pike | The Complete RIB Manual: The Definitive Guide to Design, Handling and Maintenance | |
AU715301B2 (en) | Collapsible boat | |
GB844197A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collapsible boats, canoes and the like | |
Alden | The Canoe and the Flying Proa: Or, Cheap Cruising and Safe Sailing | |
Gifford et al. | The sailing characteristics of Saxon ships | |
Sherwood | A field guide to sailboats of North America | |
WO2010070641A1 (en) | Multihulled waterborne vehicle | |
KR20230062904A (ko) | 조립식보트 | |
Hobbs | Sailing ships at a glance: a pictorial record of the evolution of the sailing ship from the earliest times until to-day | |
Spectre | 100 Boat Designs Reviewed: Design Commentaries by the Exper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