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479B1 -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479B1
KR101741479B1 KR1020150114985A KR20150114985A KR101741479B1 KR 101741479 B1 KR101741479 B1 KR 101741479B1 KR 1020150114985 A KR1020150114985 A KR 1020150114985A KR 20150114985 A KR20150114985 A KR 20150114985A KR 101741479 B1 KR101741479 B1 KR 10174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generator room
chambe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154A (ko
Inventor
김홍연
구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4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분기되어 주기관실과 독립적으로 형성된 발전기룸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관; 주기관실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관; 및 발전기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주기관실과 연통되는 제1 배기구 및 외부와 연통되는 제2 배기구가 구비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발전기룸의 공기는, 제1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다가 주기관실의 공기 오염시 제2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관실과 발전기룸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에서 주기관실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발전기룸으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발전기룸으로 연기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VENT DUCT SYSTEM FOR ENGINE ROOM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관실과 발전기룸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에서 주기관실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발전기룸으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발전기룸으로 연기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관실(engine room)은 선박이나 건물 등에서 원동기가 설치되어 있는 방을 가리키며, 발전기, 엔진, 보조 보일러 등이 수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주기관실(ER)과 발전기룸(GR)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S)의 기관실(R)에서는 발전기룸(GR)의 공기 배기구(G12)가 주기관실(ER)로 향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발전기룸(GR)에서 주기관실(ER)로 배출된 공기는 주기관실(ER)의 공기와 함께 토출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주기관실(ER)과 발전기룸(GR)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S)은 주기관실(ER)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스모크나 유해가스가 발전기룸(G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발전기룸(GR)의 배기구(G12)를 차단할 수밖에 없는데, 발전기룸(GR)의 배기구(G12)가 차단되면 발전기룸(GR) 내부의 공기가 정체됨에 따라 발전기룸(GR)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산소공급이 요구되는 발전기의 가동을 중단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관실과 발전기룸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에서 주기관실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발전기룸으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발전기룸으로 연기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발전기룸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발전기룸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주기관실 및 다른 발전기룸에는 정상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기관실과 발전기룸을 독립적으로 형성한 선박 기관실에 설치되고,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분기되어 상기 주기관실과 상기 발전기룸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관;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관; 및 상기 발전기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주기관실과 연통되는 제1 배기구 및 외부와 연통되는 제2 배기구가 구비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룸의 공기는, 상기 제1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다가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 오염시 상기 제2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배기구에는 제1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개폐장치는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 오염시 닫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구에는 제2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개폐장치는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 오염시 열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구는,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가 상기 발전기룸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기관실의 상단부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관은, 상기 주기관실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된 토출구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발전기룸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토출관의 하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배기구가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관 및 상기 배기관은 굴뚝 효과(Stack effect)에 의해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전기룸은 제1 발전기룸과 제2 발전기룸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주기관실과 상기 제1 발전기룸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흡입관 및 상기 주기관실과 상기 제2 발전기룸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제1 발전기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관 및 상기 제2 발전기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기관실에는, 상기 제1 흡입관과 연결되는 제1 유입관 및 상기 제2 흡입관과 연결되는 제2 유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입관과 상기 제2 유입관은 연통관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연통관에는 상기 제1 유입관과 상기 제2 유입관 간 유량의 균형을 형성하는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기룸의 공기는, 제1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다가 주기관실의 공기 오염시 제2 배기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주기관실과 발전기룸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에서 주기관실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발전기룸으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발전기룸으로 연기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전기룸마다 흡입관 및 배기관이 독립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발전기룸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주기관실 및 다른 발전기룸에는 정상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의 투시도.
도 3은 도 1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은, 주기관실과 발전기룸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에서 주기관실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발전기룸으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발전기룸으로 연기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은, 발전기룸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발전기룸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주기관실 및 다른 발전기룸에는 정상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의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은 주기관실과 1개의 발전기룸을 갖는 선박의 기관실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아래에서는 주기관실과 2개의 발전기룸 즉, 제1 발전기룸 및 제2 발전기룸이 갖추어진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은 주기관실과 한 개 이상의 발전기룸을 갖는 선박의 기관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 상세한 설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기관실과 2개의 발전기룸, 즉 제1 발전기룸 및 제2 발전기룸이 갖추어진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은 주기관실과 3개의 발전기룸을 갖는 선박의 기관실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흡입관, 유입관 및 배기관은 발전기룸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1)은, 주기관실(ER)과 발전기룸(GR)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S)에서 주기관실(ER)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발전기룸(GR)으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발전기룸(GR)으로 연기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며, 흡입관(10), 유입관(20), 배기관(30) 및 토출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10)은 외부 공기가 기관실(R)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제1 흡입관(11) 및 제2 흡입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서 미설명된 부호 D는 선박의 갑판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입관(11)은 주기관실(ER)과 제1 발전기룸(GR1)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제2 흡입관(12)은 주기관실(ER)과 제2 발전기룸(GR2)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1 흡입관(11)은 외부 공기가 세로방향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G1)는 상단부에 형성되며, 흡입구(G1)의 하측에서 분기되어 주기관실(ER)과 제1 발전기룸(GR1)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제1 흡입관(11)에는 흡입구(G1)의 아래쪽에 팬(F)이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로 하강시키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팬(F)은 주기관실(ER)과 제1 발전기룸(GR1)으로 분기된 분기관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입관(12)은 외부 공기가 세로방향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G1)는 제2 흡입관(12)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흡입구(G1)의 하측에서 분기되어 주기관실(ER)과 제2 발전기룸(GR2)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제2 흡입관(12)에는 흡입구(G1)의 아래쪽에 팬(F)이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로 하강시키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팬(F)은 주기관실(ER)과 제2 발전기룸(GR2)으로 분기된 분기관마다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40)은 주기관실(ER)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주기관실(ER)의 공기가 세로방향 즉,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토출관(40)은 주기관실(ER)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주기관실(ER)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G4)는 상단부에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30)은 발전기룸(GR)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각각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배기관(31) 및 제2 배기관(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기관(31)은 제1 발전기룸(GR1)의 상단부로부터 토출관(40)의 하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발전기룸(GR1) 내부의 공기가 세로방향 즉,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배기관(32)은 제2 발전기룸(GR2)의 상단부로부터 토출관(40)의 하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발전기룸(GR2) 내부의 공기가 세로방향 즉,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기관(31) 및 제2 배기관(32)의 상단부에는 제1 배기구(G3A) 및 제2 배기구(G3B)가 각각 구비된다.
제1 배기구(G3A)는 주기관실(ER)과 연통되고, 제2 배기구(G3B)는 외부와 직접 연통된다.
제1 배기구(G3A)에는 제1 개폐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제1 개폐장치는 평상시 제1 배기구(G3A)를 개방시키며, 이에 따라 평상시 발전기룸(GR)의 공기는 제1 배기구(G3A)를 통해 주기관실(ER)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기구(G3A)는, 주기관실(ER)의 공기가 발전기룸(GR)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주기관실(ER)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40) 및 배기관(30)은 굴뚝 효과(Stack effect)에 의해 공기의 역류가 방지된다.
굴뚝 효과(Stack effect)란, 고층 건축물이나 굴뚝, 가스관 등에서 부력에 의해 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다. 부력은 온도와 습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실내와 실외의 공기 밀도 차에서 발생하며, 이것은 양 또는 음의 방향을 가지는 힘으로 나타난다. 이는 자연 환기를 돕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흡입관(10)의 흡입구(G1) 및 토출관(40)의 토출구(G4)는 주기관실(ER) 및 발전기룸(GR)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주기관실(ER) 및 발전기룸(GR)은 흡입구(G1)와 토출구(G4)를 통해 외부 공기와 연통되기 때문에 굴뚝 효과는 기관실(R)로의 공기 유입을 유도하게 된다.
기관실(R) 내부에는 발전기, 엔진, 보조 보일러 등 열을 발산하는 기계장치가 설치되므로 주기관실(ER) 및 발전기룸(GR)의 따듯한 내부 공기는 상승하게 되며, 흡입관(10)에 설치된 팬(F)이 외부 공기를 주기관실(ER)과 발전기룸(GR) 쪽으로 가압함에 따라, 주기관실(ER) 및 발전기룸(GR)의 따듯한 내부 공기는 토출관(40) 및 배기관(30)을 통해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는 주기관실(ER)과 발전기룸(GR)의 기압을 낮추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주기관실(ER)과 발전기룸(GR)의 기압이 낮아지면 외부 공기는 흡입관(10)을 통해 더욱 순조롭게 유입되며, 유입된 외부 공기는 발전기, 엔진, 보조 보일러 등 열을 발산하는 기계장치의 열로 인해 다시 가열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2에서 G5는 주기관실(ER)의 공기가 토출관(40)으로 이동하는 배출구(G5)를 의미한다. 배출구(G5)는 완전히 개방된 통로로 이루어지며, 유량을 조정하거나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주기관실(ER)의 가벼운 화재나 공기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굴뚝 효과에 의해 주기관실(ER)의 연기나 오염된 공기가 발전기룸(GR)으로 역류하지 않고 토출관(40)을 통해 배출된다.
제2 배기구(G3B)에는 제2 개폐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주기관실(ER)에 화재에 의한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거나 가스 누출에 의해 공기 오염이 심한 상황에서 제1 배기구(G3A)가 열려있게 되면, 주기관실(ER)의 압력 상승에 의해 연기나 오염 공기가 배기관(30)을 통해 발전기룸(GR)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개폐장치는 평상시 제2 배기구(G3B)를 폐쇄하며, 주기관실(ER)의 화재시나 공기 오염시에는 제2 배기구(G3B)를 개방하여 발전기룸(GR)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연기나 오염 공기가 배기관(30)을 통해 발전기룸(G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개폐장치는 주기관실(ER)의 화재시나 공기 오염시 제1 배기구(G3A)를 폐쇄한다.
제1 개폐장치 및 제2 개폐장치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식 커버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개방과 폐쇄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타입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단순히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장치는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발전기룸(GR1)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공기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1 개폐장치는 제1 배기구(G3A)를 폐쇄하고 제2 개폐장치는 제2 배기구(G3B)를 개방함으로써, 연기나 오염된 공기가 제1 발전기룸(GR1)의 압력 상승에 의해 제2 발전기룸(GR2)이나 주기관실(ER)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관실(ER)에는 제1 흡입관(11)과 연결되는 제1 유입관(21) 및 제2 흡입관(12)과 연결되는 제2 유입관(22)을 포함하는 유입관(20)이 설치된다.
제1 흡입관(11) 및 제2 흡인관에서 분기되어 주기관실(ER)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유입관(21) 및 제2 유입관(22) 내에서 이동하여 유입구(G2)를 통해 주기관실(ER)의 특정 위치에서 배출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구(G2)가 형성되는 주기관실(ER)의 특정 위치는 주기관실(ER) 내부의 기계장치 배치, 내부 공기 압력 분포를 고려한 위치로서 선박(S)의 기관실(R)마다 다양한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유입구(G2)가 유입관(20)마다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입관(11)은 주기관실(ER)과 제1 발전기룸(GR1)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제2 흡입관(12)은 주기관실(ER)과 제2 발전기룸(GR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데, 일 예로 제1 흡입관(11)에 설치되어 주기관실(ER)로 공기를 가압하는 팬(F)이 고장나는 경우 제1 유입구(G2)와 제2 유입구(G2)를 통해 주기관실(ER)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유입구(G2)와 제2 유입구(G2)를 통해 주기관실(ER)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서로 다르면, 주기관실(ER) 내부의 특정 구역의 온도가 상승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가혹해지거나 기계장치의 온도상승에 의한 유지관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입관(21)과 제2 유입관(22)은 주기관실(ER) 내에서 연통관(23)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연통관(23)에는 제1 유입관(21)과 제2 유입관(22) 간 유량의 균형을 형성하는 유량조절장치(24)가 설치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량조절장치(24)는 제1 유입관(21)과 제2 유입관(22)의 유량을 감지하는 센서, 양방향 팬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흡입관(11)에 설치되어 주기관실(ER)로 공기를 가압하는 팬(F)이 고장나 제1 유입관(21)의 유량이 감소한 경우 제어부가 센서의 신호에 의해 양방향 팬을 가동시켜 연통관(23)을 통해 제2 유입관(22)의 공기를 제1 유입관(21)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유입구(G2)와 제2 유입구(G2)로부터 주기관실(ER)로 균일한 유량의 공기를 유입시키게 된다.
물론, 유량조절장치(24)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양방향 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기룸(GR)의 공기는, 제1 배기구(G3A)를 통해 배출되다가 주기관실(ER)의 공기 오염시 제2 배기구(G3B)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주기관실(ER)과 발전기룸(GR)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선박(S)에서 주기관실(ER)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발전기룸(GR)으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발전기룸(GR)으로 연기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전기룸(GR)마다 흡입관(10) 및 배기관(30)이 독립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발전기룸(GR)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주기관실(ER) 및 다른 발전기룸(GR)에는 정상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덕트 시스템 S : 선박
D : 갑판 ER : 기관실
GR1 : 제1 발전기룸 GR2 : 제2 발전기룸
10 : 흡입관 20 : 유입관
11 : 제1 흡입관 21 : 제1 유입관
12 : 제2 흡입관 22 : 제2 유입관
G1 : 흡입구 23 : 연통관
F : 팬 24 : 공기조절장치
30 : 배기관 G2 : 유입구
31 : 제1 배기관 40 : 토출관
32 : 제2 배기관 G4 : 토출구
G3A : 제1 배기구 G5 : 배출구
G3B : 제2 배기구

Claims (6)

  1.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분기되어 주기관실과 상기 주기관실과 독립적으로 형성된 발전기룸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관;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관; 및
    상기 발전기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주기관실과 연통되는 제1 배기구 및 외부와 연통되는 제2 배기구가 구비되는 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발전기룸의 공기는, 상기 제1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다가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 오염시 상기 제2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발전기룸은 제1 발전기룸과 제2 발전기룸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주기관실과 상기 제1 발전기룸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흡입관 및 상기 주기관실과 상기 제2 발전기룸 각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제1 발전기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관 및 상기 제2 발전기룸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관을 포함하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에는 제1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배기구에는 제2 개폐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 오염 시 상기 제1 개폐장치는 닫히며, 상기 제2 개폐장치는 열리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는, 상기 주기관실의 공기가 상기 발전기룸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기관실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은, 상기 주기관실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된 토출구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발전기룸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토출관의 하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배기구가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관 및 상기 배기관은 굴뚝 효과(Stack effect)에 의해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관실에는, 상기 제1 흡입관과 연결되는 제1 유입관 및 상기 제2 흡입관과 연결되는 제2 유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입관과 상기 제2 유입관은 연통관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연통관에는 상기 제1 유입관과 상기 제2 유입관 간 유량의 균형을 형성하는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KR1020150114985A 2015-08-14 2015-08-14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KR10174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985A KR101741479B1 (ko) 2015-08-14 2015-08-14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985A KR101741479B1 (ko) 2015-08-14 2015-08-14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54A KR20170020154A (ko) 2017-02-22
KR101741479B1 true KR101741479B1 (ko) 2017-06-15

Family

ID=5831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985A KR101741479B1 (ko) 2015-08-14 2015-08-14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38A (ko) 2017-08-22 2019-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기관실의 팽창거품 소화를 위한 공기차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701B1 (ko) * 2017-07-12 2020-1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엔진룸 환기시스템
CN111846187B (zh) * 2020-07-24 2022-05-20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海上核电平台集中进排风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315A (ja) * 2004-04-26 2005-11-04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船舶内電気機器室の空調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315A (ja) * 2004-04-26 2005-11-04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船舶内電気機器室の空調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38A (ko) 2017-08-22 2019-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기관실의 팽창거품 소화를 위한 공기차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54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479B1 (ko)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CN206522901U (zh) 微正压除霾新风机与风口
KR20180101291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주방 배기시스템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CN112429188B (zh) 一种用于船舶舱室的空气正压和负压状态控制的实验室
FI126255B (fi) Paineistetun monikerroksisen rakennuksen paineenhallinta ja ilmastointi
US4535684A (en) Ventilation system for an enclosed space
KR102266306B1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KR100577204B1 (ko) 압력조절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량 조절방법
KR100930331B1 (ko) 연돌효과 저감을 위한 건물의 샤프트 최적냉각방법
EP3045814B1 (en) Collective concentric flue duct
NO129217B (ko)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KR100601219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JP2015102310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4721671B2 (ja) 排気システム及び排気方法
CN219775901U (zh) 一种地铁车站公共区共用管路的通风空调装置
RU2684675C1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и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я путем утилизации отработанных дымовых газов котельной с зависимой системой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KR200362528Y1 (ko) 제연장치
KR20170045493A (ko) 선박용 배기시스템 및 배기제어방법
NL1031029C1 (nl) Binnenklimaatinstallatie.
JPH0338492B2 (ko)
CN104759048A (zh) 一种电梯井错位重力喷淋和送排风装置
CN110057015A (zh) 建筑排烟与通风设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