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393B1 - A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A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393B1
KR101741393B1 KR1020100115493A KR20100115493A KR101741393B1 KR 101741393 B1 KR101741393 B1 KR 101741393B1 KR 1020100115493 A KR1020100115493 A KR 1020100115493A KR 20100115493 A KR20100115493 A KR 20100115493A KR 101741393 B1 KR101741393 B1 KR 10174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dust collecting
sepa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4223A (en
Inventor
황정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393B1/en
Publication of KR2012005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장치 내에서 먼지와 공기의 분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선회시켜서 상호 분리시키고, 상기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그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먼지 분리부와 부분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와;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집진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먼지분리부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먼지분리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공기배출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먼지분리부 내에서의 공기 및 먼지의 선회류 형성을 보조하는 보조부재를 구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more effectively separating dust and air in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dust separator for circulating and separating sucked air and dust, and guiding the dust and the separated air to be discharged to a discharge port provided below the dust separator; A dust collect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partially communicating with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collecting the dust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ing part; a cover membe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An air discharg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and provid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and assist in forming a swirling flow of air and dust in the dust separating portion And a vacuum cleaner.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 A VACUUM CLEANE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와 공기의 분리가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eparating dust and air more smoothly and effectively.

진공청소기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가구등에 있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장치이다. A vacuum cleaner is an electric device that can remove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or furniture of a building by using a mechanism that sucks outside air using vacuum pressure.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방식으로 구별된다. Such a vacuum cleaner is divided into a canister type in which a main body and a suction nozz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ipe, and an up-right type in which a suction nozzle and a main body are provided together.

대체적으로 진공청소기의 모습을 보면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는 먼지분리장치과,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이물질 토출부와 연결되어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장치,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공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진공모터,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의 토출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Generally,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nozzle, a dust separator for separating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suction nozzle by a cyclone principle,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and other foreign matter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unit of the dust separating apparatus. A dust collecting device, a vacuum motor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ing part of the dust separating device to form a vacuum, and a filter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part of the vacuum pump for filtering the air flowing out to the outside.

이러한 구성 하에서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흡입노즐을 통과한 공기와 이물질이 먼지분리장치 내에서 회전을 하다가 질량이 큰 이물질은 그 원심력에 의하여 먼지분리장치 내주면을 회전하다가 집진장치로 유입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vacuum cleaner under such a configuration, air and foreign mat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nozzle rotate in the dust separator, while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mass rotat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n flows into the dust collector.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모터와 필터를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The clean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tor and the filter.

그런데, 상기 집진장치 내에서 회전류가 제대로 발생하지 않는 경우, 먼지와 공기 간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지 않아서 기대했던 먼지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return current is not generated properly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eparation between the dust and the air is not smooth, so that the expected dust separating function can not be perform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장치 내에서 먼지와 공기의 분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more effectively separating dust and air in a dust collecting apparatu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선회시켜서 상호 분리시키고, 상기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그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먼지 분리부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dust separator for circulating and separating sucked air and dust, and guiding the separated air to be discharged to a discharge port provided below the dust separator;

상기 먼지분리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먼지 분리부와 부분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와;A dust collect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partially communicating with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collect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part;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집진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재와;A cover membe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상기 먼지분리부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먼지분리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공기배출부재와;An air discharg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ng unit;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먼지분리부 내에서의 공기 및 먼지의 선회류 형성을 보조하는 보조부재를 구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and provid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and assist in forming a swirling flow of air and dust in the dust separating portion And a vacuum cleaner.

집진장치 내부에 선회류를 강화시키고 그 형성을 보조할 수 있는 보조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선회류의 강도가 종래 기술보다 강화되어 먼지를 분리 효과가 제고된다. The auxiliary member capable of reinforcing the swirling flow inside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ssisting the formation of the swirling flow is provid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swirling flow is strengthen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d the dust separation effect is enhanced.

한편, 집진장치 자체가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이러한 집진장치가 본체에 장착됨으로써, 먼지가 분리되는 상태 및 집진상태를 사용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itself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By attaching such a dust collecting device to the main body, the user can recognize at a glance the status of dust separation and the dust collecting status.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와 필터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와 필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미도시)와 연결되는 본체(1)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본체(1)에는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되는 연결구(2)와, 그 양 옆에 배치되는 회전바퀴(3)와,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면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100)와, 상기 집진장치(100)와 본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 connected to a suction nozzle (not shown). The main body 1 has a connection port 2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A dust collecting device 100 capable of collecting dust while separating dust and air, a fixing device 100 for selectively fix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and the main body, (300).

상기 본체(1)의 외면과 상기 집진장치(100)의 외면은 연속적인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호 간에 일체감이 느껴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are formed so as to form a continuous curved surface so that they can feel a sense of unity.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장치(100)의 구성을 보면, 그 몸체를 구성하는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101)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1)를 개폐하는 커버부재(200)를 포함한다. 2,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body 101 constituting the body, a cover 101 provided on the body 101 to open and close the body 101, Member (200).

그리고, 상기 몸체부(101) 내부 일측에는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먼지분리부(11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101) 내부 타측에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와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먼지분리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120)가 구비된다. A dust separator 110 separating dust and ai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ody 101 and partially communicates with the dust separator 110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1, And a dust collecting unit 120 for collecting the dust separated by the separating unit 110.

상기 몸체부(101) 하부 전방에는 상기 먼지분리부(110)로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2)가 마련된다. A suction port 102 through which dust and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are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is provid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body 101.

그리고, 상기 몸체부(101) 전방 외벽에는 상기 커버부재(180)와 상기 몸체부(101)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200)가 마련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재(200)를 누르면 상기 커버부재(180)가 상기 몸체부(101)를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커버부재(180)가 상기 몸체부(101)에 고정된다. A connecting member 200 detachably coupling the cover member 180 and the body 101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01.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necting member 200, The cover member 180 is in a state capable of opening the body portion 101 and the cover member 180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101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상기 커버부재(180)의 좌우 폭과 전후 폭은 상기 몸체부(101)의 좌우 폭과 전후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ateral width and the front-rear width of the cover member 180 are preferably larger than the lateral width and the front-rear width of the body portion 101.

이는 상기 집진장치(120)가 수용되는 상기 본체(도1참조, 1)에 마련되는 수용홈(미도시)의 형태가 하부의 폭보다 상부의 폭이 크기 때문인데, 이는 집진장치(120)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유지하고, 외관상의 일체감을 부여하며, 상기 본체(1)의 수용홈과 상기 집진장치(100)의 몸체부(101) 사이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see FIG. 1)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20 is accommodated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So as to uniformly maintain an engagement state and to provide an unity of appearance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1 and the main body 101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

상기 집진장치(100) 하부에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250)이 마련되는데, 상기 필터 유닛(250)의 기능은 상기 먼지 분리부(1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여 그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A filter unit 250 including a filter is provided under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The function of the filter unit 250 is to allow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to pass therethrough, And it acts to filter out the fine dust.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80)는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장치(100)가 상기 본체(도1참조, 1)에 장착된 경우, 외부에 노출되는 제1커버부재(181)와, 상기 제1커버부재(181)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분리부(110)와 상기 집진부(120)를 개폐하는 제2커버부재(182)를 포함한다. 3, the cover member 180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por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see FIG. 1), the first cover member And a second cover member 182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181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상기 제1,2커버부재(181,182)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커버부재(182)의 후방에 마련되는 힌지부(미도시)가 상기 몸체부(101)의 후방에 마련되는 결합부(10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A hinge portion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cover member 182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81 and 182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1 103,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180)가 상기 몸체부(101)의 상부를 회동하면서 개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ver member 180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1.

상기 몸체부(101)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와 상기 집진부(120)로 구획되며, 구획을 위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10)와 상기 집진부(120) 사이에는 구획벽(130)이 마련된다. The body part 101 is divided into the dust separating part 110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and a partition wall 130 is provided between the dust separating part 110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

상기 구획벽(130) 상부에는 연통공(131)이 마련되어 상기 먼지분리부(110)와 상기 집진부(120)가 연통되고, 상기 연통공(131)을 통해서 상기 먼지분리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집진부(120)로 집진된다. A communicating hole 131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30 so that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1. Dust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상기 먼지분리부(120) 내부에는 콘 형상의 공기배출부재(140)가 장착된다. A cone-shaped air discharging member 140 is mounted in the dust separating unit 120.

상기 공기배출부재(140)는 상기 먼지분리부(110) 내부에서의 먼지와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상호 분리될 수 있는 싸이클론 공기배출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yclone air discharging member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forming a swirling flow of dust and air in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형상은 그 직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마련된다. The shape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is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sequenti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출입하는 공기출입공(141)이 마련된다.An air inlet / outlet hole 141 through which air enters / exits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내부는 중공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하부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출구(143)와 연통된다.A hollow portion 142 is formed in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and a lower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communicates with an outlet 143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portion 110.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하부 테두리 상에는 상기 공기배출부재(140)를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바닥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홀더(144)가 마련되어 상기 공기배출부재(140)를 상기 먼지분리부(110)에 고정시킨다.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is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with a fixing holder 144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o be coupled with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And is fixed to the dust separator 110.

상기 제2커버부재(182)의 하면 중 상기 먼지분리부(110)를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와 함께 선회류를 형성시키고 선회류의 강도를 보조하는 보조부재(190)가 마련된다. An auxiliary member 190 for forming a swirling flow with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and assisting the strength of the swirling flow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182 opposite to the dust separating portion 110 .

상기 보조부재(190)는 상기 제2커버부재(182)의 하면으로부터 그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단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The auxiliary member 19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182 and faces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is not formed to be pointed, bu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상기 보조부재(190)는 원통형태로 마련되고, 원판형태로 마련되는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단부와 마주보되,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uxiliary member 19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spaced from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한편,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단부에 상기 보조부재(190)와 대응되는 형태의 돌출부재(150)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protruding member 150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member 190 protrudes upwar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150)와 상기 보조부재(190)가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먼지분리부(110) 내부에서의 선회류의 강도를 보강한다. In this case, the projecting member 150 and the auxiliary member 19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wirling flow in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상기 몸체부(101)의 전방에 마련되는 흡입구(102)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분리부(110)와 연통가능하게 형성된다. A suction port 102 provided in front of the body 101 is form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separator 110.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내부 공간은 중공의 원통형 실린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02)를 통해서 유입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내벽을 따라서 회전을 한다. Si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separator 110 is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the dust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02 rotat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st separator 110.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와, 상기 보조부재(190) 또는 상기 돌출부재(15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데, 이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는 먼지는 상기 연통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집진부(130)로 이동하여 포집된다.The dust having a larg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rotates about the auxiliary member 190 or the protruding member 150,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130, and is collected.

그리고,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재(140)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143) 및 상기 필터유닛(250)으로 이동하여 상기 집진장치(110)에서 벗어난다.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passes through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and moves to the discharge port 143 and the filter unit 250 to escape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상기 연통공(131)이 상기 구획벽(1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이유는, 상기 흡입구(102)가 하부에 형성되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하부측에서 올라온 먼지가 상부측에 몰리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그 먼지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상기 집진부(120)로 포집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communication hole 131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30 is that the suction port 102 is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the dust rais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or 110 So that the dust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using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dust.

즉,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내벽을 따라서 원을 그리며 선회하던 먼지가 그 회전궤적을 접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통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집진부(120)로 집진되는 것이다. That is, the dust circl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st separator 110 move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locus,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1, and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상기 몸체부(101)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부재(180)와 상기 몸체부(101)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200)가 배치되는데, 상기 몸체부(101)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부재(20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홈(105)이 마련된다. A connection member 20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ver member 180 and the body 101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101. The body 101 has a front surface An installation groove 105 is provided for installing the battery 200 therein.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에는 누름부(201)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부재(180)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202)가 형성되며 누름부(202)의 후면에는 탄성부재(203)가 배치된다. A hook portion 20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to hook the cover member 180 and the hook portion 202 of the hook portion 202 And an elastic member 203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부(201)를 누르지 않고 있으면, 상기 걸림부(202)가 상기 커버부재(180)에 걸리게 되어, 상기 커버부재(180)와 상기 몸체부(101) 간의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pushing portion 201, the latching portion 202 is caught by the cover member 180, so that the fixed state between the cover member 180 and the body portion 101 is maintained .

사용자가 누름부(201)를 누르면, 상기 걸림부(202)와 상기 커버부재(180)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커버부재(180)를 열어서 상기 몸체부(101) 내부를 열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201, the engagement between the latching portion 202 and the cover member 180 is released and the cover member 180 can be opened to ope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1.

상기 몸체부(101)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유닛(250)이 배치되는데, 상기 필터유닛(250)의 구성을 보면, 상기 배출구(106)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251)와, 상기 필터부(251)를 수용하고, 상기 몸체부(101)에 결합되는 필터케이스(252)를 포함한다. The filter unit 250 is disposed below the body 101. The filter unit 250 includes a filter unit 250 for filtering fine dust contained in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6, And a filter case 252 that receives the filter unit 251 and is coupled to the body unit 101.

상기 필터케이스(252)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리브(253)가 마련되는데, 상기 연장리브(253)는 상기 필터부(251)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101)의 하부에 마련되는 삽입홈(107)에 결합된다. An extension rib 253 extending upwar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case 252. The extension rib 253 extends through the filter 251 an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1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7.

상기 필터부(251)에는 상기 연장리브(253)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관통홀(254)이 마련된다. The filter unit 25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54 through which the extended rib 253 is inserted.

사용자가 상기 필터케이스(252)에 상기 필터부(251)를 장착하여 수용시킨 후, 이를 상기 몸체부(101)의 하부에 장착하되, 상기 연장리브(253)가 상기 삽입홈(107)에 삽입되도록 한다. The user inserts the filter unit 251 into the filter case 252 and then mounts the filter unit 251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1. The extension rib 25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7 .

도4(a)는 상기 보조부재(190)가 존재하고, 상기 돌출부재(150)가 없는 공기배출부재(140)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도, 도4(b)는 상기 보조부재(190)와 상기 돌출부재(150)가 구비되는 공기배출부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4A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in which the auxiliary member 190 exists and in which the projecting member 150 is not provided. And the air discharging member having the protruding member 150 are arranged.

상기 보조부재(190)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그 직경은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단부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단부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The auxiliary member 19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이와 같이, 상기 보조부재(140)는 상기 연통공(13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먼지분리부(110) 내부에서 선회류가 발생하고, 그 선회류가 상기 먼지분리부 (110)상부에 이르러 상기 보조부재(190)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그 선회류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member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hole 131 so that a swirling flow is generated inside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and the swirling flow is gene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And then rotates around the auxiliary member 190, the strength of the swirling flow can be reinforced.

선회류의 강도가 보강되면, 그 만큼 그 선회류에 있는 먼지의 원심력이 보강되고, 보다 많은 먼지가 신속하게 상기 연통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집진부(120)로 보다 효과적으로 집진될 수 있다.When the strength of the swirling flow is reinforced,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dust in the swirling flow is reinforced by that much, and more dust can be more efficiently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1 quickly.

도4(b)는 상기 보조부재(190)의 하부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돌출부재(150)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재(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단부에 상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4 (b) shows a protruding member 150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auxiliary member 190. The protruding member 150 extends upwar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as described above.

상기 돌출부재(150)도 상기 보조부재(190)와 같이 원통형태로 마련되어 선회류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protruding member 150 is also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like the auxiliary member 190 to reinforce the swirling flow.

상기 돌출부재(150)의 직경과 상기 보조부재(190)의 직경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ameter of the protruding member 150 and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member 190 may be similar or identical.

상기 돌출부재(190) 및 상기 보조부재(150)에 의하여 선회류의 강도가 보강되면 도4(a)에 대한 설명과 같이, 선회류에 있는 먼지의 원심력이 보강되고, 보다 많은 먼지가 신속하게 상기 연통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집진부(120)로 보다 효과적으로 집진될 수 있다.When the strength of the swirling flow is reinforced by the projecting member 190 and the auxiliary member 150,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dust in the swirling flow is reinforc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 The dust can be more effectively collected into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1. [

도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부재(190)는 상기 제2커버부재(182)의 하면 중 상기 먼지분리부(110)에 대향하는 면에 원통형태로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5 (a), the auxiliary member 19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182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surface facing the dust separator 110.

그리고, 상기 보조부재(190)의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연통공(131)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보조부재(190)의 주위를 회전하는 선회류에서 빠져나오는 먼지들이 상기 집진부(12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mmunicating hole 131 is formed in an adjacent portion of the auxiliary member 190 so that the dust that comes out of the swirling flow rotating around the auxiliary member 190 moves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

한편, 상기 제2커버부재(182)에도 상기 연통공(131)과 함께 먼지의 이동통로가 되는 홈 형태의 보조 연통공(183)이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ver member 182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mmunicating hole 183 in the form of a groove to be a travel path of dust together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31.

상기 커버부재(180)가 상기 몸체부(101)를 덮은 경우에는 상기 연통공(131)과 보조연통공(183)이 하나의 통로를 구성하여, 먼지의 집진이동경로를 형성한다. When the cover member 180 covers the body portion 101, the communication hole 131 and the auxiliary communication hole 183 constitute one passage to form a dust collecting path.

한편, 상기 제2커버부재(182)의 전방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걸림부(202)가 걸리게 되는 걸림턱(184)이 마련된다.A hooking protrusion 184 is formed on a front edge of the second cover member 182 so that the hooking portion 202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hooked.

따라서, 상기 걸림부(202)와 걸림턱(184)의 상호 걸림작용으로 상기 커버부재(180)가 상기 몸체부(101)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ver member 180 can be kept covered with the body portion 101 by the mutual engagement ac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202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184.

도5(b)에서는 상기 공기배출부재(140)의 상부에 상기 돌출부재(150)가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상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In FIG. 5 (b), the protruding member 150 is disposed on the air discharging member 140 in a cylindrical state in which the inside thereof is empty.

상기 돌출부재(150)와 상기 보조부재(190)는 상기 연통공(131)과 보조 연통공(18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통공(131) 및 상기 보조 연통공(183) 주위에서 형성되는 선회류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protruding member 150 and the auxiliary member 19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hole 131 and the auxiliary communication hole 183 and are formed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131 and the auxiliary communication hole 183 There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wirling flow.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내부에 있는 진공모터(500)가 동작을 하여 상기 본체(1)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6 (a), the vacuum motor 500 in the main body operates to form a vacuum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1.

이러한 진공압으로 인하여 상기 흡입노즐로 먼지와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연결구(2)와, 상기 흡입구(102)를 통과하여, 상기 먼지분리부(110)로 유입된다.Due to the vacuum pressure, dust and air are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and the dust and air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or 110 through the connection port 2 and the suction port 102.

상기 먼지분리부(110)로 유입된 먼지와 공기는 그 내부에서 선회류를 그리면서 위로 상승한다. The dus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or 110 rise upward while drawing a swirling flow therein.

상승된 선회류에서 먼지는 상기 보조부재(19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데,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원심력을 받아서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내벽면을 따라 움직인다. The dust in the ascending swirl flows around the auxiliary member 190 and receives centrifugal force due to its own weight and move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110.

그런데, 상기 보조 부재(190) 주위에 상기 연통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을 하다가 상기 연통공(131)을 통해서 상기 집진부(120)로 포집된다(도4(a) 참조). Since the communication hole 131 is formed around the auxiliary member 190, it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1 while being rotated (refer to FIG. 4 (a)).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진공모터(5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하여 상기 공기배출부재(140)로 진입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유닛(250)을 거친다.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enters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by the vacuum suction pressure of the vacuum motor 500, moves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250.

상기 필터유닛(250)에 마련되는 상기 필터부(251)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걸러지고, 미세먼지가 걸러진 공기는 상기 필터유닛(250)을 통과하여 상기 진공모터(500)로 이동하고, 이후에 상기 본체(1) 외부로 토출된다.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51 provided in the filter unit 250 and the air filtered by the fine dust moves through the filter unit 250 to the vacuum motor 500 ,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

도6(b)에서의 공기의 흐름도 도6(a)와 유사하다. The flow of air in Fig. 6 (b) is similar to Fig. 6 (a).

상기 본체 내부에 있는 진공모터(500)가 동작을 하여 상기 본체(1)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한다. The vacuum motor 500 inside the main body operates to form vacuum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1. [

이러한 진공압으로 인하여 상기 흡입노즐로 먼지와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연결구(2)와, 상기 흡입구(102)를 통과하여, 상기 먼지분리부(110)로 유입된다.Due to the vacuum pressure, dust and air are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and the dust and air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or 110 through the connection port 2 and the suction port 102.

상기 먼지분리부(110)로 유입된 먼지와 공기는 그 내부에서 선회류를 그리면서 위로 상승한다. The dus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or 110 rise upward while drawing a swirling flow therein.

상승된 선회류에서 먼지는 상기 보조부재(190)와 상기 돌출부재(15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데,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원심력을 받아서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내벽면을 따라 움직인다. The dust in the ascended swirl flows around the auxiliary member 190 and the protruding member 150 and receives centrifugal force due to its own weight and move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110.

그런데, 상기 보조 부재(190)와 상기 돌출부재 (150 )주위에 상기 연통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을 하다가 상기 연통공(131)을 통해서 상기 집진부(120)로 포집된다(도4(b) 참조). Since the communication hole 131 is formed around the auxiliary member 190 and the protrusion member 150, the air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1 while rotating (b)).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진공모터(500)의 진공흡입압력에 의하여 상기 공기배출부재(140)로 진입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유닛(250)을 거친다.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enters the air discharge member 140 by the vacuum suction pressure of the vacuum motor 500, moves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250.

상기 필터유닛(250)에 마련되는 상기 필터부(251)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걸러지고, 미세먼지가 걸러진 공기는 상기 필터유닛(250)을 통과하여 상기 진공모터(500)로 이동하고, 이후에 상기 본체(1) 외부로 토출된다.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51 provided in the filter unit 250 and the air filtered by the fine dust moves through the filter unit 250 to the vacuum motor 500 ,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

100 : 집진장치 101: 몸체부
110: 먼지분리부 120: 집진부
140: 공기배출부재 150: 돌출부재
180: 커버부재 190: 보조부재
100: dust collecting device 101:
110: dust separator 120:
140: air exhaust member 150: projecting member
180: cover member 190: auxiliary member

Claims (12)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선회시켜서 상호 분리시키고, 상기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그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먼지 분리부와 부분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집진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먼지분리부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먼지분리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공기배출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먼지분리부 내에서의 공기 및 먼지의 선회류 형성을 보조하는 보조부재를 구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dust separator for circulating and separating the sucked air and dust, and guiding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to be discharged to a discharge 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dust collect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partially communicating with the dust separating part and collect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ng part;
A cover membe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An air discharg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and provid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and assist in forming a swirling flow of air and dust in the dust separating portion The vacuu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중공부와;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먼지분리부 내부공간과 상기 중공부 사이를 연통시키며 상기 공기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출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discharge member has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Further comprising an air inlet hol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to communicate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or with the hollow portion and to be passed through the ai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상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상단부보다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member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e member,
Wherein the air outlet member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그 주위에 상기 먼지와 공기의 선회류가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곡면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member has a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a swirling flow of the dust and air can be maintained around the auxiliary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보조부재의 직경은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상단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memb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member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상단부에, 상기 보조부재와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보조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먼지분리부 내부의 선회류 형성을 보조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member at an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and arranged to face the auxiliary member to assist in forming a swirling flow inside the dust separating unit,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보조부재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otruding memb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a diameter of the auxiliary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배출부재를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rotrus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and fixing the air discharging member to a rim of the discharging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되고,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er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filter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filter fine du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집진부는 상기 집진장치에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집진부를 일정부분 연통시키면서 상호 구획시키는 구획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dust separating unit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보조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집진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ho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adjacent to the auxiliary member to communicate the dust separation portion and the dust coll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그 내부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집진장치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되, 외부로부터 가압시 이동하여 상기 집진장치과 본체의 연결을 해제하고, 가압 해제시 상기 본체와 원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집진장치와 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so that the inside thereof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detachably receive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main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vacuum cleaner to the vacuum cleaner.
KR1020100115493A 2010-11-19 2010-11-19 A vacuum cleaner KR101741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93A KR101741393B1 (en) 2010-11-19 2010-11-19 A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93A KR101741393B1 (en) 2010-11-19 2010-11-19 A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23A KR20120054223A (en) 2012-05-30
KR101741393B1 true KR101741393B1 (en) 2017-05-29

Family

ID=4627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493A KR101741393B1 (en) 2010-11-19 2010-11-19 A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3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883B1 (en) * 2014-05-20 2014-08-13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Hose Handle of Vacuum Cleaner having the Function of Cyclone Dust collection
CN108463151B (en) 2015-11-10 2021-07-23 创科实业有限公司 Hand-held vacuum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22B1 (en) 2006-06-19 2007-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dust-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KR100809775B1 (en) 2007-03-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22B1 (en) 2006-06-19 2007-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dust-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KR100809775B1 (en) 2007-03-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23A (en)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667B1 (en)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EP147709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640830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35668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US7776121B2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EP2170144B1 (en)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AU2012263910B2 (en) Vacuum Cleaner
US8163051B2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EP2218386B1 (en)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20060125952A (en) Dust collecting unit
KR20120011828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KR101741393B1 (en) A vacuum cleaner
KR100546625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1253194B1 (en) A vacuum cleaner
JP460647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4215760A (en) Vacuum cleaner
EP2277426B1 (en) Vacuum cleaner
JP4195982B2 (en) Vacuum cleaner
CN216535180U (en) Dust separation module for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machine
JP5472417B1 (en) Centrifuge
KR100617133B1 (en) Vacuum cleaner
JP3841064B2 (en) Vacuum cleaner
CN107847096B (en) Dust separating device and electric sweeper
KR100628083B1 (en) Vacuum Cleaner
KR100633618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