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775B1 -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775B1
KR100809775B1 KR1020070028371A KR20070028371A KR100809775B1 KR 100809775 B1 KR100809775 B1 KR 100809775B1 KR 1020070028371 A KR1020070028371 A KR 1020070028371A KR 20070028371 A KR20070028371 A KR 20070028371A KR 100809775 B1 KR100809775 B1 KR 10080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torage unit
air
vacuum cleaner
dus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헌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7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increase capacity of storing dust by forming a second dust storage part formed at the outside of a first dust storage part.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comprises an air suction port(130), a dust separation part, dust storage parts(110,120), a discharging passage(204), and a discharging hole(202). The dust separation part separates dust sucked through an air suction port. The dust storage parts stor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part. The discharging passage moves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part. The dust discharging hole is positioned at the direct upper part of the air suction part to communicate the discharging passage with the dust separation part. The dust storage part has a first dust storage part(110), and a second dust storage part(120) formed at the outside of the first dust storage part or formed near the suction port. The dust separation part and the dust storage part are integrated. The first wall functions as the dust separation part to separate dust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평 단면도.Figure 2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Figure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집진 바디 20 : 배기 안내부10: dust collecting body 20: exhaust guide

30 : 커버 부재30: cover memb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먼지의 저장 용량이 증가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ir flows smoothly and dust storage capacity is increased.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side the main body.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stinguished by a canister method in which a nozzle part, which is a large suction por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on pip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nozzle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한편,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집진 장치는 원통형의 싸이클론 몸체와,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싸이클론 몸체 내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공 및 상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각종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 필터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저부 공간은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집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집진 공간으로의 먼지의 배출을 위한 먼지 배출공이 형성된다. Meanwhile, the dust collector installed in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cylindrical cyclone body, a suction pipe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an air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cyclone body is discharged, and various dusts from the discharged air. It is largely composed of a dust filter for removing. 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space is formed in the bottom space of the cyclone body by a partition, and a dus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partition to discharge dust into the dust collecting spac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집진 장치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흡입력 발생 수단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싸이클론 몸체 내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흡입관을 통해 싸이클론 몸체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흡입된 후,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강한다.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ans is driven,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cyclone body. At this time,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s sucked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yclone body through the suction pipe of the cyclone body, and then descends while turning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yclone body.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먼지는 원심력을 적용받으면서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내벽면을 타고 하측으로 흘려내려 먼지 배출공을 통해 상기 싸이클론 몸체의 저부인 집진 공간 내로 배출된다.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먼지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In this process, air and dus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under different centrifugal forces due to their weight differences. Relatively heavy dust flows dow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yclone body while being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and is discharged into the dust collecting space, which is the bottom of the cyclone body, through the dust discharge hole. On the other hand, the dust separ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st filter.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먼지 필터 표면에는 미세한 먼지가 쌓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기 먼지 필터의 표면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공기 중의 먼지 제거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Through this process, fine dust accumulates on the surface of the dust filter. However, when dust i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filter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flow is not made smoothly and the dust in the air is not smoothly removed.

그리고, 상기 먼지 필터의 표면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다. And, when dust i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filter, the user has to remove the dust periodically.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구획판의 하측에 집진 공간이 형성되므로, 집진 공간이 작아 사용자가 먼지를 자주 비워야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dust collecting space is formed below the partition plate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collecting space is small so that the user frequently emptys the dust.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to allow the air flow insid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집진 용량이 증대되는 먼지 분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dust separation apparatus, in which dust collection capacity is increased.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공기 흡입구;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배출 유로; 및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부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구의 직근 상방에 위치되는 배출공이 포함된다.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ir intake; A dust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dust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or flows; And a discharge hole configured to allow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located directly above the suction port.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공기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저장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배출 유로;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부를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중심선이 상기 먼지 분리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배출공이 포함된다.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 intake; A dust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or flows; A partition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center line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10)와, 상기 집진 바디(10)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의 배기를 안내하는 배기 안내부(20)와,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30)가 포함된다. 1 and 2,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haust dust body constituting an external shape and an exhaust gas for guiding the exhaust of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from the dust collection body 10. A guide part 20 and a cover member 3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guide part 20 are included.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벽(101)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101)의 상측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0)가 형성된다. 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body 10 has a first wall 10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an inlet 130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ll 101.

여기서, 상기 흡입구(13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벽(10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면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130)는 상기 제 1 벽(101)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Here, the inlet 130 is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wall 101 in order to separate dust while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30 flows spir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all 101. Is formed.

따라서, 상기 제 1 벽(101)은 상기 흡입구(13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의 역할을 한다. Thus, the first wall 101 serves as a dust separator to separate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0.

그리고,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 공간에는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11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first dust storage unit 110 in which separated dust is stored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wall 101.

한편, 상기 제 1 벽(101)의 외측에는 제 2 벽(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벽(102)은 상기 제 1 벽과(101)의 관계에서 제 2 먼지 저장부(1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의 외측에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all 102 is formed outside the first wall 101. The second wall 102 allows the second dust reservoir 120 to be form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first wall 101. That is,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is formed outside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그리고,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에는 상기 제 1 벽(101)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벽(101)에는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연통홀(103)이 형성된다.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wall 101 is stored in the second dust storage part 120. To this end, a communication hole 103 is formed in the first wall 101 to allow the dust separated in the first wall 101 to move to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여기서,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에 먼저 저장된다. Here, the dust separ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wall 101 is fir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즉,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에 저장되다가 먼지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와 제 2 먼지 저장부(120)를 구획하는 경계벽(104)까지 쌓이게 되면, 먼지는 상기 연통홀(103)을 통하여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 That is, the separated dust is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and when the dust is accumulated up to the boundary wall 104 partitioning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the dust Is stored in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03).

물론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 중 일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로 낙하하지 않고, 직접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Of course, some of the dust separated inside the first wall 101 may be moved directly to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without falling into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따라서,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의 일부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에 먼저 저장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에 저장됨에 따라 상기 집진 바디(10) 내에 저장될 수 있는 먼지의 용량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먼지를 자주 비워야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Therefore, a part of the dust separat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wall 101 is fir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the other part is stored in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the dust collection The capacity of dust that can be stored in the body 10 is increased,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user to empty the dust frequently.

여기서,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서 먼지 분리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는 상기 흡입구(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inside the first wall 101,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30.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흡입구(13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분리된 먼지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0)로 유입되는 방향은 반대가 된다.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30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is reversed.

그리고, 상기 제 1 벽(101)의 내주면 하측에는 공기의 나선 유동이 깨지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 방지 리브(10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 방지 리브(105)에 의하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에 저장된 먼지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anti-rotation ribs 105 are formed below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all 101 to break the spiral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anti-rotation rib 105, the scattering of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배기 안내부(20)는 상기 집진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되어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의 배기를 안내한다. 즉, 상기 배기 안내부(20)는 공기의 배출 유로(204)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guide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0 to guide the exhaust of the air after the dust separation process. That is, the exhaust guide portion 20 forms the discharge passage 204 of the air.

상세히, 상기 배기 안내부(20)는 상기 집진 바디(10)의 상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In detail, the exhaust guide portion 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0, the upper side is formed to be open.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부(20)가 상기 집진 바디(10)에 결합되면, 상기 배기 안내부의 저면(201)은 상기 배출 유로(204)와 상기 먼지 분리부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when the exhaust guide unit 20 is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10, the bottom surface 201 of the exhaust guide unit serves to partition the discharge passage 204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벽(101)의 내부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20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배출공(202)에는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203)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202 is formed at a bottom of the exhaust guide part 20 to discharge air that has undergone a dust separation process inside the first wall 101.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202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203 for filtering the dust.

여기서, 상기 배기 안내부(20)가 상기 집진 바디(10)에 결합되면, 상기 배출공(202)은 상기 흡입구(130)의 직근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exhaust guide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10, the discharge hole 202 is preferably located directly above the suction port 130.

그 이유는 상기 배출공(202)이 상기 흡입구(130)의 직근 상방에 위치함에 따라 흡입된 공기가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상기 배출공(202)을 통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as the discharge hole 202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suction port 130, the sucked ai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mmediately discharged without going through the dust separation process, and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is discharged. This is because it can be discharged smoothly through the ball (202).

여기서, 상기 배출공(202)이 상기 흡입구(130)의 직근 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배출공(202)의 중심은 상기 제 1 벽(10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Here, when the discharge hole 202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inlet 130,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20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wall (101). .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부(20)에는 상기 배출공(20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부재(210)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exhaust guide part 20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210 fo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02.

이 때, 상기 배기 안내부(20)에는 상기 필터 부재(210)가 상기 배기 안내 부(2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2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리브(212)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exhaust guide part 2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rib 212 to allow the filter member 210 to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xhaust guide part 20. These support ribs 212 are formed in a "┛" shape.

이와 같이 상기 지지 리브(212)에 의해서, 상기 필터 부재(210)가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공기가 필터 부재(210)의 전체면을 골고루 통과할 수 있게 되고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filter member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xhaust guide part 20 by the support rib 212,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flow can be ensured, so that air is filtered out of the filter member 210. It is possible to evenly pass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and smooth the flow of air.

한편, 상기 커버 부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 안내부(20)의 상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0)를 분리함에 따라 상기 필터 부재(210)의 교체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ver memb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guide portion 2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s the cover member 30 is separated, the filter member 210 may be replaced.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30)에는 상기 필터 부재(21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30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utlet 302 is formed in the cover member 30 to all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210 to be discharg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130)를 통하여 상기 제 1 벽(101)의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고,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제 1 벽(10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The dust-containing air is guid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wall 101 through the inlet 130, and the guided air flows spir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all 101.

이 과정에서, 공기와 먼지는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먼지는 원심력을 적용 받으면서 낙하되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In this process, air and dus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under different centrifugal forces due to their weigh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is dropped while being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and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그리고,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에 일정량의 먼지가 쌓이면, 분리되는 먼지 및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10)에 저장된 일부 먼지는 상기 제 2 먼지 저장 부(120)에 저장된다.When a certain amount of dust is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the dust to be separated and some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10 are stored in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0.

반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배출공(202)을 통하여 상기 배기 안내부(2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안내부(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21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상기 배출구(3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is separ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guide portion 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02).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guide part 2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2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02.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원 실시예와 전체적인 외형은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세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original embodiment, the overall appearance is formed, bu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n detail structure.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40)와, 상기 집진 바디의 하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5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includes a dust collecting body 4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cover member 5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40)는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구획판(404)이 형성된다. 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body 40 is formed by opening the lower side, the partition plate 40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구획판(404)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제 1 먼지 저장부(410) 및 제 2 먼지 저장부(420)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유로(406)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first dust storage unit 410 and a second dust storage unit 420 ar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404, and an exhaust passage 406 through which dust, which has been separated, is discharged. Is formed.

이 때, 상기 구획판(404)의 하측에서는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후에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 저장부(410, 420)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구획판(404)의 하측 일 부분은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plate 404 is configured to store the dust separated after the dust separation process in the dust storage unit (410, 420),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plate 404 is dust It can be understood to serve as a dust separator to allow separation.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410)는 원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420)의 외측에 형성된다.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410 is formed outside the first dust storage unit 420, like the original embodiment.

그리고, 상기 구획판(404)에는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상기 배출 유로(406)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405)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 바디(402)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 유로(406) 상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40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405 is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404 to allow air that has undergone a dust separation process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406, and the discharge flow path 406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2. An outlet 403 is formed to allow the air of the phase to be discharged.

한편, 상기 배출 유로(406)에는 상기 배출 유로(406)를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부재(44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4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필터 부재(440)의 교체를 위한 커버(430)가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assage 406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440 for filter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406. In addition, a cover 430 for replacing the filter member 44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430)를 분리하는 과정에 의해서 용이하게 상기 필터 부재(44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filter member 440 by removing the cover 430.

그리고, 상기 구획판(404)의 상측에는 상기 필터 부재(440)의 하측 및 후측(44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리브(407)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리브(407)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a support rib 407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and the rear side 441 of the filter member 440 is formed above the partition plate 404. This support rib 407 is formed in a "┛" shape.

본 실시예에 의하면, 먼지 저장부(410, 420)와 배출 유로(406)가 집진 바디(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먼지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작 공정 및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ust storage unit 410, 420 and the discharge passage 406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40,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roducts constituting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time is reduced.

또한, 집진 바디(40)에 커버(430)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됨에 따라 상기 필터 부재(44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ver 430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40, the filter member 440 may be easily replaced.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먼지 저장부의 외측에 제 2 먼 지 저장부가 추가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먼지의 저장 용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as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outside the first dust storage unit,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ust.

또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공을 통하여 먼지 분리부에서 직접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ir flows smoothly as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is discharged directly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hrough the discharge hole.

또한, 배출공이 흡입구의 직근 상방에 제공됨에 따라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공기가 원활히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discharge hole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suction port, the phenomenon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without going through the dust separation process is prevented, and the air can be discharged smoothly through the discharge hole.

Claims (6)

공기 흡입구; Air intake;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A dust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dust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저장부;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배출 유로; 및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or flows; And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부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구의 직근 상방에 위치되는 배출공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And a discharge hole positioned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ust separator, and located directly above the suction 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먼지 저장부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2 먼지 저장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ust storage unit, the dust separation unit of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a first dust storage unit and a second dust storage unit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dust storage uni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저장부는 한 몸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ust separator and the dust storage unit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vacuum cleaner forming a body. 공기 흡입구; Air intake;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 A dust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저장부;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배출 유로;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or flows;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부를 구획하는 구획부; 및 A partition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상기 구획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중심선이 상기 먼지 분리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배출공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ompartment to allow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ust separato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center lin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of the dust separato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배출공은 상기 공기 흡입구 측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The discharge hole is a dust separation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is formed on the air intake side.
KR1020070028371A 2007-03-23 2007-03-23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09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371A KR100809775B1 (en) 2007-03-23 2007-03-23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371A KR100809775B1 (en) 2007-03-23 2007-03-23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775B1 true KR100809775B1 (en) 2008-03-04

Family

ID=3939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371A KR100809775B1 (en) 2007-03-23 2007-03-23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7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94B1 (en) * 2010-11-19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vacuum cleaner
KR101741393B1 (en) 2010-11-19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vacuum clea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359A (en) * 2000-07-26 2002-02-01 이충전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cum Cleaner
KR20030023242A (en) * 2001-09-13 2003-03-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30094871A (en) * 2002-06-08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359A (en) * 2000-07-26 2002-02-01 이충전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cum Cleaner
KR20030023242A (en) * 2001-09-13 2003-03-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30094871A (en) * 2002-06-08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09359호(2002.02.01,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94871호(2003.12.18,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1020030023242호(2003.03.19, 공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94B1 (en) * 2010-11-19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vacuum cleaner
KR101741393B1 (en) 2010-11-19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417B1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594581B1 (en) Multi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0601896B1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US7537625B2 (en) Multi 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1248722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964699B1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US20060272299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JP2005224587A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CN105962846A (en) Dust cup assembly and handhel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same
KR20080000188A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cum cleaner
KR100678673B1 (en) Cyclone device for vacuum cleaner
JP2016154706A (en) Vacuum cleaner
KR100854148B1 (en)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KR101262385B1 (en) Multi cyclone dust collector in vacuum cleaner
KR100546622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CN105962848A (en) Dust cup assembly and handhel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same
KR100809775B1 (en) Dust separating appratus of vacuum cleaner
JP2007330672A (en) Dust collecting device
KR101065968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CN105962847A (en) Dust cup assembly and handhel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same
KR100673769B1 (en) Dust collector for air cleaner
JP2017035677A (en) Six-cyclone dust cleaner
KR20100026746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method
KR100809776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20080066291A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c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