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210B1 -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210B1
KR101741210B1 KR1020100107558A KR20100107558A KR101741210B1 KR 101741210 B1 KR101741210 B1 KR 101741210B1 KR 1020100107558 A KR1020100107558 A KR 1020100107558A KR 20100107558 A KR20100107558 A KR 20100107558A KR 101741210 B1 KR101741210 B1 KR 10174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dvertisement
category
preference
categ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773A (ko
Inventor
김회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2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광고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개인 행동 양태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통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USUAL HISTORY OF APPLICATION}
본 발명은 광고 노출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노출대상 광고의 카테고리 선정하여, 선정된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광고컨텐츠를 단말기 상에 노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광고는 웹사이트에 게재하는 배너형 광고로 시작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노출하는 검색광고, 사용자의 행위를 모니터링하여 적합한 광고를 노출하는 행위기반광고로 발전하였다.
나아가, 온라인 광고는 지능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대부분의 온라인 활동이 브라우저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행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가 접속한 웹사이트와 어떤 컨텐츠를 활용중인지를 활용해서 사용자의 관심사와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으나 검색광고에 비해 효과적이지 않았다.
다시 말해, 기존 광고의 경우 개인에게 유용하지 못한 무의미한 정보가 대부분으로 이를 접하는 사용자는 해당 광고에 관심을 두지 않으며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능동적인 접근 또한 어려운 상황이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아무런 관심과 이유와 목적을 유도하지 못하는 일방적인 광고로 인한 비용 손실 또한 상당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확인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광고서버에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요청하면, 광고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노출대상 광고의 카테고리 선정하여, 선정된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광고컨텐츠를 단말기 상에 노출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노출대상 광고의 카테고리 선정하여, 선정된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광고컨텐츠를 단말기 상에 노출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광고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저장하는 카테고리저장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누적되는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저장하는 선호도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선호도관리부; 및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광고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도관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단말기 운용시스템(OS)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도관리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선정부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선정부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선정부는, 상기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카테고리확인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선호도저장단계; 상기 단말기가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광고서버에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요청하는 광고컨텐츠요청단계; 상기 광고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컨텐츠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카테고리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선호도저장단계; 및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고리확인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단말기 운용시스템(OS)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도저장단계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단계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단계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를 파악하고, 파악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선정하여 단말기 상에 노출시킴에 따라, 개인 행동 양태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통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저장된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광고서버(100);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노출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광고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서버(100)는 예컨대, 스포츠, 연예, 경제, 금융, 시사와 같이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로 다수의 광고컨텐츠를 저장한다. 이를 기반으로, 광고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내부 로직을 통해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특정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기 지정된 카테고리 예컨대, 스포츠, 연예, 경제, 금융, 시사와 같이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때,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는 단일 카테고리 내지 복수의 카테고리가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0)는 사용자 지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별도의 서버와의 접속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지정된 카테고리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운용시스템(OS)으로부터 이벤트를 전달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토대로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기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단말기(200)는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금융'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금융' 카테고리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는 선호도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금융' 및 '투자'라는 카테고리에 중복 지정되어 있을 경우, 단말기(2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카테고리 즉, '금융' 및 '투자'에 대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만으로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동회수와 구동시간의 조합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기(200)는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는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기준으로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다시 말해, 단말기(200)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예컨대,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이 '금융' 10% 일 경우 단말기(200)는 '금융' 카테고리의 광고를 10%의 확률로 노출시키게 된다. 한편, 단말기(200)는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 이외에, 상기 저장된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구성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단말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저장하는 카테고리저장부(210),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저장하는 선호도저장부(220),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선호도관리부(230),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광고컨텐츠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광고선정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카테고리저장부(210)는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테고리저장부(210)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기 지정된 카테고리 예컨대, 스포츠, 연예, 경제, 금융, 시사와 같이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때,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는 단일 카테고리 내지 복수의 카테고리가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카테고리저장부(210)는 사용자 지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별도의 서버와의 접속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지정된 카테고리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저장부(220)는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호도저장부(22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누적되는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저장한다. 이때, 선호도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상기 선호도관리부(23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호도관리부(23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운용시스템(OS)으로부터 이벤트를 전달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토대로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기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선호도관리부(230)는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금융'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금융' 카테고리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는 선호도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금융' 및 '투자'라는 카테고리에 중복 지정되어 있을 경우, 선호도관리부(2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카테고리 즉, '금융' 및 '투자'에 대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선호도관리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만으로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동회수와 구동시간의 조합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광고선정부(240)는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선정부(240)는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기준으로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다시 말해, 광고선정부(240)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예컨대,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이 '금융' 10% 일 경우 광고선정부(240)는 '금융' 카테고리의 광고를 10%의 확률로 노출시키게 된다. 한편, 광고선정부(240)는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 이외에, 상기 저장된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구성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를 파악하고, 파악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선정하여 단말기(200) 상에 노출시킴에 따라, 개인 행동 양태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통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기(200)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한다(S110-S130). 바람직하게는,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운용시스템(OS)으로부터 이벤트를 전달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토대로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200)가 상기 확인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S140). 바람직하게는,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단말기(200)는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금융'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금융' 카테고리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는 선호도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금융' 및 '투자'라는 카테고리에 중복 지정되어 있을 경우, 단말기(2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카테고리 즉, '금융' 및 '투자'에 대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만으로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동회수와 구동시간의 조합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말기(100)가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광고서버(100)에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요청한다(S150-S170). 바람직하게는, 단말기(200)는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기준으로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한다. 다시 말해, 단말기(200)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한다. 예컨대,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이 '금융' 10% 일 경우, 단말기(200)는 '금융' 카테고리의 광고를 10%의 확률로 노출시키게 된다. 한편, 단말기(200)는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 이외에, 상기 저장된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서버(100)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한다(S180-S190). 바람직하게는, 광고서버(100)는 예컨대, 스포츠, 연예, 경제, 금융, 시사와 같이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로 다수의 광고컨텐츠를 저장한다. 이를 기반으로, 광고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 요청에 따라 내부 로직을 통해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특정 광고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후, 단말기(200)가 광고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단말기 상에서 노출시킨다(S20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단말기(200)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한다(S210-S230). 바람직하게는, 선호도관리부(230)가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운용시스템(OS)으로부터 이벤트를 전달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토대로 카테고리저장부(210)를 검색하여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확인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S240). 바람직하게는, 선호도관리부(230)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선호도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예컨대, 선호도관리부(230)는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금융'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금융' 카테고리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는 선호도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가계부'라는 어플리케이션이 '금융' 및 '투자'라는 카테고리에 중복 지정되어 있을 경우, 선호도관리부(2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카테고리 즉, '금융' 및 '투자'에 대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선호도관리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회수만으로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동회수와 구동시간의 조합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선호도를 기반으로 광고서버에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요청한다(S250-S270). 바람직하게는, 광고선정부(240)가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기준으로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한다. 다시 말해, 광고선정부(240)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한다. 예컨대,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이 '금융' 10% 일 경우, 광고선정부(240)는 '금융' 카테고리의 광고를 10%의 확률로 노출시키게 된다. 한편, 광고선정부(240)는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 이외에, 상기 저장된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후, 광고선정부(240)가 광고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단말기 상에서 노출시킨다(S280-S29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를 파악하고, 파악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고컨텐츠를 선정하여 단말기(200) 상에 노출시킴에 따라, 개인 행동 양태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통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기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상의 어플리케이션 구동패턴을 바탕으로 노출대상 광고컨텐츠를 선정하여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광고서버
200: 단말기
210: 카테고리저장부 220: 선호도저장부
230: 선호도관리부 240: 광고선정부

Claims (14)

  1. 삭제
  2.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저장하는 카테고리저장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누적되는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저장하는 선호도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선호도관리부; 및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광고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선정부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관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단말기 운용시스템(OS)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관리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선정부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선정부는,
    상기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삭제
  9.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카테고리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각각의 카테고리 별로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선호도저장단계; 및
    광고가 적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제공단계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간 점유비율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확인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단말기 운용시스템(OS)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저장단계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회수 및 구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각각의 카테고리 별 선호도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단계는,
    상기 저장된 카테고리 별 선호도 우선순위에 따라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별 광고컨텐츠를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방법.
KR1020100107558A 2010-11-01 2010-11-01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58A KR101741210B1 (ko) 2010-11-01 2010-11-01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58A KR101741210B1 (ko) 2010-11-01 2010-11-01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73A KR20120045773A (ko) 2012-05-09
KR101741210B1 true KR101741210B1 (ko) 2017-05-30

Family

ID=4626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558A KR101741210B1 (ko) 2010-11-01 2010-11-01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1673A1 (en) * 2012-06-01 2013-12-05 Airpush, Inc. Mobile-2-web retargeting
KR102005363B1 (ko) * 2012-10-31 2019-10-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9683A (ja) * 2008-09-26 2010-04-08 Norihisa Mukai プログラム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9683A (ja) * 2008-09-26 2010-04-08 Norihisa Mukai プログラム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73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2308B1 (en) Targeting using generated bundles of content sources
KR101600998B1 (ko) 세션 수치를 이용한 전환 확률 결정
US101340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unique users for on-line advertising
JP5928920B2 (ja) お勧めデータの決定
JP5055133B2 (ja) クロスネットワークのユーザの行動データを公開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11386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ertising on content-screened web pages
US20080235089A1 (en) System for serving advertisements based on offline advertising campaigns
US20140100948A1 (en) Automated Monitoring and Verification of Internet Based Advertising
US200902166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ing advertisement service in social network
US2008004631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ng relevant advertisements using web browser bars
US200801630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for display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EP3274951B1 (en) Event-based content distribution
EP1649345A2 (en) System and method for segmenting and targeting audience members
US20110035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ed selection of media properties for providing user profile information used in advertising
JP2007286832A (ja) 広告配信システムおよび広告配信方法、広告配信プログラム
US20090198563A1 (en) Method for presenting promotional information on a web page
US20150019348A1 (en) Determining whether to send a call-out to a bidder in an online content auction
WO2009078861A1 (en) Online advertisement exposure tracking system
KR101741210B1 (ko)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16596A (ko) 타겟팅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광고 노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검색 히스토리 저장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30292A1 (en) Correlator
US87257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based on registration of extended keywords
WO2010054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software and web based applications
US20120185332A1 (en) Serving Advertisements Based on Article Availability
JP6888777B2 (ja) 広告配信制御サーバ及び広告配信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