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811B1 -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811B1
KR101740811B1 KR1020150134140A KR20150134140A KR101740811B1 KR 101740811 B1 KR101740811 B1 KR 101740811B1 KR 1020150134140 A KR1020150134140 A KR 1020150134140A KR 20150134140 A KR20150134140 A KR 20150134140A KR 101740811 B1 KR101740811 B1 KR 10174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earthquake
iron piece
triangular plate
tri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258A (ko
Inventor
손국영
Original Assignee
손국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국영 filed Critical 손국영
Priority to KR102015013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8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가로 방향 철편과, 상기 가로 방향 철편과 90도 내각을 사이에 둔 채 일단이 가로 방향 철편의 일단에 고정 결합 되는 세로 방향 철편으로 구성되어 배전반의 상부 각 모서리에 고정 결합 되는 기역자 철편과, 상기 배전반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앙카 볼트를 통해 배전반이 설치된 바닥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삼각 내진 수단, 양단이 각각 배전반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기역자 철편과, 삼각 내진 수단 및 앙카 볼트에 결속되어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이 전도되거나 위치 변경됨을 방지하는 와이어, 및 상기 배전반의 밑면에 2개 이상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으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변형되거나 복원되면서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탄성 철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은 배전반의 하부 네 모서리에 삼각 내진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삼각 내진 수단이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의 상부에 가로바와 세로바가 결속되는 결속 부위에 기역자 철편을 맞댄 다음, 상기 기역자 철편을 가로바와 세로바에 고정시킴으로써 가로바와 세로바의 결속 부위에 틈이 발생되거나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역자 철편과, 배전반의 하부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면서 배전반이 설치된 바닥면에 앙카 볼트를 통해 결속된 삼각 내진 수단을 와이어를 통해 탄력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배전반이 전도되거나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SWITCHGEAR HAVING A REINFORCED EARTHQUAKE-PROOF FUNCTION}
본 발명은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 시 변전소나 발전 시설, 각종 건물, 공공 시설, 및 민간 시설 내에 설치되는 배전반을 보호하기 위한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배전반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영역의 제품인 MCC반, 분전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건물에 영향을 미치는 지진력의 크기는 건물의 높이나 형태 또는 재질 등과 같은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상기 지진은 건물 바닥에 설치된 첨단 장비에 보다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산업용 정보 처리 제어 기기와 OA 기기 및 관련 부대 설비와 같이, 온라인/리얼 타임으로 처리되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분야 특히 전력, 원자력, 수처리, 항공, 철도 등의 공공성이 높은 분야에 있어서는 지진 대책으로서의 내진성에 대한 요구는 한층 높아가고 있다.
또한, 지진 재해 대책법(법률 제 9636호)과 지진 재해 대책법 시행령(대통령령 제 21362호)에 의거 모든 공공 건물이나 시설물에 대한 내진 대책을 의무적으로 수립하여야 하는 상황이다.
또,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바닥의 진동이나 전자기력에 의해 기계적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배전반 외함 자체에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어 배전반 내부에 장착된 고가의 각종 첨단 기기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건물 바닥에 설치되는 배전반은 방진 성능뿐만 아니라 내진 성능까지 두루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구조는 진동 차단을 위해 배전반 밑에 스프링이나 고무 패드를 장착하여 진동원과 배전반을 분리시키는 방진 구조이므로 지진에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1305302"호의 "면진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면진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장치는 면진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진 시스템은 수배전반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진 장치와, 상기 수배전반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상기 면진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면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면진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메인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면진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장치는 면진 장치와 배전반이 설치된 바닥면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지진 발생 시 배전반이 전도될 수도 있고, 배전반이 설치된 위치를 벗어날 수도 있다.
또한, 지진 발생 시 전기가 끊겼을 때 면진 장치를 구동시키는 전기 회로가 동작되지 않아 면진 장치가 정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282201 (2013.07.04)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269899 (2013.05.3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305302 (2013.09.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바닥 진동이나 기계적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한 내부 충격으로부터 배전반이나 배전반 내부의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MCC반,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은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가로 방향 철편과, 상기 가로 방향 철편과 90도 내각을 사이에 둔 채 일단이 가로 방향 철편의 일단에 고정 결합 되는 세로 방향 철편으로 구성되어 배전반의 상부 각 모서리에 고정 결합 되는 기역자 철편과, 상기 배전반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앙카 볼트를 통해 배전반이 설치된 바닥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삼각 내진 수단, 양단이 각각 배전반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기역자 철편과, 삼각 내진 수단 및 앙카 볼트에 결속되어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이 전도되거나 위치 변경됨을 방지하는 와이어, 및 상기 배전반의 밑면에 2개 이상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으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변형되거나 복원되면서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탄성 철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은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바닥 진동이나 기계적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한 내부 충격으로부터 배전반이나 배전반 내부의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단가가 낮은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진에 의한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 내진 설계가 되지 않은 기존의 배전반에 내진 기능을 갖춘 본 발명을 간단하게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기존의 배전반에 내진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배전반의 하부 네 모서리에 삼각 내진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삼각 내진 수단이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전반의 상부에 상부 가로바와 상부 세로바가 결속되는 결속 부위에 기역자 철편을 맞댄 다음, 상기 기역자 철편을 상부 가로바와 상부 세로바에 고정시킴으로써 상부 가로바와 상부 세로바의 결속 부위에 틈이 발생되거나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역자 철편과, 삼각 내진 수단을 와이어를 통해 탄력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배전반이 전도되거나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면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면 3a는 삼각 내진 수단의 제1 실시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면 3b는 삼각 내진 수단의 제2 실시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면 4는 삼각 내진 수단과 하부 사각 프레임 사이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
도면 5는 내진 철편의 사시도,
도면 6은 내진 철편과 하부 사각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면 7은 내진 철편과 하부 사각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은 도면 1 내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가로 방향 철편(1)과, 상기 가로 방향 철편(1)과 90도 내각을 사이에 둔 채 일단이 가로 방향 철편(1)의 일단에 고정 결합 되는 세로 방향 철편(3)으로 구성되어 배전반(5)의 상부 각 모서리에 고정 결합 되는 기역자 철편(7)과, 상기 배전반(5)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앙카 볼트(9)를 통해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배전반(5)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삼각 내진 수단(11), 양단이 각각 배전반(5)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기역자 철편(7)과, 삼각 내진 수단(11) 및 앙카 볼트(9)에 결속되어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5)이 전도되거나 위치 변경됨을 방지하는 와이어(13), 및 상기 배전반(5)의 밑면에 2개 이상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5)으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변형되거나 복원되면서 배전반(5)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탄성 철편(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3)는 탄력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각 내진 수단(11)의 크기 및 두께는 배전반(5)의 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배전반(5)의 상부에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가로바(17a,17b)와 한 쌍의 상부 세로바(19a,19b)가 'ㅁ'자 형상으로 결합 되는 상부 사각 프레임(21)이 갖추어지고, 상기 기역자 철편(7)에 갖추어진 가로 방향 철편(1)은 어느 1개의 상부 가로바(17a,17b)에 고정되고, 세로 방향 철편(3)은 어느 1개의 상부 세로바(19a,19b)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5)의 밑면에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 가로바(53a,53b)와 한 쌍의 하부 세로바(55a,55b)가 'ㅁ'자 형상으로 결합 된 하부 사각 프레임(57)이 갖추어진다.
상기 삼각 내진 수단(11)은 도면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반(5)의 밑면 모서리와 맞닿는 직각 삼각 형태의 상부 삼각판(23)과, 직각 삼각 형태로서 상부 삼각판(23)과 소정 높이 간격을 둔 채 상부 삼각판(23)을 마주보고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과 맞닿는 하부 삼각판(25), 상기 상부 삼각판(23)과 하부 삼각판(25) 사이에 끼워지고 상단이 상부 삼각판(23)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이 하부 삼각판(25)에 고정 설치되어 지진에 의해 상부 삼각판(23)과 하부 삼각판(25) 사이의 높이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는 2개 이상의 탄성 부재(27), 상기 상·하부 삼각판(23,25)을 관통 가공하여 상·하부 삼각판(23,25)을 통해 앙카 볼트(9)가 관통 결합 되도록 하는 상·하부 앙카 볼트 구멍(29,31), 상기 상·하부 삼각판(23,25)을 관통 가공하여 배전반(5)의 밑면과 상·하부 삼각판(23,25)을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33)가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볼트 구멍(35), 및 상기 고정 볼트 구멍(35)에 끼워진 상태에서 배전반(5)의 밑면에 나사 결합되어 배전반(5)의 밑면에 상·하부 삼각판(23,25)을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33)를 구비한다.
상기 상·하부 삼각판(23,25)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삼각판(25)의 윗면에는 도면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고무 패드(41)가 깔려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27)는 코일(Coil) 형태로 감긴 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고무 패드(41)의 윗면에는 스프링의 하단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고정홈(43)이 가공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과 맞닿는 하부 삼각판(25)의 윗면에는 도면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삼각판(25)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44)이 부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은 고정핀(44)에 꽂혀져 상부 삼각판(23)과 하부 삼각판(25) 사이에서 위치 변경될 수 없다.
이때, 상기 고정핀(44)의 높이는 완전하게 수축된 스프링의 높이보다 낮게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삼각판(25)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삼각판(25)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삼각판(25)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이탈 방지턱(45)이 갖추어져, 하부 삼각판(25) 위에 놓인 하부 고무 패드(41)가 하부 이탈 방지턱(45)에 걸쳐 하부 삼각판(25)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삼각 내진 수단(11)에 갖추어진 고정 볼트 구멍(35)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하부 사각 프레임(57)에 갖추어진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와 맞닿아 고정 볼트 구멍(35)에 끼워지는 고정 볼트(33)의 선단이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에 나사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삼각 내진 수단(11)에 갖추어진 고정핀(44)과 고정핀(44)에 끼워지는 스프링 역시 하부 사각 프레임(57)에 갖추어진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의 하부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하부 사각 프레임(57)을 떠받치게 된다.
반면, 상기 상·하부 앙카 볼트 구멍(29,31)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와 마주 접하지 않는 면에 가공된다.
상기 탄성 철편(15)은 도면 5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 개의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에 고정 볼트(59)를 통해 결합 되는 상부 철편(61)과, 상기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안쪽 범주 내에 있는 상부 철편(61)의 일단으로부터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안쪽 범주 내에 있으면서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 철편(63), 및 상기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안쪽 범주 내에 있으면서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에 앙카 볼트(65)를 통해 고정 결합되고 일단이 연결 철편(63)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 철편(6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철편(67)에는 2개 이상의 앙카 볼트(65)가 끼워지도록 2개 이상의 앙카 볼트 구멍(69)이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철편(61)과 연결 철편(63)의 내각과 하부 철편(67)과 연결 철편(63)의 내각은 90도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철편(61)은 어느 한 개의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의 윗면과 맞닿고, 상기 상부 철편(61)과 하부 가로바(53a,53b)의 사이 또는 상부 철편(61)과 하부 세로바(55a,55b)의 사이에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편 고무 패드(71)가 끼워져 상부 철편(61)과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중간에서 완충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철편 고무 패드(71)는 지진에 의한 충격시에 상부 철편(61)과 하부 사각 프레임(57)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은 배전반(5)으로 전달되는 바닥 진동이나 기계적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한 내부 충격으로부터 배전반(5)이나 배전반(5) 내부의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단가가 낮은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진에 의한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 내진 설계가 되지 않은 기존의 배전반(5)에 내진 기능을 갖춘 본 발명을 간단하게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기존의 배전반(5)에 내진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배전반(5)의 하부 네 모서리에 삼각 내진 수단(11)을 장착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삼각 내진 수단(11)이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배전반(5)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전반(5)의 상부에 상부 가로바(17a,17b)와 상부 세로바(19a,19b)가 결속되는 결속 부위에 기역자 철편(7)을 맞댄 다음, 상기 기역자 철편(7)을 상부 가로바(17a,17b)와 상부 세로바(19a,19b)에 고정시킴으로써 상부 가로바(17a,17b)와 상부 세로바(19a,19b)의 결속 부위에 틈이 발생되거나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역자 철편(7)과, 삼각 내진 수단(11)을 와이어(13)를 통해 탄력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배전반(5)이 전도되거나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1. 가로 방향 철편 3. 세로 방향 철편
5. 배전반 7. 기역자 철편
9. 앙카 볼트 11. 삼각 내진 수단
13. 와이어 15. 탄성 철편
17a. 상부 가로바 19a. 상부 세로바
21. 상부 사각 프레임 23. 상부 삼각판
25. 하부 삼각판 27. 탄성 부재
29. 상부 앙카 볼트 구멍 31. 하부 앙카 볼트 구멍
33. 고정 볼트 35. 고정 볼트 구멍
41. 하부 고무 패드 44. 고정핀
53a. 하부 가로바 55a. 하부 세로바
57. 하부 사각 프레임 59. 고정 볼트
61. 상부 철편 63. 연결 철편
65. 앙카 볼트 67. 하부 철편
69. 앙카 볼트 구멍 71. 철편 고무 패드

Claims (5)

  1.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가로 방향 철편(1)과, 상기 가로 방향 철편(1)과 90도 내각을 사이에 둔 채 일단이 가로 방향 철편(1)의 일단에 고정 결합 되는 세로 방향 철편(3)으로 구성되어 배전반(5)의 상부 각 모서리에 고정 결합 되는 기역자 철편(7)과;
    상기 배전반(5)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앙카 볼트(9)를 통해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면서 배전반(5)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삼각 내진 수단(11);
    양단이 각각 배전반(5)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기역자 철편(7)과, 삼각 내진 수단(11) 및 앙카 볼트(9)에 결속되어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5)이 전도되거나 위치 변경됨을 방지하는 와이어(13);
    및 상기 배전반(5)의 밑면에 2개 이상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으로 인해 배전반(5)으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탄력적으로 변형되거나 복원되면서 배전반(5)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탄성 철편(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전반(5)의 상부에는 한 쌍의 상부 가로바(17a,17b)와 한 쌍의 상부 세로바(19a,19b)가 'ㅁ'자 형상으로 결합 되는 상부 사각 프레임(21)이 갖추어지고,
    상기 기역자 철편(7)에 갖추어진 가로 방향 철편(1)은 어느 1개의 상부 가로바(17a,17b)에 고정되며,
    세로 방향 철편(3)은 어느 1개의 상부 세로바(19a,19b)에 고정되고,
    상기 삼각 내진 수단(11)은 배전반(5)의 밑면 모서리와 맞닿는 직각 삼각 형태의 상부 삼각판(23)과,
    직각 삼각 형태로서 상부 삼각판(23)과 소정 높이 간격을 둔 채 상부 삼각판(23)을 마주보고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과 맞닿는 하부 삼각판(25),
    상기 상부 삼각판(23)과 하부 삼각판(25) 사이에 끼워지고 상단이 상부 삼각판(23)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이 하부 삼각판(25)에 고정 설치되어 지진에 의해 상부 삼각판(23)과 하부 삼각판(25) 사이의 높이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때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팽창되는 2개 이상의 탄성 부재(27),
    상기 상·하부 삼각판(23,25)을 관통 가공하여 상·하부 삼각판(23,25)을 통해 앙카 볼트(9)가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상·하부 앙카 볼트 구멍(29,31),
    상기 상·하부 삼각판(23,25)을 관통 가공하여 배전반(5)의 밑면과 상·하부 삼각판(23,25)을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33)가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볼트 구멍(35),
    및 상기 고정 볼트 구멍(35)에 끼워진 상태에서 배전반(5)의 밑면에 나사 결합 되어 배전반(5)의 밑면에 상·하부 삼각판(23,25)을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33)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삼각판(25)의 윗면에는 하부 고무 패드(41)가 깔려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탄성 부재(27)는 코일(Coil) 형태로 감긴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과 맞닿는 하부 삼각판(25)의 윗면에는 하부 삼각판(25)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44)이 부가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은 고정핀(44)에 꽂혀져 상부 삼각판(23)과 하부 삼각판(25) 사이에서 위치 변경되지 못하며,
    상기 배전반(5)의 밑면에는 한 쌍의 하부 가로바(53a,53b)와 한 쌍의 하부 세로바(55a,55b)가 'ㅁ'자 형상으로 결합 된 하부 사각 프레임(57)이 갖추어지고,
    상기 하부 삼각판(25)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삼각판(25)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삼각판(25)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이탈 방지턱(45)이 갖추어져, 하부 삼각판(25) 위에 놓인 하부 고무 패드(41)가 하부 이탈 방지턱(45)에 걸쳐 하부 삼각판(25)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며,
    상기 삼각 내진 수단(11)에 갖추어진 고정 볼트 구멍(35)은 각각 하부 사각 프레임(57)에 갖추어진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와 맞닿아 고정 볼트 구멍(35)에 끼워지는 고정 볼트(33)의 선단이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삼각 내진 수단(11)에 갖추어진 고정핀(44)과 고정핀(44)에 끼워지는 스프링은 하부 사각 프레임(57)에 갖추어진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의 하부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하부 사각 프레임(57)을 떠받치게 되며,
    상기 탄성 철편(15)은 어느 한 개의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에 고정 볼트(59)를 통해 결합 되는 상부 철편(61)과, 상기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안쪽 범주 내에 있는 상부 철편(61)의 일단으로부터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안쪽 범주 내에 있으면서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 철편(63), 및 상기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안쪽 범주 내에 있으면서 배전반(5)이 설치된 바닥면에 앙카 볼트(65)를 통해 고정 결합되고 일단이 연결 철편(63)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 철편(6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철편(67)에는 2개 이상의 앙카 볼트(65)가 끼워지도록 2개 이상의 앙카 볼트 구멍(69)이 갖추어지며,
    상기 상부 철편(61)은 어느 한 개의 하부 가로바(53a,53b)나 하부 세로바(55a,55b)의 윗면과 맞닿고, 상기 상부 철편(61)과 하부 가로바(53a,53b)의 사이 또는 상부 철편(61)과 하부 세로바(55a,55b)의 사이에는 철편 고무 패드(71)가 끼워져 상부 철편(61)과 하부 사각 프레임(57)의 중간에서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34140A 2015-09-22 2015-09-22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KR10174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40A KR101740811B1 (ko) 2015-09-22 2015-09-22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40A KR101740811B1 (ko) 2015-09-22 2015-09-22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258A KR20170035258A (ko) 2017-03-30
KR101740811B1 true KR101740811B1 (ko) 2017-05-26

Family

ID=5850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140A KR101740811B1 (ko) 2015-09-22 2015-09-22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23B1 (ko) 2019-09-03 2020-05-19 이엔테크 주식회사 3축 진동 흡수 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수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91B1 (ko) * 2019-05-31 2019-10-15 (주)이에스아이 2단적 구조를 구현한 신개념 24kv 수배전용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226B1 (ko) * 2011-10-13 2012-04-26 (주) 에스아이이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KR101480853B1 (ko) * 2014-08-27 2015-01-13 (주) 금성시스템 내진 및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545422B1 (ko) * 2011-04-28 2015-08-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기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99B1 (ko) 2013-04-17 2013-05-31 (주)서전기전 진동 및 충격 방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101282201B1 (ko) 2013-05-07 2013-07-04 (주) 금성시스템 진동방지장치가 부착된 배전반
KR101305302B1 (ko) 2013-07-23 2013-09-06 주식회사 칠성이엔지 면진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22B1 (ko) * 2011-04-28 2015-08-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기어
KR101139226B1 (ko) * 2011-10-13 2012-04-26 (주) 에스아이이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KR101480853B1 (ko) * 2014-08-27 2015-01-13 (주) 금성시스템 내진 및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23B1 (ko) 2019-09-03 2020-05-19 이엔테크 주식회사 3축 진동 흡수 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258A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215B1 (ko) 비선형 내진 스프링을 장착한 내진 배전반
KR101446890B1 (ko)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2070608B1 (ko)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68031B1 (ko) 접시 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 유닛
KR101325640B1 (ko)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KR101829126B1 (ko) 방진 수단을 구비한 분전반
KR101765489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내진장치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568162B1 (ko) 수직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608689B1 (ko) 내진 구조체
KR1017652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KR101765535B1 (ko) 내진을 위한 케이블 인입선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2155297B1 (ko) 분배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장치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KR102309867B1 (ko) 내진 완충 장치와 코일 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294605B1 (ko) 내진 및 방진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KR20210042791A (ko) 배전반 접속함 등 전기관련장비의 내진장치
KR10168111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699303B1 (ko) 3축 지진 감지형 내진 수배전반
US10718399B2 (en) Anti-vibration support system
KR101740811B1 (ko) 내진 기능을 강화한 배전반
KR101702449B1 (ko) 방진패드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마운트
KR101480853B1 (ko) 내진 및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180117938A (ko) 지진저감용 스프링 면진 모듈
KR20140091980A (ko) 3차원 면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