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393B1 -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393B1
KR101740393B1 KR1020150150570A KR20150150570A KR101740393B1 KR 101740393 B1 KR101740393 B1 KR 101740393B1 KR 1020150150570 A KR1020150150570 A KR 1020150150570A KR 20150150570 A KR20150150570 A KR 20150150570A KR 101740393 B1 KR101740393 B1 KR 10174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dor
fragranc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801A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5015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393B1/ko
Priority to PCT/KR2016/011853 priority patent/WO2017073962A1/ko
Publication of KR2017004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주변의 환경 특히,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냄새를 제거, 희석 또는 방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해 가스의 누출을 알리기 위한 경고성 발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 주변의 악취를 저감하거나, 위험한 상황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가스 또는 냄새 또는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값을 이용하여 가스 또는 냄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방향, 탈취 및 경고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방향, 탈취 및 경고를 위한 향료를 방출하는 방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The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ing Fragnance-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주변의 환경 특히,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냄새를 제거, 희석 또는 방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해 가스의 누출을 알리기 위한 경고성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 주변의 악취를 저감하거나, 위험한 상황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휴대하는 장치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은 단순히 통화만을 하던 전화기의 기능을 벗어난 지 오래이며,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은 편리성은 더욱 우수해지면서도 휴대성을 확보함으로 인해 다목적 장치로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와 이용방법의 장치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은 최근에는 성능적인 부분에서 괄목할만한 성정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의 모바일 단말은 전용게임기, 전용 멀티미디어 기기, 전문 컴퓨터 기기와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가지면서도 기존 컴퓨터에 비해 매우 작고, 가벼운 크기를 유지하여 다른 장치와의 큰 차별성을 가진다.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의 일부 기능을 모바일 단말보다 더 소형화된 장치에서 실현하면서, 모바일 단말과 짝을 이루어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대표적인 장치가 최근 사용이 크기 증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이다. 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주로 손목시계, 목걸이, 안경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모장치가 되는 모바일 단말의 기능 일부를 대신 수행하도록 하거나, 모장치의 실행 결과나 과정을 이들 장치에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원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의 휴대성과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용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의 크기에 대한 제약이 감소하게 되는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모바일 단말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러한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멀티미디어 기기, 게임기와 같은 유흥기기 및 기본적인 통화, 문자서비스의 이용에 국한되어 모바일의 휴대성, 편리성 및 기능성의 일부만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모바일 단말은 일부 기능에만 성능의 활용이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을 더욱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주변의 환경 특히,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냄새를 제거, 희석 또는 방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해 가스의 누출을 알리기 위한 경고성 발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 주변의 악취를 저감하거나, 위험한 상황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가스 또는 냄새 또는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값을 이용하여 가스 또는 냄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방향, 탈취 및 경고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방향, 탈취 및 경고를 위한 향료를 방출하는 방향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공기 중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또는 유기화합물을 감지하는 유기화합물 감지센서;가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부는 향료와 상기 향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화시켜 방향하기 위한 방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부는 하나 이상의 향료가 구분되어 수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향료는 방향제, 탈취제, 경고를 위한 향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출기는 상기 향료 각각에 대응되어 기화열을 제공하기 위한 전열부와 상기 전열부의 제어를 위한 발열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기화된 상기 향료의 방향을 위한 통기성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통신에 의해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의 센서 일부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주변의 환경 특히,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냄새를 제거, 희석 또는 방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해 가스의 누출을 알리기 위한 경고성 발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 주변의 악취를 저감하거나, 위험한 상황의 이탈시켜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장치의 예와 이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단말 제어부(10), 단말출력부(20), 단말입력부(30), 단말센서부(40), 단말저장부(50), 단말 RF부(60) 및 단말방향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제어부(10)는 모바일 폰의 구동을 위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단말제어부(10)는 단말센서부(4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방향부(70)를 제어하여 특정 방향제가 방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말제어부(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측정값에 따라 현재의 냄새 원인 또는 가스의 성분을 추측하고, 이에 따른 단말방향부(70)의 구동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방향제는 호감도가 높은 향을 가지는 향수, 아로마와 같은 방향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제 및 주의 환기 또는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경고성 방향제를 포함한다.
단말출력부(20)는 모바일 단말의 구동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영상, 음향 또는 진동과 같은 모션 형태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단말출력부(20)는 표시장치, 스피커, 진동모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단말출력부(2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입력부(30)의 기능 및 구성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말입력부(30)는 모바일 단말의 구동을 위한 각종 명령 및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단말입력부(30)는 마이크와 같은 음향 입력장치와, 접촉과 같은 모션 입력을 위한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단말입력부(30)에 스크린 형태의 입력부가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되어 단말출력부(20)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단말센서부(40)는 모바일 단말의 구동 및 기능 실행을 위한 다양한 센싱을 수행하고, 그 측정값을 단말제어부(10)에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센서부(4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냄새나 가스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단말센서부(4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에서 흔히 맡을 수 있는 향의 원인이 되는 물질 예를 들어 유기화합물, 휘발성 물질의 감지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단말센서부(40)는 인간의 코와 같이 복합적인 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없기 때문에 복수의 가스 센서로 구성되고, 이들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단말제어부(10)에 전달된다. 단말제어부(10)는 복수의 다종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측정값들을 분석하여 방향부(7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단말저장부(50)는 모바일 단말의 구동 및 기능 실행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단말저장부(50)에는 측정값에 의해 방향부(70)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 분사량 정보와 같은 확산정보가 저장된다. 단말제어부(10)는 측정값 분석을 단말저장부(50)에 저장된 확산정보를 참고로 하여 수행하며, 분석결과에 따라 방향부(70)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단말 RF부(60)는 모바일 단말에 무선 음성통신,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방향부(70)는 단말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향료를 공기중에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방향부(70)는 향료(71)와 이를 확산시키기 위한 방출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장치의 예와 이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장치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의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향을 방출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제3자에 대한 불쾌함을 완화시키거나, 위험을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및 주변 3자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에 구비되는 단말센서부(40)는 하나 이상의 유기화합물 또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냄새는 가스 또는 기화된 유기화합물로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가스 또는 유기화합물을 종합적으로 센싱할 수 있는 센서의 구현이 곤란하여 각각의 가스 또는 유기화합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개별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종류의 가스를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센서의 수 및 구성은 본 발명의 기재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단말센서부(40)는 복수의 센서 각각이 특정 가스 또는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작성하고, 작성된 측정값을 단말제어부(10)에 전달한다.
단말제어부(10)는 단말센서부(40)의 각 센서로부터 전달된 측정값을 전달받아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가스 또는 냄새를 분석하게 된다. 이 단말제어부(10)는 분석결과에 따라 가스 또는 냄새에 대응되는 향을 방출하도록 방출부(70)를 제어하여 향료를 방출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단말제어부(10)는 측정값에 의해 유해가스 또는 단순한 악취 예를 들어 구운 고기 냄새, 땀냄새, 향수 냄새 등을 구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와 같은 단일 가스만 센싱되는 경우 냄새가 아닌 유해 가스의 방출인 것으로 인식하는 반면, 고기 굽는 냄새와 일산화탄소가 같이 검출되는 경우 방향 또는 탈취가 필요한 냄새로 판단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일산화탄소의 측정값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는 고기 굽는 냄새 즉 유해하지 않은 유기화합물이 검출된다 하더라도 유해가스의 방출 상황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제어부(10)는 단일 종류의 가스 감지 여부, 다종의 가스 감지 시 유해 유기화합물의 검출여부, 다종의 가스 감지시 유해가스의 측정값에 따라 유해가스가 방출되는 상황인지, 단순히 방향 또는 탈취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0)는 감지결과에 따라 유해가스가 방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유해가스의 검출을 알리기 위한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방향부(7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방출되는 향은 액화부탄가스 등에서 가스의 누출을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경고용 향과 동일하거나, 이러한 종류의 향기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 단말제어부(10)는 감지결과에 따라 비호감의 냄새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탈취 또는 방향하기 위한 향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방향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향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료(71)와 방출기(72)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방향부(70)는 복수의 향료(711)와 이들 각각을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향료는 향료 카트리지(712) 내에 향료블럭(711 :711a, 711b, 711c)이 삽입된다. 카트리지(7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향료블럭(71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712)의 일측에는 향료의 방출을 위한 통기성 스크린(7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통기성 스크린(713)은 멤브레인과 같은 다공성 합성수지, 섬유로 형성되어, 향료블럭(711)의 향료가 휘발 또는 기화될 때 이 스크린(713)을 통해 기화된 향료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물질과 향료블럭(711)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향료카트리지(713)의 타면은 방출기(72)에 접촉된다. 여기서, 카트리지(712) 내부에 수납되는 향료블럭(711)의 일면은 방출기의 전열부(722)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고, 전열부(722)와 향료블럭(711) 사이에 열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플레이트 또는 열전도성 합성수지가 게재되어 전열부(722)의 열이 향료블럭(711)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것은 아니다.
이 향료블럭(711)은 각각 다른 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향료블럭(711a)은 방향제 성분, 제2향료블럭(711b)는 탈취제 성분 그리고, 제3향료블럭(711c)은 경고용 방향제 성분의 향료블럭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향료블럭(711a)의 향료는 사용자 주변의 악취에 대응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성하고, 제2향료블럭(711b)는 사용자에게 나는 냄새를 탈취하기 위한 향료로 구성하며, 제3향료블럭(711c)는 유독가스등의 누출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용도의 향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712)에 구성되는 블럭의 수에 따라 방향제 또는 탈취제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향료블럭(711)은 젤 타입, 고체 타입 또는 합성수지 케이스에 봉입된 액체형 향료를 이용할 수 있다.
방출기(72)는 단말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카트리지(712)의 각 향료블럭(711)에 수납된 향료를 각각 방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방출기(72)는 향료블럭에 대응되는 가열판(722 : 722a, 722b, 72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열판(722) 각각의 발열을 제어하는 발열제어기(7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발열제어기(721)는 단말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가열판들(722) 중 어느 하나를 가열하여 향료가 기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장치는 모바일단말(1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제어부(110), 단말출력부(120), 단말 입력부(130), 단말센서부(140), 단말저장부(150), 단말 RF부(160) 및 방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제어부(210), 디바이스 출력부(220), 디바이스 입력부(230), 디바이스 센서부(240), 디바이스 저장부(250), 디바이스 RF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또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가능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은 단말센서부(140)에 구성되는 냄새 감지 센서 일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구성된다.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구성된 센서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모바일 단말(100)의 단말제어부(110)가 제공받아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게 되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며, 가스 감지, 방향제 또는 탈취제의 방향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구성되는 디바이스 센서부(240)에 구성되는 센서는 단말센서부(140)와 서로 다른 센서가 구성되도록 하여 센서의 중복을 피할 수도 있고, 단말센서부(140)에 구성되는 센서 중 일부 센서를 동일하게 구성하여 측정값의 정밀도를 높일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110 : 단말제어부 20, 120 : 단말출력부
30, 130 : 단말입력부 40, 140 : 단말센서부
50, 150 : 단말저장부 60, 160 : 단말RF부
70, 170 : 단말방향부 71, 171 : 향료
72, 172 : 방출기 210 : 디바이스 제어부
220 : 디바이스 출력부 230 : 디바이스 입력부
240 : 디바이스 센서부 250 : 디바이스 저장부
269 : 디바이스 RF부

Claims (7)

  1.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가스 또는 냄새 또는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값을 이용하여 가스 또는 냄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방향, 탈취 및 경고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방향, 탈취 및 경고를 위한 향료를 방출하는 방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향부는 방향제, 탈취제, 경고를 위한 향료가 구분되어 수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가스 또는 냄새의 원인이 되는 유기화합물이 감지되는 경우 유해물질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유해가스 또는 유해한 유기화합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경고를 위한 향료만을 방출하도록 상기 방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공기 중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또는
    유기화합물을 감지하는 유기화합물 감지센서;가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는
    향료와 상기 향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화시켜 방향하기 위한 방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는
    상기 향료 각각에 대응되어 기화열을 제공하기 위한 전열부와
    상기 전열부의 제어를 위한 발열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기화된 상기 향료의 방향을 위한 통기성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에 의해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의 센서 일부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50150570A 2015-10-28 2015-10-28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KR101740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570A KR101740393B1 (ko) 2015-10-28 2015-10-28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PCT/KR2016/011853 WO2017073962A1 (ko) 2015-10-28 2016-10-20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570A KR101740393B1 (ko) 2015-10-28 2015-10-28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01A KR20170049801A (ko) 2017-05-11
KR101740393B1 true KR101740393B1 (ko) 2017-06-09

Family

ID=5863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570A KR101740393B1 (ko) 2015-10-28 2015-10-28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0393B1 (ko)
WO (1) WO201707396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67B1 (ko) 2005-04-08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통신기기용 초소형 향분사장치
JP2006293628A (ja) 2005-04-08 2006-10-26 Nippon Mmi Technology Kk 警報装置
JP2015502147A (ja) * 2011-11-03 2015-01-2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スタマイズ可能な芳香を伴う臭気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334B1 (ko) * 2004-04-22 2006-07-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냄새 식별 장치
KR20130137779A (ko) * 2012-06-08 2013-12-18 허남선 스마트 향수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67B1 (ko) 2005-04-08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통신기기용 초소형 향분사장치
JP2006293628A (ja) 2005-04-08 2006-10-26 Nippon Mmi Technology Kk 警報装置
JP2015502147A (ja) * 2011-11-03 2015-01-2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スタマイズ可能な芳香を伴う臭気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962A1 (ko) 2017-05-04
KR20170049801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1425B2 (en)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to provide olfactory sensations
US20160029698A1 (en) Electronic cigarette and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EP3065009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witching state
JPWO2019207888A1 (ja) 匂い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匂い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049028A1 (en) GENERATION OF ITS MEMS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S, AS WELL AS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10708535B2 (en) Light output system
JP2016097208A (ja) 香り時計
KR101740393B1 (ko) 방향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
US9623135B2 (en) Volatile substance delivery system
JP2010187126A (ja) 携帯電子機器
JP6148393B1 (ja) 服内環境冷却装置
KR20200080492A (ko) 향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7501A (ko) 의류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K1259136T3 (da) Duftdispenseringsindretning
KR101718932B1 (ko) 양초의 향기에 따른 뮤직 출력시스템
KR101296158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JP3132292U (ja) 携帯式アロマキャリア
CN111789295B (zh) 电子烟设备的工作模式切换方法、电子烟和存储介质
JP2002064595A (ja) 移動体通信端末機及び移動体通信救援システム
JP2005150828A (ja) 携帯電話機
JP7365153B2 (ja) 薬液揮散器
JP2009212891A (ja) 発香装置
KR102666520B1 (ko) 스마트 마스크
KR20070047261A (ko) 디지탈기기용 초음파 해충격리 솔루션 구현 방법
JP5302454B1 (ja) ヘッドフォン型匂い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