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933B1 -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933B1
KR101739933B1 KR1020170028845A KR20170028845A KR101739933B1 KR 101739933 B1 KR101739933 B1 KR 101739933B1 KR 1020170028845 A KR1020170028845 A KR 1020170028845A KR 20170028845 A KR20170028845 A KR 20170028845A KR 101739933 B1 KR101739933 B1 KR 10173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gnetic pole
pad
stimul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옥
Original Assignee
정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자 filed Critical 정은자
Priority to KR102017002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9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8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 A61F2007/029Fat cell removal or destruction by non-ablative hea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abdominal fat by stimulating or straining abdomen in human body using intermediate frequency at the range of 1,000-4,500 Hz. More specifically, while applying warmth onto the abdomen using a warming pad prior to outputting a first stimulation signal to the abdomen, a second stimulation signal having a lower voltage tha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to a second stimulation pad first, and the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onto a first stimulation pad so as to stimulate the abdomen. By outputting the second stimulation signal to the second stimulation pad inbetween each pulse of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pain and unpleasant feeling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pain on skin.

Description

복부 지방 제거장치{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1,000~4,500Hz 대역의 중주파를 이용하여 인체의 복부를 긴장시키거나 자극하여 복부 지방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주파를 인체의 복부에 인가할 때 피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최소화하여 중주파 자극에 따른 놀람과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주파를 이용한 복부 지방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abdominal fat by tensing or stimulating the abdominal region of a human body using a mid-frequency band of 1,000 to 4,500 Hz.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abrasion and discomfort caused by the mid-frequency stimulation, and to a device for removing abdominal fat using the mid-frequency.

일반적으로, 활동량과 운동량 부족으로 인해 인체에 지방이 남으면 뱃속에 살이 찌는데, 이를 복부 비만이라고 한다. 복부의 지방세포는 지방질을 쉽게 끌어 모으기 때문에 대개 살이 찔 때 배가 나오게 된다. 또한, 복부 비만은 혈액 중에 중성지방을 증가시켜 인체에 유익한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감소시키고 인체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증가시키는데 이것이 여러 가지의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Generally, when the amount of activity and exercise is insufficient, fat is left in the body, which is called abdominal obesity. Because the fat cells in the abdomen easily attract fat, fat comes out when it fills. In addition, abdominal obesity increases blood cholesterol by increasing the amount of triglycerides in the body and increases the level of cholesterol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which causes various adult diseases.

이러한 복부 비만은 지방 흡입술을 이용한 수술 또는 운동 요법들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수술을 통한 복부의 지방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고, 운동 요법은 지속적이고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데, 바쁜 사회생활을 하는 현대인에게 지속적이고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없어 그 효과 또한 미미한 것이 현실이었다. Such abdominal obesity is mainly utilized in surgery or exercise therapy using liposuction. Removal of the abdominal fat through surgery is costly and there are side effects.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and steady efforts in exercise therapy. It is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and steady efforts to modern people who are busy in social life, And the effect was insignificant.

이에 따라 복부 비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근육과 신경을 긴장시키고 자극하여 복부 지방을 제거하는 전기 자극 방식이 알려져 있고, 그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1736호에 제안된 바 있었다. Accordingly, various devices for eliminating abdominal obesity have been developed, and one of them has been known as an electric stimulation method in which abdominal fat is removed by tensing and stimulating muscles and nerves, and an example thereof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591736 It has been prop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1736호는 젤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1000Hz~1500Hz의 중주파를 사용하고 전기자극 파형의 듀티(duty)를 25%~30%로 제한하거나, 실리콘 고무에 전도성 재료를 배합한 전극패드를 사용하여 강한 자극을 주면서도 불쾌한 사용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전극패드를 사용하여 자극을 주도록 함으로써 근육운동효과와 지방분해효과를 증대할 수 있었다.Korean Patent No. 10-1591736 discloses a technique of using a medium frequency of 1000 Hz to 1500 Hz without using a gel pad and limiting the duty of an electric stimulation waveform to 25% to 30%, or a conductive material is mixed with silicone rubber An electrode pad can be used to remove unpleasant feeling while giving a strong stimulus. In addition, using the electrode pad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stimulation was given to increase muscle motion effect and lipolysis effect.

이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1736호에서는 전기 자극 파형의 듀티를 25%~30%로 제한하고, 실리콘 고무에 전도성 재료를 배합한 전극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전기 자극이 가해지는 부위에 따라 전기가 상대적으로 잘 통하는 특정한 부위로 전기 자극이 집중되어 강한 통증과 따가움을 느끼는 것을 일정 부분 해소하였다. As described above, in Korean Patent No. 10-1591736, the duty of the electric stimulation waveform is limited to 25% to 30%, and by using the electrode pad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mixed with the silicone rubber, The electrical stimulation was concentrated on a relatively well-communicated area, and some of the strong pain and burning sensations were resolved.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1736호에서는 전기 자극 파형의 듀티를 25%~30%로 제한하여 전기 자극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은 방지할 수는 있으나, 중주파가 직류 구형파 형태로 순간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날카로운 바늘로 찌른 듯한 통증을 느끼게 하여 여전히 놀람과 불쾌감이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Korean Patent No. 10-1591736, the duty of the electric stimulation waveform is limited to 25% to 30% so that the electric stimulation can be prevented from concentrating on a specific region. However, since the middle frequency is instantaneously applied in the form of a DC square wave Thus causing the user to feel sharp stabbing pain and still cause a surprise and uncomfortable feeling.

KR 10-1591736 B1, 2016. 01. 29.KR 10-1591736 B1, 2016. 01. 29.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초기에 중주파를 인체의 복부에 인가할 때 통증을 최소화하여 중주파 자극에 따른 놀람과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주파를 이용한 복부 지방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pain when the mid- ≪ / RTI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동작제어모듈;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각각 분산 배치되어 상기 동작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1,000~4,500Hz 중주파 대역의 제1 자극신호를 복부로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제1 자극패드; 상기 제1 자극패드를 각각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제1 자극신호의 전압크기보다 낮은 전압크기를 갖는 제2 자극신호를 상기 동작제어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복부로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제2 자극패드; 및 상기 제1 자극패드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동작제어모듈에 의해 가열되어 온열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온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하여 복부를 자극할 때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온열패드를 통해 온열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2 자극신호를 상기 제2 자극패드로 먼저 출력한 후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하여 상기 복부를 자극하되,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자극신호의 각 펄스 사이에 상기 제2 자극신호를 상기 제2 자극패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지방 제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control module built in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pole pads dispersedly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a first magnetic pole signal of 1,000 to 4,500 Hz mid-frequency band outputt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to the abdomen; A plurality of second magnetic pole signals are dispersedly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the first magnetic pole pads and a second magnetic pole signal having a voltage magnitude lower than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A plurality of second magnetic pole pads for outputting; And a plurality of hot pads dispersedly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pole pads and heated by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to provide heat, And outputs the second magnetic pole signal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first while providing heat through the heating pad before outputting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when the abdomen is stimulated by outputting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to the first magnetic pole pad, Wherei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to stimulate the abdomen, and whe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And outputting the blood to the second stimulating pad.

또한, 상기 제2 자극신호는 상기 제1 자극신호의 1/2 이하의 전압크기를 갖는 단일 펄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자극신호의 1/2 이하의 전압크기 범위내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복수 개의 펄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stimulus signal may be a single pulse having a voltage magnitude equal to or less than a half of the first stimulus signal or a plurality of magnets gradually increasing in a voltage magnitude range equal to or less than a half of the first stimulus signal. Lt; / RTI > pulses.

또한, 상기 동작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자극신호의 각 펄스 사이에 상기 제2 자극패드로 상기 제2 자극신호를 출력하기에 앞서 음전압을 상기 제2 자극패드로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outputs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to the first magnetic pole pad, before the second magnetic pole signal is outputted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between each pulse of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또한, 상기 동작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할 때 상기 온열패드로 고주파 자기장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may output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to the first stimulating pad when the first stimulating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ng pa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지방 제거장치에 따르면, 복부에 제1 자극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온열패드를 통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자극신호보다 낮은 전압크기를 갖는 제2 자극신호를 제2 자극패드로 먼저 출력한 후,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하여 복부를 자극하되, 상기 제1 자극신호의 각 펄스 사이에 상기 제2 자극신호를 상기 제2 자극패드로 출력함으로써 피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최소화하여 놀람과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moving abdominal f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bdomen with warmth through the heating pad before outputting the first stimulus signal to the abdomen, Wherei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second stimulation pad first, and the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to stimulate the abdomen, and between the respective pulses of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2 stimulation pads, the pain applied to the skin can be minimized, minimizing the surprise and discomfo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방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부 지방 제거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동작제어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극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자극전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자극전압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자극전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자극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음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파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파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moving abdominal f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Fig.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abdominal fat removal device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the bottom;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shown in FIG. 2;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imulus voltage output from the stimulus voltage generator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diagram showing stimulus voltag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timulus voltage regulators shown in FIG. 4; FIG.
FIG. 7 is a diagram showing output waveform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timulus signal generators shown in FIG. 4;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waveform output from the negative voltage generator shown in Fig.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waveform output through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shown in FIG. 4; FIG.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utput waveform output through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shown in FIG. 4; 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utput waveform output through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방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부 지방 제거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bdominal fa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rom the body,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abdominal fat removing devic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방 제거장치(10)는 본체(11)와, 본체(11)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동작제어모듈(12)과, 본체(11)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3)를 포함한다. 그리고, 동작제어모듈(12)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자극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자극패드(14, 15)를 포함한다. 1 to 3, an abdominal fat remov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an operation control module 12 built in a receiving space inside the main body 11, And an upper cover 13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 [ And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pads 14 and 15 for outputting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signals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12. [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동작제어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제어모듈(12)은 복부 지방 제거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각종 소자가 실장된 회로모듈로서, 자극전압 발생부(121), 제1 및 제2 자극전압 조정부(122, 123), 제1 및 제2 자극신호 발생부(124, 125),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 음전압 발생부(127), 자기장 발생부(128) 및 온열부(12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it module in which various devices are moun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bdominal fat removing device 10, and includes a stimulation voltage generating portion 121,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signal generating units 124 and 125, the magnetic pole signal output selecting unit 126, the negative voltage generating unit 127,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128, and the second magnetic pole voltage adjusting units 122 and 123, And includes a heating portion 129.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극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자극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stimulus voltage output from the stimulus voltage generator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자극전압 발생부(121)는 상부커버(13) 또는 본체(11)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미도시)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외부전원 또는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일정한 전압 크기의 직류 자극전압(V0)을 생성한다. 4 and 5, the stimulus voltage generating unit 121 generates a stimulus voltage from a battery provided in the external power source or the internal power source by a switching operation of a power switch (not shown) provided in the upper cover 13 or the main body 11. [ And generates a DC excitation voltage (V0) having a constant voltage magnitude by operating with power supply.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자극전압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자극전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제1 자극전압(V1)을 나타내고, (b) 및 (c)는 제2 자극전압(V2)을 나타낸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magnetic pole voltag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voltage regulators shown in FIG. 4, wherein (a) shows the first magnetic pole voltage V1, and (b) and 2 < / RTI > stimulation voltage V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자극전압 조정부(122, 123)는 DC-DC 컨버터 혹은 전압 분배기로서, 자극전압 발생부(121)로부터 출력되는 자극전압(V0)을 서로 다른 전압 크기를 갖는 제1 및 제2 자극전압(V1, V2)을 출력한다. 이때, 제2 자극전압(V2)은 제1 자극전압(V1)의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의 전압크기를 갖는다. 한편, 제2 자극전압(V2)은 도 6의 (c)에 도시된 출력 파형과 같이, 제1 자극전압(V1)의 1/2의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전압크기가 상승하는 전압일 수 있다. 4 and 6, the first and second stimulation voltage adjusters 122 and 123 are DC-DC converters or voltage dividers. The stimulus voltage generator 121 generates stimulation voltages V0 And outputs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voltages (V1, V2) having a voltage magnitude. At this time, the second magnetic pole voltage V2 has a voltage magnitude of 1/2 or less, preferably 1/3 or less of the first magnetic pole voltage V1.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agnetic pole voltage V2 may be a voltage whose voltage magnitude gradually increases within a range of 1/2 of the first magnetic pole voltage V1 as shown in the output waveform of FIG. 6C .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자극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제1 자극신호(S1)를 나타내고, (b) 및 (c)는 제2 자극신호(S2)를 나타낸다.  FIG. 7 shows output waveform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timulus signal generators shown in FIG. 4, wherein (a) shows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b) and (c) And a second stimulus signal S2.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자극신호 발생부(124)는 제1 자극전압 조정부(122)의 제1 자극전압(V1)을 이용하여 1000Hz 내지 1500Hz의 대역의 주파수(중주파수)로 온오프 하여 제1 자극신호(S1)를 출력한다. 이때, 제1 자극신호(S1)는 도 7의 (b)와 같이, 제1 자극전압(V1)에 대응하는 전압크기를 갖는 포지티브 펄스이다.4 and 7, the first stimulus signal generator 124 generates a first stimulus signal having a frequency (mid frequency) of 1000 Hz to 1500 Hz using the first stimulus voltage V1 of the first stimulus voltage adjuster 122 And outputs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At this time,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is a positive pulse having a voltage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imulus voltage V1, as shown in Fig. 7 (b).

제2 자극신호 발생부(125)는 제2 자극전압 조정부(123)의 제2 자극전압(V2)을 이용하여 1000Hz 내지 1500Hz의 대역의 중주파수로 온오프 하여 제2 자극신호(S2)를 출력한다. 이때, 제2 자극신호(S2)는 제2 자극전압(V2)에 대응하는 전압크기를 갖는 포지티브 펄스로서, 도 7의 (b)와 같이, 제1 자극신호(S1)의 1/2 이하의 전압크기를 갖는 단일 펄스이거나, 도 7의 (c)와 같이, 제1 자극신호(S1)의 전압크기의 1/2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전압크기가 일정한 크기로 상승하는 복수 개의 펄스일 수 있다. The second stimulus signal generator 125 turns on and off the second stimulus signal S2 by using the second stimulus voltage V2 of the second stimulus voltage adjuster 123 to turn on / do. At this time, the second stimulus signal S2 is a positive pulse having a voltage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imulus voltage V2. As shown in (b) of Fig. 7, A single pulse having a voltage magnitude or a plurality of pulses whose voltage magnitudes gradually increase within a range of a half of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as shown in FIG. 7C .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는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자극신호 발생부(124, 125)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자극신호(S1, S2)를 제1 및 제2 자극패드(14, 15)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제1 자극신호(S1)는 제1 자극패드(14)로 출력하고, 제2 자극신호(S2)는 제2 자극패드(15)로 출력한다.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or 126 selects the first and second stimulus signals S1 and S2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timulus signal generators 124 and 125 as the first and second stimulus signals S1 and S2, Pads 14 and 15,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14 and the second stimulation signal S2 is output to the second stimulation pad 15.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음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waveform output from the negative voltage generator shown in FIG.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음전압 발생부(127)는 자극전압 발생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자극전압을 극성이 반대이면서 일정한 전압크기를 갖는 음전압(V-)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4 and 8, the negative voltage generator 127 converts the stimulus voltage applied from the stimulus voltage generator 121 into a negative voltage V- having a constant voltage magnitude opposite in polarity, and outputs the negative voltage V- .

한편, 자기장 발생부(128)는 고주파 자기장을 발생하여 온열패드(16)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제1 자극신호(S1)와 함께 복부지방 분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section 128 generates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and outputs the generated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to the heat pad 16. Thereby maximizing the abdominal fat decomposition effect together with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를 통해 제1 및 제2 자극패드로 출력되는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제1 자극패드로 출력되는 제1 자극신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b) 및 (c)는 제2 자극패드로 출력되는 제2 자극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9 shows output waveform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pads through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shown in FIG. 4, wherein (a) shows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output to the first magnetic pole pad (B) and (c) are diagrams showing a second magnetic pole signal outputted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온열패드(16)를 통해 복부에 체온보다 높은 온도를 온열을 제공한다. 이때, 온열패드(16)는 일정 온도로 가열되는 동시에 자기장 발생부(128)를 통해 고주파 자기장이 제공되어 복부로 고주파 자기장을 출력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9, first,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dy temperature via the pad 16. At this time, the heating pad 16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is provided through the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128 to output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to the abdomen.

그리고,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는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자극신호 발생부(124)로부터 출력되는 제1 내지 제3 자극신호(S1, S2, S3)와, 음전압 발생부(127)로부터 출력되는 음전압(V-)을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자극패드(14, 15)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4,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126 includes first to third stimulus signals S1, S2, and S3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timulus signal generators 124, To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pads (14, 15) sel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방 제거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bdominal fa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는 도 9의 (b) 및 (c)와 같이, 제1 자극신호(S1)를 제1 자극패드(14)로 출력하기 전에 제2 자극신호(S2)를 제2 자극패드(15)로 출력한다.First,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or 126 selects the second stimulus signal S2 before outputting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to the first stimulus pad 14, as shown in FIGS. 9 (b) and 9 (c)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15).

이후,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는 도 9의 (a)와 같이, 제1 자극신호(S1)를 제1 자극패드(14)로 출력한다. 이때,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는 도 9의 (b) 및 (c)와 같이, 제1 자극신호(S1)의 각 펄스 사이에 단일 펄스 또는 복수 개의 펄스로 이루어진 제2 자극신호(S2)를 제2 전극패드(15)로 출력한다. 그리고, 자기장 발생부(128)는 자극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온열패드(16)를 통해 고주파 자기장을 출력한다.Thereafter,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126 outputs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to the first stimulus pad 14 as shown in FIG. 9 (a). 9 (b) and 9 (c),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or 126 selects the second stimulus signal S2 (S2) composed of a single pulse or a plurality of pulses between the respective pulses of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To the second electrode pad 15.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128 outputs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through the heat pad 16 to maximize the stimulation effect.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파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과 같이,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는 제1 자극신호(S1)의 각 펄스 사이에 제2 자극신호(S2) 대신에 음전압 발생부(127)로부터 출력되는 음전압(V-)을 제2 전극패드(15)로 출력하여 자극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10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output waveform output through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or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10,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or 126 selects the output The negative voltage V- output from the negative voltage generator 127 instead of the second stimulus signal S2 may be output between the pulses to the second electrode pad 15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파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과 같이,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는 제1 자극신호(S1)의 각 펄스 사이에 음전압(V-)과 제2 자극신호(S2)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11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put waveform outputted through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11,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126 select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output the negative voltage V- and the second magnetic-pole signal S2 between the respective puls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 지방 제거장치(10)는 복부에 제1 자극신호(S1)를 출력하기 전에 온열패드(16)를 통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하면서 제1 자극신호(S1)보다 낮은 전압크기를 갖는 제2 자극신호(S2)를 제2 자극패드(15)로 먼저 출력한 후, 제1 자극신호(S1)를 제1 자극패드(14)로 출력하여 복부를 자극하되, 제1 자극신호(S1)의 각 펄스 사이에 제2 자극신호(S2)를 제2 자극패드(15)로 출력함으로써 피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최소화하여 놀람과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bdominal fat remov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bdomen with warmth through the heat pad 16 before outputting the first stimulus signal S1 to the abdome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S1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14 to stimulate the abdomen, while the second stimulation signal S2 having a voltage magnitud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stimulation signal S2 is first output to the second stimulation pad 15, The second stimulation signal S2 is output to the second stimulation pad 15 between each pulse of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S1 to minimize the pain applied to the skin, thereby minimizing the surprise and the unpleasant feeling.

한편, 온열부(129)는 전원으로 공급받아 일정한 온도, 예를 들면 40℃ 내지 60℃ 범위의 온열을 온열패드(16)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온열패드(16)의 온도를 체온보다 높게 유지시켜 동절기에 복부 지방 제거장치(10)를 사용할 때, 제1 및 제2 자극패드(14, 15)가 피부에 접촉할 때 느끼는 차가움으로 인한 통증과 놀람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129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and supplies the heating pad 16 wit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40 to 60 ° C. This is because when the abdominal fat removing device 10 is used in the winter season, the temperature of the warm pad 16 is kept higher than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stimulation pads 14, It can prevent pain and surprise.

제1 자극패드(14)는 도 3과 같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가로패드(14a, 14b)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세로패드(14c, 14d)를 포함하고, 가로패드(14a, 14b)의 면적은 세로패드(14c, 14d)의 면적보다 크고, 가로패드(14a, 14b) 사이의 거리는 세로패드(14c, 14d)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126)를 통해 자극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주거나, 혹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동시에 교차 형태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주파수의 자극신호를 한번은 복부에 가로방향, 또 한번은 세로방향으로 제공하거나, 혹은 2가지 자극신호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동시에 제공하여 자극의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first magnetic pole pad 14 includes two horizontal pads 14a and 14b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wo vertical pads 14c and 14d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4a and 14b are larger than the areas of the vertical pads 14c and 14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pads 14a and 14b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pads 14c and 14d. The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126 may provide the stimulu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r may provide the stimulus in the crosswise shap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That 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by providing the stimulus signal of the same frequency in the abdomen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o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by providing the two stimulus signals i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자극을 주는 경우에는 복부 근육방향, 세로방향으로 자극을 주는 경우에는 세로방향 복부 근육에 상대적으로 강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동시에 자극을 주는 경우에는 주파수가 중첩되면서 제1 자극패드(14) 사이의 중앙부위에 넓고 강한 자극이 일어나고, 인체에 인가되는 강한 자극에 반응하여 복부에 힘을 주게 되어 근육 운동 및 지방분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stimulus is appli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timulus in the abdominal muscle direction and a stim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provide relatively strong stimulation to the longitudinal abdominal muscle. Particularly, when the stimulation is applied simultaneous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rong and strong stimulus is generated at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first stimulating pads 14 while the frequencies are superimposed, and the abdomen is applied in response to the strong stimulation applied to the human body Muscle motion and fat dissolving effect can be obtained.

제2 자극패드(15)는 도 3과 같이, 제1 자극패드(14)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제1 자극패드(14) 각각의 패드(14a~14d)를 둘러싸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자극패드(15)는 4개가 제1 자극패드(14)의 각각를 둘러싸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 자극신호(S1)를 복부로 출력하기 전에 제1 자극신호(S1)보다 낮은 전압크기를 갖는 제2 자극신호(S2)를 복부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제1 자극신호(S1)가 출력되는 제1 자극패드(14)의 주변을 낮은 전압크기의 제2 자극신호(S2)로 1차 자극하여 추후 제1 자극신호(S1) 출력시 놀람과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15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magnetic pole pad 14 and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urround the pads 14a to 14d of the first magnetic pole pads 14 . For example,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15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urround each of the first magnetic pole pads 14 so that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S1 may be output before being output to the abdomen, And outputs a second stimulus signal S2 having a lower voltage magnitude to the abdomen. Accordingly, the periphery of the first stimulating pad 14, from which the first stimulating signal S1 is output, is firstly stimulated with the second stimulating signal S2 of a low voltage magnitude and is then surprise when the first stimulating signal S1 is output The discomfort can be minimized.

온열패드(16)는 도 3과와 같이, 제1 및 제2 자극패드(14, 15)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5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열패드(16)는 복부 자극단계시 복부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통증을 없애고 안정감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복부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온열패드(16)는 고주파 자기장을 출력하여 자극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the heating pads 1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ole pads 14 and 15. For example, a total of five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a warm pad 16 maintains the abdomen warm during the abdomen stimulation stage, thereby relieving the pain and inducing a sense of stability,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abdominal stimulation in a more comfortable state. Then, the thermal pad 16 outputs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to maximize the stimulation effec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복부 지방 제거장치 11 : 본체
12 : 동작제어모듈 13 : 상부커버
14 : 제1 자극패드 15 : 제2 자극패드
16 : 온열패드 121 : 자극전압 발생부
122 : 제1 자극전압 조정부 123 : 제2 자극전압 조정부
124 : 제1 자극신호 발생부 125 : 제2 자극신호 발생부
126 : 자극신호 출력 선택부 127 : 음전압 발생부
128 : 온열부
10: abdominal fat removing device 11: body
12: operation control module 13: upper cover
14: first magnetic pole pad 15: second magnetic pole pad
16: hot pad 121: stimulus voltage generator
122: first stimulus voltage regulator 123: second stimulus voltage regulator
124: first stimulus signal generator 125: second stimulus signal generator
126: Stimulus signal output selection unit 127: Negative voltage generation unit
128:

Claims (4)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동작제어모듈;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각각 분산 배치되어 상기 동작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1,000~4,500Hz 중주파 대역의 제1 자극신호를 복부로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제1 자극패드;
상기 제1 자극패드를 각각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제1 자극신호의 전압크기보다 낮은 전압크기를 갖는 제2 자극신호를 상기 동작제어모듈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복부로 출력하는 복수 개의 제2 자극패드; 및
상기 제1 자극패드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동작제어모듈에 의해 가열되어 온열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온열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하여 복부를 자극할 때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온열패드를 통해 온열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2 자극신호를 상기 제2 자극패드로 먼저 출력한 후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하여 상기 복부를 자극하되,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자극신호의 각 펄스 사이에 상기 제2 자극신호를 상기 제2 자극패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지방 제거장치.
main body;
An operation control module built in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pole pads dispersedly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a first magnetic pole signal of 1,000 to 4,500 Hz mid-frequency band outputt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to the abdomen;
A plurality of second magnetic pole signals are dispersedly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the first magnetic pole pads and a second magnetic pole signal having a voltage magnitude lower than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A plurality of second magnetic pole pads for outputting; And
A plurality of heating pads dispersedly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pole pads and heated by the motion control module to provide heat; Lt; / RTI >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supplies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to supply the second stimulation signal through the heat pad before outputting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when stimulating the abdome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first, then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to stimulate the abdomen, and when outputting the first stimulation signal to the first stimulation pad, And outputs the second magnetic pole signal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between the pul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극신호는 상기 제1 자극신호의 1/2 이하의 전압크기를 갖는 단일 펄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자극신호의 1/2 이하의 전압크기 범위내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복수 개의 펄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지방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imulus signal is composed of a single pulse having a voltage magnitude less than 1/2 of the first stimulus signal or a plurality of pulses increasing gradually within a voltage magnitude range equal to or less than 1/2 of the first stimulus signal Wherein the abdominal fat removing device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할 때 상기 제1 자극신호의 각 펄스 사이에 상기 제2 자극패드로 상기 제2 자극신호를 출력하기에 앞서 음전압을 상기 제2 자극패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지방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outputs the negative polarity signal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before outputting the second magnetic pole signal between each pulse of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when the first magnetic pole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magnetic pole pad,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magnetic pole pa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모듈은 상기 제1 자극신호를 상기 제1 자극패드로 출력할 때 상기 온열패드로 고주파 자기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지방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outputs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to the first stimulating pad when the first stimulating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stimulating pad.
KR1020170028845A 2017-03-07 2017-03-07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KR101739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45A KR101739933B1 (en) 2017-03-07 2017-03-07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45A KR101739933B1 (en) 2017-03-07 2017-03-07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933B1 true KR101739933B1 (en) 2017-05-26

Family

ID=5905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45A KR101739933B1 (en) 2017-03-07 2017-03-07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93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3943A (en) 2013-09-10 2015-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otherapy apparatus
KR101591736B1 (en) 2015-11-10 2016-02-04 주식회사 아이가코리아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using mid-frequency wa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3943A (en) 2013-09-10 2015-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otherapy apparatus
KR101591736B1 (en) 2015-11-10 2016-02-04 주식회사 아이가코리아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using mid-frequency wa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781Y1 (en) Multiple function medical appliance
JPH08511445A (en) Nerve stimulator and link support
KR101057974B1 (en) Electrotherapy device with high frequency therapy and low frequency therapy
KR102118205B1 (en) Low frequency massager
JP7048121B2 (en) Electrical stimulator
KR101528195B1 (en) Electrical stimulator for deep muscle stimulation
KR101646086B1 (en) Medium and low frequency exercise device functioned as 3d muscular motion
JP2015047363A (en) Electrostimulator
JP6525245B2 (en) Electrotherapy device
KR100924984B1 (en) A Physical Treatment Apparatus using Broadband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JP6837504B2 (en) Electrotherapy device
CN112839704B (en) Biological stimulation device
CN114288552A (en) Pulse signal output method and device, electric pulse massag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EP3235541B1 (en) Process for establishing an electrostimulation protocol, and respective electrostimulation portable equipment using said protocol
KR101289441B1 (en) Low frequency pulse stimulator equipped with asymmetric area electrode pad
KR101739933B1 (en) Abdomen fat removing apparatus
JP2005245585A (e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for facial massage
KR100843249B1 (en) Stimulus apparatus using micro-current pulse
JP6188300B2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or
JPH1199190A (en) Device for recovering asthenopia
JP2010162191A (en) Multi-channel electrical stimulator
KR20190094753A (en) Apparatus for operating using medium frequency current
JP2013188241A (en) Apparatus for treating brain fatigue and/or depress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6150245A (en) Blood circulation promotion device by heat and electric shock and using method
KR20190110220A (en) A Physical therapy Apparatus for Knees of Complex Stimulating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