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380B1 -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380B1
KR101739380B1 KR1020110033375A KR20110033375A KR101739380B1 KR 101739380 B1 KR101739380 B1 KR 101739380B1 KR 1020110033375 A KR1020110033375 A KR 1020110033375A KR 20110033375 A KR20110033375 A KR 20110033375A KR 101739380 B1 KR101739380 B1 KR 10173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eliminary
light emission
subjec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823A (ko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380B1/ko
Priority to US13/304,915 priority patent/US9131173B2/en
Priority to CN201210103679.8A priority patent/CN102739942B/zh
Publication of KR2012011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4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 H04N25/445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by skipping some contiguous pixels within the read portion of the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피사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다른 스킵 모드를 적용하여 예비발광용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한 상기 예비발광용 영상에 따라 본 발광시의 발광량을 결정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광시의 발광량을 보다 정확하게 도출함으로써 적정 노출하에 촬영된,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사체에 플래시를 조사하여 촬상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플래시(flash)를 프리 발광(예비 발광)시키고, 상기 프리 발광 하에서 측광 및 연산하여 본 발광시의 발광 시간을 결정하는 동작이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작정한 노출로 촬상되어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롤링 셔터(Rolling shutter)로 동작하여 라인 단위로 촬상 소자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CIS(CMOS Image sensor)의 경우에는 프레임 레잇에 따라 상기 본 발광 시의 발광량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의 정학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광 시의 발광량을 정확하게 도출하여 적정한 노출하에 촬영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플래시를 예비 발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예비 발광하에서 얻으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 중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발광 영상으로부터 발광량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발광량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시를 본 발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예비 발광시 및 상기 본 발광 시에 동기하여 셔터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노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다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가장자리 영역 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을 수평으로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상, 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픽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베이어 패턴을 고려하여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래시와, 상기 플래시를 예비 발광 및 본 발광시키는 플래시 구동부와, 상기 예비 발광하에서 얻으며,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의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와, 상기 예비발광 영상으로부터 상기 본 발광 시의 발광량을 도출하는 발광량 도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다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가장자리 영역 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을 수평으로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상, 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픽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베이어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피사체 영역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 설정부는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영역을 도출하는 얼굴 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 설정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촬상 소자와, 셔터와,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노출하도록 상기 예비 발광시 및 상기 본 발광 시에 동기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셔터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피사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다른 스킵 모드를 적용하여 예비발광용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한 상기 예비발광용 영상에 따라 본 발광시의 발광량을 결정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광시의 발광량을 보다 정확하게 도출함으로써 적정 노출하에 촬영된,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플래시의 발광 제어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예비발광용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발광용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캠코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부(10),상기 광학부(10)를 구동하는 광학 구동부(11), 촬상부(20) 카메라 제어부(30), 조작부(40), 메모리(50), 메모리 카드(60), 표시부(70)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결상 광학계, 셔터, 조리개를 구비한다. 상기 결상 렌즈계로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줌렌즈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셔터는 롤링 셔터를 구비한다.
광학 구동부(11)로는 상기 초점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초점 렌즈 구동부, 조리개의 조임 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부, 셔터의 개폐를 조절하는 셔터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20)는 교환 렌즈의 결상 광학계를 통과한 영상 광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촬상 소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전전환부와, 타이밍 신호에 동기해 상기 광전전환부로부터 전하를 이동시켜 영상 신호를 도출 하는 수직 또는/및 수평 전송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소자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30)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31)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CPU(31)는 촬상부(20)로부터 획득한 영상 신호에 대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위한 AWB(Auto White Balance) 평가값, 노출 조절을 위한 AE(Auto Exposure) 평가값 및 초점 조절을 위한 AF(Auto focusing) 평가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가값에 따라 적정 화이트 밸런스 제어, 노출 제어, 자동 초점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얼굴 인식과 같은 객체 인식, 장면 인식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보존을 위한 영상 처리 및 표시를 위한 영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의 예로서,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보존을 위하여 JPEG압축 형식 또는 LZW압축 형식 등의 형식으로 압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30)는 메모리 콘트롤러(32), 카드 콘트롤러(33), 디스플레이 콘트롤러(34)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32)는 촬영 영상, 각종 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메모리(50)에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50)로부터 촬영 영상, 각종 정보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0)는 촬영 영상, 각종 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로서, DRAM, SD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로서 플래쉬 메모리, RO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콘트롤러(33)는 메모리 카드(60)에 영상 파일을 저장 및 독출할 수 있다. 영상 파일 뿐만 아니라 보존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의 독출 및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60)로 SD car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저장 매체로 메모리 카드(60)를 사용함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용상 파일 및 상기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를 읽을 수 있는 독출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콘트롤러(34)는 표시부(70)의 영상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0)는 LCD, O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40)를 구비한다. 조작부(40)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 모드 실행 등),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사용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반누름, 완전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S1조작)되었을 때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 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상기 셔터 버튼은 완전누름(S2조작)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31) 등에 전송되어, 이에 따라 해당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래시(80), 플래시 구동부(8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80)는 야간의 옥외나 어두운 장소에서의 촬영시에 피사체를 밝게 비추기 위한 것이다. 플래시 촬영을 할 때에, 영상 신호 처리부/CPU(31)로부터 발광 명령이 플래시 구동부(81)로 행해지고, 상기 발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시 구동부(81)는 상기 플래시(80)의 발광을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플래시(80)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31)의 발광 명령에 따라 메인 발광의 발광량 또는 메인 발광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측광할 수 있는 프리 발광 또는 약 발광을 한다. 여기서, 플래시(80)는 제논(Zenon) 플래시를 사용하는데, 제논 플래시는 발광 시간이 짧지만 광량이 LED에 비해 뛰어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 등에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래시(80)는 예비 발광을 행하여 예비 발광으로부터 얻은 영상 신호에 따라 본 발광의 발광 시간을 결정한다. 이에 대하여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CPU(31a)는 예비 발광 영상 생성부(31a-1), 발광량 제어부(31a-1)를 구비한다.
상기 예비 발광 영상 생성부(31a-1)는 플래시(도 1의 80)예비 발광하에서 얻으며 촬상부(20)의 촬상면을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의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31a-1)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다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상부(20)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영역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스킵(skip) 모드를 지정하여 촬상부(20)로부터 데이터를 동시에 읽어내어 각각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31a-1)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31a-1)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가장자리 영역 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31a-1)는 상기 촬상면을 수평으로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상, 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31a-1)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픽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31a-1)는 베이어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량 도출부(31a-2)는 상기 예비발광 영상으로부터 상기 플래시(80)의 본 발광 시의 발광량을 도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의 영상 신호 처리부/CPU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CPU(31b)는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피사체 영역 설정부(31b-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31b-3)는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며, 발광량 제어부(31b-4)는 상기 예비발광 영상에 따라 본 발광시의 발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발광 영상에 따라 본 발광시 상기 플래시의 발광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CPU(31b)는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31b-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사체 영역 설정부(31b-2)는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피사체 인식부(31b-1)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사체 영역 설정부(31b-2)는 상기 얼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대조군으로서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로서 촬상면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스킵 모드를 적용하였을 때의 예비발광용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비발광용 영상은 롤링 셔터에 의하여 상의 찌그러짐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프레임 레잇(frame rate)을 빠르게 한다. 프레임 레잇을 빠르게 하는 구체적인 예로서 촬상 소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소정 간격마다 독출하는 스킵 모드를 실행하는데, 이는 본 발과의 발광량을 결정하는데 데이터의 정확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5는 이러한 문제를 나타낸 예비발광용 영상이다. 도 5에서 시계는 본 발광 시 발광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피사체이다. 발광량이 적절하지 못하면, 시계의 금속부분이 빛이 포화되어 이미지가 제대로 촬영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발광용 영상을 도출하기 위하여 촬상면을 구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촬상면을 수직으로 3등분하고, 영역들(Area 0-3)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스킵 모드를 적용하여 독출함으로써 예비발광용 영상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한 예비발광용 영상은 도 7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피사체가 위치하는 가운데 영역(Area 1)은 8라인 간격으로 건너뛴 후 독출하고, 윗 영역(Area 0)과 아랫 영역(Area 2)은 14라인 간격으로 건너뛴 후(skip) 독출하여 예비발광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을 구분하는 방법, 스킵 모드의 라인 수, 픽셀 수 등은 사용자 또는 제작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수평 라인 마다 건너뛰는 스킵 모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픽셀 단위로 건너뛰는 스킵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베이어 패턴 형식을 고려하여 스킵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베이어 패턴에 따르면 홀수 라인들 또는 홀수 번째 픽셀 끼리 동일한 색상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스킵 모드는 짝수의 라인 수 또는 픽셀 수 만큼 건너뛰는 스킵 모드를 적용하여 예비발광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광 시의 발광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예비발광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플래시 예비 발광을 실행한다(s11).
플래시의 예비 발광 하에 촬상 소자를 노출하고(s12), 상기 예비 발광하에서 얻는 것으로서,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 중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한다(s13).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는 예,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스킵 모드를 적용한 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를 인식함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얼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비발광 영상으로부터 발광량을 도출한다(s14).
상기 발광량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시를 본 발광시킨다(s15).
상기 예비 발광시 및 상기 본 발광 시에 동기하여 셔터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노출한다(s16). 그리고 촬영 영상을 생성한다(s17).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5)

  1. 플래시를 예비 발광시키는 단계;
    상기 예비 발광하에서 얻으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 중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발광 영상으로부터 발광량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발광량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시를 본 발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 발광시 및 상기 본 발광 시에 동기하여 셔터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노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을 수평으로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상, 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베이어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플래시;
    상기 플래시를 예비 발광 및 본 발광시키는 플래시 구동부;
    상기 예비 발광하에서 얻으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의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예비발광 영상으로부터 상기 본 발광 시의 발광량을 도출하는 발광량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을 수평으로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가운데 영역은 상, 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적은 라인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베이어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상기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피사체 영역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비발광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촬상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피사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보다 적은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비발광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를 인식하는 피사체 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 설정부는, 인식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 영역을 도출하는 얼굴 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사체 영역 설정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촬상 소자;
    셔터; 및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노출하도록, 상기 예비 발광시 및 상기 본 발광 시에 동기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셔터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롤링 셔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KR1020110033375A 2011-04-11 2011-04-11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73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75A KR101739380B1 (ko) 2011-04-11 2011-04-11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US13/304,915 US9131173B2 (en) 2011-04-11 2011-11-28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kip mode read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103679.8A CN102739942B (zh) 2011-04-11 2012-04-10 数字图像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75A KR101739380B1 (ko) 2011-04-11 2011-04-11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23A KR20120115823A (ko) 2012-10-19
KR101739380B1 true KR101739380B1 (ko) 2017-06-08

Family

ID=4696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375A KR101739380B1 (ko) 2011-04-11 2011-04-11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31173B2 (ko)
KR (1) KR101739380B1 (ko)
CN (1) CN1027399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0573B (zh) * 2012-09-10 2015-08-1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闪光控制方法及装置
KR102124598B1 (ko) 2013-09-30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장치
US20150185308A1 (en) * 2014-01-02 2015-07-02 Katsuhiro Wad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9749554B2 (en) * 2015-08-20 2017-08-2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eighted image signal readout
KR102390836B1 (ko) 2015-10-05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827991B (zh) * 2016-01-22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运动对象的拍照方法及移动终端
BR112018076965A8 (pt) * 2016-06-27 2023-03-07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para detecção de brilho da pele, método para detecção de brilho da pele, e programa de computador
US10345681B2 (en) * 2016-10-17 2019-07-09 Nokia Of America Corporation Compressive imaging using structured illumination
TWI820194B (zh) * 2018-08-31 2023-11-01 日商索尼半導體解決方案公司 電子機器及固體攝像裝置
US11055976B2 (en) * 2019-09-19 2021-07-06 Axis Ab Using a skip block mask to reduce bitrate from a monitoring camer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537A (ja)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固体撮像装置の信号読出し方法
JP2004252413A (ja) 2003-01-31 2004-09-0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05269339A (ja) 2004-03-19 2005-09-29 Fuji Photo Film Co Ltd 広ダイナミックレンジ固体撮像素子の色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および固体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4826B2 (ja) * 2001-08-08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169352C (zh) * 2001-12-28 2004-09-29 富士胶片株式会社 固体电子图像感应装置及其控制方法
US7423674B2 (en) * 2003-12-08 2008-09-09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having color adjustment function and program therefor
JP2005347928A (ja) * 2004-06-01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制御装置、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6050337A (ja) * 2004-08-05 2006-02-16 Sony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CN100527792C (zh) * 2006-02-07 2009-08-12 日本胜利株式会社 摄像方法以及摄像装置
JP4816336B2 (ja) * 2006-02-07 2011-11-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
JP4659701B2 (ja) * 2006-07-28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120696B2 (en) 2006-08-31 2012-02-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using windowing to accelerate automatic camera functions
JP4883073B2 (ja) * 2008-10-10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324195B2 (ja) * 2008-11-25 2013-10-23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537A (ja)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固体撮像装置の信号読出し方法
JP2004252413A (ja) 2003-01-31 2004-09-0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05269339A (ja) 2004-03-19 2005-09-29 Fuji Photo Film Co Ltd 広ダイナミックレンジ固体撮像素子の色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および固体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9942A (zh) 2012-10-17
KR20120115823A (ko) 2012-10-19
CN102739942B (zh) 2017-07-07
US20120257091A1 (en) 2012-10-11
US9131173B2 (en)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38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720776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00363B1 (ko) 적절한 밝기를 갖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4247B1 (ko) 피사체 인식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8289441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JP5054583B2 (ja) 撮像装置
KR10175683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387949B2 (ja) 撮像装置、再生表示装置、撮像記録方法および再生表示方法
JP4727534B2 (ja) 撮像装置
US8917333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60181634A1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KR20080002667A (ko)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TWI459126B (zh) 可產生廣角影像之影像處理裝置、影像處理方法及記錄媒體
KR20150067900A (ko) 초점검출 가능한 이미지 센서 제어장치 및 방법.
US8228423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emission
JP593247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5524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090051805A1 (en) Focusing apparatus and focusing method
KR101630287B1 (ko) 손 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7029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30120642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272799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41206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emission
JP2015056709A (ja) 撮像装置
JP200828347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