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341B1 -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341B1
KR101739341B1 KR1020170023973A KR20170023973A KR101739341B1 KR 101739341 B1 KR101739341 B1 KR 101739341B1 KR 1020170023973 A KR1020170023973 A KR 1020170023973A KR 20170023973 A KR20170023973 A KR 20170023973A KR 101739341 B1 KR101739341 B1 KR 101739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isture
water
condensa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수
Original Assignee
임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수 filed Critical 임준수
Priority to KR102017002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격벽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제2 고정바디를 포함하는 발전기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유도코일이 권취되어 전자기유도작용으로 기전력이 생성되는 복수의 발전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Generating Set for Ultrasonic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초음파를 발생시켜 수조 내부에 위치한 물체를 세척할 수 있는 진동체가 포함된 초음파 세척기에서, 이 진동체가 진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조에서 발생되는 습기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방습구성을 갖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진동자는 전기를 인가할 경우 초음파 주파수대 (약 20,000Hz 이상)의 진동을 일으키는 소자로서, 세척기, 피부 안마기, 칫솔 등을 통해 진동에 의한 세척 효과 등을 볼 수 있는 제품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초음파 진동자는 전기를 인가할 시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초음파 진동으로 변환하여 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압전 소자(Piezo electric element)를 포함하여 압전 소자에서 발생한 진동이 전달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렇게 초음파 진동자를 수조에 부착하고, 수조에 액체를 채우게 되면, 액체에 초음파진동을 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액체를 타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액체에 담겨진 다른 물건의 세척을 진행하는 것으로 세척장치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초음파 진동자가 동작하려면 일정 수준의 전압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발전장치 및 변압장치를 초음파 세척기에 내장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초음파 세척기의 특성상 액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나 액체가 새어나오는 등의 이유로 이러한 발전장치는 항상 액체로부터의 위협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성이 한국 등록특허 제 10-1590904호에 게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590904호는 안전 캐비닛의 환기구 자동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위험 물질들을 보관하면서 화재에 따른 2차 폭발과 같이 위험 요인이 생기기 이전에 충분한 지연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캐비닛에 설치되어, 평상시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환풍구 기능을 하며, 특히 화재 발생시 환풍구를 자동 차단시켜 화염 및 열기로부터 보관 물품을 보호하게 하는 안전 캐비닛의 환기구 자동 차단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환풍구의 개폐가 자동 제어되어 내부의 환풍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나, 그 목적이 화재 발생 시에 한정되어 있어 습기와는 목적이 부합되지 않으며, 또한 캐비닛과 발전장치의 케이스는 그 역할이나 필요한 요구조건이 달라 범용적으로 사용은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338392호 압전 소자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기는, 내부에 적어도 2 이상의 수직 격벽(111)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10); 상기 수직 격벽(11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120); 상기 하부 전극(120)의 일면에 부착되는 압전 소자(130); 상기 압전 소자(130)의 일면에 부착되는 고분자 막(140); 상기 고분자 막(140)의 일면에 부착되는 상부 전극(150); 및 상기 수직 격벽(111)의 이면에 형성되는 금속 기판(160)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기에 대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기의 내부 격벽구조는 흡습을 위한 격벽이 아닌, 고분자 막을 부착하여 압전방식으로 발전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흡습에 의한 해를 방지하는 구성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수조 내부에 위치한 물체를 세척할 수 있는 진동체가 포함된 초음파 세척기에서, 이 진동체가 진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조에서 발생되는 습기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방습구성을 갖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초음파 세척기에 내장된 진동수단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조에서 발생되는 습기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방습구성을 갖춘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기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수직격벽을 형성하여 발전기의 내부구성 각각을 별도로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기하우징의 커버부위에 공기유통공을 형성하여 이 공기유통공을 통해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전기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때 온도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격벽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제2 고정바디를 포함하는 발전기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유도코일이 권취되어 전자기유도작용으로 기전력이 생성되는 복수의 발전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직격벽은, 상기 바닥면에 기립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벽과, 상기 고정벽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형의 회동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2 고정바디는, 표면에 관통된 복수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벽은, 공기 중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습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회동벽의 상하회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벽은, 상기 회동벽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구조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는,
1) 초음파 세척기의 일 측에 구비 가능하도록 방습구성을 갖춘 발전장치를 제공하며,
2) 발전기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수직격벽구성을 적용하여 발전장치의 내부구성을 각각 수직격벽으로 나뉜 공간에 보관시킴으로써 각각 개별적인 방습구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3) 발전기하우징의 커버부위에 공기유통공을 형성하고, 이 커버부위에 환기를 보조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제공하고,
4) 나아가, 발전기하우징 내부의 공기 순환 시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시켜 방습효율을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전기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격벽에 승강구조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동벽 상세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에 공기배출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배출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에 보조차단판을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에 반발캡을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진동자 제어 앰프가 내장된 초음파 세척기는, 기본적으로 수조(10)와, 수조(10) 내부에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수단(20)을 포함하고, 나아가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장치(40)와, 수조(10)의 측면 일 측에 부착된 상태에서 발전장치(4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진동수단(20)의 정격전압 범위 이내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앰프모듈(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조(10)는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액체를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크기나 용량은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초음파 세척기의 역할을 하려면, 수조(10)에는 진동을 제공하는 복수의 진동수단(20)이 더 포함되어야 하는데, 여기서 진동수단(20)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나,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강력한 진동을 위해 압전소자를 활용하는 진동자가 대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진동자는 압전소자에 특정 레벨 이상의 전압을 가하면 압전소자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전압제어에 의해 진동수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발전장치(40)와 앰프모듈(30)이 더 포함되는데, 먼저 발전장치(40)는 진동수단(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일종의 발전기이며, 앰프모듈(30)은 쉽게 말해 진동수단(20)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진동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컨트롤러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발전장치(40)의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 발전장치(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체 및 공기 중 수분에 의해 충분히 보호받을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발전장치(40)의 특성 상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열에 의한 영향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발전장치(40)는 다음의 구성을 기본적으로 갖추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전기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발전몸체(200)는 유도코일이 권취되어 전자기유도작용을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구성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발전몸체(200)가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 수분에 의한 부식이나 오작동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발전몸체(200)를 감싸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발전기하우징(100)의 구성이 더 필요하다.
여기서 발전기하우징(100)은 크게 제1 고정바디(110)와, 제2 고정바디(120)의 구성으로 나뉠 수 있는데, 제1 고정바디(110)는 몸체의 역할을, 제2 고정바디(120)는 뚜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제1 고정바디(110)는, 바닥면과, 이 바닥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격벽(111)이 이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게 된다. 이 때, 수직격벽(111)의 개수는 두 개 이상이라면 상관없으며, 수직격벽(111)의 개수를 늘릴수록 수용공간이 늘어나므로 내장될 발전몸체(200)의 수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격벽(111)간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2 고정바디(120)는 이러한 제1 고정바디(11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어 발전기하우징(10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나아가, 발전기하우징(100)은 다음의 구성을 더 갖출 수 있다. 먼저, 수직격벽(111)을 연장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바닥면에 기립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벽(112)을 갖되, 이 고정벽(112)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형태의 회동벽(113)을 더 포함시켜 회동벽(113)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수직격벽(111)의 개별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다른 구성으로서, 제2 고정바디(120)는 표면에 관통된 복수의 공기유통공(122)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공기유통공(122)은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어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격벽에 승강구조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수직격벽(111)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화된 방법으로서, 회동벽(113)은 공기 중 습도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센서(114)와, 이 습도감지센서(114)에서 감지된 습도의 고저에 따라 회동벽(113)의 상하회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모듈(1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제어모듈(115)은 일종의 모터장치이며, 습도감지센서(114)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회동벽(113)을 하강시키고, 다시 습도가 낮아지면 회동벽(113)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외부의 공기를 통해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반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는 경우 회동벽(113)을 승강시키고, 일정 수준 미만의 습도가 감지되는 경우 회동벽(113)을 하강시키는 구성도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오히려 외부 공기의 습도의 영향이 더 큰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동벽 상세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더 나아가 회동벽(113) 자체에서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수분흡수구조체(300)를 포함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회동벽(113)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함입된 삽입홈(116)이 더 포함되되, 이 삽입홈(116)에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수분흡수구조체(300)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삽입홈(116)의 깊이나 형태는 수분흡수구조체(300)가 충분히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수분흡수구조체(300)의 경우 실리카겔과 같이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 또한 패드 형상이나 끈 형상 및 덩어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이러한 수분흡수구조체(300)를 더욱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제2 고정바디(120)의 일 측에 수분흡수구조체(300)가 관통하여 발전기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흡수체관통공(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발전기하우징(100)은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조(10)의 주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으로 수조(10) 주변의 흡습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어 발전기하우징(100)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을 더욱 원천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적용하는 데 있어,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도 1처럼 수조(10)의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수조(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조금만 관심을 갖는다면 이 수분흡수구조체(30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현재 공기 중 습도의 확인이나 수분흡수구조체(300)의 교체시기 확인에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수분흡수구조체(300)의 수분 흡수 현황을 육안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다음의 구성이 더 적용 가능하다.
먼저, 수분흡수구조체(300)는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공기 중 수분과 접촉하여 변색되는 습기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합성수지패드층(320)과, 흡습기능을 가진 흡습층(3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흡습층(310)에 사용자가 흡습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습기인디케이터인 합성수지패드층(320)이 더해짐으로써 언급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습기인디케이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화코발트와 같은 감습물질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습물질을 직물이나 종이에 흡수시키거나 흡습층(310)에 직접 감습물질을 적층시켜 수분흡수구조체(300)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직격벽(111)을 활용하여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의 습도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수분흡수구조체(300)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발전기하우징(100) 주변의 습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적용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구성으로서 앞서 설명한 제2 고정바디(120)에 복수의 공기유통공(122)이 형성된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 고정바디(120)의 상면 일 측에는 환풍기(13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환풍기(130)는 쉽게 말해 선풍기와 같은 팬 구조체로서, 바람을 발생시켜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혹은 경우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불러들여 높아진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의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에 공기배출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배출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때, 환풍기(130)는, 수직격벽(111)의 측면 일 측으로부터 제2 고정바디(120)의 하면 일 측까지 연장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기배출가이드(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공기배출가이드(1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가이드판재로서, 수직격벽(111)의 측면 일 측에서 제2 고정바디(120)의 하면까지 연장된 것으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환풍기(130)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 흐름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수직격벽(111)마다 공기배출가이드(140)를 형성하는 구성이 좋겠지만,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양 끝에 위치하는 수직격벽(111)에 하나씩의 배출가이드를 형성하는 구성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공기배출가이드(140)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배출가이드(140)는 내측으로 함입되어 공기배출가이드(14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결로이동로(141)가 포함된다. 아무래도 발전몸체(200)가 위치한 발전기하우징(100)의 내부 공기의 온도와 환풍기(130)에 의해 바람이 발생하는 환풍기(130) 주변의 온도는 급격하게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차이의 발생에 의해 공기배출가이드(140)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다. 단순히 물방울이 맺히는 상황은 전혀 문제될 것이 없지만, 이 물방울이 발전몸체(200)를 향해 낙하되는 경우라면 전력장비인 발전몸체(200)가 오작동을 하거나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가 발생하면 이를 바로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결로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공기배출가이드(140)의 측면을 따라 함입되었기 때문에 공기배출가이드(140)에서 결로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인 결로이동로(141)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결로이동로(141) 및 공기배출가이드(140)를 통해 중력의 영향으로 결로는 하방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때, 공기배출가이드(140)의 하방 측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결로이동로(141)를 통해 이동된 결로수를 보관할 수 있는 결로보관로(142)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이 결로보관로(142)의 양 측단부에서 결로보관로(142)의 횡단면과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상태로 발전기하우징(100)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결로배출로(143)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기배출가이드(140)의 표면에 발생된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에 수분이 남지 않아 안정적인 수분의 배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에 보조차단판을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구성으로서, 제2 고정바디(120)의 후면 양 측단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레일(123)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딩레일(123)에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보조차단판(1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차단판(150)은 제2 고정바디(120)에 형성된 공기유통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공기유통공(15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된 위치에 따라 공기유통공(122)과 보조공기유통공(151)이 일치하거나 혹은 엇갈리게 되어 공기유통공(12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보조차단판(150)의 개폐를 사용자가 일일이 제어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이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보조차단판(150)의 일 측에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되, 흡수된 수분의 양에 따라 부피가 증감하는 수분팽창수단(152)이 부착될 수 있다. 이 수분팽창수단(152)은 벤토나이트와 같이 수분의 흡수정도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꼭 벤토나이트에 국한되지는 않는 수분팽창 물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수분팽창수단(152) 또한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수분을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보조차단판(150)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양 및 형태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보조차단판(150)의 측면과 동일한 폭을 갖는 막대 혹은 덩어리 형상으로 부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수분팽창수단(152)은 공기 중 수분이 흡수됨에 따라 팽창되어 보조차단판(150)을 밀어냄으로써 외부 습기를 방지할 목적이라면 공기유통공(122)과 보조공기유통공(151)이 엇갈린 위치로 혹은 내부 습기를 제거할 목적이라면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고정바디에 반발캡을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때, 공기 중 수분이 충분히 사라진 경우에는 다시 보조차단판(150)이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존재한다면, 계속해서 사용자의 제어가 필요 없이 발전기하우징(10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구성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성체가 서로 반발하는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
즉, 보조차단판(150)에서 수분팽창수단(152)이 부착된 반대측 측면에 자성체를 부착한 자성반발부(15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이에 따라 제2 고정바디(120)는 보조차단판(150)에서 자성반발부(153)가 부착된 끝 단 일부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하부 함입단(161)과, 이 하부 함입단(161)과 대치되는 방향으로 자성반발체(16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고정바디(120)에 부착되는 상부 함입단(163)을 포함하는 반발캡(16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당연히 자성반발체(162)와 자성반발부(153)는 동일한 극성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수분팽창수단(152)이 팽창하는 경우, 보조차단판(15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자성반발부(153)가 형성된 보조차단판(150)의 끝 단 일부가 하부 함입단(161)에 삽입되게 되는데, 이 때, 자성반발부(153)는 상부 함입단(163)에 위치한 자성반발체(162)와의 사이에서 서로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후 시간이 지나 주변 공기에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면 수분팽창수단(152)은 다시 부피가 줄어들지만 수분팽창수단(152)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위치가 바뀌게 되면 보조차단판(150)을 원래 자리로 당기지 못하고 오히려 보조차단판(150)이 이동된 위치로 수분팽창수단(152)이 함께 이동되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자성반발체(162)와 자성반발부(153)의 구성을 활용해 자성으로 인한 척력으로 보조차단판(150)을 하부 함입단(161)에서 밀어내 버림으로서 원래의 위치로 정상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두 자성체의 척력에 의해 너무 빠르게 보조차단판(150)이 이동되어 주변 공기의 수분이 충분히 줄어들지 않았는데도 공기유통공(122)과 보조공기유통공(151)의 일부가 나란하게 위치하여 통공이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 함입단(161)의 내측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함입된 복수의 스토퍼홈(164)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자성반발부(153)의 표면에도 스토퍼홈(16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스토퍼돌기(154)를 더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단 보조차단판(150)이 삽입되면서 특정 간격마다 스토퍼홈(164)과 스토퍼돌기(154)의 물리적인 고정을 형성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 물리적인 고정을 해제할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이 투입되어야지만 다음 스토퍼홈(164)으로 스토퍼돌기(154)가 이동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자성반발체(162)와 자성반발부(153)간의 급격한 반발력으로 보조차단판(150)이 하부 함입단(161)에서 급격하게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조 20: 진동수단
30: 앰프모듈 40: 발전장치
100: 발전기하우징 110: 제1 고정바디
111: 수직격벽 112: 고정벽
113: 회동벽 114: 습도감지센서
115: 승강제어모듈 116: 삽입홈
120: 제2 고정바디 121: 흡수체관통공
122: 공기유통공 123: 슬라이딩레일
130: 환풍기 140: 공기배출가이드
141: 결로이동로 142: 결로보관로
143: 결로배출로 150: 보조차단판
151: 보조공기유통공 152: 수분팽창수단
153: 자성반발부 154: 스토퍼돌기
160: 반발캡 161: 하부 함입단
162: 자성반발체 163: 상부 함입단
164: 스토퍼홈 200: 발전몸체
300: 수분흡수구조체 310: 흡습층
320: 합성수지패드층

Claims (14)

  1.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에 있어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직격벽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것으로서, 표면에 관통된 복수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제2 고정바디를 포함하는 발전기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유도코일이 권취되어 전자기유도작용으로 기전력이 생성되는 복수의 발전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고정바디의 상면 일 측에는 환풍기가 구비되어, 상기 환풍기의 구동으로 상기 발전몸체 주변 공기를 상기 발전기하우징의 외부로 배기시키고,
    상기 환풍기는,
    상기 수직격벽의 측면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바디의 하면 일 측까지 연장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기배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격벽은,
    상기 바닥면에 기립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벽과,
    상기 고정벽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형의 회동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벽은,
    공기 중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습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회동벽의 상하회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벽은,
    상기 회동벽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구조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바디는,
    상기 수분흡수구조체가 관통하여 상기 발전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흡수체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구조체는,
    미세 통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공기 중 수분과 접촉하여 변색되는 습기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합성수지패드층과,
    흡습기능을 가진 흡습패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가이드는,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공기배출가이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결로이동로와,
    상기 공기배출가이드의 단부에서 상방을 향해 절곡연장되어 상기 결로이동로를 통해 이동된 결로수가 보관되는 결로보관로와,
    상기 결로보관로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결로보관로의 횡단면과 동일한 횡단면을 가진 상태로 상기 발전기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결로수를 배출하는 결로배출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바디의 후면에는,
    양 측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이동하는 보조차단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차단판은,
    상기 공기유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공기유통공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단판의 일 측에는,
    흡수된 공기 중 수분의 양에 따라 부피가 증감하는 수분팽창수단이 부착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수분이 흡수됨에 따라 수분팽창수단이 팽창하여 상기 보조차단판을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단판은,
    상기 수분팽창수단이 부착된 반대측 측면에 부착된 자성체인 자성반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바디는,
    상기 보조차단판에서 상기 자성반발부가 부착된 끝단 일부가 삽입 및 인출되는 하부 함입단과, 상기 하부 함입단과 대치되는 방향으로 자성반발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바디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자성반발체가 상기 자성반발부와 동일한 자성으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는 상부 함입단을 구비한 반발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함입단의 내측 표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함입된 복수의 스토퍼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자성반발부의 표면에는,
    상기 스토퍼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스토퍼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KR1020170023973A 2017-02-23 2017-02-23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KR101739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973A KR101739341B1 (ko) 2017-02-23 2017-02-23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973A KR101739341B1 (ko) 2017-02-23 2017-02-23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341B1 true KR101739341B1 (ko) 2017-05-24

Family

ID=5905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973A KR101739341B1 (ko) 2017-02-23 2017-02-23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3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92B1 (ko) * 2012-12-21 2013-12-06 퍼스텍주식회사 압전 소자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92B1 (ko) * 2012-12-21 2013-12-06 퍼스텍주식회사 압전 소자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546B2 (en) Wind power installation
JP3658669B2 (ja) 加湿器及び加湿器用シール部材
CN110748989A (zh) 除湿机
KR20150040775A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컨테이너 시스템
WO1995001828A1 (fr) Deshydrateur
KR101739341B1 (ko) 초음파 세척기의 발전장치
CN112146190A (zh) 除湿机
CN110748988A (zh) 除湿机
CN211177195U (zh) 除湿机
CN109018708A (zh) 一种中药防潮储存箱
CN113422300B (zh) 一种具有进水自动断电功能的微电网接入中央测控柜
KR20180005602A (ko)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KR20180005603A (ko)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CN105118944B (zh) 一种防水地埋式蓄电池机柜
CN208089526U (zh) 一种抽水泵支架
CN214379661U (zh) 一种具有防爆功能的高压电气柜
CN109237767B (zh) 一种防漏液装置及家用电器
CN110345558A (zh) 顶吸式空调室内机、空调器及冷凝水排出方法
CN219928274U (zh) 具有清洗功能的储存装置
JP2016123919A (ja) 水処理装置
CN216036326U (zh) 一种铝酸钙隔热材料储存装置
CN219800037U (zh) 带有恒温恒湿功能的精密仪器保护罩
CN215734082U (zh) 潜水泵变频控制箱
CN216835435U (zh) 具有除湿功能的地埋箱系统
CN214676171U (zh) 防潮电气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