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563B1 -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563B1
KR101738563B1 KR1020160080906A KR20160080906A KR101738563B1 KR 101738563 B1 KR101738563 B1 KR 101738563B1 KR 1020160080906 A KR1020160080906 A KR 1020160080906A KR 20160080906 A KR20160080906 A KR 20160080906A KR 101738563 B1 KR101738563 B1 KR 10173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pipe
boiler
supply pipe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현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가동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파이프 및 외부의 공기를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급기파이프를 이중관으로 설치하는 타입에서 이중관 내부의 온도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기파이프(1)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급기파이프(2)가 설치된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급기파이프(2)의 하부에 응축수(3)를 포집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게 이중관형태를 갖는 응축수 포집구(10)를 설치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에는 응축수 회수관(20)이 연결되는 배출공(12)을 형성하여 응축수 포집구(10)의 수용공간(11)에 포집된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관(20)을 통해 보일러(30)의 내부로 회수하도록 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구(10) 내측에 급기파이프(2)의 삽입을 제한하는 리브(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Device of Discharging Condensate of Double Pipe Flue}
본 발명은 보일러의 가동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도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파이프 및 외부의 공기를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급기파이프를 이중관으로 설치하는 타입에서 이중관 내부의 온도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보일러는 제어방식이나 밀폐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원에 따라 콘덴싱과 비콘덴싱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콘덴싱 방식은 버너에 의해 연소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현열 열교환기와 함께, 현열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잠열 열교환기를 지니고 있으며, 비콘덴싱 방식은 현열 열교환기만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덴싱 가스 보일러의 경우, 일반 보일러에 비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연도 중에서 응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응축수를 보일러 내부로 모아서 하수구와 연결된 응축수 배출호스를 통하여 하수구 등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종래 일반적인 이중 배기연도 파이프는, 보일러의 연도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서 일단에 보일러의 급기파이프와 연결되는 급기어댑터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급기가 공급되는 연소공기공급구멍을 구비하는 급기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파이프의 전면 부분은 차단되어 있어, 보일러의 연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연결부와 배기가스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관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배기파이프(1) 및 급기파이프(2)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어 배기파이프(1)를 통해 약 80℃ 이하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반면, 상기 배기파이프(1) 및 급기파이프(2)의 사이로는 주변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급기파이프(2)의 내면에 결로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응축수(3)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응축수(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도를 따라 자유 낙하되어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08904호(2013.09.10.등록)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이중관은 급기파이프의 내부에서 결로현상으로 인해 발생된 응축수가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열교환기가 부식되어 파손되거나, 금속재질인 내부 부품들을 부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되었으므로 소비자들로부터 제품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이고, 잦은 클레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써, 이중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급기파이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배기파이프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급기파이프가 설치된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급기파이프의 하부에 응축수를 포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이중관형태를 갖는 응축수 포집구를 설치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구에는 응축수 회수관이 연결되는 배출공을 형성하여 응축수 포집구의 수용공간에 포집된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관을 통해 보일러의 내부로 회수하도록 상기 응축수 포집구 내측에 급기파이프의 삽입을 제한하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급기파이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안전하게 포집하여 배출시키게 되므로 열교환기 및 금속 부품이 응축수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응축수 포집구의 배출공 상에 이물질 걸름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이물질에 의해 배출공이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응축수 포집구의 내면에 급기파이프의 삽입을 제한하는 복수 개의 리부가 형성되어 있어 급기파이프가 응축수 포집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넷째, 응축수 포집구에 응축수 회수관을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관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응축수 포집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응축수 포집구에 형성된 리브가 보이도록 내통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응축수 포집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배기파이프(1)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되는 급기파이프(2)의 하부에 응축수(3)를 포집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이 형성되게 이중관형태를 갖는 응축수 포집구(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에는 응축수 회수관(20)이 연결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어 있어 응축수 포집구(10)의 수용공간(11)에 포집된 응축수(3)를 응축수 회수관(20)을 통해 보일러(30)의 내부로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회수관(20)에 브라켓(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응축수 회수관(20)을 스크류(40)로 응축수 포집구(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에 형성된 배출공(12) 상에 위치되게 이물질 걸름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걸름수단을 착탈 가능한 필터(도시는 생략함)로 할 수도 있지만, 응축수 포집구(10)를 사출 성형할 때, 리브(50)가 배출공(12) 상에 위치되게 응축수 포집구(1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하면 이물질(도시는 생략함)이 배출공(12) 상에 위치하는 리브(50)에 걸려 배출공(12)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리브(50)를 형성할 때, 리브(50)의 양측으로 복수 개의 또 다른 리브(51)를 배출공(12)보다 높게 형성하면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의 수용공간(11)으로 급기파이프(2)를 조립할 때, 상기 급기파이프(2)의 끝단이 리브(51)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므로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용공간(11)에 고인 응축수(3)가 상기 배출공(12)으로 배출될 때 급기파이프(2)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회수관(20)에 보일러(30)의 상면에 접속되는 플랜지(22)를 일체로 형성하면 응축수 회수관(20)을 보일러(30)에 조립할 때, 플랜지(22)에 의해 응축수 회수관(2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0)은 응축수 포집구(10)의 입구에 설치되어 급기파이프(2)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다.
따라서 응축수 포집구(10)에 패킹(60)을 끼운 상태에서 급기파이프(2)를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의 수용공간(11)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급기파이프(2)의 끝단이 리브(51)의 상면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므로 이들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에 고정된 응축수 회수관(20)의 끝단을 보일러(30)의 내부에 수용되게 조립하면 상기 응축수 회수관(20)에 형성된 플랜지(22)에 의해 삽입량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일러(30)를 가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1)는 배기파이프(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는 급기파이프(2)를 통해 유입되어 배기파이프(1)와 응축수 포집구(10)의 사이를 통해 열교환기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기파이프(1)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급기파이프(2)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온도 차이로 인해 급기파이프(2)의 내주면에 결로현상이 일어나 응축수(3)가 발생하면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려 응축수 포집구(10)에 형성된 수용공간(11)에 고이게 된다.
이렇게 수용공간(10)에 고인 응축수(3)는 응축수 포집구(10)의 배출공(12)에 연결된 응축수 회수관(20)을 통해 보일러(30)의 내부로 회수되므로 응축수에 의해 보일러(30)는 물론이고 부품이 부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배기파이프 2 : 급기파이프
10 : 응축수 포집구 11 : 수용공간
12 : 배출공 20 : 응축수 회수관
21 : 브라켓 22 : 플랜지
30 : 보일러 50, 51 : 리브

Claims (6)

  1. 배기파이프(1)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급기파이프(2)가 설치된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급기파이프(2)의 하부에 응축수(3)를 포집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게 이중관형태를 갖는 응축수 포집구(10)를 설치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에는 응축수 회수관(20)이 연결되는 배출공(12)을 형성하여 응축수 포집구(10)의 수용공간(11)에 포집된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관(20)을 통해 보일러(30)의 내부로 회수하도록 하고, 상기 응축수 포집구(10) 내측에 급기파이프(2)의 삽입을 제한하는 리브(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관(20)에 브라켓(21)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응축수 회수관(20)을 응축수 포집구(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구(10)에 형성된 배출공(12) 상에 위치되게 이물질 걸름수단을 응축수 포집구(10)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걸름수단이 배출공(12) 상에 위치되게 응축수 포집구(1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브(50)가 응축수 포집구(10) 내측면에 복수 개로 배출공(12)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관(20)에 보일러(30)의 상면에 접속되는 플랜지(2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20160080906A 2016-06-28 2016-06-28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KR10173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06A KR101738563B1 (ko) 2016-06-28 2016-06-28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06A KR101738563B1 (ko) 2016-06-28 2016-06-28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563B1 true KR101738563B1 (ko) 2017-06-09

Family

ID=5921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906A KR101738563B1 (ko) 2016-06-28 2016-06-28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5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263B1 (ko) 2017-09-01 2018-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과삽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1932992B1 (ko) * 2017-09-01 2018-12-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물유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2248469B1 (ko) 2021-02-10 2021-05-06 (주) 대전통일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035Y1 (ko) * 2000-04-07 2000-10-02 주식회사두발가스엔지니어링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통
KR200279786Y1 (ko) * 2002-03-12 2002-06-26 핀튜브텍(주) 굴절식 고효율 가스보일러
KR200320629Y1 (ko) * 2003-04-25 2003-07-23 최덕호 폐열흡수용 연통의 결로 배출장치
KR200361544Y1 (ko) * 2004-06-29 2004-09-14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배기구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035Y1 (ko) * 2000-04-07 2000-10-02 주식회사두발가스엔지니어링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통
KR200279786Y1 (ko) * 2002-03-12 2002-06-26 핀튜브텍(주) 굴절식 고효율 가스보일러
KR200320629Y1 (ko) * 2003-04-25 2003-07-23 최덕호 폐열흡수용 연통의 결로 배출장치
KR200361544Y1 (ko) * 2004-06-29 2004-09-14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배기구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263B1 (ko) 2017-09-01 2018-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과삽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1932992B1 (ko) * 2017-09-01 2018-12-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물유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2248469B1 (ko) 2021-02-10 2021-05-06 (주) 대전통일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563B1 (ko)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US8056553B2 (en) Condensate pan with condensate trap
US8387407B2 (en) Condenser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especially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EP3093579A1 (en) Condensing boiler
KR101739442B1 (ko) 현열과 잠열을 이용한 진공식 온수보일러
US10300765B2 (en) Heat exchanger arrangement, especially for a fuel-operated vehicle heater
KR101679679B1 (ko)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KR101781020B1 (ko) 보일러의 응축수 회수용 사이펀
RU2017104150A (ru) Аппарат для вакуумной дистилляции
KR101339668B1 (ko) 응축수 회수 장치
KR20140059674A (ko)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1191382B1 (ko) 보일러 워터트랩
KR101722888B1 (ko) 콘덴싱 보일러 배기관용 응축수 처리장치
CN104713065A (zh) 一种新型锅炉余热回收装置
KR100568779B1 (ko) 콘덴싱 기름보일러
KR100474177B1 (ko) 시스턴탱크를 이용한 콘덴싱 가스보일러
KR102109466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증발장치
EP2499438B1 (en)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exhaust gas discharge device
JP6114142B2 (ja) 潜熱熱交換器
JP7138371B2 (ja) 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給湯装置
KR100581589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KR200446568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JP6573285B2 (ja) 減圧ボイラ、該減圧ボイラを備えるバイナリー発電システム、及び該バイナリー発電システムを備える焼却施設
JP5010348B2 (ja) ドレン中和器
CN216953545U (zh) 燃气热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