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116B1 -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 Google Patents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116B1
KR101738116B1 KR1020160043042A KR20160043042A KR101738116B1 KR 101738116 B1 KR101738116 B1 KR 101738116B1 KR 1020160043042 A KR1020160043042 A KR 1020160043042A KR 20160043042 A KR20160043042 A KR 20160043042A KR 101738116 B1 KR101738116 B1 KR 10173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anchor
driver
suture anch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곤
이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Priority to KR102016004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48Additional elements on or within the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는,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앵커몸체(110); 앵커몸체(110)의 상부 내부에 형성되고, 드라이버(210)의 일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만입되어 형성된 드라이버 결속부(120); 및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120) 하부면으로부터 앵커몸체(110)의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된 둘 이상의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를 포함하는 것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에 따르면, 인대를 관절 뼈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Suture Anchor and Suture Anchor K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대를 관절 뼈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인대는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강한 섬유성 조직으로, 대부분 제1 고형 교원질 섬유로 이루어진 세포기질과 소수의 섬유 모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인대는 주로 관절에 위치하여 관절이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거나 관절의 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염좌, 비틀림, 찢김 또는 끊김 등의 형태로 손상될 수 있다.
인대의 끊김은 주로 인대와 뼈가 연결된 부위에서 발생하며, 손상된 인대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인대를 뼈에 고정하여야 한다.
인대를 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여 파열된 인대를 의도하는 위치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봉합사 앵커에 의한 인대 복원에 의하면, 앵커를 뼈에 고정한 후 앵커에 결합된 봉합사와 인대를 결속하여 인대를 뼈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손상된 인대를 뼈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인대를 뼈에 고정하는 봉합사에 일정 이상의 장력이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앵커와 봉합사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봉합사가 결합되는 앵커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봉합사 앵커로 손상된 인대를 관절 뼈에 고정시킨다고 하여도 인대가 관절 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36707호 (2015년 12월 08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대를 관절 뼈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합사 앵커를 관절 뼈에 삽입함에 있어 삽입작업을 더욱 손쉽게 유도할 수 있는 봉합사 앵커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 앵커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앵커몸체; 앵커몸체의 상부 내부에 형성되고, 드라이버의 일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만입되어 형성된 드라이버 결속부; 및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 하부면으로부터 앵커몸체의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둘 이상의 봉합사 삽입 관통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 또는 타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삽입 관통구의 형성 높이는 앵커몸체 전체 길이 대비 30 내지 50 %의 길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삽입 관통구의 형성방향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바깥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봉합사 삽입 관통구의 형성방향은 앵커몸체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과 2 내지 4 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 하부에는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골착유도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의 하단면에서 둘 이상의 봉합사 삽입 관통구 사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앵커는, 봉합사 앵커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앵커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골착유도 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앵커몸체에는 두 개의 골착유도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골착유도 관통구는 드라이버 결속부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 골착유도 관통구는 봉합사 삽입 관통구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골착유도 관통구와 제 2 골착유도 관통구는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의 내부면에는, 드라이버 결속부의 하부면과 드라이버 결속부의 측면 사이에 보강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하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곡면구조의 팽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봉합사 앵커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 앵커 키트는: 드라이버 결속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일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드라이버; 및 드라이버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봉합사의 일단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핸들의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드라이버 결속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가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봉합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 조임부; 및 조임부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다각기둥 구조 또는 원통형 구조이고, 외부면에는 연장방향으로 연속되어 만입된 형태의 봉합사 고정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봉합사 고정 만입홈의 일단부에 봉합사 고정부가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고정부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핸들의 외부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상기 핸들의 외부면에는 봉합사 고정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합사 고정부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요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봉합사 고정부의 일단부에는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앵커몸체, 드라이버 결속부 및 봉합사 삽입 관통구를 구비함으로써, 인대를 관절 뼈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에 따르면, 앵커몸체의 상부 내부에 특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형성된 드라이버 결속부 및 특정 길이 및 방향으로 형성된 봉합사 삽입 관통구를 구비함으로써, 관절 뼈에 봉합사 앵커가 삽입된 후 봉합사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하중에 의한 봉합사 앵커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에 따르면, 특정 위치 및 방향으로 골착유도 관통구 및 골착유도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관절 뼈에 삽입된 봉합사 앵커와 관절 뼈의 골착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봉합사 앵커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에 따르면, 앵커몸체의 하단면에 둘 이상의 봉합사 삽입 관통구 사이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어, 봉합사에 과도한 하중에 제공될 때, 봉합사와 앵커몸체와의 접촉에 의한 봉합사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에 따르면, 드라이버 결속부의 내부면에 보강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봉합사 앵커의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관절 뼈에 봉합사 앵커가 삽입된 후 봉합사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과도한 하중에 의한 봉합사 앵커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 키트에 따르면, 봉합사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봉합사 고정부, 봉합사 고정 만입홈 및 요홈부를 구비하고 있어, 봉합사 앵커를 관절 뼈에 삽입함에 있어 삽입 작업을 더욱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앵커 키트에 따르면, 핸들의 외부면에 고정되고 핸들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봉합사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어, 봉합사를 손쉽게 고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 더욱 손쉬운 봉합사 앵커 삽입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여 파열된 인대를 의도하는 위치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삽입 관통구의 형성방향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 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7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관절 뼈 모형에 삽입한 후 특정 방향 하중을 제공하여 봉합사 앵커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준비된 봉합사 앵커 및 관절 뼈 모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3은 봉합사 앵커에 제공되는 하중의 방향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4는 봉합사 앵커에 수직하중이 제공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 및 종래 기술에 따른 봉합사 앵커의 거동을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는 봉합사 앵커에 45도 방향 하중이 작용될 경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는, 외부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앵커몸체(110), 드라이버 결속부(120) 및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 결속부(120)는 앵커몸체(110)의 상부 내부에 형성되고, 드라이버(도 7의 210)의 일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형상은 드라이버의 일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각기둥 형상 또는 타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는 드라이버 결속부(120) 하부면으로부터 앵커몸체(110)의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 높이는 앵커몸체(110) 전체 길이 대비 30 내지 50 %의 길이일 수 있다.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 높이가 앵커몸체(110) 전체 길이 대비 30 % 미만일 경우, 봉합사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어 봉합사 앵커 내부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 높이가 앵커몸체(110) 전체 길이 대비 50 % 초과일 경우,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형상 길이가 짧아 드라이버의 볼팅 동작을 봉합사 앵커(10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어 관절 뼈에 봉합사 앵커(100)를 박아 넣는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 높이는 앵커몸체(110) 전체 길이 대비 32 내지 34 %의 길이일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사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형성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에는 골착유도 관통구(113, 11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착유도 관통구(113, 114)는 봉합사 앵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앵커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골착유도 관통구(113)는 드라이버 결속부(120)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 2 골착유도 관통구(114)는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골착유도 관통구(113)와 제 2 골착유도 관통구(114)는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면상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고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골착을 유도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봉합사 앵커가 관절 뼈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몸체(110) 하부에는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골착유도 만입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제 1 골착유도 관통구(113)와 제 2 골착유도 관통구(114)와 더불어 봉합사 앵커의 안정적인 골착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골착유도 만입홈(112)은 앵커몸체(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상방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골착 후 봉합사 앵커(100)에 가해지는 측방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골착유도 관통구(113), 제 2 골착유도 관통구(114) 및 골착유도 만입홈(112)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에 따르면, 특정 위치 및 방향으로 골착유도 관통구(113, 114) 및 골착유도 만입홈(112)이 형성되어 있어, 관절 뼈에 삽입된 봉합사 앵커와 관절 뼈의 골착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봉합사 앵커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삽입 관통구의 형성방향을 나타내는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의 봉합사 삽입 관ㅌ오구(130)의 형성방향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바깥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방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몸체(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과 2 내지 4 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사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몸체(110)의 하단면에서 둘 이상의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 사이에는 곡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사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앵커몸체(110) 하부면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봉합사와 앵커몸체(110) 하부면과의 접촉에 의해 봉합사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내부면에는,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하부면과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측면 사이에 보강 경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경사부(121)의 형성 높이는, 드라이버 결속부(120)와 드라이버(도 7의 210)의 일단부(도 7의 211)와의 결속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에 따르면,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내부면에 보강 경사부(121)가 형성되어 있어, 봉합사 앵커(100)의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며, 결과적으로 관절 뼈에 봉합사 앵커(100)가 삽입된 후 봉합사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하중에 의한 봉합사 앵커(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내는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하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곡면구조의 팽윤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경사부(121)와 함께 형성될 경우, 봉합사(20)의 인입 경로를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합사(20)를 봉합사 앵커(100)에 꿰어 장착할 시, 봉합사(20)는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로 인입되어야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팽윤부(122)와 보강 경사부(121)에 의해 봉합사(20)는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로 손쉽게 유도되어 꿰어질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 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봉합사 앵커 키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 8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7의 C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 키트(200)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 드라이버(210) 및 봉합사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210)의 일단부는 드라이버 결속부(12)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합사 고정부(230)는 봉합사의 일단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부재로서, 드라이버(2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드라이버(210)는, 조임부(211) 및 핸들(22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조임부(211)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20)의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가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봉합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220)은 조임부(211)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다각기둥 구조 또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핸들(220)의 외부면에는,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20)의 연장방향으로 연속되어 만입된 형태의 봉합사 고정 만입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봉합사(20)는 핸들(220)의 외부면에 형성된 봉합사 고정 만입홈(221)에 감겨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고정 만입홈(221)의 일단부에 봉합사 고정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봉합사(20)는 봉합사 고정 만입홈(221)에 감겨져 고정된 후, 봉합사(20)의 일단부는 봉합사 고정부(230)에 의해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합사 고정부(230)는,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핸들(220)의 외부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핸들(220)의 외부면에는, 봉합사 고정부(230)와 대응되는 구조의 요홈부(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봉합사 고정부(2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요홈부(2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봉합사 고정부(230)의 일단부에는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어, 봉합사가 봉합사 고정부(230)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봉합사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봉합사 앵커 키트(200)에 따르면, 봉합사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봉합사 고정부(230), 봉합사 고정 만입홈(221) 및 요홈부(222)를 구비하고 있어, 봉합사 앵커(100)를 관절 뼈에 삽입함에 있어 삽입 작업을 더욱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봉합사 앵커 키트(200)에 따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20)의 외부면에 고정되고 핸들(220)의 요홈부(2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봉합사 고정부(230)를 구비하고 있어, 봉합사를 손쉽게 고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 더욱 손쉬운 봉합사 앵커 삽입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앵커를 관절 뼈 모형에 삽입한 후 특정 방향 하중을 제공하여 봉합사 앵커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준비된 봉합사 앵커 및 관절 뼈 모형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는 봉합사 앵커에 제공되는 하중의 방향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봉합사 앵커에 수직하중이 제공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 및 종래 기술에 따른 봉합사 앵커의 거동을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는 봉합사 앵커에 45도 방향 하중이 제공될 경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를 관절 뼈 모형에 삽입하여, 특정 방향 하중을 제공하며 봉합사 앵커의 거동을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관절 뼈 모형은 실제 인체의 관절 뼈과 동일한 물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방향에 대해 하중을 제공하여 봉합사 앵커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하중 제공 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앵커에 봉합사를 걸어 봉합사를 통해 하중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으로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그림과 같은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적 내용은 기 공지된 것인 바,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의 거동분석을 비교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봉합사 앵커 3개(비교대상 1, 비교대상 2, 비교대상 3)를 준비하여 시험하였다. 비교하기 위해 준비된 종래 기술에 따른 봉합사 앵커는 본 발명에 다른 봉합사 앵커와 그 구조가 다른 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거동분석 결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결과는 봉합사를 통해 수직하중이 제공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대상 1, 비교대상 2, 비교대상 3의 내부 중앙부 특정 지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원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의 내부에는 내부 중앙부에 응력이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는 수직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는 바, 종래 기술 대비 향상된 지지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결과는 봉사사를 통해 측방 45도 방향으로 하중이 제공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역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대상 1, 비교대상 2, 비교대상 3의 내부 중앙부 특정 지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원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의 내부에는 내부 중앙부에 응력이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봉합사 앵커는 측방 45도 방향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는 바, 종래 기술 대비 향상된 지지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관절뼈
11: 인대
20: 봉합사
100: 봉합사 앵커
110: 앵커몸체
111: 나사산
112: 골착유도 만입홈
113: 골착유도 관통구
114: 골착유도 관통구
120: 드라이버 결속부
121: 보강 경사부
122: 팽윤부
130: 봉합사 삽입 관통구
131: 곡면
200: 봉합사 앵커 키트
210: 드라이버
211: 조임부
212: 관통구
220: 핸들
221: 봉합사 고정 만입홈
222: 요홈부
230: 봉합사 고정부
231: 돌기

Claims (16)

  1.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앵커몸체(110);
    앵커몸체(110)의 상부 내부에 형성되고, 드라이버(210)의 일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만입되어 형성된 드라이버 결속부(120);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120) 하부면으로부터 앵커몸체(110)의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된 둘 이상의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
    상기 앵커몸체(110) 하단부에 앵커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형성된 골착유도 만입홈(112); 및
    봉합사 앵커(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앵커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골착유도 관통구(113)과 제2 골착유도 관통구(114);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골착유도 관통구(113)와 제 2 골착유도 관통구(114)는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 또는 타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 높이는 앵커몸체(110) 전체 길이 대비 30 내지 50 %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방향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바깥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의 형성방향은 앵커몸체(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과 2 내지 4 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110)의 하단면에서 둘 이상의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 사이에는 곡면(1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110)에는 두 개의 골착유도 관통구(113, 114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골착유도 관통구(113)는 드라이버 결속부(120)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 골착유도 관통구(114)는 봉합사 삽입 관통구(130)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내부면에는,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하부면과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측면 사이에 보강 경사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하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곡면구조의 팽윤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1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봉합사 앵커(100);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일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드라이버(210); 및
    드라이버(21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봉합사의 일단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고정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20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210)는,
    핸들(220)의 일측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드라이버 결속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가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봉합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212)가 형성된 조임부(211); 및
    조임부(211)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다각기둥 구조 또는 원통형 구조이고, 외부면에는 연장방향으로 연속되어 만입된 형태의 봉합사 고정 만입홈(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봉합사 고정 만입홈(221)의 일단부에 봉합사 고정부(230)가 형성된 핸들(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고정부(2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핸들(220)의 외부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상기 핸들(220)의 외부면에는 봉합사 고정부(230)와 대응되는 구조의 요홈부(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합사 고정부(2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요홈부(22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고정부(230)의 일단부에는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KR1020160043042A 2016-04-07 2016-04-07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KR10173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42A KR101738116B1 (ko) 2016-04-07 2016-04-07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42A KR101738116B1 (ko) 2016-04-07 2016-04-07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116B1 true KR101738116B1 (ko) 2017-05-29

Family

ID=5905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042A KR101738116B1 (ko) 2016-04-07 2016-04-07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328A (ko) 2020-05-28 2021-12-07 (주)올소테크 고정력이 우수한 봉합사 앵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2733A (ja) * 2009-10-30 2011-05-12 Depuy Mitek Inc 腱板不全断裂修復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313586A1 (en) 2005-03-30 2015-11-05 Arthrex, Inc. Swivel anchor for knotless fixation of tissue
US20150351759A1 (en) * 2013-03-12 2015-12-10 Ziptek Llc Method for securing tissu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3586A1 (en) 2005-03-30 2015-11-05 Arthrex, Inc. Swivel anchor for knotless fixation of tissue
JP2011092733A (ja) * 2009-10-30 2011-05-12 Depuy Mitek Inc 腱板不全断裂修復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351759A1 (en) * 2013-03-12 2015-12-10 Ziptek Llc Method for securing 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328A (ko) 2020-05-28 2021-12-07 (주)올소테크 고정력이 우수한 봉합사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8625B2 (ja) 骨板
ES2283411T3 (es) Conjunto de fijacion de un tejido blando sobre un hueso.
US10350053B2 (en) Muscle tissue anchor plate
US9271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pair and reattachment of comminuted bone portions
RU2634663C2 (ru) Имплантат тазового кольца
TW534811B (en) Interspinal prosthesis
TWI480019B (zh) 骨骼固定總成
US20070270849A1 (en) Fixation Plate With Multifunctional Holes
JP2016511100A (ja) 小型化された二重駆動型のオープンアーキテクチャー縫合糸アンカー
BRPI0720523A2 (pt) Sistema ortopédico de fecho por parafuso.
HU224276B1 (hu) Ortopéd-sebészeti lehorgonyozó csavar
WO2010071742A1 (en) Composite anchor
US10456182B2 (en) Force distribution implant, assembly and kit
KR101738116B1 (ko)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US20210186580A1 (en) Knotless suture locking bone plate
EP2574296A1 (en) Bone anchoring assembly
KR20150136707A (ko) 봉합사 앵커
US9241704B1 (en) Two suture anchor
US20130304133A1 (en) Cable anchor systems and methods
US20130030479A1 (en) Bone wedge
US10842544B2 (en) Device for fixating a Kirschner wire
KR101676865B1 (ko)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KR101959783B1 (ko) 풀림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CN108567478A (zh) 线缆保持插入件和具有这样的线缆保持插入件的骨板组件
WO2014167115A1 (en) Orthopedic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