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001B1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001B1
KR101738001B1 KR1020110027009A KR20110027009A KR101738001B1 KR 101738001 B1 KR101738001 B1 KR 101738001B1 KR 1020110027009 A KR1020110027009 A KR 1020110027009A KR 20110027009 A KR20110027009 A KR 20110027009A KR 101738001 B1 KR101738001 B1 KR 10173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depth level
graphic object
touch scree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742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001B1/ko
Priority to US13/429,199 priority patent/US9208616B2/en
Publication of KR20120108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제어하고, 다양한 입력 신호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제어하고, 다양한 입력 신호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전자 기기와 관련된 하드웨어 기술 및 소프트웨어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각종 전자 기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체 그래픽 객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입력 신호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및 복수의 아이템에 각각 대응되고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각각 대응되고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입체 그래픽 객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억세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입력 신호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한 거부감을 상쇄시키며, 사용자가 입체 그래픽 객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0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2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1 및 도 5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4 및 도 5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56은,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 조정에 따른 초기화 설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은,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 조정에 따른 즐겨찾기 설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2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3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도 4는 패럴랙스(parallax barrier)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 stereo disparity)는 사람의 좌안과 우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람의 뇌에서 좌안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면, 그 합성된 영상은 사람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아래에서는, 사람이 양안시차에 따라 입체감을 느끼는 현상을 '입체시(stereoscopic vision)'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입체시를 일으키는 영상을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object)가 입체시를 일으키는 경우, 해당 객체를 '입체 객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양안시차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은 특수 안경이 필요한 안경식과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파장 선택성이 있는 색안경을 이용하는 방식, 편광차에 따른 차광 효과를 이용한 편광 안경 방식, 눈의 잔상 시간 내에 좌우의 화상을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이외에도 좌우안에 각각 투과율이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투과율의 차로부터 오는 시각계의 시간차에 따라서 좌우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입체감을 얻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관찰자 쪽이 아닌 영상 표시면 쪽에서 입체감이 발생하는 방식인 무안경식에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 방식 등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에 대한 광학적인 변별 지향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통과한 영상은 좌안(82a)과 우안(82a)에서 분리되어 관찰되고,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수직 격자 모양의 패럴랙스 배리어(81b)를 포함한다.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수직 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해 좌안(82a)과 우안(82b)에서 영상이 분리되어 관찰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하고, 평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160)는, 3D 콘텐츠 저장부(161)와, 프로파일(profile) 저장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콘텐츠 저장부(161)는, 아이콘(icon), 위젯(widget),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기타 아이템 등 각종 3D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아이콘이나 위젯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저장부(162)는, 사용자가 억세스 가능한 각종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저장한다. 상기 사용 패턴의 예를 들면, 사용 빈도, 사용의 최근성, 즐겨찾기 설정 여부 및 현재 활성화 여부 등이 있다.
특정 아이템에 대한 상기 사용 빈도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아이템을 억세스하거나 사용한 회수 또는 빈도를 의미한다. 또한 특정 아이템에 대한 상기 사용의 최근성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아이템을 억세스하거나 사용한 절대적인 시점을 의미하거나, 사용자가 다른 아이템의 억세스(또는 사용) 시점에 대해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상대적인 억세스(또는 사용) 시점을 의미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3D 처리부(183)와, 프로파일 분석 처리부(184)와, 3D 콘텐츠 검색 엔진(18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처리부(183), 상기 프로파일 분석 처리부(184) 및 상기 3D 콘텐츠 검색 엔진(185)은, 상기 제어부(180)와는 별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3D 처리부(183)는,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기 위한 각종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파일 분석 처리부(184)는, 상기 각종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억세스 또는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상기 프로파일 저장부(162)에 저장한다.
상기 3D 콘텐츠 검색 엔진(185)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3D 콘텐츠만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아이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호출할 수 있다[S100].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안시차(stereo disparity)를 이용하는 입체 영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대기화면(또는 바탕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하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또는 바탕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아이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를 상기 3D 콘텐츠 저장부(161)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는 각각,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전화번호부, 통화 목록, 전화 걸기 어플리케이션,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고객센터 접속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브라우저, 상기 이메일 클라이언트, 상기 전화번호부, 상기 통화 목록, 상기 전화 걸기 어플리케이션,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 상기 모바일 고객센터 접속 어플리케이션,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이 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각각의 사용패턴을 상기 프로파일 저장부(162)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각각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화면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는, 양안시차를 이용한 3D 영상이므로, 깊이 레벨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가 깊이 레벨을 갖는다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가 사용자에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튀어 나와 보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안으로 들어가 보인다는 의미이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는, 사용자에게 튀어 나와 보이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는,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깊이 레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의 각각의 깊이 레벨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 중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갖는 2개 이상의 입체 그래픽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는,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대응되는 깊이 레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대응되는 깊이 레벨은, 사용 패턴과 관련하여 연속적일 수도 있고 이산적일 수도 있다.
도 9는 사용 패턴과 관련하여 연속적인 깊이 레벨로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0은 사용 패턴과 관련하여 이산적인 깊이 레벨로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 각각의 깊이 레벨을,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 각각에 대한 사용 패턴에 따라 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 각각의 깊이 레벨을,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20, 21, 22, 23, 24, 25, 26, 27) 각각에 대한 사용 패턴에 따라 이산적인 값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20)와 통화 목록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23)는, 도 9에서는 서로 다른 깊이 레벨을 가질 수 있으나, 도 10에서는 서로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S200].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대한 직접 터치와 근접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S210].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30, 31a, 32, 31b, 31c, 31d, 33, 34, 31e, 35, 31f, 36)을 각각의 사용 패턴에 따라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가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를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에 기초하여, 깊이 레벨의 기준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상기 깊이 레벨의 기준 범위는, 도 14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의 깊이 레벨과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거나,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의 깊이 레벨 이하이거나,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의 깊이 레벨 이상으로 특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와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S320].
도 15는, 도 14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체 그래픽 객체(31f)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갖는 모든 입체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10 단계에서 특정된 기준 범위(도 14에서 선택된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31f)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깊이 레벨)에 대응되는 모든 입체 그래픽 객체들(31a, 31b, 31c, 31d, 31e, 31f)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화면의 크기로 인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되지 않고 호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2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도 13에서 표시되지 않은 다른 입체 그래픽 객체 중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표시된 일부 입체 그래픽 객체(31g, 31h, 31i, 31j, 31k, 31l)는, 도 13에서 표시되지 않았으나 호출되어 있던 입체 그래픽 객체들로서, 상기 선택된 입체 그래픽 객체(31f)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가지는 입체 그래픽 객체들이다.
이와 같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2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고,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32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 특성을 상기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와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4에서 선택된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31f)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갖는 입체 그래픽 객체들(31a, 31b, 31c, 31d, 31e, 31f)을 하일라이트(highlight)하거나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들(30, 31, 32, 33, 34, 35, 36)을 희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31f)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갖는 입체 그래픽 객체들(31a, 31b, 31c, 31d, 31e, 31f)을 상기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들(30, 31, 32, 33, 34, 35, 36)보다 시각적으로 강조하도록 표시 제어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도 7에서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부(22)에 대한 억세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 도 18에 도시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화면은, 복수의 전화번호 아이템(40a, 40b, 40c, 40d, 40e, 40f)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에 제공되는 전화번호 아이템들은,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전화번호 아이템들(40a, 40b, 40c, 40d, 40e, 40f) 중 특정 전화번호 아이템(40f)을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상기 특정 전화번호 아이템(40f)을 터치하여 선택한 채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흔들 수 있다[S200, S300].
상기 제어부(180)는, 도 18에 도시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특정 전화번호 아이템(40f)의 깊이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범위를 특정하고[S310],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화번호 아이템(40f, 40g, 40h, 40i, 40j)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고,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깊이 레벨을 갖지 않는 나머지 전화번호 아이템들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삭제할 수 있다[S210, S320].
도 2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도 7에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27)에 대한 억세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 도 20(a)에 도시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화면은, 복수의 수신 메시지(41a, 41b, 41c, 41d)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20(a) 및 도 20(b)에 제공되는 메시지들은,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수신 메시지들(41a, 41b, 41c, 41d) 중 특정 메시지(41b)를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상기 특정 메시지(41b)를 터치하여 선택한 채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흔들 수 있다[S200, S300].
상기 제어부(180)는, 도 20(a)에 도시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특정 메시지(41b)의 깊이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범위를 특정하고[S310],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화번호 아이템(41b, 41e)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고, 상기 특정된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깊이 레벨을 갖지 않는 나머지 메시지들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삭제할 수 있다[S210, S320].
한편, 도 20(a)에서 상기 특정 메시지(41b)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결과적으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메시지(41)를 송신한 제1 상대방과 관련된 메시지(예를 들어, 상기 제1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제1 상대방으로 송신된 메시지)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1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한 회수와, 다른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한 회수는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 20(a)에서, 상기 제1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한 회수와 제2 상대방(상기 제1 상대방과는 다른)과 메시지를 송수신한 회수가 다른 경우, 상기 제1 상대방과 관련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과, 상기 제2 상대방과 관련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은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S310 단계에서 특정되는 깊이 레벨의 기준 범위를 상기 S300 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템(또는 입체 그래픽 객체)과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깊이 레벨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되는 기준 범위는, 상기 선택된 특정 아이템(또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 이상이거나 이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4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의 깊이 레벨보다 작거나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1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도 14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의 깊이 레벨보다 작은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4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의 깊이 레벨보다 크거나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2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도 14에서 선택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31f)의 깊이 레벨보다 큰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객체(예를 들어, 43a, 43b, 43c, 43d)를 포함하는 영상을 도 23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영상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이거나,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21)는, 양안시차를 이용한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예를 들어, 43a, 43b, 43c, 43d)는,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3에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예를 들어, 43a, 43b, 43c, 43d)은 원근감에 따라 서로 다른 깊이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예를 들어, 43a, 43b, 43c, 43d)은 사용자에게 튀어나와 보이는 정도 또는 들어가 보이는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객체들(예를 들어, 43a, 43b, 43c, 43d) 중 특정 객체(43a)를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S200, S300].
상기 제어부(180)는, 도 23에 도시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43a)의 깊이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상기 기준범위는,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43a)의 깊이 레벨 이상으로 특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표시된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선택된 특정 객체(43a)의 깊이 레벨 이상의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객체(43a, 43b, 43c, 43d)의 표시 특성은 유지하고, 나머지 복수의 객체(참조번호 44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표시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S210, S320].
도 24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나머지 복수의 객체(참조번호 44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흐릿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객체(43a, 43b, 43c, 43d)의 표시와, 상기 나머지 복수의 객체(참조번호 44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표시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고 있다.
도 25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46a, 46b, 46c, 46d, 46e, 46f, 46g, 46h, 46i)을 각각의 사용 패턴에 따라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46a, 46b, 46c, 46d, 46e, 46f, 46g, 46h, 46i) 중 임의의 2개의 입체 그래픽 객체(46b, 46h)를 동시에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00]. 이하, 상기 선택된 2개의 입체 그래픽 객체(46b, 46h)를 각각 제1 입체 그래픽 객체(46b)와 제2 입체 그래픽 객체(46h)로 호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입체 그래픽 객체(46b)의 깊이 레벨(이하 '제1 깊이 레벨'이라고 함)과, 상기 제2 입체 그래픽 객체(46h)의 깊이 레벨(이하 '제2 깊이 레벨'이라고 함)에 의해 형성되는 깊이 레벨 범위 내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와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S410].
도 28은, 상기 S410 단계가 구현되는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깊이 레벨과 상기 제2 깊이 레벨이 형성하는 범위 밖에 대응되는 깊이 레벨을 갖는 상기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들(46a, 46c, 46i)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사라질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0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2차원 그래픽 객체와 적어도 하나의 3차원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S500].
상기 S500 단계에서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차원 그래픽 객체는,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와,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가 층을 이룸으로써 구성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500 단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S500 단계의 수행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차원 그래픽 객체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대응하여 깊이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도 30은, 상기 S500 단계가 구현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0에 도시된 화면은,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와,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사용자의 멀티 터치(multi-touch)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S510]. 상기 멀티 터치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대한 직접 터치와 근접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멀티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원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2차원 객체 그룹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차원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3차원 객체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520].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S510 단계와 상기 S520 단계가 구현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임의의 두 지점을 두 손가락으로 벌리는 멀티 터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S510].
상기 제어부(180)는, 도 31에서 입력된 상기 멀티 터치 동작에 따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 50f, 50g, 50h, 50i, 50j)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520]. 일부 3차원 그래픽 객체(50f, 50g, 50h, 50i, 50j)는, 도 30에서 화면의 크기 제약으로 인해 표시되지 않았던 객체들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52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술한 상기 3D 콘텐츠 검색 엔진(185)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임의의 두 지점을 두 손가락으로 오므리는 멀티 터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S510].
상기 제어부(180)는, 도 33에서 입력된 상기 멀티 터치 동작에 따라,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 51h, 51i, 51j, 51k, 51l)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520]. 일부 2차원 그래픽 객체(51h, 51i, 51j, 51k, 51l))는, 도 30에서 화면의 크기 제약으로 인해 표시되지 않았던 객체들이다.
한편, 도 32의 화면에서(도 35(a)를 참조) 두 손가락으로 오므리는 멀티 터치 동작이 입력되면, 도 30의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도 35(b)를 참조).
또한, 도 34의 화면에서(도 36(a)를 참조) 두 손가락으로 벌리는 멀티 터치 동작이 입력되면, 도 30의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도 36(b)를 참조).
도 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터치 동작에 의한 스크롤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600].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대한 직접 터치와 근접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600 단계의 상기 터치 동작은, 드래그 동작(drag operation) 및 플리킹 동작(flicking operation)을 포함하는 스트로크(stroke)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깊이 레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8은, 상기 S600 단계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151)를 통해 위쪽 방향의 스트로크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크롤 명령의 수신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도중,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동일한 깊이 레벨로 표시할 수 있다[S610].
상기 S610 단계가 수행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61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화시키지 않고,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속하는 깊이 레벨을 갖는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면서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도중에는, R1 범위 내에 속하는 깊이 레벨을 갖는 입체 그래픽 객체들(40b, 40e, 40f, 40g)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고, 상기 R1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들(40a, 40c, 40d)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61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기준이 되는 깊이 레벨로 변경시켜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도중에는, 모든 입체 그래픽 객체들(40a, 40b, 40c, 40d, 40e, 40f, 40g)의 깊이 레벨을 L1으로 통일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도중에는, 상기 사용 패턴에 따른 깊이 레벨을 일시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도 40에서 화면 스크롤이 멈추게 되면,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들(40a, 40b, 40c, 40d, 40e, 40f, 40g)의 깊이 레벨은,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근거한 원래의 깊이 레벨로 복귀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2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4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깊이 레벨이 서로 다른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S70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S710].
이하 도 42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상기 S700 단계 및 상기 S710 단계의 구현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53a, 53b, 53c, 53d, 53e, 53f, 53g, 53h, 53i, 53j)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로서,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전체 영역 중에서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동작과 같이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을 입력할 수 있고(도 43을 참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로 감지할 수 있다[S700].
상기 제어부(180)는, 도 43에서 이루어진 사용자의 터치 동작과 같은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또는 활성화된 또는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도 4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3개의 입체 그래픽 객체(53c, 53g, 53i)의 깊이 레벨을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래보다 더 튀어 나와 보이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도 44에 도시된 화면을 유발시킨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를 재수신하는 경우, 깊이 레벨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상기 변경 전의 깊이 레벨로 복귀시키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의 실행을 중단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의 재수신은, 도 43에 도시된 동작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45를 참조하면, 도 4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53i)를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터치 동작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53i)의 깊이 레벨을 변경 전의 깊이 레벨로 복귀시키는 동작과,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53i)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7은, 상기 깊이 레벨의 복귀 동작 및/또는 상기 실행 중단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151)을 쓸어내리는 터치동작을 수신한 경우(도 47(a)를 참조), 상기 깊이 레벨이 변경된 모든 입체 그래픽 객체(53c, 53g, 53i)의 깊이 레벨을 변경 전의 깊이 레벨로 복귀시키는 동작과, 상기 입체 그래픽 객체들(53c, 53g, 53i)에 각각 대응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도 47(b)를참조).
한편, 상기 S700 단계에서 언급된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로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수신 사실을 간접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한 경우, 알람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뉴스 위젯 또는 교통정보 위젯에 의해 새로운 뉴스 또는 새로운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상기 정보를 수신한 위젯에 대응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수신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4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S800].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대한 직접 터치와 근접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의 수신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메뉴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810].
도 49는, 상기 S800 단계 및 상기 S810 단계가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두 손가락으로 오므리는 동작에 해당하는 멀티 터치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S800]. 도 49(a)에 도시된 화면은,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와,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도 49(a)에 도시된 상기 멀티 터치 동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와,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에 관련된 메뉴 박스(60)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뉴(60)는,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와 관련되는 "2D Slideshow" 메뉴와 "2D Foldering"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와 관련되는 "3D Slideshow" 메뉴와 "3D Foldering"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 박스(50)에 포함된 상기 메뉴들 중 어느 메뉴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D Slideshow" 메뉴는,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를 슬라이드쇼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대응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2D Foldering" 메뉴는,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사라지게 하는 기능이 대응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3D Slideshow" 메뉴는,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를 슬라이드쇼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대응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3D Foldering" 메뉴는,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50a, 50b, 50c, 50d, 50e)만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51a, 51b, 51c, 51d, 51e, 51f, 51g)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사라지게 하는 기능이 대응되어 있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1 및 도 5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5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서로 다른 깊이 레벨을 갖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S900].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대한 직접 터치와 근접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거나 분류될 수 있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S910].
도 51 및 도 52는, 상기 S900 단계 및 상기 S910 단계가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1에 도시된 화면은,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a, 46b, 46c, 46d, 46e, 46f, 46g, 46h, 46i)를 표시한다.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a, 46b, 46c, 46d, 46e, 46f, 46g, 46h, 46i) 중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e, 46f, 46h, 46i)는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e, 46f, 46h, 46i)는, 통신과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전화걸기, 메시지, 전화번호부, 영상통화 등)에 대응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e, 46f, 46h, 46i)는, 영상 정보이고, 나머지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a, 46b, 46c, 46d, 46g)는, 영상 정보가 아닐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3차원 그래픽 객체(46f)를 두 손가락으로 벌리는 동작에 해당하는 멀티 터치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S800].
상기 제어부(180)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a, 46b, 46c, 46d, 46e, 46f, 46g, 46h, 46i) 중 상기 특정 3차원 그래픽 객체(46f)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e, 46f, 46h, 46i)의 깊이 레벨을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4 및 도 5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전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5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1010].
도 54 및 도 55는, 상기 S1000 단계 및 상기 S1010 단계가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4에 도시된 화면은, 복수의 3차원 그래픽 객체(46a, 46b, 46c, 46d, 46e, 46f, 46g, 46h, 46i)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i)에 대한 롱터치(long touch)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00]. 상기 롱터치 신호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i)에 대한 터치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i)에 대한 롱터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i)와 관련된 서브 입체 그래픽 객체들(63a, 63b, 63c)을 포함하는 그룹(64)을 상기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입체 그래픽 객체들(63a, 63b, 63c)은,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i)에 대응되는 폴더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서브 입체 그래픽 객체들(63a, 63b, 63c)은,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i)에 대응되는 메뉴에 포함되는 서브 메뉴들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i)가 전화번호부(phonebook or contact book)에 대응되는 아이콘인 경우, 상기 서브 입체 그래픽 객체들(63a, 63b, 63c)은, 최근 저장한 전화번호 목록이거나, 최근 통화한 목록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특정 그래픽 객체(46i)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인 경우, 상기 서브 입체 그래픽 객체들(63a, 63b, 63c)은, 최근 발신한 메시지 목록이거나, 최근 수신한 메시지 목록일 수 있다.
도 56은,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 조정에 따른 초기화 설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56을 참조하면,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a)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아서 깊이 레벨이 매우 크게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a)를 일정 깊이 이상으로 누르는 제스쳐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a)에 대한 사용자의 억세스 또는 사용을 0인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센서(14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a)를 누르는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a)에 대한 사용자의 억세스 또는 사용을 0인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6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는,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a)가 즐겨찾기 목록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즐겨찾기 설정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7은,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 조정에 따른 즐겨찾기 설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에 도시된 복수의 아이콘들(20, 21, 22, 23, 24, 25, 26, 27)은, 각각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인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도 57을 참조하면,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27)는 즐겨찾기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패턴은 즐겨찾기 설정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27)가 상기 즐겨찾기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27)의 깊이 레벨을 다른 입체 그래픽 객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27)를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제스쳐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27)를 상기 즐겨찾기 목록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센서(14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46a)를 터치한 후 들어 올리는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27)를 상기 즐겨찾기 목록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40: 센싱부
141: 근접 센서 151: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160: 메모리 161: 3D 콘텐츠 저장부
162: 프로파일 저장부 180: 제어부
183: 3D 처리부 184: 프로파일 분석 처리부
185: 3D 콘텐츠 검색 엔진

Claims (19)

  1.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및
    복수의 아이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깊이 레벨로 각각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선택된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포함하는 기준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상기 기준 범위에 속하는 사용 패턴을 갖는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와 상기 선택된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를 다른 입체 그래픽 객체와 구별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패턴은 사용 빈도, 사용의 최근성, 즐겨찾기 설정 여부 및 현재 활성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와 상기 선택된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 그래픽 객체와 상기 선택된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의 표시를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2개의 입체 그래픽 객체가 동시에 선택되는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2개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깊이 레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와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미리 정해진 멀티터치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멀티터치 동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2차원 그래픽 객체와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그룹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스크롤하는 경우, 상기 스크롤 도중에는 상기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가 동일한 깊이 레벨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과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깊이 레벨을 갖는 입체 그래픽 객체만을 상기 스크롤 도중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도중에는, 상기 사용 패턴에 따른 깊이 레벨을 무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를 미리 정해진 깊이 레벨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하고 나머지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로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재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상기 변경 전의 깊이 레벨로 복귀시키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의 실행을 중단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로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메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입체 그래픽 객체 중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입체 그래픽 객체를 상기 특정 입체 그래픽 객체의 깊이 레벨과 동일한 깊이 레벨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삭제
KR1020110027009A 2011-03-25 2011-03-25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3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009A KR101738001B1 (ko) 2011-03-25 2011-03-25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3/429,199 US9208616B2 (en) 2011-03-25 2012-03-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009A KR101738001B1 (ko) 2011-03-25 2011-03-25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742A KR20120108742A (ko) 2012-10-05
KR101738001B1 true KR101738001B1 (ko) 2017-05-29

Family

ID=4687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009A KR101738001B1 (ko) 2011-03-25 2011-03-25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08616B2 (ko)
KR (1) KR101738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7462B2 (en) * 2012-06-13 2016-11-2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Multi-dimensional image detection apparatus
WO2015061689A1 (en) * 2013-10-24 2015-04-30 Ramos Olivia System and method for mining data using haptic feedback
USD766259S1 (en) * 2013-12-31 2016-09-13 Beijing Qihoo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091S1 (en) * 2013-12-31 2016-05-24 Beijing Qihoo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055088B1 (en) * 2014-03-20 2018-08-21 Amazon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with media content prediction
KR102271853B1 (ko) 2014-03-21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10633B1 (ko) * 2014-07-09 2021-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오브젝트의 뎁스와 연계된 인정범위를 가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35957B1 (en) * 2015-11-24 2017-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file management based on user affinity
US9986113B2 (en) 2016-05-06 2018-05-29 Fuji Xerox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382634B2 (en) * 2016-05-06 2019-08-13 Fuji Xerox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onfigured to generate and change a display menu
JP7130987B2 (ja) * 2018-03-01 2022-09-0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562A (ja) * 2005-09-12 2007-03-29 Toshiba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2011013778A (ja) * 2009-06-30 2011-01-20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物体近接検出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574B2 (en) * 2001-12-21 2006-12-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digital history data
US20090282332A1 (en) * 2008-05-12 2009-11-1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ecting multiple items using multi-touch
US20100262280A1 (en) * 2009-04-13 2010-10-14 Miller Michael A Display-Based Vending Apparatus and Method
US8633916B2 (en) *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US8508347B2 (en) * 2010-06-24 2013-08-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US20120140255A1 (en) * 2010-12-02 2012-06-07 Ricoh Company, Ltd. Application launch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562A (ja) * 2005-09-12 2007-03-29 Toshiba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2011013778A (ja) * 2009-06-30 2011-01-20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物体近接検出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742A (ko) 2012-10-05
US20120242660A1 (en) 2012-09-27
US9208616B2 (en)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0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635227B2 (en) 3D camera assembly having a bracket for camera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249816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52217B2 (en) Mobile terminal indicating lapse of time associated with a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99972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dividing a scree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EP29072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0681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79603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38008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83096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EP2637392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395761A2 (en) Electronic device and depth control method for its stereoscopic image display
EP2982042B1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9755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1820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301479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yment method thereof
KR101984180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401331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000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7285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