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955B1 -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55B1
KR101736955B1 KR1020160004144A KR20160004144A KR101736955B1 KR 101736955 B1 KR101736955 B1 KR 101736955B1 KR 1020160004144 A KR1020160004144 A KR 1020160004144A KR 20160004144 A KR20160004144 A KR 20160004144A KR 101736955 B1 KR101736955 B1 KR 10173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sis
management application
information
edito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이스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웨이 filed Critical (주)이스웨이
Priority to KR102016000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논문 관리 서버가,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로그인 처리하는 단계; (b) 논문투고자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과 정보를 포함하는 논문의 서지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획득하여 상기 논문을 투고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 정보에 상응하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심사위원을 입력 받는 단계; (e)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 중 저자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심사위원에게 전달하는 단계; (f) 상기 심사위원으로부터 상기 논문에 상응하는 심사 결과를 입력 받는 단계; (g) 상기 심사 결과 입력 현황 및 심사 결과 내용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단계; (h)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논문을 심사완료 처리하는 단계; 및 (i) 상기 최종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수정 요청을 하거나, 상기 논문의 교정 및 출판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논문 관리 방법을 포함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MANUSCRIPT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DIVISION EXTENSIBILITY AND MANUSCRIP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논문 투고, 논문 심사, 논문 교정, 출판 편집, 투고자 최종 확인 과정을 자동화로 처리하면서,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대다수의 학술단체는 학술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학술지(Online Journal, Offline Journal)를 발행하고 있다. 학술지의 발행 과정은, 먼저 논문이 투고되면, 논문에 대한 심사가 진행되고, 최종적으로 학술지로 게재할 수 있는 논문들만 학술지(On/Off Journal)로 발행된다. 특히, 최종적으로 학술지로 게재할 수 있는 논문들에 대해서도, 논문 교정 및 출판사의 편집 과정들이 더 요구된다.
기존의 학술지 발행에 있어서는 논문 교정 및 출판사의 편집 과정을 우편이나 이메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많은 처리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며, 학술지 발행의 전 과정을 DB화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학회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세부 분과학회가 생겨나므로, 분과확장성을 갖춘 학술지 발행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1605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논문 투고, 논문 심사, 논문 교정, 출판 편집, 투고자 최종 확인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논문의 투고 횟수 및 논문의 게재허가율 등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학회의 규모가 커지더라도 시스템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도 용이하게 분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서버 환경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시키고, 사용자들에 의해 편집된 내용을 실시간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논문 관리 서버가,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로그인 처리하는 단계; (b) 논문투고자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과 정보를 포함하는 논문의 서지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획득하여 상기 논문을 투고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 정보에 상응하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심사위원을 입력 받는 단계; (e)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 중 저자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심사위원에게 전달하는 단계; (f) 상기 심사위원으로부터 상기 논문에 상응하는 심사 결과를 입력 받는 단계; (g) 상기 심사 결과 입력 현황 및 심사 결과 내용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단계; (h)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논문을 심사완료 처리하는 단계; 및 (i) 상기 최종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수정 요청을 하거나, 상기 논문의 교정 및 출판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논문 관리 방법을 포함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접속 가능한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및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로그인 처리하고, (b) 논문투고자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과 정보를 포함하는 논문의 서지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획득하여 상기 논문을 투고 처리하고, (c)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 정보에 상응하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고, (d)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심사위원을 입력 받고, (e) 상기 논문의 서지 정보 중 저자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심사위원에게 전달하고, (f) 상기 심사위원으로부터 상기 논문에 상응하는 심사 결과를 입력 받고, (g) 상기 심사 결과 입력 현황 및 심사 결과 내용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고, (h)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논문을 심사완료 처리하고, (i) 상기 최종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수정 요청을 하거나, 상기 논문의 교정 및 출판을 진행하는 논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해 논문 투고, 논문 심사, 논문 교정, 출판 편집, 투고자 최종 확인 과정을 자동화하여, 논문 투고에서부터 출판까지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해 논문의 투고 횟수 및 논문의 게재허가율 등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해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학회의 규모가 커지더라도 시스템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도 용이하게 분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가상서버 환경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시키고, 사용자들에 의해 편집된 내용을 실시간 동기화시킴으로써, 논문 투고에서 출판까지의 업무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논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접속 권한 설정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도 4의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는 도 4의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e는 도 4의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한 분과 설정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의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 및 도 7c는 도 6의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분과의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한 논문 투고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a는 도 8의 논문투고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b는 도 8의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c는 도 8의 논문 저자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d는 도 8의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e는 도 8의 미리 보기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f는 도 8의 최종 제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한 논문 심사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a는 분과편집위원장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 및 도 11c는 분과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d는 도 10의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e 및 도 11f는 분과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g는 심사위원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h는 심사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11i는 도 10의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j 내지 도 11k는 심사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11m은 도 10의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한 논문 교정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a는 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논문교정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c는 도 12의 교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한 출판 편집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a는 출판사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4의 편집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r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자 설정 기능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논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서 논문 관리 서버(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된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논문 관리 서버(100)가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된 논문 정보 및 논문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논문투고자의 조작에 의해 논문 관리 서버(100)에 논문 정보 및 논문 파일을 송신하거나, 논문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논문 정보 및 논문 파일을 심사위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논문 관리 서버(100)는 논문 파일이 저장된 논문 저장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논문 정보에 상응하는 논문 파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논문 관리 서버(100)와 논문 파일이 저장된 논문 저장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논문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논문 정보 및 논문 파일을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웹(web)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2)일 수도 있으며, 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 단말기(203)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논문 관리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논문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논문 관리 서버(100)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논문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부(110)는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논문 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논문 정보 및 논문 파일을 수신하거나, 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논문의 서지정보 및 논문 파일을 모니터링 및 수집하는 작업, 사용자의 로그인 처리 작업, 논문의 서지정보 및 논문 파일을 하나의 사용자에서 다른 사용자에게로 전달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논문 투고에서부터 논문 출판까지의 전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논문 투고 작업, 논문 심사 작업, 논문 교정 작업 및 논문 출판 작업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특정 위치, 특정 장소 유형 및 특정 언어에 매핑되어 저장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50)에는 논문의 서지정보, 분과 정보 및 사용자 권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논문 관리 프로세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논문투고자가 논문을 투고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투고된 논문을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과편집위원장이 심사의뢰를 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투고된 논문을 지정된 심사위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심사위원들이 심사평가를 완료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투고 및 심사평가된 논문을 다시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과편집위원장이 저자수정을 결정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투고자에게 논문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분과편집위원장이 게재불가를 결정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의 게재를 거절(reject)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분과편집위원장이 수정후게재가를 결정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투고자에게 논문의 수정을 요청하고, 논문투고자가 논문을 수정제출하는 경우, 수정제출된 논문을 다시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분과편집위원장이 게재허가를 결정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게재허가된 논문을 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위원장은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를 통해 게재허가된 논문에 대해 발행 원/호를 지정하고, 게재예정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게재허가된 논문을 논문교정위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교정위원이 논문을 교정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교정된 논문을 출판사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판사가 편집 디자인을 완료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편집 디자인된 논문을 논문투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투고자가 편집 디자인된 논문을 최종확인 완료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최종확인 완료된 논문을 다시 출판사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출판사는 최종확인 완료된 논문을 인쇄/출판하여 학술지를 제작하거나, 해당 논문을 전자 문서로 제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축적시키고, 인터넷 망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접속 권한 설정 프로세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는 회원가입을 통해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만이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권한의 종류는 논문투고자(Author), 심사위원(Reviewer), 분과편집위원장(Editor), 편집위원장(Editor in Chief), 논문교정위원(Manuscript Editor), 출판사(Publisher) 및 사무국(Secretariat)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사용자는 접속 권한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논문투고자, 출판사, 논문교정위원 및 사무국의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의 경우, 해당 접속 권한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하나의 사용자 권한만을 부여 받을 수 있다.
또한, 심사위원의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는 논문투고자 및 심사위원에 대응되는 두 가지 사용자 권한을, 분과편집위원은 논문투고자, 심사위원, 및 분과편집위원에 대응되는 세 가지 사용자 권한을, 편집위원장은 논문투고자, 심사위원, 분과편집위원 및 편집위원장에 대응되는 네 가지 사용자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즉, 심사위원의 접속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는 심사위원 권한 및 논문투고자 권한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사용자 접속 권한 설정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의 메인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로서, 신규회원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를 해당 신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존 사용자로서,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기존 사용자를 로그인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존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기존 사용자의 접속 권한에 기초한 사용자 권한 혹은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기능에 상응하는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논문투고자가 로그인 한 경우, 해당 사용자는 논문투고자 권한만을 가지므로,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투고자 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논문투고자 기능에 상응하는 버튼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반면,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가 로그인 한 경우, 해당 사용자는 상기 7가지 접속 권한 모두를 가지므로,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7가지 기능 모두를 활성화시키고, 기능들 각각에 상응하는 버튼들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활성화된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로부터 해당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편집위원장 권한 또는 최고관리자 권한에 상응하는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로부터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의 접속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특정 사용자에 대해 상기 7가지 접속 권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사용자의 접속 권한을 선택된 접속 권한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로그인 인터페이스의 ID/PW 입력 창(A)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거나, 계정 생성 버튼(B)을 선택하여 계정을 새로이 생성하거나, ID/PW 찾기 버튼(C)을 선택하여 계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ID/PW 입력 창(A)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의 접속 권한에 기초한 기능 버튼(D)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 버튼(D)은 논문투고자(Author), 심사위원(Reviewer), 분과편집위원장(Editor), 편집위원장(Editor in Chief), 논문교정위원(Manuscript Editor), 출판사(Publisher) 및 사무국(Secretariat)과 같이 7가지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접속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7가지 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접속 권한이 편집위원장(Editor in Chief)인 경우, 편집위원장은 모든 권한을 가지므로, 상기 7가지 버튼이 모두 활성화 되어, 도 5b와 같이 기능 버튼(D)이 모두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5c는 도 4의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신규 사용자는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새로이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신규 사용자는 계정 정보로서, 사용자의 ID, PW, 성명, 소속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사용자는 사용자의 지역 정보(A)를 입력할 수 있다. 지역 정보(A)는 학술평가 기관에서 논문투고자 및 심사위원의 지역 분포를 산출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신규 사용자는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새로이 계정을 생성할 수 있으나, 편집위원장 권한 또는 최고관리자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 해당 계정을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도 5d는 도 4의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는 계정을 생성한 미승인 사용자(B)에 대하여, 회원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승인 처리를 할 수 있다.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는 미승인 사용자(B)의 권한 버튼(A)을 선택하고, 회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회원 권한은 논문투고자(Author), 심사위원(Reviewer), 분과편집위원장(Editor), 편집위원장(Editor in Chief), 논문교정위원(Manuscript Editor), 출판사(Publisher) 및 사무국(Secretaria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e는 도 4의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e를 참조하면,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는 다른 회원들 각각에 대해 회원 정보 테이블(A) 및 회원 추가 정보 테이블(B)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편집위원장 권한 및 최고관리자 권한 외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자신에 대한 회원 정보 테이블(A)만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회원 정보 테이블(A)은 해당 회원의 회원 가입 시 입력한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위원장 권한 및 최고관리자 권한 외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회원 정보 테이블(A)을 통해 자신의 계정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회원 추가 정보 테이블(B)은 회원 구분 정보 및 회원 권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는 회원 추가 정보 테이블(B)을 이용하여, 각 회원의 구분 정보(C) 및 권한 정보(D)를 수정할 수 있다.
회원의 구분 정보(C)는 회원의 시스템 이용 가능 기간에 따라, '준회원', '정회원' 및 '평생 회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회원의 권한 정보(D)는 논문투고자(Author), 심사위원(Reviewer), 분과편집위원장(Editor), 편집위원장(Editor in Chief), 논문교정위원(Manuscript Editor), 출판사(Publisher) 및 사무국(Secretaria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정보를 수정하고자 하는 회원의 권한이 심사위원 또는 분과편집위원인 경우, 분과 정보(E)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분과 정보(E)는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도 7a 참조)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분과 설정 프로세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분과 설정 프로세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분과 설정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 기능을 선택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는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추가할 분과의 명칭을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명칭을 갖는 분과를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분과를 도 7b와 같은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E) 또는 도 7c와 같은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A)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7a는 도 6의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는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의 분과 생성 버튼(A)을 선택하여 분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분과를 통해 투고된 논문 수(C)를 확인할 수 있다.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가 분과 생성 버튼(A)을 선택하는 경우, 분과 명칭 입력창(B)이 표시될 수 있으며, 분과 명칭 입력창(B)에 입력된 명칭과 같은 분과가 생성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는 도 6의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분과의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분과는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에게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도 7b와 같이,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가, 심사위원 또는 분과편집위원에 대해 회원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E)를 통해 분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편집위원장 또는 최고관리자는 분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심사위원 또는 분과편집위원의 담당 분과를 설정할 수 있다.
심사위원 또는 분과편집위원은 해당 담당 분과를 지정하여 투고된 논문에 대한 심사 과정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7c와 같이, 논문투고자 권한을 갖는 사용자가 논문 투고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경우,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A)를 통해 분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논문투고자는 분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투고되는 논문의 분과를 지정할 수 있다.
분과를 지정하여 투고된 논문은 해당 분과를 담당하는 분과편집위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해당 분과를 심사하는 심사위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논문 투고 프로세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논문 투고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논문투고자가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 논문투고자 기능을 선택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투고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투고자가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 투고를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 서지정보는 논문의 타이틀, 요약(Abstract) 및 키워드(keyword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투고자가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투고할 논문의 기본 정보를 입력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 저자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 저자정보는 제1 저자 또는 공동저자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투고자가 논문 저자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 작성에 참여한 저자들의 정보를 입력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투고자가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미리 보기(preview)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논문투고자가 미리 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리뷰를 완료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최종 제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투고자가 최종 제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을 제출 처리하고, 제출된 논문에 대해 논문 심사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논문투고자는 회원가입 시 입력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논문 서지정보 및 공동저자를 입력하고, 심사용 파일 첨부, 제출 전 확인검토(미리 보기), 제출의 5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논문을 투고할 수 있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제출된 논문을 편집위원장 또는 분과편집위원에게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a는 도 8의 논문투고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논문투고자는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로부터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논문투고자는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 내 논문투고 버튼(A)을 선택하여 새로이 논문을 투고할 수 있으며, 논문투고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 투고 및 논문 심사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논문 투고 현황은, 투고 완료되지 아니한 논문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논문 심사 현황은, 논문 심사 중에 있는 논문 리스트 및 논문 심사가 완료된 논문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논문투고자는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 심사가 완료되어 최종 발행된 논문 리스트, 최종 거절된 논문 리스트 및 투고 철회한 논문 리스트 등을 더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b는 도 8의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논문투고자는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의 종류, 논문의 제출 분과, 논문의 타이틀, 요약(Abstract) 및 키워드(keywords)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논문의 제출 분과는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도 7a 참조)를 통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도 9c는 도 8의 논문 저자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논문투고자는 논문 저자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 작성에 참여한 저자 리스트(A)를 작성할 수 있다.
논문투고자는 저자 추가 양식(B)에 논문 작성에 참여한 저자 정보를 직접 작성하거나,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한 회원들 중에서 논문 작성에 참여한 회원의 정보를 불러온 뒤, 저자 정보 추가 버튼(C)을 선택하여 저자 리스트(A)에 저자를 추가시킬 수 있다.
논문투고자는 회원 검색 버튼(E)을 선택하여, 표시되는 회원 검색 창(F)에서 검색 키워드 입력창(G)에 검색하고자 하는 회원의 성명 등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논문 작성에 참여한 회원의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이 경우, 저자 추가 양식(B)이 검색한 회원의 정보로 채워질 수 있다.
도 9d는 도 8의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논문투고자는 업로드 도구(A)를 이용하여 논문 파일 및 저자 동의서(Author Agreement) 파일을 업로드 파일 리스트(B)에 추가할 수 있다.
업로드 파일 리스트(B)에 업로드될 파일들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파일들의 심사 차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e는 도 8의 미리 보기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e를 참조하면, 논문투고자는 논문 서지정보 인터페이스, 논문 저자정보 인터페이스 및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정보 또는 업로드한 파일들을 미리 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한 페이지 형태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논문투고자는 특정 정보나 파일에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수정 버튼(A)을 선택하여 해당 인터페이스를 다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논문 제출 버튼(B)을 선택하여 다음 프로세스로 진행할 수 있다.
도 9f는 도 8의 최종 제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f를 참조하면, 논문투고자가 최종 제출 인터페이스에서 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이 제출 처리되고, 논문이 정상적으로 제출되었다는 확인 메시지가 논문투고자의 연락처로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논문 심사 프로세스
논문 투고 프로세스에서 투고된 논문에 분과가 지정된 경우, 해당 논문은 지정된 분과를 담당하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되고, 논문 심사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논문 심사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분과편집위원장이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 분과편집위원장 기능을 선택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분과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과편집위원장이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논문의 심사위원 배정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 투고 프로세스에서 투고된 논문에 분과가 지정된 경우,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지정된 분과를 담당하는 심사위원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은 적어도 3인(예컨대, 3인 내지 10인)의 심사위원에게 논문 심사를 의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과편집위원장이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투고된 논문을 심사할 심사위원을 배정하고, 논문 심사를 의뢰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투고된 논문의 상태를 '심사 대기'에서 '심사 중' 상태로 변경하고, 해당 논문을 배정된 심사위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해당 논문에 대한 심사위원의 심사가 진행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사 진행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심사위원이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 심사위원 기능을 선택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심사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심사위원이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논문에 대해 심사 가능 결정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심사위원은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논문에 대해 심사 불가 결정을 선택하고, 심사 불가 사유를 입력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해당 심사 불가 사유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과편집위원장은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사 불가 결정을 선택한 심사위원을 대체할 새로운 심사위원을 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심사위원이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사 결과를 입력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심사 결과를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은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사위원들의 심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최종 판정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최종 판정 결과는 게재허가(Accept for publication), 논문 수정 후 게재가(Accept after revision), 논문 수정 후 재심사(Re-review after revision) 및 게재 불가(Reject for publicatio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이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입력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의 상태를 '심사 중'에서 최종 판정 결과에 따른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최종 판정 결과가 게재허가인 경우, 논문의 상태를 '게재허가' 상태로 변경시키고, 논문투고자에게 논문 심사결과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편집위원장에게 심사 완료된 논문을 전달하여 논문 교정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비록 도 10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최종 판정 결과가 게재허가인 경우, 편집위원장은 심사 완료된 논문에 대한 발행 권/호 지정 및 게재예정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최종 판정 결과가 논문 수정 후 게재가인 경우, 논문의 상태를 '논문 수정 후 게재가' 상태로 변경시키고, 논문투고자에게 논문 심사결과서 인터페이스(미도시), 논문 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미도시) 및 수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투고자가 논문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 논문 파일을 업로드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수정된 논문 정보 및 수정 논문 파일을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과편집위원장은 수정된 논문 정보 및 수정 논문 파일을 검토하고,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다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최종 판정 결과가 논문 수정 후 재심사인 경우, 논문의 상태를 '논문 수정 후 재심사' 상태로 변경시키고, 논문투고자에게 논문 심사결과서 인터페이스, 논문 정보 수정 인터페이스 및 수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투고자가 논문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 논문 파일을 업로드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수정된 논문 정보 및 수정 논문 파일을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과편집위원장은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사위원을 재배정하고, 심사위원은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논문을 재심사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재심사 결과를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은 재심사 결과를 검토하고,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다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최종 판정 결과가 게재 불가인 경우, 논문의 상태를 '게재 불가' 상태로 변경시키고, 논문투고자에게 논문 심사결과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a는 분과편집위원장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속 권한이 분과편집위원장(Editor)인 경우, 분과편집위원장은 논문투고자(Author), 심사위원(Reviewer) 및 분과편집위원장(Editor)의 3가지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분과편집위원장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는 상기 3가지 권한에 상응하는 버튼들(A)이 활성화될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은 분과편집위원장(Editor) 버튼(B)을 선택함으로써, 분과편집위원장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로부터 분과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는 분과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1b와 같이, 심사 대기 중인 논문에 대한 요약 정보(A)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과편집위원장이 논문의 타이틀(B)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이 심사위원 지정 버튼(C)을 선택하는 경우, 심사위원 검색 창(D)이 표시되고, 분과편집위원장이 검색된 심사위원들 중 적어도 한 명의 심사위원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심사위원이 배정 완료될 수 있다.
예컨대, 2인의 심사위원이 배정 완료된 경우, 도 11c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분과편집위원장은 최소 3인의 심사위원이 배정 완료될 때까지 심사위원 지정 버튼(B)을 선택하여 심사위원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1d는 도 10의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d를 참조하면, 분과편집위원장이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심사위원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심사위원 검색 창(A)을 포함하는 심사위원 배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분과편집위원장은 심사위원 검색 창(A)에 검색된 심사위원들 중 적어도 한 명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비회원 버튼(B)을 선택하여 심사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비회원에게도 심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임시 심사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이 비회원 버튼(B)을 선택하는 경우, 비회원 검색 창(C)이 표시될 수 있으며, 분과편집위원장은 비회원 검색 창(C)에 비회원 심사위원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검색 버튼(D)을 선택하여 이전에 저장했던 비회원 심사위원의 정보(E)를 호출할 수도 있다.
도 11e 및 도 11f는 분과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1e와 같이, 심사 중인 논문에 대한 심사 진행 현황(A)을 제공할 수 있다.
심사 진행 현황(A)은 진행 정도에 따라 하기와 같이 5 단계(B)로 나뉠 수 있다.
- 1단계(Not Reviewed): 심사위원은 배정 완료되었으나, 배정된 심사위원 중 어느 한 명도 심사를 하지 않은 단계
- 2단계(In Reviewed): 배정된 심사위원 중 일부 심사위원만이 심사를 진행한 단계
- 3단계(Review Completed): 배정된 심사위원 모두가 심사를 완료한 단계
- 4단계(Revision Requested): 심사가 완료되어 논문투고자에게 논문 수정을 요청한 단계
- 5단계(Revision Completed): 논문투고자가 논문 수정을 완료하고 수정 논문을 재접수한 단계
상기 5 단계(B) 각각은 서로 다른 탭으로 구분되고, 분과편집위원장이 어느 하나의 탭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탭의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들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논문 리스트에는 도 11f와 같이, 심사 차수(A), 심사 불가 사유(B), 심사완료 일자(C) 및 심사위원 이름(D)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g는 심사위원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g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속 권한이 심사위원(Reviewer)인 경우, 심사위원은 논문투고자(Author) 및 심사위원(Reviewer)의 2가지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심사위원의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는 상기 2가지 권한에 상응하는 버튼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심사위원은 심사위원(Reviewer) 버튼(A)을 선택함으로써, 심사위원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로부터 심사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1h는 심사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난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1h와 같이, 심사 의뢰된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심사위원이 해당 논문을 심사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심사 가능 버튼(A)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논문은 해당 심사위원에 대해 심사 가능 결정 상태(C)로 전환될 수 있다.
심사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에는 해당 논문의 심사 차수(D)가 제공될 수 있으며, 심사위원이 논문의 타이틀(E)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심사위원이 해당 논문을 심사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심사 불가 버튼(B)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심사위원에게 심사 불가 사유 입력 창을 표시하고, 심사위원이 심사 불가 사유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1i는 도 10의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i를 참조하면,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에서 심사위원이 논문의 저자정보 및 저자 동의서 파일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사위원이 논문의 저자정보 및 저자 동의서 파일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심사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심사위원이 논문 심사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사 결과(B)를 입력하고, 완료 버튼(C)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심사 결과(B)를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1j 내지 도 11k는 심사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난 도면이다.
심사위원이 심사 결과를 작성한 논문은 도 11j와 같이, 심사진행 중인 논문 탭(A)으로 옮겨질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이 해당 논문에 대해 최종 판정이 있는 경우, 심사진행 중인 논문 탭(A)을 통해 최종 판정 결과(B)가 제공될 수 있다.
심사위원이 심사 불가 결정을 한 논문은 도 11k의 심사 불가 결정 논문 탭(C)으로 옮겨질 수 있다.
심사위원이 심사 결과를 입력한 뒤, 분과편집위원장의 최종 판정이 있는 논문은 도 11k의 심사 기록 탭(D)으로 옮겨질 수 있다.
심사위원은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심사위원 증명서 탭(E)을 통해 도 11l과 같은 심사위원 증명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심사위원 증명서는 해당 심사위원이 특정 기간(A)에 심사한 논문 리스트(B)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증명서일 수 있다.
도 11m은 도 10의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m을 참조하면,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투고자가 작성한 서지정보, 저자정보 및 업로드된 논문 파일 등의 논문 정보(A) 및 해당 논문에 배정된 심사위원들의 심사 결과(B)가 제공될 수 있다.
심사 결과(B)는 각각의 심사위원들마다 작성한 개별 심사의견서(D)를 포함할 수 있다.
심사위원이 심사 결과를 입력한 경우, 심사 결과(B)란에 심사 결과가 추가될 수 있으며, 논문에 배정된 모든 심사위원의 심사 결과가 입력된 경우, 분과편집위원장은 최종 판정 결과란에 소견(C) 및 최종 판정 결과(E)를 입력할 수 있다.
최종 판정 결과(E)는 게재허가(Accept for publication), 논문 수정 후 게재가(Accept after revision), 논문 수정 후 재심사(Re-review after revision) 및 게재 불가(Reject for publicatio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분과편집위원장이 최종 판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입력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최종 판정 결과에 따라 논문 수정 요청을 논문투고자에게 요청하거나, 해당 논문을 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할 수 있다.
최종 판정 결과가 게재허가인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심사 완료된 논문을 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고, 논문 교정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논문 교정 프로세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논문 교정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편집위원장이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 편집위원장 기능을 선택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편집위원장이 게재허가된 논문의 논문 교정 의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교정위원에게 해당 논문을 전달할 수 있다.
논문교정위원이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 논문교정위원 기능을 선택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교정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교정위원은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논문 교정 의뢰된 논문들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논문교정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에는 논문 교정 의뢰된 논문들에 대해 논문 교정 또는 영문 번역 진행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논문교정위원이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논문 교정 진행할 논문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 파일 및 교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교정위원은 논문 파일에 대하여 투고규정을 준수했는지, 참고문헌을 제대로 인용했는지, 또는 영문 번역이 적절한지 등의 논문 검토 및 교정을 진행할 수 있다.
논문교정위원이 교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정 완료된 논문 파일을 업로드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교정 완료된 논문 파일을 출판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3a는 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3a와 같이, 편집위원장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재허가된 논문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편집위원장은 영문 번역 진행여부 버튼(A)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논문의 영문 번역 진행여부를 토글할 수 있다.
편집위원장이 교정 의뢰 버튼(B)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논문을 논문교정위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3b는 논문교정위원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3b와 같이,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정 의뢰된 논문을 리스트 형태(A)로 제공할 수 있으며, 논문교정위원이 논문의 타이틀(B)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논문 파일 및 교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c는 도 12의 교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3c와 같이 논문교정위원이 선택한 논문의 파일(A)을 제공할 수 있으며, 논문교정위원이 교정 완료된 논문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교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B)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교정위원이 교정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B)를 이용하여 교정 완료된 논문 파일을 업로드하고, 완료 버튼(C)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이 교정 완료 처리되고,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교정 완료된 논문 파일을 출판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출판 편집 프로세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출판 편집 프로세스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출판사가 로그인 인터페이스에서 출판사 기능을 선택한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출판사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출판사는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판 의뢰된 논문들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출판사가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판 진행할 논문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편집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출판사는 출판 의뢰된 논문에 대해 인쇄 형태에 맞게 디자인을 편집할 수 있다.
출판사가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집된 논문 파일을 업로드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편집된 논문 파일을 논문투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논문투고자가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집된 논문을 최종 확인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논문투고자의 최종 확인 결과를 출판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편집된 논문에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 출판사는 학술지 인쇄와 출판을 진행할 수 있다.
편집된 논문에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출판사는 수정 사항을 반영한 뒤 학술지 인쇄와 출판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5a는 출판사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5a와 같이, 출판사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정 완료된 논문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출판사가 논문의 타이틀(A)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해당 논문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b는 도 14의 편집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도 15b와 같이 출판사가 선택한 논문의 파일(A)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출판사가 편집 완료된 논문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편집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B)를 제공할 수 있다.
출판사가 편집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B)를 이용하여 편집 완료된 논문 파일을 업로드하고, 완료 버튼(C)을 선택하는 경우, 논문이 편집 완료 처리되고, 논문 관리 서버(도 1의 100 참조)는 편집 완료된 논문 파일을 논문투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 설정 기능
도 16a 내지 도 16r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관리자 설정 기능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문 관리 시스템(1)에 의한 관리자 설정 기능은 컨텐츠 관리 시스템(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시스템 기능은 기본 설정 기능(도 16a 내지 도 16i 참조), 논문 유형(type) 설정 기능(도 16j 참조), 논문 분과 설정 기능(도 16k 참조), 발행 권/호 지정 기능(도 16l 참조), SMS 및 이메일 문구 설정 기능(도 16m 참조), 회원 정보 설정 기능(도 16n 참조), 공지사항 설정 기능(도 16o 참조) 및 통계 기능(도 16p 내지 도 16r 참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설정 기능은 회원 권한 설정 기능(도 16a 참조), 회원 분류 설정 기능(도 16b 참조), 기타 설정 기능(도 16c 참조), 보안 설정 기능(도 16d 참조), 사이트 설정 기능(도 16e 참조), 논문 제출 항목 설정 기능(도 16f 참조), 관리자 SMS 수신 설정 기능(도 16g 참조), 논문게재료 납부 체크 설정 기능(도 16h 참조) 및 심사위원 권한 설정 기능(도 16i 참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권한 설정 기능(도 16a 참조)에서는 회원을 시스템 이용 가능 기간에 따라, '준회원', '정회원' 및 '평생 회원' 등의 등급으로 구분하는 경우, 해당 등급명 및 등급에 따른 시스템 이용 가능 기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회원 분류 설정 기능(도 16b 참조)에서는 회원 권한에 따라 이용 가능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기타 설정 기능(도 16c 참조)에서는 심사위원 수의 범위(예컨대, 최소 3인에서 최대 10인), 투고된 논문 등에 부여되는 번호의 규칙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보안 설정 기능(도 16d 참조)에서는 회원 가입 시 기재한 패스워드의 암호화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사이트 설정 기능(도 16e 참조)에서는 논문 관리 시스템의 웹사이트 제목, 대표 이메일 및 전화번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논문 제출 항목 설정 기능(도 16f 참조)에서는 논문 투고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서지정보에 포함될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 SMS 수신 설정 기능(도 16g 참조)에서는 관리자 SMS 수신 번호 및 메시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논문게재료 납부 체크 설정 기능(도 16h 참조)에서는 논문게재료 납부를 체크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심사위원 권한 설정 기능(도 16i 참조)에서는 심사위원이 지정된 분과에 한하여 심사를 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논문 유형(type) 설정 기능(도 16j 참조)에서는 논문 투고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서지정보 중 논문 유형(type) 항목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논문 분과 설정 기능(도 16k 참조)에서는 논문 투고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서지정보 중 분과 항목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발행 권/호 지정 기능(도 16l 참조)에서는 게재허가된 논문에 대해 발행 권/호를 지정할 수 있다.
SMS 및 이메일 문구 설정 기능(도 16m 참조)에서는 각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마다 전달되는 SMS 및 이메일 문구를 설정할 수 있다.
회원 정보 설정 기능(도 16n 참조)에서는 회원들의 접속 승인 여부 및 접속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공지사항 설정 기능(도 16o 참조)에서는 논문 관리 시스템 내 공지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통계 기능(도 16p 내지 도 16r 참조)에서는 월별 논문통계(도 16p 참조) 및 논문게재율/소재지 통계(도 16q 및 도 16r 참조)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100: 논문 관리 서버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제어부 15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a) 논문 관리 서버가,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로그인 처리하는 단계;
    (b) 논문투고자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과 정보를 포함하는 논문의 서지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획득하여 상기 논문을 투고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 정보에 상응하는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심사위원을 입력 받는 단계;
    (e)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 중 저자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서지정보 및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심사위원에게 전달하는 단계;
    (f) 상기 심사위원으로부터 상기 논문에 상응하는 심사 결과를 입력 받는 단계;
    (g) 상기 심사 결과 입력 현황 및 심사 결과 내용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단계;
    (h) 상기 분과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 판정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논문을 심사완료 처리하는 단계; 및
    (i) 상기 최종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수정 요청을 하거나, 상기 논문의 교정 및 출판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j) 상기 최종 판정 결과가 게재허가인 경우, 상기 게재허가된 논문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집위원장에게 전달하는 단계;
    (k) 상기 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정 의뢰 받는 단계;
    (l) 상기 게재허가된 논문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논문교정위원에게 전달하는 단계;
    (m) 상기 논문교정위원으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정된 논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n) 상기 교정된 논문 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판사에 전달하는 단계;
    (o) 상기 출판사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집 디자인된 논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p) 상기 편집 디자인된 논문 파일을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q) 상기 논문투고자로부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확인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r) 상기 사용자의 접속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단계는
    (r1) 상기 편집위원장에게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r2) 상기 편집위원장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로그인 처리하고,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편집위원장에 상응하는 기능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
    (r3) 상기 편집위원장의 기능 버튼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r4) 상기 편집위원장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접속 권한을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의 접속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s) 상기 분과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단계는
    (s1) 상기 편집위원장에게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과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s2) 상기 편집위원장으로부터 분과 명칭을 입력 받아 상기 분과 명칭에 상응하는 분과를 생성하고, 상기 분과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s3)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갱신된 분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3)단계는
    상기 (r3)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회원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갱신된 분과 정보를 담당 분과 정보로서 제공하며,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논문투고자로부터 상기 논문의 서지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b2)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논문 저자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논문투고자로부터 상기 논문의 저자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b3)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논문 파일 업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논문투고자가 업로드한 상기 논문의 원문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b4)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보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b5) 상기 논문투고자에게 상기 논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 제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3)단계는
    상기 (b1)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논문 서지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갱신된 분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1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
  10. 삭제
KR1020160004144A 2016-01-13 2016-01-13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KR10173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144A KR101736955B1 (ko) 2016-01-13 2016-01-13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144A KR101736955B1 (ko) 2016-01-13 2016-01-13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955B1 true KR101736955B1 (ko) 2017-05-17

Family

ID=5904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144A KR101736955B1 (ko) 2016-01-13 2016-01-13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9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0B1 (ko) *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0B1 (ko) *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8299B2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US20210125120A1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548930B2 (en) Platform for management of internet based public communications and public comment
US200700330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eeting
US8117131B2 (en) Distributed technology transfer department
US20090222382A1 (en) Platform for management of internet based public communications and public comment
US201302188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ant management and funding
US201100293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pliance Functions in a Business Entity
US11151233B2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US20050108232A1 (en) Electronic submittal method and system
US11095576B2 (en) Automated, user implemented, secure document and communication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551174B2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8165625A (ja) 著作物管理システム
JP2021168115A (ja) クラウド型契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102190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public forums
KR101769507B1 (ko) 논문 교정 및 출판 편집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KR101655317B1 (ko) 논문 투고 및 심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CN116756711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KR101769498B1 (ko)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는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US20200311233A1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KR101736955B1 (ko) 분과확장성을 고려한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US20080307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on document management and distribution
JP2020184245A (ja) 裁判外紛争解決手続システム
Akiyoshi et al. Effective Decision Rules for Systems of Public Engagement in Radioactive Waste Disposal: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O202324321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