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642B1 -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642B1
KR101736642B1 KR1020150191572A KR20150191572A KR101736642B1 KR 101736642 B1 KR101736642 B1 KR 101736642B1 KR 1020150191572 A KR1020150191572 A KR 1020150191572A KR 20150191572 A KR20150191572 A KR 20150191572A KR 101736642 B1 KR101736642 B1 KR 10173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operation
control
user
operation cont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의 내용에 관한 제어 조작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Monitoring Screen in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본 발명은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합적 제어 조작 대상에 대해 코딩을 수반하지 않는 사용자 엔지니어링에 의한 제어조작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an Machine Interface: MM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은 통신경로상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원격장치의 상태정보데이터를 원격단말로 수집, 수신, 기록 및 표시함으로써 중앙제어시스템이 원격장치를 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은 발전, 송배전 시설, 석유화학플랜트, 제철공정시설, 공장자동화 시설 등 여러 종류의 원격지 시설장치를 중앙집중적으로 감시 및 제어한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은 보통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태그(tag)나 포인트(point)라고 불리는 데이터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감시제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상위 시스템은 하위에서 원격으로 취득되는 데이터를 포인트 형태로 모델링하여 관리한다. 포인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디지털 포인트(115)와 연속되는 실수값을 가지는 아날로그 포인트(125)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포인트에 대한 태깅 조작 및 제어 조작은 각 포인트 모델에 대한 제어 조작창(110, 12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포인트(115)에 대해서는 해당 포인트의 값을 0 또는 1로 변환하는 디지털 포인트 제어 조작창(110)이 제공되고, 아날로그 포인트(125)에 대해서는 해당 포인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아날로그 포인트 제어 조작창(120)이 제공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감시제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단일 포인트 모델을 다루지 않고, 다수의 포인트 모델이 집합적으로 이루어진 디바이스(220)를 통해 하나의 제어 조작창(210)에서 다수의 포인트 모델을 다룰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정 디바이스(220)의 운영 요구 사항을 파악하여 특정 디바이스(220)에 대해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 전용 제어 조작창(210)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220)는 디바이스 전용 제어 조작창(210)을 통하여 디지털 포인트(222) 및 아날로그 포인트(224)에 대한 태깅 조작 및 제어 조작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 환경은 사용자의 요구가 충족되는 경우 모든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이 있으나, 특정 디바이스의 집합적인 개념에서는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그 자체로 고정적이며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 환경 밖에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만일 사용자가 다수의 포인트 모델을 포함하는 집합적인 개념의 디바이스 단위 제어 조작 환경을 원하는 경우, 특정 디바이스의 데이터 모델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작해야 하고 이에 대한 제어 조작창 역시 별도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 단위의 제어 조작 환경은 특정 디바이스 모델을 제작하고 이에 적합한 디바이스 전용의 제어 조작창을 제작함으로써 특정 환경에 대응할 수는 있으나, 디바이스 모델이 달라지거나 새로운 디바이스 모델이 요구되는 경우 시스템에 대한 추가 개발이 필요하며 유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창을 지원하면서도, 특정 디바이스에 대해 추가 개발 없이 엔지니어링 및 설정 작업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의 제어 조작창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에 의해 제안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의 내용에 관한 제어 조작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방법은,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의 내용에 관한 제어 조작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창을 지원하면서도 특정 디바이스에 대해 추가 개발 없이 엔지니어링 및 설정 작업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의 제어 조작창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 환경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포인트 단위 및 디바이스 단위의 두 가지 방식이 가진 장점을 모두 제공하여 사용자 운영 환경 및 요구 사항에 대한 유연성을 향상시켜 유지 보수성을 강화하고 시스템의 안정성 및 유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감시제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감시제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화면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을 개략적으로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화면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이 완료된 후 제어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해당 기술과 관련하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상세히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화면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을 구성하며, 전력에 대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운영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원격장치의 상태정보데이터를 수집, 수신, 기록 및 표시함으로써 원격장치를 감시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제어부(3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조작 명령이 입력 되면 상기 조작 명령을 송신한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키 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창과 특정 디바이스 단위의 제어 조작창을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창은 특정 타입의 포인트에 대하여 제어 조작 명령이 요구되는 경우 실행된다. 특정 타입의 포인트에 대하여 조작을 원하는 사용자가 제어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이에 대한 요청을 받아 들인 후 미리 설정된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창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조작을 원하는 포인트 단위에 대한 고유의 키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제어 조작창을 생성하며, 사용자가 생성된 제어 조작창을 통해 조작 명령을 입력하면 포인트에 대한 고유 키와 이에 대한 조작 명령값을 인식한다.
특정 디바이스 단위의 제어 조작창은 특정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어 조작 명령이 요구되는 경우 실행된다. 특정 디바이스에 대하여 조작을 원하는 사용자가 제어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310)는 이에 대한 요청을 받아 들인 후 미리 설정된 특정 디바이스 전용의 제어 조작창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310)는 특정 디바이스에 소속된 다수의 포인트 키들의 내용을 미리 알고 있으며 각 키에 대한 조작 내용이 전용 제어창에 구현되어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조작을 원하는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의 키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제어 조작창을 생성하며, 사용자가 생성된 제어 조작창을 통해 조작 명령을 입력하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키와 이에 대한 조작 명령값을 인식한다.
한편, 포인트 단위의 제어 조작창과 특정 디바이스 단위의 제어 조작창에 포함되는 내용은 제어 조작 컨텐츠에 의하여 정해지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10)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의 내용에 관한 제어 조작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작 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 요소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포인트 모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일 조작 요소가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인 경우, 제어부(310)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으로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하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을 다른 디바이스로 변경하거나 또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조작 요소가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포인트 모델에 대한 것이라면, 제어부(310)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으로 특정 포인트 모델을 추가하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을 다른 포인트 모델로 변경하거나 또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에서 특정 포인트 모델을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 조작 컨텐츠의 표시위치 및 캡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 입력은 조작 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에 관한 사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요소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은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으로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하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을 다른 디바이스로 변경하거나 또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삭제하는 내용이 된다. 또한, 상기 조작 요소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포인트 모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은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으로 특정 포인트 모델을 추가하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을 다른 포인트 모델로 변경하거나 또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에서 특정 포인트 모델을 삭제하는 내용이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조작 컨텐츠의 조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 조작 컨텐츠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조작 컨텐츠의 조작을 위하여 제어 조작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된다.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어 조작 컨텐츠의 표시위치 및 캡션의 변경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 조작 컨텐츠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330)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를 포함하는 제어 조작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3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검출기(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화면표시 장치(미도시)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디바이스 키 값과 이에 대응하는 제어 조작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340)는 제어 조작 컨텐츠 저장부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을 개략적으로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조작 컨텐츠(400)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다수의 조작 요소(410)의 내용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조작 요소(410)는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객체, 조작 명령 및 조작 명령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조작 컨텐츠(400)는 감시화면표시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환경을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새롭게 생성되거나 편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어 조작 컨텐츠(400)에 다수의 조작 요소(410)를 추가하거나 제어 조작 컨텐츠(400)로부터 다수의 조작 요소(410)를 삭제함으로써, 제어 조작 컨텐츠(400)를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다.
제어 조작 컨텐츠(400)는 사용자가 제어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시점에서 후술하는 제어 조작창(600)으로부터 디바이스 키를 전달 받으며, 이를 제어 조작 컨텐츠(400)에 소속된 각 조작 요소(410)에 전달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조작 요소(410)는 사용자가 엔지니어링 시 조작 요소(410)에 부여되는 파라미터 값과 제어 조작 컨텐츠(400)로부터 전달받은 키를 결합하여 제어 대상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포인트의 집합 개념인 데이터 타입을 엔지니어링 단계에서 정의할 수 있고 연관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정의한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제어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 조작창이 표시해야 할 제어 조작 컨텐츠(400)를 지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화면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에 대한 설명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 요청이 있는 경우,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의 내용에 관한 제어 조작 컨텐츠(400)를 표시한다(S501).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400)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다(S502).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 조작 컨텐츠(400)를 변경한다(S503).
구체적으로,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다수의 조작 요소(410)의 추가, 변경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 요소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포인트 모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만일 조작 요소가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인 경우,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으로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하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을 다른 디바이스로 변경하거나 또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조작 요소가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포인트 모델에 대한 것이라면,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으로 특정 포인트 모델을 추가하거나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을 다른 포인트 모델로 변경하거나 또는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대상에서 특정 포인트 모델을 삭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감시화면표시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 조작 컨텐츠(400)의 표시위치 및 캡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이 완료된 후 제어 조작 명령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조작 요청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고, 도 7은 사용자의 조작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 조작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 8은 제어 조작창이 전달받은 파라미터를 제어 조작 컨텐츠에 전달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 9는 조작 요소에서 대상으로 하는 제어 대상의 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도 10은 사용자가 제어 수행을 하는 경우 조작 요소가 키를 생성하여 시스템의 제어 수행 영역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엔지니어링이 완료된 후 특정 디바이스(610)에 대해 사용자 조작 요청이 발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조작창(600)이 실행된다. 이때 제어 조작창(600)에는 두 개의 파라미터가 전달되는데, 하나는 대상 디바이스 키이고 다른 하나는 제어 조작 컨텐츠명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조작창(600)은 파라미터로 받은 제어 조작 컨텐츠명에 해당하는 다수의 제어 조작 컨텐츠들(710)을 찾아 이를 제어 조작창(600) 내의 제어 조작 컨텐츠(400)의 내용으로 로딩한다.
도 7에서는 제어 조작 컨텐츠(400)가 제어 조작창(600)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400)는 제어 조작창(600)과는 독립적으로 별개의 창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조작창(600)은 파라미터로 전달받은 디바이스 키를 제어 조작 컨텐츠(400)의 파라미터로 전달하고, 제어 조작 컨텐츠(400)는 전달 받은 디바이스 키를 자신에게 소속된 조작 요소들에게 파라미터로 전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조작 요소(910)는 제어 조작 컨텐츠(400)로부터 전달받은 디바이스 키와 사용자가 제어 조작 컨텐츠의 엔지니어링 시 입력한 파라미터를 결합하여 조작 요소(910)에서 대상으로 하는 제어 대상의 키를 생성해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후 사용자가 제어 조작 내용을 조작 요소(910)가 제시하는 방식에 따라 입력하고 제어 수행을 하는 경우, 조작 요소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 내용과 대상 키를 시스템의 제어 수행 영역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별도의 코드 개발 없이 엔지니어링 및 설정 작업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의 제어 조작창을 제공함으로써 제어 조작 환경 구축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디지털 포인트 제어 조작창 120: 아날로그 포인트 제어 조작창
115, 222: 디지털 포인트 125, 224: 아날로그 포인트
210: 디바이스 전용 제어 조작창 220, 610: 디바이스
300: 감시화면표시 장치 310: 제어부
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30: 디스플레이부
400: 제어 조작 컨텐츠 410, 910: 조작 요소
600: 제어 조작창 400, 710: 제어 조작 컨텐츠

Claims (6)

  1.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에 있어서,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를 포함하는 제어 조작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의 조작 명령과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디바이스 키 값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어 조작 컨텐츠 저장부; 및
    상기 조작 명령이 입력 되면 상기 조작 명령을 송신한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키 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는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요소의 내용에 관한 것인 감시화면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 저장부에 상기 조작 요소를 추가하거나, 상기 제어 조작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조작 요소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감시화면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는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것인 감시화면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는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포인트 모델에 대한 것인 감시화면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조작 컨텐츠의 표시위치 및 캡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감시화면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일체로 구현되는 감시화면표시 장치.
KR1020150191572A 2015-12-31 2015-12-31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736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572A KR101736642B1 (ko) 2015-12-31 2015-12-31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572A KR101736642B1 (ko) 2015-12-31 2015-12-31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642B1 true KR101736642B1 (ko) 2017-05-16

Family

ID=5903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572A KR101736642B1 (ko) 2015-12-31 2015-12-31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6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3725A1 (en) Industrial automation visualization dashboard creation paradigm
JP5850033B2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機器情報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6896762B (zh) 过程控制系统中的可配置用户显示
US9920944B2 (en) Wall module display modification and sharing
US20230334347A1 (en) Industrial Automation Control Code Change Management and Multiple Edit Integration
CN104808603A (zh) 用于用户显示或者工厂监控系统的具有快速可编辑特性的可重用的图形元素
US20110029102A1 (en) Graphical View Sidebar for a Process Control System
GB2466338A (en) Controlling multiple rig subsystems centrally, both locally and remotely
CN102150133B (zh) 用于向桌面应用程序提供公共时间操控服务的系统和方法
JP2003216348A5 (ja) 記憶装置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ならびにディスクアレイ装置および操作画面の表示方法
US202100965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election and building of industrial automation control systems from industrial automation control libraries and objects
US20210349435A1 (en) Presentation of graphical visualizations and control mechanisms in-line with programming logic
CN109358549A (zh) 一种挖掘机的智能控制方法及装置
US20100083110A1 (en) Human-machine interface having multiple touch display navigation capabilities
US106350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mart visualizations for effective monitoring and control in industrial process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s
EP3416004A1 (e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device management method, device management progra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36642B1 (ko)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감시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CN112292659B (zh) 通过从语义变焦增强用户接口调用开发工具来从控制计算机编写装置的代码
US20170277155A1 (en)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data engineering method thereof
JP6210108B2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機器情報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60052027A (ko) 관제 맵 기반 다이어그램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JP2011088554A (ja) ブロック配置支援システム及びブロック配置支援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KR101916771B1 (ko) 모니터링 장치 관리 방법
CN105446280A (zh) 工业过程控制快速生成系统及实现方法
EP3582113A1 (en)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n industrial system for efficiently searching, displaying and managing devices of the industri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