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579B1 - 어린이집 포켓도어 - Google Patents

어린이집 포켓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579B1
KR101736579B1 KR1020150089490A KR20150089490A KR101736579B1 KR 101736579 B1 KR101736579 B1 KR 101736579B1 KR 1020150089490 A KR1020150089490 A KR 1020150089490A KR 20150089490 A KR20150089490 A KR 20150089490A KR 101736579 B1 KR101736579 B1 KR 101736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ter
accommodating portion
fix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518A (ko
Inventor
김수원
Original Assignee
김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원 filed Critical 김수원
Priority to KR102015008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5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54Horizontally-sliding wing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wall; Pocke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도어들을 최대한 밀착되도록 중첩시켜 개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어린이집 포켓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전면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문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개방구를 갖으며 고정문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도어와 이 제1도어의 내부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도어와 제1, 2도어들의 저면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캐스터들과 고정문의 밑판에 제1, 2도어의 전단 캐스터들이 수용되는 캐스터수용부가 구비되며 이 캐스터수용부는, 고정문의 밑판의 전단부가 고정문의 개방구보다 안쪽으로 더 절단되어 형성된 제1캐스터수용부와 상기 고정문의 밑판이 제1캐스터수용부보다 내측으로 더 절단되되, 좌우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제2캐스터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린이집 포켓도어{POCKET DOOR FOR DAYCARE CENTER}
본 발명은 어린이집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도어들을 최대한 밀착되도록 중첩시켜 개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어린이집 포켓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실내 등의 출입구를 여닫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어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열고 닫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문과 미닫이문으로 구분된다. 여닫이문(Hinged door)은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를 회전시켜 작동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미닫이문(Sliding door)은 문틀의 홈에 도어를 끼우고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출입구를 열고 닫는 방식이다.
여닫이문은 문을 열고 닫을 시에 회전반경으로 인하여 출입문 주위의 공간을 이용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이에 비하여, 미닫이문은 회전반경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문은 실내도어 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 어린이집에서는 3단으로된 미닫이도어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닫이도어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벽체와 도어사이의 개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닫이 방식의 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레일이 있어야 하며, 돌출된 레일로 인하여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는 일이 발생된다. 특히 어린이집 같은 경우에는 어린이들이 장난이나 실수로 레일에 이물질을 넣는 경우가 많아서 레일이 자주 고장 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잦은 A/S를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수리 하기 위해서 다단의 미닫이문을 분리하는 일이 번거로우면 그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닫이도어의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어린아이들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도어와 벽체사이의 개방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어린이집 포켓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레일의 설치 없이도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어린이집 포켓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누구나 쉽게 도어를 분리하여 수리를 할 수 있는 어린이집 포켓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전면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문(110)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개방구를 갖으며 상기 고정문(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도어(120)와; 상기 제1도어(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도어(130)와; 상기 제1, 2도어(120, 130)들의 저면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캐스터(140)들과; 상기 고정문(110)의 밑판(112)에 상기 제1, 2도어(120, 130)의 전단 캐스터(142, 146)들이 수용되는 캐스터수용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캐스터수용부(113)는, 상기 고정문(110)의 밑판(112)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문(110)의 개방구보다 안쪽으로 더 절단되어 형성된 제1캐스터수용부(113a)와 상기 고정문(110)의 밑판(112)이 상기 제1캐스터수용부(113a)보다 내측으로 더 절단되되, 좌우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제2캐스터수용부(113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도어(130)의 전면에 상기 고정문(110)의 전면 개방구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방구커버(13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문(110)과 상기 제1 도어(120)의 개방구쪽의 내측 상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차단턱(115, 125)이 돌출되며, 이 차단턱(115, 125)에 걸려 상기 제1, 2도어(120. 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2도어(120, 130)의 상면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걸림턱(121, 131)이 돌출되고, 상기 제1 도어(120) 또는 제2 도어(130)를 분리 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걸림턱(121, 131)과 차단턱(115, 125)이 맞닿아 있는 상단부를 기점으로 제1 도어(120) 또는 제2 도어(130)를 외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는, 고정문의 밑판에 제1, 2도어의 캐스터가 수용될 수 있는 캐스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와 벽체사이의 개방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어린이와 같은 통행자의 이동의 용이함과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첩되어 있는 다수의 도어들과 이를 이동시키는 캐스터들로 인하여 레일의 설치없이도 도어들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실내공간에서의 사용이 편리하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들의 이탈을 막는 걸림턱과 차단턱이 도어들의 상단부에만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턱과 차단턱이 맞닿아 있는 상단부를 기점으로 도어들을 회전시켜 쉽게 분리 할 수 있어 레일의 고장에 따른 A/S비용을 절약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절단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개방공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가 열려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태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분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를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와, 도 5, 도 6에는 어린이집 포켓도어의 절단사시도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와,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전면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문(110)과, 고정문(110)에 수용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전면에 개방구를 갖는 제1도어(120)와, 제1도어(120)에 내장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도어(130)와, 제1도어(120)와 제2도어(130)의 밑판(112,122)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캐스터(14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이 편의를 위하여 고정문(110)과 제1도어(120)의 개방구방향을 전방으로 설정하여 설명하며, 이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며 살펴보면, 고정문(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개방구를 갖도록 밑판(112)과 상판(114), 후판(118), 양측판(116)으로 이루어진다. 상판(114) 전단부의 저면에는 제1차단턱(115)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문(110)의 개방구쪽 하단부에는 고정문(110)의 밑판(112)이 고정문(110)의 개방구보다 더 안쪽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캐스터수용부(113)를 갖는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100)의 고정문(110)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b는 위 도 3a에서 고정문(100)의 전방의 형태만을 도시한 일부 상세도이며, 설명의 편의상 캐스터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와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캐스터수용부(113)는 계단모양으로 구비되며, 고정문(110)의 밑판(112)이 고정문(110)의 개방구보다 내측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제1캐스터수용부(113a)와, 제1캐스터수용부(113a)보다 더 안쪽으로 절단되되, 좌우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어 절단된 제2캐스터수용부(113b)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고정문(110)의 개방구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제2캐스터수용부(113b)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모양으로 구비되는 캐스터수용부(113)에는, 도어를 닫는 경우에 캐스터가 부딪혀서 멈추게 하는 멈춤부가 구비된다. 제1캐스터수용부(113a)에 수용되는 제1캐스터(142)가 부딪혀서 멈추는 제1멈춤부(112a)와 제2캐스터수용부(113b)에 수용되는 제3캐스터(146)가 부딪혀서 멈추게 되는 제2멈춤부(112b)가 형성된다. 이때, 제1멈춤부(112a)와 제2멈춤부(112b)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단형상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캐스터수용부(113)는 후기하는 캐스터(140)들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공간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캐스터수용부(113a)에는 제2도어(130)의 제1캐스터(142)가 배치되며, 제2캐스터수용부(113b)에는 제1도어(120)의 제3캐스터(146)가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캐스터수용부(113)를 계단모양으로 구비함으로써, 캐스터(140)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가 닫히는 모습을 보면, 먼저, 제3캐스터(146)가 제2멈춤부(112b)에 부딪혀서 제2캐스터수용부(113b)에 안정적으로 수용되고, 이후 상기 제1캐스터(142)가 제1멈춤부(112a)에 부딪혀 멈추면서 제1캐스터수용부(113a)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종래 포켓도어의 경우 캐스터수용부가 계단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도어 개방 시 캐스터와 캐스터가 서로 부딪히는 등 도어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3캐스터(146)는 바닥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제1캐스터(142)는 바닥에서 보아 가운데 지점에 배치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도어(120)는 고정문(1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고정문(110)의 개방구로부터 출입하게 된다. 제1도어(120)는 고정문(110)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전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밑판(122)과 상판(124), 양측판(126), 후판(128)로 구성된다. 상판(124) 전단부의 저면에는 제2차단턱(12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판(124)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1걸림턱(121)을 갖는다. 제1도어(120)의 밑판(122)의 저면에는 제3, 4캐스터(146, 148)가 각각 전단부와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3캐스터(146)는 지면에 맞닿아 구름운동하도록 결합되며, 제4캐스터(148)는 고정문(110)의 밑판(112)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제3캐스터(146)는 제2캐스터수용부(113b)와 같은 위치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캐스터수용부(113b)를 따라 제3캐스터(146)도 우측으로 편향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 4캐스터(148)는 제1도어(120)가 고정문(110)으로부터 열려있는 상태에서 제2캐스터수용부(113b)에 위치할 수 있도록 좌측으로 편향되어 구비되어 있다.
제2도어(130)는 제1도어(120)의 내부 수용공간에 내장되어 제1도어(120)의 전면 개방구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며 출입하게 된다. 제2도어(130)는 고정문(110), 제1도어(120)와 같이 여러 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측벽(13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측벽(132) 상단의 후단부에는 제2걸림턱(131)이 마련되어 있다. 측벽(132) 저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제1캐스터(142)와 제2캐스터(144)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제1캐스터(142)는 지면과 맞닿아 구름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제2캐스터(144)는 제1도어(120)의 밑판(122)에 놓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측벽(132)의 전면에는 고정문(110)의 개방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고정문(110)의 개방구에 대응하는 크기의 개방구커버(134)가 고정되어 있다. 개방구커버(134)의 상단부에는 어린이집 포켓도어(100)가 닫혀있을 시 제2도어(130)를 용이하게 빼어낼 수 있도록 커버손잡이홈(134a)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한 바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를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100)의 개방공간(D)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100)는 고정문(110)의 전면 개방구로부터 안쪽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제1캐스터(142)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인 제1캐스터수용부(113a)를 갖는다. 제1캐스터수용부(113a)로부터 밑판(112)이 안쪽으로 더 절단되되, 좌우 어느한쪽으로 편향되어 일부만 절단되어 있는 제2캐스터수용부(113b)에 순차적으로 캐스터(140)들을 수용함으로써 충분한 개방공간(D)을 가질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방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어린이 등과 같은 보행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어린이집 포켓도어(100)가 닫혀 있을 시에 제1도어(120)와 제2도어(130)는 고정문(110)에 완전히 삽입된다. 어린이집 포켓도어(100)의 문을 열고자할 시에는 제2도어(130)의 커버손잡이홈(134a)을 이용하여 잡아 당겨준다. 이후, 제2도어(130)는 제1도어(120)의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계속적인 이동 중 제2도어(130)의 제2걸림턱(131)이 제1도어(120)의 제2차단턱(125)에 걸리게 되면 제2도어(13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후, 제1도어(120)가 고정문(110)으로부터 이동하게 되며, 위와 마찬가지로 제1도어(120)의 제1걸림턱(121)이 고정문(110)의 제1차단턱(115)에 걸리면 이동이 제한될 때, 어린이집 포켓도어(100)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집 포켓도어(100)는 도어들의 분리가 용이하여, 고장이나 청소가 필요할시 누구나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리 및 청소를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도어(120)의 제2차단턱(125)에 제2 도어(130)의 제2걸림턱(131)이 걸려 정지되며, 이로 인하여 제2 도어(130)가 제1 도어(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1 도어(120)으로부터 제2 도어(130)을 분리 하고자 할 시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 처럼, 제2걸림턱(131)과 제2차단턱(125)이 맞닿아 있는 상단부를 기점으로 제2 도어(130)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도어(120)로부터 제2 도어(130)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문(110)으로부터 제1 도어(120)를 분리하는것도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 해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장에 따른 자가 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A/S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어린이집 포켓도어 110 : 고정문
113 : 캐스터수용부 115, 125 : 제1 제2차단턱
120 : 제1도어 121, 131 : 제1, 제2걸림턱
130 : 제2도어 134 : 개방구커버
140 : 캐스터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전면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고, 밑판(112)에는 상기 개방구로부터 안쪽으로 더 절단되어 형성된 제1캐스터수용부(113a)와 상기 제1캐스터수용부로부터 좌,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편향된 상태로 절단되어 형성된 제2캐스터수용부(113b)로 이루어진 계단모양의 캐스터수용부(113)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문(110);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개방구를 가지며 상기 고정문의 내부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저면의 전단부에 제3캐스터(166)가 고정되어 있는 제1도어(120); 및
    상기 제1도어의 내부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저면의 전단부에 제1캐스터(142)가 고정되어 있는 제2도어(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3캐스터는 상기 제2캐스터수용부와 위치가 대응되도록 좌,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치우쳐 상기 제1도어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문에 상기 제1도어가 완전히 수용될 경우 상기 제3캐스터는 상기 고정문의 제2캐스터수용부에 안착되며,
    상기 고정문에 상기 제1도어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에 상기 제2도어가 완전히 수용될 경우 상기 제1캐스터는 상기 고정문의 제1캐스터수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집 포켓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130)의 전면에 상기 고정문(110)의 전면 개방구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방구커버(13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집 포켓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110)과 상기 제1 도어(120)의 개방구쪽의 내측 상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차단턱(115, 125)이 돌출되며, 이 차단턱(115, 125)에 걸려 상기 제1, 2도어(120. 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2도어(120, 130)의 상면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걸림턱(121, 131)이 돌출되고,
    상기 제1 도어(120) 또는 제2 도어(130)를 분리 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걸림턱(121, 131)과 차단턱(115, 125)이 맞닿아 있는 상단부를 기점으로 제1 도어(120) 또는 제2 도어(130)를 외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집 포켓도어.
KR1020150089490A 2015-06-24 2015-06-24 어린이집 포켓도어 KR101736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90A KR101736579B1 (ko) 2015-06-24 2015-06-24 어린이집 포켓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90A KR101736579B1 (ko) 2015-06-24 2015-06-24 어린이집 포켓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18A KR20170000518A (ko) 2017-01-03
KR101736579B1 true KR101736579B1 (ko) 2017-05-29

Family

ID=5779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490A KR101736579B1 (ko) 2015-06-24 2015-06-24 어린이집 포켓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1024A (zh) * 2021-01-20 2021-06-04 南通金亿达门业有限公司 一种内腔式双层单轨道多功能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2555A (ja) * 2013-02-12 2014-08-25 Daiken Corp 補助扉内蔵引戸
CN104295221A (zh) 2014-09-30 2015-01-21 宁波市鄞州风名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折叠式伸缩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2555A (ja) * 2013-02-12 2014-08-25 Daiken Corp 補助扉内蔵引戸
CN104295221A (zh) 2014-09-30 2015-01-21 宁波市鄞州风名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折叠式伸缩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18A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8330B1 (en) Container assembly
US8960826B2 (en) Refrigerator
AU2014202834B1 (en) Toolbox
US8615928B2 (en) Safety gate
KR20120084215A (ko) 서랍식 냉장고
KR200410168Y1 (ko) 욕실 수납장의 미닫이 도어 개폐구조
WO2014026646A1 (zh) 容器盖子锁定机构及容器
KR101736579B1 (ko) 어린이집 포켓도어
EP1340598A2 (en) Container
US20190039233A1 (en) Toolbox
JP6787805B2 (ja)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の設置方法
CN104641066A (zh) 具有改进气密性的滑窗
KR101102519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US20170202720A1 (en) Incubator
KR20140147249A (ko) 도어장치
CA3037517A1 (en) Vent cover
KR102516645B1 (ko) 냉장고 냉기 커버 어셈블리
JP2016203981A (ja) 蓋付き容器
KR200472754Y1 (ko) 다용도 서랍장
JP3027764U (ja) 物品収容ケース
JP2003003724A (ja) 冷蔵庫等におけるスライド扉の開閉装置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1982169B1 (ko) 일체형 연동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KR101834489B1 (ko) 플라스틱 서랍장
KR101568395B1 (ko) 모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