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046B1 -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046B1
KR101736046B1 KR1020150149277A KR20150149277A KR101736046B1 KR 101736046 B1 KR101736046 B1 KR 101736046B1 KR 1020150149277 A KR1020150149277 A KR 1020150149277A KR 20150149277 A KR20150149277 A KR 20150149277A KR 101736046 B1 KR101736046 B1 KR 101736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prosthesis
cavity
filling
vortex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772A (ko
Inventor
김선인
권혁노
Original Assignee
김선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인 filed Critical 김선인
Priority to KR102015014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0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보철물(1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치아보철물(100)과 인접치아 사이에 발생한 구강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치아보철물(100)을 제거하여 치료한 후, 치아보철물(100)을 추가제작하여 다시 결합할 필요없이, 구강내에서 치아보철물(100)을 제거하지 않고, 구강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After prosthetic treatment, the dental prosthesis to eliminate the phenomenon of food stuck between teeth and method}
본 발명은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보철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치아보철물과 인접치아 사이에 발생한 구강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치아보철물을 제거하여 치료한 후, 치아보철물을 추가제작하여 다시 결합할 필요없이, 구강내에서 치아보철물을 제거하지 않고, 구강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아는 교합력 및 구강질병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하여, 치아 및 치아 주변의 잇몸 등에 손상이 발생한다.
구강내의 치아 또는 잇몸 등 손상이 발생한 경우, 외관상 심미적인 위축감이 발생하고, 또한 음식물을 섭취하기 힘들어 영양섭취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질병(만성 치주염, 치아 탈구, 치아 파절, 치아 우식증 등)이 발생한 치아부위를 제거하고 충전재치료 또는 보철치료를 하거나, 또는 사고에 의하여 치아 일부가 손실되거나, 질병이 심각하여 치아를 제거해야 될 경우, 치아 임플란트를 식립하거나, 치아 보철물을 이용하여 해당부위의 치아를 대신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이를 해결하고자,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치아 결손부위를 인공치를 통해 수복할 때 지대치의 무삭제 또는 최소 삭제가 가능하면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지대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져 치아 결손부위에 인공치를 겨고하게 이식할 수 있는 치아보철물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치아보철물을 사용하여 치아의 역할로서 사용한 경우, 일반 자연치는 치아보철물에 비하여 교합력이나 치주가 좋지않아, 치아보철물에 인접한 주변치아들의 이동으로 공간이 발생하고, 또한 치아보철물과 인접치아 사이에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끼어 추가적인 구강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했을 시, 치아보철물을 제거하여 구강질병을 치료하고, 다시 치아보철물을 재 제작한 후 원위치에 다시 결합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경우 추가적인 시간적, 금전적인 소요가 발생하여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09443호(2011.01.12)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치아보철물을 제작할 시,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한 측에 와동을 형성하여, 와동에 충전재로 충전하고, 상기 치아보철물과 인접치아 간의 구강질병이 발생했을 시, 상기 치아보철물의 와동에 충전재를 제거한 후, 구강질병을 치료하고, 치료후 다시 와동에 충전재로 충전하여, 치아보철물을 제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아보철물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은,
금속재질, 올세라믹, 복합레진, 지르코니아, PFG, PFM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 이상에 와동(400)이 형성되고,
구강 내의 치아, 임플란트보철, 인공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100);
및 치아보철물(100)을 결합하는 방식(크라운, 어버먼트결합, 임플란트보철)에 따라 치아보철물틀을 제작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작한 치아보철물틀에 금속재질, 시멘트, 올세라믹, 지르코니아, PFG, PFM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채워 금영제작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단계(S200) 후,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하고, 치아보철물(100)이 결합될 구강내의 인접한 인접치아 또는 인접보철물과 맞닿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 이상에 와동(400)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0);
형성된 와동(400) 내면에 레진오팩 또는 포세린오팩 처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치아보철물(100)에 와동(400)을 형성한 후, 와동(400)에 충전재를 채우는 제5단계(S5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한 후,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하는 제6단계(S6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한 후,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하는 제7단계(S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 제작 방법과
치아보철물(100)을 결합하는 방식(크라운, 어버먼트결합, 임플란트보철)에 따라 치아보철물틀을 제작하는 제1단계(S800);
상기 치아보철물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동(4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와동(400)틀을 형성하는 제2단계(S900);
상기 제작한 치아보철물틀에 금속재질, 시멘트, 올세라믹, 지르코니아, PFG, PFM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채우는 제3단계(S1000);
상기 제3단계(S1000) 후,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하는 제4단계(S1100);
형성된 와동(400) 내면에 레진오팩 또는 포세린오팩 처리하는 제5단계(S1200);
상기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한 치아보철물(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동(400)을 충전재로 충전하는 제6단계(S13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한 후,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하는 제7단계(S14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한 후,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하는 제8단계(S1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 제작 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라, 치아보철물(100)에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한 측에 와동(400)을 형성하고, 형성된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한 치아보철물(100)을 제공함으로써, 구강질병 발생시 와동(400)의 충전재를 제거하여 구강질병을 치료한 후, 다시 와동(400)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치아보철물(100)을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치아보철물(100)을 다시 제작하여 발생하는 시간적, 금전적 소요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구조 도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상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제작단계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제작단계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으로써,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고안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구조 도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상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제작단계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보철물 제작단계 도면이다.
도 1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으로써,
치아보철물(100)은 금속재질, 올세라믹, PFM, PFG, 지르코니아, 복합레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 이상을 포함하여 와동(400)이 형성되고,
구강 내의 치아, 임플란트보철, 인공치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은 크라운, 임플란트보철, 어버먼트, 브리지, 온레이 등을 포함한 방식의 보철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재질은 철, 금, 은, 티타늄, 지르코니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에 형성되는 와동(400)은 박스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와동(400) 내부에 충전재로 충전했을 시, 충전재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휘어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은,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상부 또는 측면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은,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의 면보다 1.2배 내지 1.8배의 크기로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의 크기는 1.5mm 내지 2.5mm의 높이와, 인접치아와 맞닿는 공간의 폭은 1.5mm 내지 2mm, 인접치아와 맞닿는 공간과 마주보는 면의 폭은 2mm 내지 3mm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치아보철물(100)을 구강 내에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치아보철물틀을 제작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치아보철물틀에 금속재질, 올세라믹, 복합레진, 지르코니아, 시멘트, PFG, PF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금영제작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단계(S200) 후,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하고, 치아보철물(100)이 결합될 구강내의 인접치아 또는 인접보철물과 맞닿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 이상에 와동(400)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0),
형성된 상기 와동(400) 내면에 레진오팩 또는 포세린오팩 처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치아보철물(100)에 와동(400)을 형성한 후,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하여 채우는 제5단계(S5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한 후,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하는 제6단계(S6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한 후,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하는 제7단계(S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보철물(100) 제작 방법.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치아보철물틀은 실리콘 또는 왁스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제2단계(S200)에서 금영제작시, 금속재질은 금, 은, 티타늄, 철 등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S300)에서 와동(400)을 형성할 시, 박스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와동(400) 내부에 충전재로 충전했을 시, 충전재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휘어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동(400)은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의 면보다 1.2배 내지 1.8배의 크기로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의 크기는 1.5mm 내지 2.5mm의 높이와, 인접치아와 맞닿는 공간의 폭은 1.5mm 내지 2mm, 인접치아와 맞닿는 공간과 마주보는 면의 폭은 2mm 내지 3mm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단계(S500)에서 상기 충전재는 아말감, 글래스 아이오노머, 레진, Metal-reinforced GI cement, resin-reinforced Gi cement, 복합레진, 세라믹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S600)에서 광조사를 가할 시, 상기 와동(400)에 충전한 충전재가 굳을 수 있도록, 반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7단계(S700)에서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할 시, 치아보철물(100)과 충전부위의 형태가 치아의 형상과 같도록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서술한 결합방식은 크라운, 임플란트보철, 인공치근, 어버먼트, 온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결합방식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치아보철물(100)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치아보철물(100)을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치아보철물틀을 제작하는 제1단계(S800), 상기 치아보철물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동(4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와동틀을 형성하는 제2단계(S900), 상기 제작한 와동(400)틀을 포함한 치아보철물틀에 금속재질, 시멘트, 올세라믹, 지르코니아, PFG, PFM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채워 금영제작하는 제3단계(S1000), 상기 제3단계(S1000) 후,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하는 제4단계(S1100), 형성된 와동(400) 내면에 레진오팩 또는 포세린오팩 처리하는 제5단계(S1200), 상기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한 치아보철물(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승의 와동(400)을 충전재로 충전하는 제6단계(S13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한 후,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하는 제7단계(S14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한 후,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하는 제8단계(S1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단계(S800)에서 치아보철물틀은 실리콘 또는 왁스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제2단계(S900)에서 와동(400)틀은 박스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와동(400) 내부에 충전재로 충전했을 시, 충전재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휘어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동(400)은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의 면보다 1.2배 내지 1.8배의 크기로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의 크기는 1.5mm 내지 2.5mm의 높이와, 인접치아와 맞닿는 공간의 폭은 1.5mm 내지 2mm, 인접치아와 맞닿는 공간과 마주보는 면의 폭은 2mm 내지 3mm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S1000)에서 금영제작시, 금속재질은 금, 은, 티타늄, 철, 지르코니아 등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6단계(S1300)에서 상기 충전재는 아말감, 글래스 아이오노머, 레진, Metal-reinforced GI cement, resin-reinforced Gi cement, 복합레진, 세라믹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7단계(S1400)에서 광조사를 가할 시, 상기 와동(400)에 충전한 충전재가 굳을 수 있도록, 반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8단계(S1500)에서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할 시, 치아보철물(100)과 충전부위의 형태가 치아의 형상과 같도록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계(S800)에서 서술한 결합방식은 크라운, 임플란트보철, 인공치근, 어버먼트, 온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결합방식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서술한 치아보철물(100) 제작 방법에서, 상기 단계 과정을 완료한 후, 세라믹재질을 사용하여 치아보철물(100) 외관에 도포하여 제작될 수 있는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보철물을 이용하여 구강내의 치아상부 또는 어버먼트, 인공치근 등에 결합하여 사용될 시, 상기 치아보철물과 인접한 인접치아 사이에 구강질병이 발생하여, 구강질병이 발생한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치아보철물을 제거한 후, 구강질병을 치료하고, 치아보철물을 재 제작하여 다시 결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 이상에 형성된 와동(400)과, 상기 와동(400)에 충전재를 이용하여 충전된 치아보철물(100)을 제공함으로써,
치료 시, 상기 치아보철물(100)을 제거하지 않고, 치아보철물(100)에 형성된 와동(400)의 충전재를 제거한 후, 상기 치아보철물(100)과 인접치아 사이에 발생한 구강질병을 치료하고, 치료한 후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에 다시 충전재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충전된 와동(400)에 광조사를 가하여 충전재를 굳힌 후, 치아보철물(100)의 형태에 맞게 다시 연마하여 치아보철물(100)을 제거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게끔 제공된다.
상기 와동(400)에 다시 충전하는 충전재는 상기 치아보철물(100)을 처음 제작할 시 사용된 충전재(아말감, 글래스 아이오노머, 레진, Metal-reinforced GI cement, resin-reinforced Gi cement, 복합레진, 세라믹 등)와 같은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된 와동(400)에 광조사를 가할 시, 충전된 충전재가 굳을 수 있도록 광조사를 반복하여 가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하게 된다면, 상기 문제점을 추가 치아보철물(100)을 재제작할 필요 없이 처음 제공된 치아보철물(100)을 장기간 사용하며, 치료시 와동(400)에 충전된 충전재를 제거하고, 구강질병 또는 치아에 손상으로 인한 문제를 치료한 후, 다시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하여 치아보철물(100)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으로 상기 치아보철물(100)을 제공하여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추가 치아보철물을 제작함으로 발생하는 추가적인 금전적, 시간적 소요를 감소시키고, 구강질병 또는 치아에 손상으로 인한 문제를 치료할 시 단시간에 쉽게 치료할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치아보철물
110 : 결합부
400 : 와동

Claims (3)

  1. 삭제
  2. 치아보철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치아보철물(100)을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치아보철물틀을 제작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작한 치아보철물틀에 금속재질, 올세라믹, 복합레진, 지르코니아, 시멘트, PFG, PF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금형 제작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단계(S200) 이후,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하고, 치아보철물(100)이 결합될 구강 내의 인접한 인접치아 또는 인접보철물과 맞닿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와동(400)을 형성하되,
    와동(400)을 형성할 시,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하되,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의 면보다 1.2배 내지 1.8배의 크기로 형성하며,
    와동(400) 내부에 충전재로 충전했을 시, 충전재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휘어짐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0);
    형성된 와동(400) 내면에 레진오팩 또는 포세린오팩 처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치아보철물(100)에 와동(400)을 형성한 후, 와동(400)에 충전재를 채우는 제5단계(S5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한 후,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하는 제6단계(S6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한 이후에,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하는 제7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 방법.
  3. 치아보철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치아보철물(100)을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치아보철물틀을 제작하는 제1단계(S800);
    상기 치아보철물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동(4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와동틀을 형성하되,
    와동(4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와동틀을 형성할 시, 와동틀에 의하여 형성되는 와동(400)은,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하되, 인접치아와 맞닿는 부위의 면보다 1.2배 내지 1.8배의 크기로 형성하며,
    와동틀 내부에 충전재로 충전했을 시, 충전재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휘어짐을 형성하도록 와통틀을 형성하는 제2단계(S900);
    상기 제작한 와동(400)틀을 포함한 치아보철물틀에 금속재질, 올세라믹, 복합레진, 지르코니아, 시멘트, PFG, PF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금형제작하는 제3단계(S1000);
    상기 제3단계(S1000) 후,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하는 제4단계(S1100);
    형성된 와동(400) 내면에 레진오팩 또는 포세린오팩 처리하는 제5단계(S1200);
    상기 치아보철물틀을 제거한 치아보철물(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동(400)을 충전재로 충전하는 제6단계(S13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와동(400)에 충전재로 충전한 후,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하는 제7단계(S1400);
    상기 치아보철물(100)의 충전부위에 광조사를 가한 후, 치아보철물(100) 및 충전부위를 연마하는 제8단계(S1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 방법.
KR1020150149277A 2015-10-27 2015-10-27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 KR10173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77A KR101736046B1 (ko) 2015-10-27 2015-10-27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77A KR101736046B1 (ko) 2015-10-27 2015-10-27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72A KR20170048772A (ko) 2017-05-10
KR101736046B1 true KR101736046B1 (ko) 2017-05-16

Family

ID=5874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277A KR101736046B1 (ko) 2015-10-27 2015-10-27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038B1 (ko) * 2009-11-19 2012-04-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삼차원 치아 시편
KR101318017B1 (ko) * 2012-03-09 2013-10-14 아트플러스덴탈랩(주) 치과용 임플란트 크라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373062B1 (ko) * 2013-01-04 2014-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용 어태치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038B1 (ko) * 2009-11-19 2012-04-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삼차원 치아 시편
KR101318017B1 (ko) * 2012-03-09 2013-10-14 아트플러스덴탈랩(주) 치과용 임플란트 크라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373062B1 (ko) * 2013-01-04 2014-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용 어태치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72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89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astema closure
US20080176189A1 (en) Dental demonstration template and matching temporary overlay
AU2014245860C1 (en) Partial dental prosthesis
US20110033815A1 (en) Method of Using a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with Digital Representation for Modeling Dental Restorations
US20180014917A1 (en) Dental implant unit
KR102177719B1 (ko) 하이브리드 치유 지대주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52731B (zh) 具有金屬假牙的活動式假牙
Hatai Extreme masking: achieving predictable outcomes in challenging situations with lithium disilicate bonded restorations
KR101487216B1 (ko) 파샬 덴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16247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736046B1 (ko) 보철 치료 후, 인접한 치아 사이 음식 끼는 현상 없애주는 보철물 제작방법
US20230149124A1 (en) Dental reparativ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Swati et al. Marginal strength of collarless metal ceramic crown
KR101196821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592395B1 (ko) 맞춤형 지대주 제조방법
US9084658B2 (en) Prefabricated composite layers for duplication of tooth structure and mucosal tissue
US20150030996A1 (en) HDZ Golden Smile Gold Inlay/Onlay PFM optional Tooth Tattoo
JP2007000324A (ja) 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61701A (ko) 치아 발치시 cad/cam을 이용한 완전 무삭제 브리지 치아 보철물 제작 방법
Martins et al. Composite pontics for orthodontic patients with extraction spaces.
Raskin An indirect technique for fabricating a crown under an existing clasp
KR101375151B1 (ko) 절치용 힐링 어버트먼트
KR101089367B1 (ko) 임플란트용 지르코니아 조립체
Aravind et al. Precision Attachment Retained Palatal Obturator in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KR20160059411A (ko) 치아 고정 장치 및 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