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918B1 -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918B1
KR101735918B1 KR1020150074900A KR20150074900A KR101735918B1 KR 101735918 B1 KR101735918 B1 KR 101735918B1 KR 1020150074900 A KR1020150074900 A KR 1020150074900A KR 20150074900 A KR20150074900 A KR 20150074900A KR 101735918 B1 KR101735918 B1 KR 101735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udio
environmen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649A (ko
Inventor
강인규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74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918B1/ko
Priority to JP2017561721A priority patent/JP6706633B2/ja
Priority to PCT/KR2016/005625 priority patent/WO2016190700A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918B1/ko
Priority to US15/806,848 priority patent/US1018751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2Applications of echo suppressors or cancellers in telephonic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36Quality of speech transmiss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5Statistics, e.g. about subscribers but not being call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된 환경설정정보가 적용되어,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통화를 위한 오디오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CALL}
아래의 설명은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여 통화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 통화기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종류별로 마이크, 스피커 등의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하나의 솔루션으로 모든 통화기기에서 좋은 통화품질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종래기술에 따른 음질개선시스템은 기기로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음성 품질을 개선한 후 음성 품질의 개선에 이용된 설정값을 기기에 저장한다. 이 경우 음질개선시스템은 매 통화시마다 설정값을 재활용하고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질개선시스템은 음성 품질이 안정구간에 도달하기까지 다수의 통화를 통한 적응기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통화를 통한 설정값의 적응 이전에는 음성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저장된 설정값이 사라지는 경우 처음부터 다시 해당 기기의 음성 품질의 개선을 위한 분석과 설정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서버에서 기기별로 설정값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서버측은 다양한 기기들을 구매하여 각 기기별 오디오 특성을 측정하여 기기별로 설정값을 미리 준비하고, 개별 기기들에게 미리 준비된 기기별 설정값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에 대해 서버측이 일일이 오디오 특성을 측정하여 설정값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시스템의 구축비용이 매우 크며 기기가 추가되거나 기존 기기들의 소프트웨어(통화 관련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되는 경우에도 다시 기기별로 설정값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비용도 매우 크고, 새로운 기기나 업그레이드된 기기에 대해서는 서버측에서 새로운 설정값을 위한 준비기간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자료: <PCT/KR/2014/010167, US20140019540A1, US20130332543A1, US20130260893>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의 통화 시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특성 신호를 기기 특성(일례로 기종별, 운영체제별, 국가별)별로 분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음질개선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들에게 기기 특성별로 미리 생성된 환경설정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된 환경설정정보가 적용되어,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통화를 위한 오디오 특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더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특성 정보는, ERL(Echo Return Loss), 잔여 반향 레벨(Residual Echo Level, LRES), ERLE(Echo Return Loss Enhancement), 잡음 레벨(noise level) 및 평균 음성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기 특성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기종이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spec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지역 및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2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은, 상기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system delay), 상기 전자 기기의 오디오 클립핑(clipping),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 잡음,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마이크로폰의 클럭(clock),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스피커의 클럭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의 지원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특성 정보는 상기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통계화되고, 상기 환경설정정보는 대응하는 기기 특성에 따라 상기 통계화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통해 기설정된 전자 기기의 환경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접속되는 전자 기기에서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기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통화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경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통화의 음성 품질 개선을 위한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화 시에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상기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가 생성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환경설정정보 관리부; 및 상기 수집된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환경설정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된 환경설정정보가 적용되어,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를 위한 오디오 특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기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통화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환경설정정보 수신부; 상기 환경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통화의 음성 품질 개선을 위한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오디오 특성 제어부; 및 상기 통화 시에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오디오 특성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상기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가 생성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의 통화 시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특성 신호를 기기 특성(일례로 기종별, 운영체제별, 국가별)별로 분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음질개선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들에게 기기 특성별로 미리 생성된 환경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기기 특성의 다수의 단말기들에 대한 오디오 특성의 통계를 이용하여 별도의 적응기간 없이도 안정적인 통화 품질을 보장할 수 있고, 새로운 전자 기기의 출시나 업그레이드된 전자 기기에 대한 측정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초기 시스템의 구축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품질개선을 위한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전자 기기에서의 통화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품질개선을 위한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은 전자 기기(110, 120, 130, 140), 서버(150) 및 네트워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는 다른 기기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장치의 예로서 도 1에서는 4 개의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동작 환경의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자 기기(110, 120, 130, 140) 각각은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통신망이나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 음성통화가 가능한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기기(110, 120, 130, 140) 각각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6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 및/또는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60)는 일례로,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각각은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와 네트워크(160)를 통해 통신하여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또는 복수의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로 음성품질 개선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와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110)는 메모리(211), 프로세서(212), 통신 모듈(21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150) 역시 메모리(221), 프로세서(222), 통신 모듈(22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음성 통화의 음성품질 개선을 위한 전자 기기(110)용 코드 또는 서버(150)용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개발자들이 네트워크(16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60)를 통해 다른 기기(전자 기기(110)의 관점에서의 서버(150)와 서버(150) 관점에서의 전자 기기(110)를 포함함)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에서 발생한 요청 메시지가 통신 모듈(213)과 네트워크(16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가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60)를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가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하거나 또는 전자 기기(110)와 연계될 수 있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로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널,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출력 장치로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서버(150)에 포함된 프로세서(2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310), 환경설정정보 관리부(320) 및 환경설정정보 전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50)를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수신부(310)는 제1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1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기기(110)의 일례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음성품질 개선을 위한 서비스를 위해 제1 전자 기기에 설치(install)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1 전자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통화 시에 오디오 특성 정보를 측정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310)는 전송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특성 정보는 ERL(Echo Return Loss), 잔여 반향 레벨(Residual Echo Level, LRES), ERLE(Echo Return Loss Enhancement), 잡음 레벨(noise level) 및 평균 음성 레벨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음성품질의 개선을 위해 활용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특성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들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420)에서 수신부(310)는 제1 전자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1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기기 특성 정보 역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측정되어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수신부(310)는 전송된 기기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기 특성 정보는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기종이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전자 기기의 성능과 관련된 사양(specification),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 전자 기기의 통화지역 및 전자 기기의 통화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은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system delay), 전자 기기의 오디오 클립핑(clipping), 전자 기기의 전원 잡음,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마이크로폰의 클럭(clock),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스피커의 클럭 및 전자 기기의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의 지원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특성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들에 대해서도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430)에서 환경설정정보 관리부(320)는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특성 정보는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통계화될 수 있다. 이때, 환경설정정보는 대응하는 기기 특성에 따라 통계화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통해 기설정된 전자 기기의 환경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모델의 스마트폰들(특정 기기 특성의 전자 기기들)로부터 오디오 특성 정보들이 수집될 수 있고,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들의 통계값을 통해 해당 A 모델의 스마트폰에 대한 환경설정값이 생성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수신부(310)는 제2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2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기기 역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기기(110)의 일례로서 앞서 설명한 제1 전자 기기와 동일한 기기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기기일 수도 있다. 기기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앞서 단계(420)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환경설정정보 전송부(330)는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제2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기기 특성 정보를 통해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이 확인되면, 환경설정정보 전송부(330)는 확인된 기기 특성에 대응하는 환경설정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기기가 상술한 예에서의 A 모델의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경우 환경설정정보 전송부(330)는 A 모델의 스마트폰에 대해 생성된 환경설정값을 포함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제2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된 환경설정정보가 적용되어, 제2 전자 기기의 통화를 위한 오디오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
이처럼 서버는 다수의 전자 기기들로부터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기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기기 특성별로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전자 기기들이 매 통화 시마다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환경설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갱신 및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서버가 개별 전자 기기들을 구매하여 오디오 특성을 미리 실험하여 파악하지 않더라도, 오디오 특성의 제어가 필요한 전자 기기들로부터 수집 및 통계화된 오디오 특성에 따라 해당 기기 특성에 알맞은 환경설정정보를 바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2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 정보 역시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2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수신되어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더 분류될 수 있다. 이처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전자 기기들이 통화를 할 때마다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가 기기 특성에 따라 분류 및 통계화되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쉽게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가 구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 기기(110)에 포함된 프로세서(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부(510), 환경설정정보 수신부(520), 오디오 특성 제어부(530) 및 오디오 특성 정보 수집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도 6의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610 내지 650)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전송부(510)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기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앞서 설명한 서버(150)에 대응될 수 있다. 기기 특성 정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기종이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전자 기기의 성능과 관련된 사양(specification),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specification), 전자 기기의 통화지역 및 전자 기기의 통화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은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system delay), 전자 기기의 오디오 클립핑(clipping), 전자 기기의 전원 잡음,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마이크로폰의 클럭(clock),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스피커의 클럭 및 전자 기기의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의 지원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특성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들에 대해서도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620)에서 환경설정정보 수신부(520)는 통화 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여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서버가 제공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가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수신된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를 검색하여 전자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고, 환경설정정보 수신부(520)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환경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는 전자 기기들의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기기 특성별로 분류하고, 통계화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서버는 단계(610)에서와 같이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기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찾아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오디오 특성 제어부(530)는 환경설정정보를 적용하여 통화의 음성 품질 개선을 위한 오디오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특성 제어부(530)는 환경설정정보가 포함하는 환경설정값을 이용하여 각종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오디오 특성 정보 수집부(540)는 통화 시에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단계(650)에서 전송부(510)는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로 전송된 오디오 특성 정보 역시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통계화되어 환경설정정보를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전자 기기에서의 통화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자 기기(700)가 스피커(710)와 마이크로폰(720)을 포함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마이크로폰(720)으로 입력되어 캡처(capture)되는 신호 x는 발화된 음성 s와 외부의 잡음 n 그리고 스피커(710)를 통해 출력되는 에코 e(에코 e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면서 선형특성을 갖는 에코 elinear과 비선형 특성을 갖는 에코 enon-linear로 구성될 수 있음)의 합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처되는 신호 x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51427289-pat00001
따라서 캡처되는 신호 x에서 외부의 잡음 n과 에코 e를 빼면 발화된 음성s를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5051427289-pat00002
예를 들어, 전자 기기가 포함할 수 있는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은 이러한 에코 e와 잡음 n을 제거하고 이득(gain)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기기 특성 정보로서 기종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기기의 상품명이나 모델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운영체제의 명칭, 버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성능과 관련된 사양은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의 정보 및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메모리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specification)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system delay), 전자 기기의 오디오 클립핑(clipping), 전자 기기의 전원 잡음,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마이크로폰의 클럭(clock),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스피커의 클럭 및 전자 기기의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의 지원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은 에코 e와 캡처된 신호 x사이의 지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클립핑은 입력된 마이크로폰 신호가 설정한 크기 내에서 입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잡음은 DC 전원 노이즈를, 마이크로폰의 클럭과 스피커의 클럭은 마이크로폰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나 스피커의 샘플링 레이트인 클럭스큐(clock skew)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의 지원 여부는 말 그대로 앞서 설명한 음질개선시스템이 전자 기기에 적용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의 통화지역은 국가나 전자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별로 통화 소리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고, 조용한 통화가 요구되는 장소나 지역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기종, 운영체제, 사양의 전자 기기라 하더라도 전자 기기가 병원이나 도서관과 같은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피커의 소리를 작게 조절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의 통화모드는 핸즈셋, 핸즈프리, 이어셋, 블루투스 등과 같이 부가 기기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어떠한 부가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디오 특성 정보는 ERL(Echo Return Loss), 잔여 반향 레벨(Residual Echo Level, LRES), ERLE(Echo Return Loss Enhancement), 잡음 레벨(noise level) 및 평균 음성 레벨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음성품질의 개선을 위해 활용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RL은 입력된 에코의 비율(echo ratio)을 나타내는 것으로 값이 작을수록 큰 에코가 들어옴을 의미할 수 있다. 잔여 반향 레벨은 선형적 특성의 에코를 추출한 이후에 남은 에코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값이 클수록 남은 에코가 많이 제거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ERLE는 비 선형적 특성의 에코를 제거하고 남은 에코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값이 클수록 남은 에코가 많이 제거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평균 음성 레벨은 발화된 음성의 평균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환경설정값은,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 AEC (Acoustic Echo Cancellation), 노이즈 억제(Noise Suppression, NS), HPF(High Power Field), AGC(Automatic Gain Control), 스큐 보상(skew compensation),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 및 코덱(codec)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서버(150)가 수집한 전자 기기(110)의 오디오 특성 정보와 기기 특성 정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기명 iphone6
운영체제 ios8.3
통화지역 Korea
통화모드 핸즈프리
시스템 지연 300
ERL 0
LRES 30
ERLE 50
잡음 레벨 10
음성 레벨 10
마이크로폰 클럭 1
스피커 클럭 0.98
전원 잡음 1
또한 아래 표 2는 서버(150)가 다수의 전자 기기들로부터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통계화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기명 iphone6
운영체제 ios8.3
통화지역 Korea
통화모드 핸즈프리
평균 시스템 지연 300
표준 시스템 지연 5
평균 ERL 0
평균 LRES 30
평균 ERLE 50
평균 잡음 레벨 10
평균 음성 레벨 10
평균 신호대잡음비 1
평균 마이크로폰 클럭 1
평균 스피커 클럭 0.98
평균 전원 잡음 1
아래 표 3은 기준 품질 지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준 품질 지표는 특정 기기 특성에 대해 기준이 되는 품질의 지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당 값은 기설정될 수 있다.
기기명 iphone6
운영체제 ios8.3
통화지역 Korea
통화모드 핸즈프리
표준 시스템 지연 1 이하
평균 ERLE 55dB 이상
평균 음성 레벨 30dB 이상
평균 신호대잡음비 30dB 이상
클럭 0.01 이하
평균 전원 잡음 3 이하
서버(150)는 표 2의 통계값과 표 3의 기준 품질 지표를 비교하여 해당 기기 특성의 전자 기기를 위한 설정값(환경설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평균 시스템 지연을 표 2의 평균 시스템 지연으로 설정하고, 통계값의 평균 ERLE의 값이 기준 품질 지표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AEC(Acoustic Echo Cancellation) 기능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통계값의 평균 음성 레벨이 기준 품질 지표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AGC(Automatic Gain Control) 레벨을 강하게 설정 변경하고, 통계값의 평균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가 기준 품질 지표를 만족하지 못하기 노이즈 억제(Noise Suppression, NS)를 강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150)는 통계값의 클럭이 기준 품질 지표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큐 보상(skew compensation)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기준 품질 지표의 평균 전원 잡음을 만족할 수 있도록 HPF(High Power Field) 모드를 오프(off) 하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변경에 따라 전자 기기(110)로 전송되는 환경설정정보는 아래 표 4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통화모드 핸즈프리
시스템 지연 300
AEC 모드 3
NS 모드 4
HPF 모드 0
스큐 보상 0.02
AGC 모드 4
상술한 표 1 내지 표 4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CPU 정보에 따라 음질개선시스템 또는 코덱(codec)의 복잡성(complexity)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CPU 클럭이 1.0GHz인 경우 AEC, NS(Noise Suppression), 음질개선시스템 및 코덱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적으로 높은 복잡성을 사용하도록 환경설정정보가 제공되고, CPU 클럭이 0.8GHz인 경우에는 AEC, NS, 음질개선시스템 및 코덱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적으로 낮은 복잡성을 사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잡성이 높다는 것은 연산량이 높더라도 음질개선을 위한 성능을 우선시함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복잡성이 낮다는 것은 음질개선을 위한 성능이 열화되더라도 연산량을 낮춤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의 크기에 따라서도 AEC, NS, 음질개선시스템 및 코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잡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의 통화 시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특성 신호를 기기 특성(일례로 기종별, 운영체제별, 국가별)별로 분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음질개선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들에게 기기 특성별로 미리 생성된 환경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기기 특성의 다수의 단말기들에 대한 오디오 특성의 통계를 이용하여 별도의 적응기간 없이도 안정적인 통화 품질을 보장할 수 있고, 새로운 전자 기기의 출시나 업그레이드된 전자 기기에 대한 측정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초기 시스템의 구축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집된 자료의 통계를 기반으로 전자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음질 개선의 효과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에서의 빠른 시스템 적응과 연산량, 메모리 사용량 등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 상기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는 다수의 전자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들과 기기 특성 정보들에 따라 기기 특성별로 생성 및 관리됨 -;
    제2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상기 관리되는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에서 검색하여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전송된 환경설정정보가 적용되어,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통화를 위한 오디오 특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더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컴퓨터로 구현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접속되는 전자 기기에서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기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통화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경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통화의 음성 품질 개선을 위한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화 시에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상기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가 생성 및 관리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된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가 상기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에서 검색되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특성 정보는, ERL(Echo Return Loss), 잔여 반향 레벨(Residual Echo Level, LRES), ERLE(Echo Return Loss Enhancement), 잡음 레벨(noise level) 및 평균 음성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특성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기종이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상기 전자 기기의 성능과 관련된 사양(specification)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지역 및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2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성능과 관련된 사양은,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메모리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은, 상기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system delay), 상기 전자 기기의 오디오 클립핑(clipping),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 잡음,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마이크로폰의 클럭(clock),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스피커의 클럭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의 지원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특성 정보는 상기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통계화되고,
    상기 환경설정정보는 대응하는 기기 특성에 따라 상기 통계화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통해 기설정된 전자 기기의 환경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값은, 상기 전자 기기의 시스템 지연, AEC(Acoustic Echo Cancellation), 노이즈 억제(Noise Suppression, NS), HPF(High Power Field), AGC(Automatic Gain Control), 스큐 보상(skew compensation), 음질개선시스템(Voice Quality Enhancement, VQE) 및 코덱(codec)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 시에 측정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집되는 상기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환경설정정보 관리부 - 상기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는 다수의 전자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특성 정보들과 기기 특성 정보들에 따라 기기 특성별로 생성 및 관리됨 -; 및
    상기 수집된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상기 관리되는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환경설정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된 환경설정정보가 적용되어,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를 위한 오디오 특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기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통화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환경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환경설정정보 수신부;
    상기 환경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통화의 음성 품질 개선을 위한 오디오 특성을 제어하는 오디오 특성 제어부; 및
    상기 통화 시에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디오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오디오 특성 정보 수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수집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가 상기 전자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분류된 기기 특성별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가 생성 및 관리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된 기기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환경설정정보가 상기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기기 특성별 환경설정정보에서 검색되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특성 정보는, ERL(Echo Return Loss), 잔여 반향 레벨(Residual Echo Level, LRES), ERLE(Echo Return Loss Enhancement), 잡음 레벨(noise level) 및 평균 음성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특성 정보는, 상기 전자 기기의 기종이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오디오 특성과 관련된 사양(spec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지역 및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특성 정보는 상기 기기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통계화되고,
    상기 환경설정정보는 대응하는 기기 특성에 따라 상기 통계화된 오디오 특성 정보를 통해 기설정된 전자 기기의 환경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0074900A 2015-05-28 2015-05-28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3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00A KR101735918B1 (ko) 2015-05-28 2015-05-28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7561721A JP6706633B2 (ja) 2015-05-28 2016-05-27 通話音質改善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PCT/KR2016/005625 WO2016190700A1 (ko) 2015-05-28 2016-05-27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5/806,848 US10187516B2 (en) 2015-05-28 2017-11-08 System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and methods for voice quality enhan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00A KR101735918B1 (ko) 2015-05-28 2015-05-28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49A KR20160139649A (ko) 2016-12-07
KR101735918B1 true KR101735918B1 (ko) 2017-05-15

Family

ID=5739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900A KR101735918B1 (ko) 2015-05-28 2015-05-28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87516B2 (ko)
JP (1) JP6706633B2 (ko)
KR (1) KR101735918B1 (ko)
WO (1) WO20161907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589A1 (ko) * 2019-11-25 2021-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0337B (zh) * 2015-05-12 2019-11-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频处理的性能提升方法及装置
US11024331B2 (en) * 2018-09-21 2021-06-01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using sound metadata
KR102512614B1 (ko) * 2018-12-12 2023-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개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3284500B (zh) * 2021-05-19 2024-0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115B1 (en) * 2006-11-22 2012-03-13 Securu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hannel recording
KR20060111036A (ko) * 2005-04-21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약전계 상황을 고려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34867B1 (ko) * 2005-12-09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질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172300B1 (ko) * 2006-01-13 2012-08-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실시간 통화품질 맵 서비스를 제공하는서버, 시스템 및 방법
US7873069B2 (en) * 2007-03-12 2011-01-18 Avay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characteristics of networked voice communications devices
KR101034554B1 (ko) * 2008-07-24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통화품질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34586B1 (ko) * 2011-07-29 2013-02-19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9185613B2 (en) * 2011-09-12 2015-11-10 Ofinno Technologies, Llc Handover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US9020132B2 (en) * 2012-03-13 2015-04-28 Avaya Inc. Contact center agent filtering and relevancy ranking
JP5706868B2 (ja) 2012-03-30 2015-04-22 Line株式会社 メッセンジャープラットフォームでアバタ/ゲーム/エンターテイメント機能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85226B1 (ko) 2012-06-12 2016-12-20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플랫폼의 인간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그래프를 활용한 메신저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9778A (ko) 2012-07-13 2014-01-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플랫폼의 사용자 관계정보에 기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5065001A1 (ko) 2013-10-31 2015-05-0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다양한 캐릭터를 이용하여 리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589A1 (ko) * 2019-11-25 2021-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49A (ko) 2016-12-07
US10187516B2 (en) 2019-01-22
JP2018521557A (ja) 2018-08-02
WO2016190700A1 (ko) 2016-12-01
US20180069958A1 (en) 2018-03-08
JP6706633B2 (ja)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918B1 (ko) 통화 음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317111B2 (ja) ハイブリッド型クライアントサーバ音声認識
JP6099556B2 (ja) 音声識別方法および装置
KR20190100334A (ko) 문맥상의 핫워드들
RU2689203C2 (ru) Гибкая схема для настройки языковой модели
US20140278415A1 (en) Voice Recognition Configuration Select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20190175101A1 (en) Daily cognitive monitoring of early signs of hearing loss
CN113241088B (zh) 语音增强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语音增强方法及装置
US10395658B2 (en) Pre-processing partial inputs for accelerating automatic dialog response
US10448154B1 (en) Enhancing voice quality for online meetings
JP2016161823A (ja) 音響モデル学習支援装置、音響モデル学習支援方法
WO2018118943A1 (en) Echo cancellation for keyword spotting
JP2024073501A (ja) キュー内で待機する呼に関する最適化
CN111612482A (zh) 对话管理方法、装置和设备
US9159329B1 (en) Statistical post-filtering for hidden Markov modeling (HMM)-based speech synthesis
US201702068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CN114257521B (zh) 流量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375370B2 (en) Audio capture on mobile client devices
KR101842777B1 (ko) 음질 개선 방법 및 시스템
CN113555031B (zh) 语音增强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语音增强方法及装置
US20230085012A1 (en) Ai based system and method for corners of trust for a caller
US20220222034A1 (en) Dynamically managing sounds in a chatbot environment
CN113658581A (zh) 声学模型的训练、语音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975795B (zh) 一种声源追踪方法和装置
CN111582456A (zh) 用于生成网络模型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