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562B1 -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562B1
KR101735562B1 KR1020160170248A KR20160170248A KR101735562B1 KR 101735562 B1 KR101735562 B1 KR 101735562B1 KR 1020160170248 A KR1020160170248 A KR 1020160170248A KR 20160170248 A KR20160170248 A KR 20160170248A KR 101735562 B1 KR101735562 B1 KR 10173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unit
flushing
adapter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송인식
김홍현
김원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네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네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네스지
Priority to KR102016017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8Lubric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의 오일을 플러싱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은 터빈의 오일이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며 순환유로를 바이패스 하여 외부로 오일을 배출시키는 제 1배출유로와 내부에 형성되어 플러싱된 오일을 순환유로로 공급시키는 제 1공급유로를 갖는 제 1어댑터 및 제 1어댑터에 연결되고 제 1배출유로 및 제 1공급유로와 각각 상호 연통되는 제 2배출유로 및 제 2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순환유로 상의 오일과 플러싱된 오일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터빈의 순환유로 상에 임시로 설치됨과 함께 순환유로를 바이패스 하여 독립적으로 필터링이 가능해지므로, 터빈의 오일 플러싱 공정 소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OIL FLUSHING ADAPTOR UNIT FOR POWER PLANT TURBINE AND FLU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의 베어링 등의 윤활유로 사용되는 오일을 플러싱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와 화력 발전소의 터빈은 증기의 공급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터빈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위해서는 증기 밸브를 이용하여 터빈으로 유입되는 증기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터빈의 작동을 위해 베어링이 배치되고, 터빈의 회전 시 베어링에는 높은 하중 및 마찰이 발생함에 따라 윤활을 위한 오일이 공급된다.
여기서, 터빈의 윤활유로 사용되는 오일은 일정 시간 사용 시 이물질 등이 베어링과 배관 등에 잔류함에 따라 터빈의 일정 기간 후 예방 정비를 통해 성능 유지를 위해 오일 플러싱(oil flushing)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화력, 복합 화력 및 발전기의 제작사별로 오일 플러싱의 방법은 각각 상이하나, 궁극적 목적으로는 사용 중인 오일을 윤활유 계통에 강제 순환을 실시하고 강제 순환 시 베어링 및 배관 등으로부터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일의 청정도를 향상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오일 플러싱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005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에 기재된 오일 플러싱 장치는 오일 플러싱을 수행할 때 필터가 막히거나, 격리를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펌프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오일 플러싱 작업 공정의 신뢰성 및 소요 시간 증대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0054호; 터빈의 윤활유 세정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을 순환하는 펌프의 정지 없이 터빈의 오일을 플러싱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터빈의 오일이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순환유로를 바이패스 하여 외부로 오일을 배출시키는 제 1배출유로와 내부에 형성되어 플러싱된 오일을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시키는 제 1공급유로를 갖는 제 1어댑터와, 상기 제 1어댑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배출유로 및 상기 제 1공급유로와 각각 상호 연통되는 제 2배출유로 및 제 2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순환유로 상의 오일과 플러싱된 오일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어댑터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제 1배출유로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순환유로로 유동되는 오일을 차단하고 삽입 방향을 따라 내부에 상기 제 1공급유로가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2어댑터와 결합되며 상기 제 1배출유로와 상기 제 2배출유로 및 상기 제 1공급유로와 상기 제 2공급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은 상기 제 2배출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배출유로로부터 제공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제 2공급유로의 유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2공급유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플러싱된 오일을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시키는 제 2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배출유로는 상기 제 1배출유로와 연결되어 오일을 상기 제 1커넥터로 가이드 하는 제 2메인 배출유로와, 상기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에 대응하여 동심원을 이루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배치되어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로부터 상기 제 1커넥터로 오일을 가이드 하는 제 2보조 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의 합계 단면적과 상기 제 1공급유로의 단면적은 유사 또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커넥터는 상기 제 2배출유로로부터 제공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몸체와, 상기 제 2어댑터와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되는 커넥팅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어댑터는 상호 결합 거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결합부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어댑터는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은 상기 순환유로 상에 삽입되는 상기 제 1결합부, 상기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어댑터 사이 및 상기 제 2어댑터와 상기 커넥팅 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오일의 누유를 저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실링부재 중 상기 제 2결합부 및 상기 제 2어댑터 사이 및 상기 제 2어댑터와 상기 커넥팅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실링부재의 기밀성은 상기 제 1결합부에 배치되는 상기 실링부재의 기밀성 보다 적은 기밀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터빈의 오일을 플러싱 하는 플러싱유닛과, 상기 터빈과 상기 플러싱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터빈으로부터의 오일을 상기 플러싱유닛으로 제공하고 상기 플러싱유닛에서 플러싱된 오일을 상기 터빈으로 공급시키는 전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의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러싱유닛은 상기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오일을 필터링 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빈으로부터 제공된 오일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싱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양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터빈으로부터 제공된 오일 내의 이물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의 막힘 여부를 차압 신호로 측정하는 압력 측정유닛과, 상기 오염도 측정유닛과 상기 압력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메쉬(mesh)의 사이즈가 상이하도록 적어도 2개가 배치되고, 상기 플러싱유닛은 상기 오염도 측정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필터유닛에 대해 오일이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필터유닛에 대해 오일이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의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터빈의 순환유로 상에 임시로 설치됨과 함께 순환유로를 바이패스 하여 독립적으로 필터링이 가능해지므로, 터빈의 오일 플러싱 공정 소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적어도 2개의 필터유닛이 배치되어 필터의 세척 및 교환 시에도 연속적인 플러싱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정시간 단축 및 작업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발전소 터빈과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오일 및 플러싱된 오일의 도면부호는 각각 'F1' 및 'F2'로 기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발전소 터빈과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소의 터빈(10)은 회전시 높은 하중이 발생함에 따라 대형 저널 베어링(12)(이하, 베어링이라 함)을 설치하여 로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 베어링(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어링(12)의 냉각 및 윤활을 위해서 오일(F1)을 순환시키는 오일 순환 시스템(14)이 별도로 배치된다. 오일 순환 시스템(14)은 각각의 베어링(12)에 공급되는 오일(F1)의 냉각 및 이물질의 포집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터빈(10)에서 순환되도록 오일(F1)을 펌핑 순환시킨다. 오일 순환 시스템(14)은 가압펌프, 오일탱크 및 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일 순환 시스템(14)의 세부 구성은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100)(이하, 플러싱 장치라 함)는 각각의 베어링(12)에 대해 순환되는 순환유로(16)에 각각 연결되는 후술할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3000)(이하, 어댑터유닛이라 함)을 이용하여 순환유로(16)를 바이패스 시켜 각 베어링(12)에 대해 독립적으로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 장치(100)는 플러싱유닛(1000) 및 어댑터유닛(30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유닛(1000)은 필터유닛(1100), 오염도 측정유닛(1300), 압력 측정유닛(1400), 디스플레이부(1500) 및 제어부(1600)를 포함한다. 또한, 플러싱유닛(1000)은 샘플링 포트(1200)를 더 포함한다.
필터유닛(1100)은 어댑터유닛(3000)으로부터 제공된 오일(F1)을 필터링 한다. 필터유닛(1100)은 오일(F1)에 함유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포집한다. 필터유닛(1100)은 메쉬(mesh)의 사이즈가 상이하도록 적어도 2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필터유닛(1100)은 듀플렉스 필터로 구성된다. 복수 개로 구성된 필터유닛(1100)은 오일(F1)의 플러싱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다수의 파티클이 포집되며 파티클이 누적되면 필터유닛(1100)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필터유닛(110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연속적이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스위칭 된다.
그리고, 듀플렉스 필터로 구성된 필터유닛(1100)은 대면적으로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바스켓 타입(basket type)으로 적용된다. 각각의 필터유닛(1100)에는 메쉬 사이즈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일 실시 예로서 적어도 2개의 필터유닛(1100) 중 어느 하나에는 200 mesh, 그리고 다른 하나에는 1000 mesh로 적용되어 후술할 오염도 측정유닛(1300) 및/또는 압력 측정유닛(1400)으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유닛(1100)의 메쉬 사이즈는 일 실시 예일 뿐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한 메쉬 사이즈를 갖는 필터유닛(1100)이 적용될 수 있다.
샘플링 포트(1200)는 필터유닛(1100)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샘플링 포트(1200)는 필터유닛(1100)에 대해 유동되는 오일(F1)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오일(F1)의 일부를 추출하여 오염도 측정유닛(1300)으로 제공한다. 샘플링 포트(1200)는 복수의 위치에 오일(F1)의 샘플링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오염도 측정유닛(1300)은 샘플링 포트(1200)로부터 추출된 오일(F1)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오염도 측정은 필터링 전후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현재 유입되는 오일(F1)의 오염도 및 필터링 후 플러싱된 오일(F2)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오일(F1)은 폐기되는 오일(F1)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플러싱유닛(1000)의 오일 유로로 재 유입된다. 오염도 측정유닛(1300)은 일 실시 예로서, 고압펌프 및 측정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일(F1) 내부에 함유된 기포를 파티클로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을 적용시킨 뒤 오염도를 측정한다.
압력 측정유닛(1400)은 필터유닛(1100)의 양측단에 배치된다. 압력 측정유닛(1400)은 터빈(10)으로부터 제공된 오일(F1) 내의 이물질에 따른 필터유닛(1100)의 막힘 여부를 차압 신호로 측정한다. 즉, 압력 측정유닛(1400)은 필터유닛(1100)의 유입구 및 필터유닛(1100)의 유출구 측에 배치되어, 유입구와 유출구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차이로 필터유닛(1100)의 막힘 정도를 측정한다.
디스플레이부(1500)는 오염도 측정유닛(1300)과 압력 측정유닛(1400)으로부터 측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1600)는 오염도 측정유닛(1300)으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필터유닛(1100)에 대해 오일(F1)이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세하게 제어부(1600)는 오염도 측정유닛(1300)으로부터 측정한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600)의 제어 신호는 오염도가 높은 경우 작은 파티클까지 포집할 수 있도록 메쉬가 높은 필터유닛(1100)(예를 들어, 1000 mesh, 13 micron)을 선택하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유체 저항이 낮아져 플러싱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메쉬가 낮은 필터유닛(1100)(예를 들어, 200 mesh, 74 micron)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오염도 판단은 ISO4406, SAE AS 4059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압력 측정유닛(1400)으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차압이 높아질 때 단계별로 알림 및 필터유닛(1100)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600)는 플러싱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파티클에 의해 필터유닛(1100)의 막혀 차압이 기설정된 값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600)는 알림 이후 사용자의 조작이 없어 차압이 더 상승할 때, 자동으로 필터유닛(1100)이 스위칭 될 수 있도록 필터유닛(1100) 내부의 오일(F1)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48시간 이상 수행되는 플러싱 공정에서 작업자 부재시에도 자동으로 필터유닛(1100)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의 제 2작동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유닛(30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어댑터(3200)와 제 2어댑터(3400)를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유닛(3000)은 제 1커넥터(3600), 제 2커넥터(3700) 및 실링부재(3900)를 더 포함한다. 어댑터유닛(3000)은 터빈(10)과 플러싱유닛(1000) 사이에 배치되어 터빈(10)으로부터의 오일(F1)을 플러싱유닛(1000)으로 안내하고 플러싱유닛(1000)에서 플러싱된 오일(F2)을 터빈(10)으로 안내한다. 즉, 어댑터유닛(3000)은 터빈(10)과 오일 순환 시스템(14) 사이에서 순환되는 오일(F1)의 순환유로(16) 상에 배치되어, 순환유로(16)를 바이패스 한다.
제 1어댑터(3200)는 터빈(10)의 오일(F1)이 순환되는 순환유로(16) 상에 배치된다. 제 1어댑터(3200)는 순환유로(16)를 바이패스 하여 플러싱유닛(1000)으로 오일(F1)을 배출하고 플러싱된 오일(F2)을 순환유로(16)로 공급시킨다. 제 1어댑터(3200)는 제 1결합부(3220), 제 2결합부(3240), 제 1배출유로(3260) 및 제 1공급유로(3280)를 포함한다.
제 1결합부(3220)는 순환유로(16) 상에 삽입되며 일측은 제 1배출유로(3260)와 연통되고 타측은 순환유로(16)로 유동되는 오일(F1)을 차단하고 삽입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제 1공급유로(3280)가 형성된다. 제 1결합부(3220)는 오일 수용부(3222) 및 오일 차단부(3224)를 포함한다. 오일 수용부(3222)는 순환유로(16) 상에 배치되어 제 1배출유로(3260)로 배출되는 오일(F1)을 수용하고, 오일 차단부(3224)는 제 1배출유로(3260)와 대향 배치되며 바이패스된 오일(F1)이 순환유로(16)로 재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세하게 오일 수용부(3222)는 제 1결합부(3220)의 몸체에 함몰 형성되고, 오일 차단부(3224)는 오일 수용부(3222)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 2결합부(3240)는 제 1결합부(322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 2어댑터(3400)와 결합된다. 제 2결합부(3240)는 제 1배출유로(3260)와 제 1공급유로(3280)가 각각 제 2배출유로(3420)와 제 2공급유로(3440)에 각각 상호 연통되도록 제 2어댑터(3400)와 결합된다.
제 1배출유로(3260)는 오일 수용부(3222)로부터 제 1결합부(3220)의 몸체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제 1배출유로(3260)는 오일 수용부(3222)에 수용되는 오일(F1)을 제 2배출유로(3420)로 안내한다. 제 1공급유로(3280)는 제 1결합부(3220)와 제 2결합부(3240)의 중심 영역에 관통 형성된다. 제 1공급유로(3280)는 제 2공급유로(3440)와 연통되어 제 2공급유로(3440)로 공급되는 플러싱된 오일(F2)을 순환유로(16)로 안내한다.
제 2어댑터(3400)는 플러싱유닛(1000)과 제 1어댑터(3200) 사이에 배치된다. 제 2어댑터(3400)는 제 2배출유로(3420), 제 2공급유로(3440) 및 블록 수용부(3460)를 포함한다. 제 2배출유로(3420)는 제 1배출유로(3260)와 연통되도록 제 2어댑터(3400)의 몸체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배출유로(3420)는 제 2메인 배출유로(3422)와 제 2보조 배출유로(3424)를 포함한다. 제 2메인 배출유로(3422)는 제 1배출유로(3260)와 상호 연결되어 순환유로(16) 상의 오일(F1)을 제 1커넥터(3600)로 안내한다. 제 2보조 배출유로(3424)는 제 1커넥터(3600)와 제 2메인 배출유로(342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보조 배출유로(3424)는 제 2메인 배출유로(3422)에 대응하여 동심원을 이루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배치되어 제 2메인 배출유로(3422)로부터 제 1커넥터(3600)로 오일(F1)을 안내한다.
제 1결합부(3220)는 순환유로(16) 상에 나사 결합되고, 제 2결합부(3240)와 제 2어댑터(3400)는 상호 나사 결합된다. 제 2결합부(3240)와 제 2어댑터(3400)는 상호 결합 거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을 갖는다. 즉, 제 2결합부(3240)와 제 2어댑터(3400)가 상호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순환유로(16)를 형성하는 배관의 길이에 연동하여 제 2결합부(3240)와 제 2어댑터(3400) 사이의 결합 거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을 갖는 것이다.
한편, 복수 개의 제 2메인 배출유로(3422)의 합계 단면적과 제 1공급유로(3280)의 단면적은 유사 또는 동일하다. 이렇게 복수 개의 제 2메인 배출유로(3422)의 합계 단면적과 제 1공급유로(3280)의 단면적이 유사 또는 동일함에 따라 순환유로(16)로부터 배출되는 오일(F1)과 순환유로로 공급되는 플러싱된 오일(F2)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블록 수용부(3460)는 후술할 제 1커넥터(3600)의 커넥팅 블록(3640)이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블록 수용부(3460)는 커넥팅 블록(3640)의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 1커넥터(3600)는 제 2배출유로(3420)에 연결되고 제 1배출유로(3260)로부터 제공된 오일(F1)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 1커넥터(3600)는 제 2공급유로(3440)의 유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세하게 제 1커넥터(3600)는 플러싱유닛(1000)과 배출 호스(미도시)로 연결된다. 제 1커넥터(3600)는 몸체(3620)와 커넥팅 블록(3640)을 포함한다. 몸체(3620)는 제 1배출유로(3260)로부터 제공된 오일(F1)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커넥팅 블록(3640)은 제 2어댑터(3400)와 몸체(3620) 사이에 배치되어, 몸체(3620)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된다. 상세하게 커넥팅 블록(3640)은 블록 수용부(3460)에 수용된다. 커넥팅 블록(3640)은 배출 호스와 연결된 몸체(3620)가 배출 호스의 이동에 따른 회전 운동력 발생될 때, 제 2어댑터(34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도록 블록 수용부(3460)에 수용된다.
제 2커넥터(3700)는 제 2공급유로(3440)에 연결되어 플러싱유닛(1000)으로부터 플러싱된 오일(F2)을 순환유로(16)로 공급시킨다. 제 2커넥터(3700)는 플러싱유닛(1000)과 미도시된 공급 호스로 상호 연결된다.
실링부재(3900)는 순환유로(16) 상에 삽입되는 제 1결합부(3220), 제 2결합부(3240)와 제 2어댑터(3400) 사이 및 제 2어댑터(3400)와 커넥팅 블록(364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오일(F1, F2)의 누유를 저지한다. 실링부재(3900)는 제 1실링부재(3920) 및 제 2실링부재(3940)를 포함한다.
제 1실링부재(3920)는 순환유로(16) 상에 삽입되는 제 1결합부(3220)에 배치된다. 제 2실링부재(3940)는 제 2결합부(3240)와 제 2어댑터(3400) 사이 및 제 2어댑터(3400)와 커넥팅 블록(364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1실링부재(3920)의 기밀성이 제 2실링부재(3940)의 기밀성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기밀성을 갖는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실링부재(3920)는 순환유로(16)와 제 1결합부(3220) 사이에 플러싱된 오일(F2)의 누유를 저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제 2실링부재(3940)는 제 2어댑터(3400)에 대해 커넥팅 블록(3640)이 회전 및 제 2결합부(3240)에 대해 제 2어댑터(3400)가 회전됨과 함께 오일(F1, F2)의 누유를 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제 1실링부재(3920)의 기밀성이 제 2실링부재(3940)의 기밀성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기밀성을 갖는다. 즉, 제 1실링부재(3920)와 제 2실링부재(3940)는 상호 상이한 기밀성을 갖는 제품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어댑터(3200)의 제 1결합부(3220)를 순환유로(16)를 형성하는 배관 상에 나사 결합한다. 그러면, 제 1결합부(3220)에 의해 순환유로(16)가 바이패스 된다. 제 1결합부(3220)와 제 2어댑터(3400)를 상호 나사 결합한다.
플러싱유닛(1000)과 제 1커넥터(3600)를 상호 배출 호스로 연결하고, 플러싱유닛(1000)과 제 2커넥터(3700)를 상호 공급 호스로 연결한다. 오일 순환 시스템(14)을 작동시키면 순환유로(16) 상의 오일은 바이패스 되고, 제 1어댑터(3200)의 제 1배출유로(3260)와 제 2어댑터(3400)의 제 2배출유로(3420)로 오일(F1)이 유동되고 제 1커넥터(3600)를 통해 플러싱유닛(1000)으로 오일(F1)이 유동된다. 필터유닛(1100)에 의해 오일(F1)은 플러싱 되고, 플러싱된 오일(F2)은 제 2커넥터(3700), 제 2공급유로(3440) 및 제 1공급유로(3280)를 통해 순환유로(16)로 재공급된다. 이때, 플러싱유닛(1000)의 오염도 측정유닛(1300), 샘플링 포트(1200), 압력 측정유닛(1400), 제어부(1600) 및 디스플레이부(1500)에 의해 오일(F1)은 복수 개의 필터유닛(11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동되어 플러싱 된다.
이에, 터빈의 순환유로 상에 임시로 설치됨과 함께 순환유로를 바이패스 하여 독립적으로 필터링이 가능해지므로, 터빈의 오일 플러싱 공정 소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필터유닛이 배치되어 필터의 세척 및 교환 시에도 연속적인 플러싱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정시간 단축 및 작업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
1000: 플러싱유닛 1100: 필터유닛
1300: 오염도 측정유닛 1400: 압력 측정유닛
1500: 디스플레이부 1600: 제어부
3000: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3200: 제 1어댑터 3220: 제 1결합부
3240: 제 2결합부 3260: 제 1배출유로
3280: 제 1공급유로 3400: 제 2어댑터
3420: 제 2배출유로 3422: 제 2메인 배출유로
3424: 제 2보조 배출유로 3440: 제 2공급유로
3600: 제 1커넥터 3620: 몸체
3640: 커넥팅 블록 3700: 제 2커넥터
3900: 실링부재

Claims (15)

  1. 터빈의 오일이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순환유로를 바이패스 하여 외부로 오일을 배출시키는 제 1배출유로와 내부에 형성되어 플러싱된 오일을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시키는 제 1공급유로를 갖는 제 1어댑터와;
    상기 제 1어댑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배출유로 및 상기 제 1공급유로와 각각 상호 연통되는 제 2배출유로 및 제 2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순환유로 상의 오일과 플러싱된 오일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어댑터와;
    상기 제 2배출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배출유로로부터 제공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제 2공급유로의 유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2공급유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플러싱된 오일을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시키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배출유로는,
    상기 제 1배출유로와 연결되어, 오일을 상기 제 1커넥터로 가이드 하는 제 2메인 배출유로와;
    상기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에 대응하여 동심원을 이루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배치되어,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로부터 상기 제 1커넥터로 오일을 가이드 하는 제 2보조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어댑터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제 1배출유로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순환유로로 유동되는 오일을 차단하고 삽입 방향을 따라 내부에 상기 제 1공급유로가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2어댑터와 결합되며, 상기 제 1배출유로와 상기 제 2배출유로 및 상기 제 1공급유로와 상기 제 2공급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 2메인 배출유로의 합계 단면적과 상기 제 1공급유로의 단면적은 유사 또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넥터는,
    상기 제 2배출유로로부터 제공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몸체와;
    상기 제 2어댑터와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되는 커넥팅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어댑터는 상호 결합 거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을 가지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어댑터는 상호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은,
    상기 순환유로 상에 삽입되는 상기 제 1결합부, 상기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어댑터 사이 및 상기 제 2어댑터와 상기 커넥팅 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오일의 누유를 저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10. 제 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실링부재 중 상기 제 2결합부 및 상기 제 2어댑터 사이 및 상기 제 2어댑터와 상기 커넥팅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실링부재의 기밀성은 상기 제 1결합부에 배치되는 상기 실링부재의 기밀성 보다 적은 기밀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11. 터빈의 오일을 플러싱 하는 플러싱유닛과;
    상기 터빈과 상기 플러싱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터빈으로부터의 오일을 상기 플러싱유닛으로 제공하고 상기 플러싱유닛에서 플러싱된 오일을 상기 터빈으로 공급시키는 제 1항, 제 2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유닛은,
    상기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오일을 필터링 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빈으로부터 제공된 오일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의 양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터빈으로부터 제공된 오일 내의 이물질에 따른 상기 필터유닛의 막힘 여부를 차압 신호로 측정하는 압력 측정유닛과;
    상기 오염도 측정유닛과 상기 압력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메쉬(mesh)의 사이즈가 상이하도록 적어도 2개가 배치되고,
    상기 플러싱유닛은 상기 오염도 측정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필터유닛에 대해 오일이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필터유닛에 대해 오일이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장치.
KR1020160170248A 2016-12-14 2016-12-14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 KR101735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48A KR101735562B1 (ko) 2016-12-14 2016-12-14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48A KR101735562B1 (ko) 2016-12-14 2016-12-14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562B1 true KR101735562B1 (ko) 2017-05-29

Family

ID=5905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248A KR101735562B1 (ko) 2016-12-14 2016-12-14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867B1 (ko) * 2018-01-26 2018-09-05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터빈 장치용 플러싱 장치
KR101900858B1 (ko) * 2018-01-26 2018-09-20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터빈 장치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발전소 터빈 장치용 오일 플러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867B1 (ko) * 2018-01-26 2018-09-05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터빈 장치용 플러싱 장치
KR101900858B1 (ko) * 2018-01-26 2018-09-20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터빈 장치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발전소 터빈 장치용 오일 플러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89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pressurization of a motor/bearing cooling loop for a hermetically sealed motor/compressor system
KR101735562B1 (ko) 발전소 터빈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유닛 및 이를 갖는 플러싱 장치
EP2770613B1 (en) Auxiliary power unit generator
KR100227044B1 (ko) 터어빈 발전기 시스템
CN206495851U (zh) 一种轨道车辆液压制动管路清洗注油工艺装置
JP2019528156A (ja) 船のエンジンなどの舶用機械のための油濾過用濾過システム
TWI713888B (zh) 冷卻液處理系統
US10288051B2 (en) Hydraulic machine arrangement
KR101900858B1 (ko) 발전소 터빈 장치용 오일 플러싱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발전소 터빈 장치용 오일 플러싱 장치
JP7179285B2 (ja) 工作液供給システム
KR101894867B1 (ko) 발전소 터빈 장치용 플러싱 장치
JP3758465B2 (ja) 復水器,発電プラント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70071076A (ko) 엔진 오일 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오일 교환방법
KR101881771B1 (ko) 발전소 터빈의 오일 플러싱 장치
KR101863857B1 (ko) 발전소 터빈의 오일 플러싱 어댑터
JP7158129B2 (ja) 水力発電用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水車発電機への液体の供給方法
KR101624037B1 (ko) 터빈의 윤활유 세정장치
US6497538B1 (en) Device of a tool spindle
CN109141851B (zh) 独立式压缩机润滑系统检测平台
JP3168161U (ja) 流体の汚染度検査装置
RU2429436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дренажа
CN207334212U (zh) 适用于水电站工程的机组轴承润滑油外循环冷却装置
US6413026B1 (en) Device for a tool spindle
US6409441B1 (en) Device of a tool spindle
CN107387740A (zh) 一种齿轮箱的润滑油监测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